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changeName(Camera camera)의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public static void changeName(Camera camera){ camera.name ="잘못된 카메라"; } 와같은메소드를 다시 선언하셨는데요.(참조형변수)String (참조변수)c1 = (객체생성) new (생성할 객체)Camera() 이런개념으로 이해를 하였는데요. changeName 메소드를 선언하기전에는 c1, c2 참조변수를 통해서 Camera라는 메소드에 접근을 하여 c1.name, c2.name 이렇게 Camera 인스턴스 변수에 접근이 가능하였습니다. 근데 changeName이라는 변수에는 객체가 생성되지 않았는데 바로 camera.name 이렇게 접근하는것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다. changeName(Camera camera)이부분에서 Camera(?) camera(참조변수))앞부분의 Camera가 이해가 되지않습니다.Camera메소드를 부르는건지 메소드라면 Camera() 이와같이 호출하는것은 아닌지... 정리가 잘 안됩니다. ㅜㅜ
-
미해결문과생도, 비전공자도, 누구나 배울 수 있는 파이썬(Python)!
import 가 안되는 경우
같은 폴더 모듈 import 했는데사진속처럼 import 가 안되면 무슨 오류일까요?name wow_sum is not defined 라고 뜨는데 import이 정상적으로 됐다면 defined된걸텐데 말입니다(6.1강 10:57 처럼 돼야 하는데요)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code-server 사용시 react-router-dom 오류
안녕하세요개발환경으로 code-server을 사용하고 있는데, 문제를 도대체 알 수 없어서 질문 올립니다 ㅜㅜㅜㅜㅜㅜcode-server은 실행시 도메인/proxy/port로 실행 주소가 설정됩니다.그래서 hot-reload 웹소켓 연결을 설정하기위해서 webpack.config.ts에client: { webSocketURL: 'ws://0.0.0.0:443/proxy/3090/ws', },를 추가했습니다.index.html에서 src = "./dist/app.js"로 했습니다다른 모든 코드는 setting/ts를 그대로 npm i 했습니다.(여기까지 사전 참고내용) 이전 강의에서 App.tsx에 <div>코드어쩌구저쩌구</div>는 잘 나타났습니다.이번 강의에서 react-router-dom을 도입해서 code-server에서 실행을 하게되면 브라우저에 아무런 화면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code-server가 아닌 구름ide에서 같은 파일을 실행할 경우(서버 주소가 proxy가 아니게됨)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react-router-dom을 사용했더니 화면이 안보이기때문에 react-router-dom 과 관련된 문제라고 추측합니다.code-server에서 실행주소뒤에 'proxy/3090'이 붙었을때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code-server 관련 문제로 추측됩니다.code-server사용시 가져온 파일이랑 구름ide사용시 가져온 파일 비교해보면, code-server에서 파일2개를 못 가져온것 같은데, 이게 문제인거 같기도 합니다. 또한, App.tsx에서 react-router을 빼고 다음과 같이 입력후 실행해보았습니다.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loadable from '@loadable/component'; import { Switch, Route, Redirect } from 'react-router-dom'; import SignUp from '@pages/SignUp'; const App = () => { return <SignUp />; }; export default App; 가져온 파일 목록은 다음과 같고, 정상적으로 signup화면이 나타납니다.이번에는 loadable/component가 문제인가 싶어서, 이걸빼고 다음과 같이 App.tsx를 입력했습니다.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loadable from '@loadable/component'; import { Switch, Route, Redirect } from 'react-router-dom'; import LogIn from '@pages/LogIn'; import SignUp from '@pages/SignUp'; const App = () => { return ( <Switch> <Route path="/login" component={LogIn} /> <Route path="/signup" component={SignUp} /> </Switch> ); }; export default App;그랬더니 이전과 같이 화면에 아무것도 안나옵니다. 도대체 뭐가 문제인지를 모르겠네요 ㅜㅜㅜ
-
해결됨독하게 되새기는 C 프로그래밍
버퍼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 버퍼는 OS가 지정한 임의의 메모리 공간에 생기나요 ?아니면 프로세스의 가상메모리 공간에 생기나요 ?
-
미해결Vue.js 중급 강좌 - 웹앱 제작으로 배워보는 Vue.js, ES6, Vuex
깃헙 권한이 안들어왔는데 혹시 확인부탁드려도 될까
인프런 아이디 : eymin1234@naver.com인프런 이메일 : eymin1234@naver.com깃헙 아이디 : eymin123@gmail.com깃헙 : leeyseok 감사합니다
-
미해결앨런 iOS 앱 개발 (15개의 앱을 만들면서 근본원리부터 배우는 UIKit) - MVVM까지
활용-1 앱(timer 앱) -> 분과 초로 나타내기
안녕하세요! 양질의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제 질문은총 타이머의 시간을 300초로 늘린 후,타이머의 시간을 나타내는 mainLabel에 60초가 넘어가는 타이머를 설정하였을 때2분, 32초 이렇게 분과 초로 나타내고 싶습니다.제 생각은 let seconds를 초로 나타내고let minute으로 분을 나타내서 mainLabel에만 나타내면 안될까라는 생각과if문을 사용해서 60초와 120초 180초 이렇게 분 단위로 나누어서 앞에 분을 나타나게 만들어볼까 시도했지만 실패했습니다. 너무 포괄적인 질문이라 죄송합니다!!방법이 있다면 가벼운 힌트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안녕하세요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페이지 구현 일기쓰기(new)까지 수강하고코딩을 완료하였는데 수정완료 버튼을 누르면 수정이 되질 않는 버그와 console.log(targetDate)를 하면 콘솔에 두번 출력되는 버그가 있어서 깃 링크를 드리고 질문을 하려했으나 깃이 자꾸 오류가나서 그런데 혹시 메일로 파일을 보내드리면 그거에 대한 답변이 가능하신지 궁금하여 여쭤봅니다.
-
미해결[PyTorch] 쉽고 빠르게 배우는 GAN
DCGAN 실습에 있는 celba 이미지 다운로드 권한 요청
안녕하세요..강의를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DCGAN 의 강의를 실습을 하고자 하는데 구글 drive 에 대한 접근 권한이 필요하여 문의 드립니다.접근 권한 어떻게 신청하면 될지 문의 드립니다.
-
미해결패턴으로 배우는 Python 프로그래밍 4편 - GUI패턴
pattern34 전체 코드를 공유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pattern 34의 전체 코드를 공유해주실 수 있으신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이 코드도 괜찮나요?
강사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맥 환경이라 정답이 맞는지 모르겠네요.. 이렇게 코드 짜도 되나요?혼자서 풀면 풀리긴하는데.. 뭔가 알고리즘적 사고라기 보다는, 생각나는대로 풀기도하고, 강사님 코드보다 대부분 다 길어서.. 잘 공부하고 있는건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Provider를 이용한 request scope 문제 해결 방법
강의 교안 <9.빈 스코프>의 28페이지를 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있습니다."ObjectProvider.getObject()를 호출하는 시점까지 request scope 빈의 생성을 지연할 수 있다"이 때, 빈의 생성을 지연한다는 말이 실제로 getObject() 함수를 호출해야만 request scope의 MyLogger 빈이 만들어 진다는 건가요?아니면 http 요청이 들어오는 순간 이미 MyLogger 빈은 다른 로직에 의해 생성되어 존재함이 보장되고, getObject() 함수는 무조건 MyLogger 빈을 갖고 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논리적으로 "빈의 생성을 지연한다"라고 표현하신 건가요?전자가 맞는지 후자가 맞는지 궁금합니다.*추가. 비슷한 질문이 있어서 해당 질문을 참고하여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https://www.inflearn.com/questions/702458위의 질문에서 "http요청이 들어왔을 때 request bean이 생성되는게 아니라, 생성할수있는 상태가 되는것이고, 이 상태일때 ObjectProvider.getObject()를 하게되면 request bean을 생성한후 반환하는것이다" 라는 답변이 있었습니다. 그래도 이해가 안되서, getObject() 함수가 호출되기 전에 getBean()으로 등록된 MyLogger 빈을 갖고와봤습니다.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Controller { private final ObjectProvider<MyLogger> myLoggerProvider; // 추가된 라인 private final ApplicationContext ac; @RequestMapping("log-demo") @ResponseBody public String logDemo(HttpServletRequest request) { // 추가된 라인 MyLogger testMyLogger = ac.getBean(MyLogger.class); // 추가된 라인 System.out.println(testMyLogger); String requestURL = request.getRequestURL().toString(); MyLogger myLogger = myLoggerProvider.getObject(); myLogger.setRequestURL(requestURL); myLogger.log("controller test"); LogDemoService.logic("testID"); return "OK"; } } ApplicationContext를 의존주입 받아서,getObject()가 호출되기 전에 getBean()으로 MyLogger 타입의 스프링 빈을 조회하고 출력하였는데,testMyLogger와 myLogger에 동일한 객체가 들어있었습니다.위의 답변과는 상충되는 결과인데, 제가 추가한 코드에 문제가 있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rejectedValue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bindingResult.rejectValue를 공부하면서의문이 생겼는데요.이 bindingResult.rejectValue가 결국 new FieldError와 같고new FieldError("item", "itemName", null, false, ...);로 들어간다고 하셨는데 3번째 인자에 rejectedValue가 null이라면 오류가 났을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복구가 안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닌가요?뒤에서 실행한 결과로는 값이 모두 유지되어서 의문이 들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초기화라는 단어
빈 생명주기 콜백 강의를 듣고 질문 남깁니다.public NetworkClient(String url) { this.url = url; }이렇게 생성자에 url을 넘겨주어 값을 지정해주는 것이 초기화 작업이라고 생각하고 강의를 들었는데그러면 문맥상 맞지 않더라고요.가령스프링 빈은 객체 생성, 의존관계 주입이 끝나야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따라서 초기화 작업은 의존관계 주입이 모두 완료되고 호출되어야 한다.이런 부분에서 위 코드와 같은것이 초기화라고 생각한다면 그냥 객체 생성 단계에서 url 값이 지정되었기 때문에 그냥 사용 가능한거 아닌가요?강의에서 말하는 초기화 작업은 정확히 어떤걸 말씀하시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etter 주입을 private으로 선언해도 의존 주입이 되는 이유
수정자 주입과 관련된 질문이 생겨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강의에서 setter를 이용한 의존 주입을 할 때는, setter 함수를 public으로 열어놔야한다고 하셨습니다.만약에 private으로 막아놓으면 어떻게 될지 궁금해서 private으로 막아 놓고 테스트를 돌려보았는데, 여전히 올바르게 의존주입이 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아무리 생각해봐도 스프링이 private으로 막혀있는 setter 함수를 호출할 수 없을 것 같은데, 어떻게 올바른 의존 주입이 되는 결과가 나온건지 궁금합니다.테스트에 사용한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OrderServiceImpl.java package hello.core.ord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discount.Fix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discount.Rate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hello.core.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repository.MemoryMemberRepository; @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 setter 주입(setter 주입을 사용하려면 final 키워드를 사용할수 없음) @Autowired private void set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Autowired private void setDiscountPolicy(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Override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Name,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return new Order(memberId, itemName, itemPrice, discountPrice); } // 테스트 용도 public MemberRepository getMemberRepository() { return this.memberRepository; } } // AutoAppConfigTest.java package hello.core.scan;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hello.core.AutoAppConfig; import hello.core.member.MemberService; import hello.core.order.OrderServiceImpl; import hello.core.repository.MemoryMemberRepository; public class AutoAppConfigTest { @Test void basicScan()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utoAppConfig.class); OrderServiceImpl orderServiceImpl = ac.getBean(OrderServiceImpl.class); System.out.println(orderServiceImpl.getMemberRepository()); } } // AutoAppConfig.java package hello.core;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mponentSc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FilterType; @Configuration @ComponentScan(basePackages = "hello.core", basePackageClasses = AutoAppConfig.class, excludeFilters = @ComponentScan.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Configuration.class)) public class AutoAppConfig {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Configuration과 @ComponentScan의 충돌
안녕하세요. @ComponentScan을 공부하다가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드립니다.@ComponentScan에 의해서 @Configuration 이 붙은 클래스를 스캔했을 때, 이 때 만들어진 스프링 빈도 팩토리 빈의 역할을 하게 되나요?예를 들어,AppConfig 라는 클래스에 @Configuration을 붙이고 내부에 @Bean을 이용해 등록할 빈들을 만들어놓는다.AutoAppConfig 라는 클래스에 @ComponentScan을 붙이고 스프링 컨테이너(ApplicationContext)에 AutoAppConfig.class 로 설정정보를 넘겨준다.위와 같이 했을 때, AutoConfig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고 @ComponentScan에 의해 스캔이 시작되어, AutoAppConfig가 위치한 패키지부터 하위 패키지까지 스캔되어 스프링 빈이 등록 될 것입니다. (AppConfig는 패키지 내부에 속해있어 스캔된다고 가정하겠습니다.)그럼 이 경우에 exclude 필터로 @Configuration에 해당하는 클래스를 제외하지 않는다면, AppConfig도 스프링 빈으로 등록될텐데,스프링 컨테이너(ApplicationContext)에 직접적으로 AppConfig.class와 같은 설정 정보를 전달하지 않았는데, 이때도 AppConfig가 팩토리 빈이 되어, 위의 1번에서 @Bean으로 만들어놓은 빈들을 스프링 컨테이너가 등록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flutter doctor 오류 질문
flutter doctor 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는데...다시 해봤는데 잘 안되더라구요해결방법 질문 드립니다ㅠ
-
미해결워드프레스(WordPress) 완전정복
프로젝트 내에 있는 php파일을 a태그로 연결시킬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a태그 관련해 질문이있습니다..a태그 안에 있는 이미지를 눌렀을 때, 프로젝트에 있는 특정 php파일을 열리게 하고싶었는데요.. 해당하는 함수가 따로 있을까요...? 여러가지 시도를 해보아도 안되고 서치를 해도 자료를 못찾아서 질문드립니다ㅠ 시도해보았던 코드들 중 한가지 캡쳐해서 첨부드려봅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혹시 prev 배열 연쇄 for문 python에는 그런 문법 없나요?
ret = bfs() v = [] v.append(K) while K != N: K = prev[K] v.append(K) print(ret - 1) print(*v[::-1])prev for문코드 같은 문법 파이썬에는 없나요???while문으로 만들긴했지만요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스프링 컨테이너 사용] 강의 중 getBean IDE 상 에러가 뜨는데 원래 그럴까요 ?
cannot acess 에러가 발생하는데,실제, 코드를 돌리면 컴파일 및 런타임 에러 없이 동작합니다.Access 에러 길래, 접근 제어자 문제로 판단하였으나, 전부 Public 이라 딱히 문제도 없는것 같은데, 저만 그런건지 궁금합니다.registerBean 에서도 해당 클래스를 불러오기 때문에, 여기서도 에러가 뜬다면 이해하겠으나..해당 부분은 문제없고.. 밑에서만 떠서... 궁금합니다[참고로, 실행하면 컴파일 에러 없이 실행 되고... IDE 상에서는 에러로 계속 남아 있습니다. ] package com.example.helloboot; import org.apache.catalina.startup.Tomca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embedded.tomcat.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er.WebServer;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ServletContextInitializer;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Generic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Headers;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Method;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MediaType; import javax.servlet.ServletContext;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Helloboot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Spring Container 생성 Context 가 Container 임 // 컨테이너 생성 Generic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GenericApplicationContext(); // 오브젝트 (빈) 등록 applicationContext.registerBean(HelloController.class); // 오브젝트 생성 요청 applicationContext.refresh(); // [Step 1] Servlet 컨테이너 생성 // Factory 생성과 설정 작업등을 대신 해주는 대상 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serverFactory = new 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WebServer webServer = serverFactory.getWebServer(servletContext -> { servletContext.addServlet("frontcontroller", new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 인증, 보안 , 다국어, 공통 기능 등 처리 if (req.getRequestURI().equals("/hello") && req.getMethod().equals(HttpMethod.GET.name())) { String name = req.getParameter("name"); // binding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브젝트에 데이터를 넘기는 것 HelloController helloController = applicationContext.getBean(HelloController.class); String ret = helloController.hello(name); resp.setContentType(MediaType.TEXT_PLAIN_VALUE); resp.getWriter().println(ret); } else { resp.setStatus(HttpStatus.NOT_FOUND.value()); } } }).addMapping("/*"); }); webServer.start(); } }
-
미해결
안녕하세요. 주피터 노트북 연결 에러가 자꾸 납니다.
안녕하세요. 노트북을 바꾸고 아나콘다를 정상적인 루트로 설치하고 쥬피터를 하려고 하면늘 첨부한 사진과 같은 오류가 뜨면서 정상적으로 작업이 중단되는데 해결방법이 없을까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