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8:00 getter/setter 윈도우 단축키는
alt+Insert 하면 getter and setter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질문이 있습니다!
조인중, 세타조인과 연관관계가 없는 엔티티 조인은 같다 라고 생각해도 되나요? 예) select m from Member m, Team t where m.name = t.name 이라는 세타 조인과, select m from Member m join Team t on m.name = t.name 의 연관관계가 없는 엔티티 조인은 같은 건가요 ? ?
-
미해결실전! Querydsl
계산성 결과물을 DB에 저장하는 것에 대해서 어떤 방법이 더 효율적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평소에 가지고 있던 궁금증인데 age를 업데이트하는 부분을 보고 문득 떠올라 질문남깁니다. 기존 레거시 테이블들을 보면 이미 레코드에 포함하고 있는 계산성 데이터들을 많이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해당 강의 차수에서 말하는 age나 또는 팀-멤버간(fk) 조인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팀 테이블의 전체 회원 수 같은 칼럼들이요. 저는 기본적으로 이런 데이터들을 테이블에 넣는것을 반대하고있습니다. 나이를 넣는 것 보다 생년월일을 넣어야되고 팀의 전체 회원수가 필요하면 필요 시 쿼리에서 count를 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항상 동적으로 구하는 방식을요. 제 경험상으로 이러한 계산성 데이터를 넣어버리면 변경점이 계속 생기는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1년이 지날 경우 벌크로 나이를 +1씩 더해야 되는 상황들이요. 또한 팀 멤버가 추가될경우 실수로 팀 테이블의 총원 테이블을 업데이트 하지 않는 경우도 생길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데이터 용량을 많이 조회할 경우에 계산을 해야하는 시간등도 있을 것 같습니다. 대용량 서비스 관점에서 위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어떤 방법을 선호하시는지, 제가 놓친 부분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cannot find symbol class Model 오류가 발생합니다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 "hello!!"); return "hello"; } } 위를 복사하여 실행할때, cannot find symbol class Model라고 오류가 발생합니다!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ontroller에서 Repository 접근
DDD 자료를 찾아보면 강의 자료와 같이 Domain이 전체 레이어를 아우르고, Controller에서 Repository를 접근 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기초 강의에서는 Entity를 Controller에 넘기지 말라고 말씀 하셨고 그 이유도 충분히 이해 했었습니다. 지금 예제에서는 Controller가 Repository를 호출하게 된다면 Entity가 넘어가게 될텐데... 강의상 편의를 위해서 하신건가요? 실무에서도 빈번하게 사용하는 구조인가요? 추가적으로 DTO를 사용한다면, 아래 예제 계층에서 오고가는 DTO에 대한 표현(naming rule, suffix, package 등등)을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web <-> controller- service <-> repository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단위테스트가 어떤 것인지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항상 감사드립니다. 단위 테스트의 중요성을 강조해주셨는데 제가 아직 초보라서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제 수준으로 테스트를 이해한 것을 말씀드리자면, 만약 수량이 2개가 추가되면, 그것이 데이타베이스에 2개가 추가 됐는지를 확인하고, 그것이 화면으로 제대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최소한의 테스트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DB를 거치지 않고 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지금 in memory를 DB로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조차 사용하지 않게 되는건가요? 혹시 가능하시다면 지금의 예제에서 단위테스트를 한다면 예시를 짧게라도 한 줄 부탁드려도 될까요? 그런 측면에서 제가 테스트에 대하여 이해도가 너무 낮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junit이란 것도 선생님 수업 들으면서 이번에 처음 알게 됐거든요. 그래서 혹시 가능하다면 테스트와 관련하여 참고할만한 책이나 자료가 있으면 추천 부탁드려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비지니스 로직구현 Entity VS Service
안녕하세요 강사님! 이번 강의에서는 Item.class에 다음과 같이 해당 변수에 대한 접근은 해당 entity에서 작성하여 주셨는데요, /* * 재고 수량 증가 */public void addStock(int quantity){ this.stockQuantity += quantity;}/*재고 수량 감소 */public void removeStock(int quantity){ int restStock = this.stockQuantity - quantity; if(restStock < 0){ throw new NotEnoughStockException("need more stock"); } this.stockQuantity = restStock;} 1. 그렇다면 만약 회원의 주소를 변경하는 로직을 만든다고 하면 이 또한 memberRepository.class가 아닌 member.class에서 변경하여 주는 것이 맞을까요?? 2. 또 비슷한 맥락으로 service 구현과 entity에서의 로직 구현의 차이는 객체의 맴버변수에 접근하는지/ 맴버 자체에 접근하는지의 차이로 이해하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Book이 준영속 엔티티
updateItem 메소드에서 Book이 DB에 저장된적이 있어서 식별자가 존재하여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관리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요. 1. 그러면 Book을 new Book()으로 생성하고 setId에서 임의로 현재 DB에 존재하지 않는 id를 입력하면 어떻게 될까요?? 2. 준영속 엔티티가 된 이유가 id가 존재해서 라기 보다는 Book 객체의 생성시 영속성컨텍스트를 거치지 않고 생성자를 거쳤기 때문에 준영속 엔티티가 된건 아닌가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정말정말 잘 듣고있습니다! 예제에서는 모두 MemberRepository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존성 주입을 받도록 되어있는데, 그렇다면 스프링 데이터 JPA에서 제공하는 여러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memberRepository에 사용할 기능을 추가해야 하는 건가요~? 새해복 많이받으세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mysql 하시는 분들은 function 설정(질문 아님)
function('regexp_replace' ~~~ 라고 적어주셔야 되고 application.yml 파일에서 dialect : org.hibernate.dialect.MySQL8Dialect 라고 적어주셔야 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lob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JPA를 활용하여 여러가지 조회테스트를 해보고 있는데 @lob 컬럼이 존재하는 경우 select시 쿼리가 매우 느린현상을 발견했습니다. @lob 컬럼이 존재하는 경우에 쿼리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9분30초 findOrderDtos()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팀장님 프로그래밍 강의를 재미있게 듣기는 처음입니다. ^^ findAllWithMemberDelivery()과 달리 findOrderDtos()에서는 fetch join을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return em.createQuery( "select new jpabook.jpashop.api.dto.OrderSimpleQueryDto(o.id, m.name, o.orderDate, o.status, d.address) " + " from Order o" + " join o.member m " + " join o.delivery d ", OrderSimpleQueryDto.class ).getResultList();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에서는 SELECT m FROM Member m JOIN FETCH m.team 은 다음 SQL문과 같고 SELECT M.*, T.* FROM MEMBER M INNER JOIN TEAM T ON M.TEAM_ID=T.ID 일반 JOIN인 경우 SELECT m FROM Member m JOIN m.team t 다음 SQL과 같다 하셨는데 SELECT M.* FROM MEMBER M INNER JOIN TEAM T ON M.TEAM_ID=T.ID 위에서는 join만 사용했는데 어떻게 member나 delivery를 별도 query로 참조하지 않고 가져왔는지 궁금합니다. 답변하신 내용중 https://www.inflearn.com/questions/23847를 참고하면 "fetch join을 사용하는 이유는 엔티티 상태에서 엔티티 그래프를 참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당연히 엔티티가 아닌 DTO 상태로 조회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 경우 fetch join을 사용하지 마시고, 그냥 순수한 join을 사용하시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라 하셨는데 만약 위의 jpql에 fetch가 있었다면 엔티티 상태이기 때문에 에러가 나지 않고 추후 new를 통해 DTO로 변환해야 하는 것 아닌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oinColumn 의 name, referencedColumnName 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선생님 2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JoinColumn 의 name 속성 사용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JoinColumn 의 name 속성을 사용하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는거 같은데요. 1) 참조 하고자 하는 엔티티 클래스명 + _ + 엔티티 클래스 기본키 필드 이름2) 참조 하고자 하는 엔티티 클래스의 필드명 + _ + 엔티티 클래스기본키 필드 이름3) 현재 엔티티 클래스의 필드명 + _ +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키 컬럼명 수업중에 사용하신 코드에서 구체적예를 가져와봤습니다. 1 번 방법은 Order 엔티티에서 Member 엔티티를 매핑 한 부분에서 사용된 방법입니다. 처음에는 Order 엔티티에서 매핑하는 MEMBER_ID 가 매핑하고자 하는 테이블의 컬럼명(Member 테이블의 MEMBER_ID 필드)이라고 생각했지만, Member 엔티티의 @Column(name = "MEMBER_ID") 부분을 제거하고 코드를 동작해도 데이터 입력처리가 되기 때문에 테이블 컬럼명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2번 방법의 경우, Category 엔티티에서 셀프 매핑(parent)을 할 때 사용하는 경우 3번 방법은 기본값(name 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이렇게 사용할 수 있는 거 같은데, 맞나요.? 두번째는 @JoinColumn의 referencedColumnName 에 사용처에 관한 내용입니다. 위에서 제가 언급한 name 속성을 사용하는 방법 중에서 1번, 2번 같이 엔티티 클래스 필드 이름을 사용하여 매핑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외래키가 참조하는 대상 테이블의 컬럼명이 다르다 하더라도 referecedColumnName 을 사용안하고 매핑할 수 있는 거 같은데 맞을까요.? 제가 생각하는 것이 맞다면, referencedColumnName 을 사용 할 일이 거의 없을 꺼 같은데 추가적인 사용처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부트 개념과 활용
spring boot 2.4.1 기준
몇 버전부터 인지는 모르겠으나 2.4.1버전 기준으로는,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actuator</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actuator-autoconfigure</artifactId> </dependency> spring-boot-actuator 의존성 뿐만 아니라 spring-boot-actuator-autoconfigure 의존성을 추가하시고 따라하시면 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주문 수량이 재고를 넘어섰을 때
주문 수량이 재고를 넘어섰을 때,현재는 Error가 발생해서 whitelabel ErrorPage가 뜨는데요, 이 대신 MemberForm처럼 BindingResult를 걸어 hasError() -> 폼에 message를 표시해주는 것과 같은 기능을 넣고 싶은데, 혹시 어떻게 할 수 있을 지 힌트를 주실 수 있으실까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기본값 타입에 대해서 강사님이 사용하시는 방법이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스프링 부트 JPA 활용 부분에 설계부분을 보고 있는대요 Entity 맵핑에 사용하는 기본 값 타입이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여기에 질문을 남기는게 적절하다고 생각이 되었습니다^^) Entity Class를 생성하면 결국 DB에 테이블과 매칭이 되는데 이때 아래 2가지 타입 중에서 강사님이 사용하시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primitive 타입 @Column private long count; Wrapper 타입 @Column private Long count; 이 경우 신규로 테이블을 생성할 경우와 운영 중 테이블에 컬럼을 추가할 경우가 발생할 것 같은데요 강사님이 실무에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 궁금하네요^^; 테이블에 not null 제약 조건이 걸리면 long을 사용해도 될 것 같은데 null 제약 조건이 없다면 long을 사용 시 문제가 발생할 것 같아서요 데이터가 어떤 값을 가져야 하는지 먼저 생각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 되긴 하는데 강사님이 활용하시는 방법이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어떻게 보면 너무 당연한 질문 같아서;; 괜히 질문 드렸나 하는 마음도 있네요;;) 관련해서 구글링을 해보았는데 저랑 비슷하게 생각하시는 글이 있어서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https://chanwookpark.github.io/jpa/2016/10/13/jpa-note/#%EC%9E%90%EB%B0%94-%EA%B8%B0%EB%B3%B8-%ED%83%80%EC%9E%85-%EC%82%AC%EC%9A%A9-%EC%8B%9C-primitive-%ED%83%80%EC%9E%85%EC%9D%84-%EC%82%AC%EC%9A%A9%ED%95%A0-%EA%B2%83%EC%9D%B8%EA%B0%80-wrapper-%ED%83%80%EC%9E%85%EC%9D%84-%EC%82%AC%EC%9A%A9%ED%95%A0-%EA%B2%83%EC%9D%B8%EA%B0%80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부트 개념과 활용
버전 업데이트에도 살아있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기선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스피링 코어 모듈을 개발할 때, Commons Logging 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Commons Logging 이 남아있다고 하셨는데 스프링 5 버전을 만들 때 JCL이란 모듈을 만들어 가며 Commons Logging 코드를 컴파일 타임에 Slf4j 로 바꾸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짧은 생각으로는 그냥 commons logging 을 빼버리고 slf4j 를 넣었으면 되지 않았나 싶은데 .. 내부적으로 스프링코어의 코드가 commons logging 과 깊게 얽혀있어서 그것보다 JCL을 만드는게 더 비용이 적어서 였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domain과 repository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듣다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질문 1. domain == vo, repository == dao 이렇게 똑같이 봐도 괜찮은 건가요? 같은 것이라면 왜 vo, dao가 아닌 다른 이름을 사용한 것인지, 다른 것이라면 (vo, dao)와 (domain, repository)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2. 강의자료에 나오는 Memberservice, MemberRepository, MemoryMemberRepository들의 클래스 의존관계 그림은.. 이번 예제의 상황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그림인가요? 아니면 실제 업무에서도 저런식으로 구성된다고 보면 되나요? + 어떤 디비를 사용할지 모르기 때문에 인터페이스로 만들었다는 말이 잘 이해가 안 되는데.. 디비접근방식을 탑재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만들어놓고 사용할 디비에 따라서 implements해서 사용하겠다..는 말이 맞나요?
-
해결됨스프링 시큐리티
Ajax 인증 관련 궁금한게 있습니다.
굳이 Ajax로 인증을 해야되나 싶은 생각이 들었는데아래 생각이 맞을까요?프론트를 타임리프, jsp 등을 이용했을 때는 인증, 인가를 Form 형식으로 구현하고프론트를 React, Vue 와 같은 웹 클라이언트로 구성했을 때는인증, 인가를 Ajax 형식으로 구현해서 사용하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인텔리J tdd 라이브템플릿 생성하는 방법 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를 보다가 tdd라는 명령어로 테스트 메서드를 생성하는 방법이 궁금해서 관련 가이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https://blog.naver.com/nateen7248/222184184776 혹시 궁금하신 분은 참고해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