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ersistenceContext
초보적인 질문일지 모르겠지만 EntityManager를 @Autowired로 받아와도 결과가 같던데 @PersistenceContext로 받아오시는 이유가 혹시 있으신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시퀀스 방식에서 롤백시 시퀀스 문의
시퀀스 방식에서는 시퀀스로부터 next value를 가져와서 캐시에 엔티티를 캐싱한다고 했는데요 만약 커밋이 롤백 된다면 시퀀스도 다시 롤백 되는 걸까요? 그렇다면 시퀀스를 가져갔다가 롤백되는 사이에 다른 프로세스에서 시퀀스를 가져간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른 서버에서 DB 업데이트시 캐시에 있는 엔티티는 어떻게 될까요?
find시에 캐시를 먼저 뒤져서 있다면 재사용한다고 하셨는데요 다른 서버에서 해당 DB 값을 바꾼다면 이런것도 dirty checking해주나요? 이런 케이스에서는 캐시를 업데이트 해야 할 것 같은데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2. 연관관계 없는 엔티티 외부 조인 에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2. 연관관계 없는 엔티티 외부 조인"의 예시로 "회원과 팀" 을 들어주셨는데요. 예제에서는 회원과 팀간에는 ManyToOne, OneToMany로 연관관계가 맺어진것 같아서요. 여기서 "연관관계 가 없다" 가 어떤의미로 말씀하신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간단한 주문조회 v3에 관한 질문이있습니다.
쿼리 성능 최적화를 위해서 OrderRepository에 쿼리를 한방에 날리기 위해 fetch join을 사용하는건 이해가 됐습니다. 그렇다면 API스펙이 바뀔때마다 OrderRepository에 새롭게 fetch join을 사용하여 메소드를 생성해야되는 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Transactional(read only = true)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선생님의 강의를 보면서 정말 실무에서 몰랐으면 고생했을 내용을 많이 알게되어서 도움이 많이되었습니다.^^ OSIV같은 성능 최적화를 위한 설정 부분에 대해서 알게 되어서 너무나도 기쁩니다. 사실 다름이아니고 전부터 궁금했던 부분인데 @Transactional(read only =true) 로 설정하면 읽기 전용으로 설정이되어서 CRUD에서 R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은 안되는걸로 알고있는데 정확하게 어떻게 동작하는지 메커니즘이 궁금합니다. 제가 찾아봤을때는 read only = true로 설정하면 트랜잭션 커밋 직전에 영속컨텍스트에서 플러시를 호출하지 않는 걸로아는데 ... 이게 정확한 정보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리파짓토리 생성 질문 드립니다.
A라는 엔터티와 B라는 엔터티가 있고, 이것의 관계가 1:N이라는 관계에 있다고 가정했을 때 repository를 생성할 때 , ARepository만 만들거나, BRepository를 만들거나, ARepositry 와 BRepository를 만드는 경우가 있을 거 같은대요. 혹시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전 무의적으로 각각의 Entity에대해서 Repository를 만드는 것 같아서요 ㅎㅎ;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son을 말아 넣는다는게 어떤 말씀이신지 알 수 있을까요?
수업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질문이지만, 영상 마지막 부분쯤 말씀하신 json을 말아넣는 방법이 대략적으로 어떤 방법을 말씀하시는지 간단히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수업과는 관련이 적기 때문에 검색 키워드만 알려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Serializable 질문 드립니다
강의를 역시나 재미나게 보고 있습니다 ㅎㅎ 가끔 블로그를 보면 entity에 Serializable을 붙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제가 아는 한에서 Serializable은 객체를 다른 서버로(ip가 다른) 보낼 때 객체로는 보낼 수 없어서 스트림으로 만들기 위해 Serializable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보통 dto로 매핍을 받으니 entity 객체가 다른 곳으로 이동할 일이 옶다고 보거든요. 오히려 서로 다른 ip로 되어 있는 서버에 보내기 위해서는 dto객체를 serializable로 만드는게 맞지않을까 생각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Unknown Entity 오류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Unknown entity: hellojpa.Member at org.hibernate.internal.SessionImpl.firePersist(SessionImpl.java:803) at org.hibernate.internal.SessionImpl.persist(SessionImpl.java:784) at hellojpa.JpaMain.main(JpaMain.java:17) 강좌를 따라가며 동일하게 진행하다가, 해당 오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member 객체를 ID 없이 저장하려고 하면 아이디가 없다는 에러메세지가 아니라 객체를 찾을수 없다고 나오고 있습니다. 책을 찾아보면 엔티티 클래스를 자동으로 인식을 못하는 경우 <class>jpabook.start.Member</class>를 지정해주면 된다고 하셨더라구요. 강좌에서는 이런 언급을 안하시던데 따로 엔티티를 탐색하는 방안이 잇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api/v1/orders 조회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order 엔티티를 조회했을때 프록시 초기화를 통해서 컬렉션 과 나머지 엔티티들을 조회하는것을 알겠는데 postman에서 조회화면결과에서 TotalPrice 컬럼은 어떻게 나오는건가요? 아무리봐도 Order 클래스파일에는 public int getTotalPrice() 메소드로 정의된거 말고는 없는데 이 부분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코드테이블 조인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질문은, 회사에서 Query를 작성하다보면 코드테이블을 여러번 join 하는 경우가 허다한데요. a join code 처럼 a 테이블의 특정 코드에 대한 코드값을 읽어오고자 할 경우, a 테이블에서 code 테이블쪽으로 driving이 걸리는 컬럼은 대부분 pk가 아닐텐데요. 이럴 경우 어떤식으로 해결을 해야할까요? join을 통해서 이래저래 방법을 찾아보았으나 pk와 fk 관계가 아니면 오류가 나네요. 몇일동안 테스트는 하는데 딱히 방법이 보이지않습니다. 내부적으로 메인테이블에서는 단순코드만 관리하고 description 자체를 코드테이블에서 읽어오는 방식이다 보니 상기방식의 작업이 상당히 많은 편입니다. 그럼 조언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 편의메소드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Member를 Team을 추가 할 때 public void setTeam (Team team){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 위와 같이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만드셨는데, 제거 할 때도 위와 같이 양쪽에서 동시에 제거하는 메소드를 만드시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실습중인 코드에서는 delete : /team/{team_id}/member/{member_id} 로 api를 호출하면 아래 메소드가 호출됩니다. public void removeMember (Long team_id, Long member_id){ Team team = validateTeam(team_id); //team 이 실제로 있는지 확인 Member member = validateMember(member_id); //member 가 실제로 있는지 확인 if(team.equals(member.getTeam())){ //의문점 team.getTeam().remove(member); memberRepository.deleteById(member.getId) } } Team에 Member를 추가 할 때와 같이 Member를 제거 할 때도 양쪽에서 같이 제거해야하는지 그리고 entity에서 remove관련 편의메소드를 만들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업데이트 고견 구합니다.
영한님 안녕하세요~ 오늘도 또 하나의 질문을 들고 왔습니다. 예전 MyBatis 방식에서는 보통 수정 처리의 경우, 업데이트 문 한번으로 처리가 가능했는데요. (내가 수정하고자 하는 일부 항목들만 정의된 Update SQL 문 작성) JPA 방식에서는 Find 를 먼저 하지 않고 바로 업데이트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듯 합니다. 예를 들어 Member 객체에 패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패스워드만 수정을 해야 되는 경우라면 MyBatis 방식에서는 별도의 select 없이 패스워드만 update 를 하면 됐었는데 JPA 에서는 Find 를 통해 객체에 초기셋팅을 한번 한 뒤에 @DynamicUpdate 활용해야 Password 만 변경되는 SQL 을 수행시킬 수가 있는 거 같습니다. 즉, Update 를 위해서는 항상 Select 절이 따라 붙어야 한다는 건데 JPA 장점을 위해 이런 부분은 감수해야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야 되겠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버그 문의드려봅니다.
영한님 안녕하세요. 강좌들으면서 실무에서 직접 해보고 있는데 풀리지 않는 오류가 하나 등장했습니다. ManyToOne 단방향 맵핑한 영역이 있습니다. (MemberWebUser / MemberCompany) (다만, PK 가 아닌 Unique 한 다른 필드로 Join 을 설정했고요..) 저장까지는 문제없이 잘 됩니다. (FK 도 원하는 필드로 저장됐구요) 그런데 이후 QueryDsl 로 두 개를 조인해서 Many 쪽의 객체만 가져오는 Select Repository 를 아래와 같이 작성했는데 .... 해당 리파지토리 실행 시점에 ClassCastException : MemberCompany cannot be cast to java.io.Serializle at org.hibernate.type.ManyToOneType.hydate(ManyToOneType.java) 에러가 발생합니다. 원인을 모르겠어요 ㅜ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에 관련 문의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에 이점을 느끼고 있습니다만...이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상품 주문 시 1. 주문한 member 를 조회2. 주문한 item을 조회3. 주문한 member address를 통해 delivery 생성4. 주문한 item, 가격, 상품수를 인자로 주문상품 생성5. 주문한 member,delivery,orderitem을 인자로 주문생성 주문상품 orderitem은 FK로 item, order를 가지나주문생성에는 orderItem이 필요하기 때문에주문상품 생성 시 order를 인자로 전해주지못하고주문 생성 시 생성된 order를 연관관계 편의메서드를 통해주문상품 order의 빈자리를 채워주고 있습니다. 주문생성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보면양방향 관계인 member, delivery, orderitem을 모두함께 셋팅해주는데요. 1.member 생성 시 order와는 관계를 맺을 수 없으니연관관계 메서드 필요없음 2. delivery는 주문 생성 시 함꼐 생성되므로 order 또는 delivery에 연관관계 메서드 생성 3. orderitem은 order가 생성되어야 이후에 fk로 셋팅이가능하기 떄문에 order에 연관관계 메서드 생성 일단 이렇게 이해를 하고있는데요. 좀더 명확하게 연관관계 메서드가 위치해야하는곳이어디인가? 라는 물음에 케바케인가 싶기도 하구요.어느부분을 중점으로 봐야할까요?김영한님 책도 있긴한데 참고할 부분이 있을까요? 진짜 양방향은 왠만하면 안쓰는게 맞다는 말이 조금은 이해가 됩니다. 1부 빨리 끝내고 2부 들으러 가야겠습니다 ㅋㅋ 추가로JPA 이후에 계획하고 계신 강의가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기반 REST API 개발
음...rest docs responseFields에서 _links정 무시하고 싶으면
relaxed를 쓰는건 ... 무조건 지양하고 싶어서 마음엔 들지 않지만. 저는.. 일단 이렇게 했습니다. fieldWithPath("_links.*").ignored(),fieldWithPath("_links.self.*").ignored(),fieldWithPath("_links.events.*").ignored(),fieldWithPath("_links.update.*").ignored()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성 메서드 setter 질문
entity에는 Setter가 존재하면 안된다는 글을 많이 보았습니다. 때문에 생성자를 통해서만 entity가 만들어지도록 샘플프로젝트를 만들어왔었는데요. 물론 교육이라 setter를 사용하신다고 생각하는데요 실무에서 setter를 entity 내 만들어쓰시는지 생성자를 통해서 해결하시는지 또는 private 처리로 생성 메서드만 노출하는지 궁금합니다.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와 생성 메서드 예를 들어주실수 있으실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해결완료) Unsupported connection setting "MVCC" 에러나오시는분 참고하세요
전에 1번 완강했었는데다시 반복 강의 들을때 문제생겨서 올립니다. 3시반30분의 삽질끝에..결국 찾아낸 ㅠㅠ저같은 분이 없으시길.. 이러한 에러가 나오실거에요.. [ 사진 크게 보시려면 아래처럼 마우스 오른쪽키 ] [ 새 탭에서 이미지 열기 ] --------------------------------------------------------- 2.1.9버전까지는 잘됬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2.1.10버전이 나왔더군요.. 그걸 모르고 그냥 이전처럼 맨뒤에 버전으로 받아서 했더니.,. 후... 2.1.10버전은 안됩니다.. 2.1.9버전 이하로 하시면 잘됩니다..
-
미해결누구나 따라하면서 배우는 JSP 커뮤니티 게시판 만들기
login.jsp 전체 코드에 대해 질문을 드립니다
강사님께서 작성하신 login.jsp에서는 header가 회색 계열이며, 그 header 왼쪽에는 검은색 글꼴이 배치되어 있고, 오른쪽에 정상적으로 버튼이 나오는 걸 볼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저도 강사님께서 작성하신 login.jsp 코드를 똑같이 작성했는데 불구하고, header가 회색 계열이 아닌 흰색 계열이며, header에 구현된 버튼이 강사님께서 만든 버튼과 다른 버튼이 나옵니다. 마지막으로 bootstrap version 3.3.7버전, 그리고 jQuery 3.1.1 version을 사용했는데, 위에 언급된 문제들이 전혀 해결되지 않은듯합니다.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