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ElasticBeanStalk생성 후 보안그룹 적용
EB -> 구성 -> 보안그룹을 누르면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유가 무엇인가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ElasticBeanstalk생성시 질문입니다.
플랫폼에 docker를 누르는 부분이 나와있지않습니다. 바로 생성이 나오는데 그냥 생성버튼을 눌러야할까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도커로 톰캣을 올려서 배포하려고하는데.
org.codehaus.cargo.container.ContainerException: Failed to redeploy [/var/jenkins_home/workspace/My Third Project/target/user-service-1.0.war] at org.codehaus.cargo.container.tomcat.internal.AbstractTomcatManagerDeployer.redeploy(AbstractTomcatManagerDeployer.java:176) at hudson.plugins.deploy.CargoContainerAdapter.deploy(CargoContainerAdapter.java:81) at hudson.plugins.deploy.CargoContainerAdapter$DeployCallable.invoke(CargoContainerAdapter.java:167) at hudson.plugins.deploy.CargoContainerAdapter$DeployCallable.invoke(CargoContainerAdapter.java:136) at hudson.FilePath.act(FilePath.java:1198) at hudson.FilePath.act(FilePath.java:1181) at hudson.plugins.deploy.CargoContainerAdapter.redeployFile(CargoContainerAdapter.java:133) at hudson.plugins.deploy.PasswordProtectedAdapterCargo.redeployFile(PasswordProtectedAdapterCargo.java:95) at hudson.plugins.deploy.DeployPublisher.perform(DeployPublisher.java:113) at jenkins.tasks.SimpleBuildStep.perform(SimpleBuildStep.java:123) at hudson.tasks.BuildStepCompatibilityLayer.perform(BuildStepCompatibilityLayer.java:80) at hudson.tasks.BuildStepMonitor$3.perform(BuildStepMonitor.java:47) at hudson.model.AbstractBuild$AbstractBuildExecution.perform(AbstractBuild.java:818) at hudson.model.AbstractBuild$AbstractBuildExecution.performAllBuildSteps(AbstractBuild.java:767) at hudson.maven.MavenModuleSetBuild$MavenModuleSetBuildExecution.post2(MavenModuleSetBuild.java:1072) at hudson.model.AbstractBuild$AbstractBuildExecution.post(AbstractBuild.java:711) at hudson.model.Run.execute(Run.java:1925) at hudson.maven.MavenModuleSetBuild.run(MavenModuleSetBuild.java:543) at hudson.model.ResourceController.execute(ResourceController.java:101) at hudson.model.Executor.run(Executor.java:442) Caused by: java.io.FileNotFoundException: http://172.20.10.2:8088/manager/text/list at java.base/sun.net.www.protocol.http.HttpURLConnection.getInputStream0(HttpURLConnection.java:1920) at java.base/sun.net.www.protocol.http.HttpURLConnection.getInputStream(HttpURLConnection.java:1520) at org.codehaus.cargo.container.tomcat.internal.TomcatManager.invoke(TomcatManager.java:577) at org.codehaus.cargo.container.tomcat.internal.TomcatManager.list(TomcatManager.java:882) at org.codehaus.cargo.container.tomcat.internal.TomcatManager.getStatus(TomcatManager.java:895) at org.codehaus.cargo.container.tomcat.internal.AbstractTomcatManagerDeployer.redeploy(AbstractTomcatManagerDeployer.java:161) ... 19 more 꼭 톰캣매니저가 있어야 배포가 될까요?도커이미지로 설치하면, 톰캣매니저는 없네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프로젝트 중인데 빠른답변 부탁드립니다..ㅜㅜ
현재 프론트와 백 나눠서 프로젝트를 진행중입니다.강의에서는 하나의 레파지토리에 프론트폴더, 백앤드폴더, docker-compose.yml 파일이 있던데저희는 오가니제이션으로 사용중이며, 프론트레파지토리, 백앤드레파지토리 나뉘어져있는 상황입니다. 강의처럼 Docker, Travis ci를 이용해서 자동배포를 할 예정인데,1. 이 상황에서는 docker-compose.yml파일과 nginx를 위한 Dockfile이 어느곳에 위치하게 되나요?2. 또, 강의에서는 mysql을 도커이미지로 만들고있던데, 만약 로컬에 이미 mysql이 깔려있고, AWS RDS를 이용중이라면 mysql에 대한 도커파일이 필요없는게 맞을까요?jwt토큰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라 AT를 저장하기위해 redis를 사용중인데 이 상황이라면 redis에 대한 도커파일도 필요한건가요? 만약필요하다면 도커파일을 어떤식으로 작성해야하나요? ㅠㅠ또 강의에서는 travis ci를 하나의 레파지토리(프론트 폴더와 백앤드폴더)로 하여 자동배포중이던데 1번에서 언급한것처럼 두개의 레파지토리로 나뉘어져있을 경우 travis ci에는 두개로 등록하여 빌드 및 테스트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프로젝트 중인데 강사님 질문입니다 ㅜㅜ
현재 프로젝트 진행중입니다. 전 백앤드담당이긴한데, 여튼 프론트분들의 프로젝트를 로컬에서 실행해보려고하는데요. 자꾸 이렇게 오류가 납니다.. 왜이런건가요? 다음은 Dockerfile.dev파일입니다.강의대로 Dockerfile.dev를 작성하였습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MultiNode 구현시 Slave노드를 위해 추가하는 Docker서버
해당 도커서버도 아래 명령어처럼 privileged를 사용하지 않고 2번째 방식으로 작성하면 될까요?? docker run -itd --name docker-server -p 10022:22 -p 8081:8080 -e container=docker --tmpfs /run --tmpfs /tmp -v /sys/fs/cgroup:/sys/fs/cgroup:ro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edowon0623/docker:latest /usr/sbin/init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DOOD방식 -p 8081:8080 마운팅으로 접속 안됨.
처음 SSH를 기동할 때 2번째 방법인 DOOD 방법으로 기동하였습니다.docker run -itd --name docker-server -p 10022:22 -p 8081:8080 -e container=docker --tmpfs /run --tmpfs /tmp -v /sys/fs/cgroup:/sys/fs/cgroup:ro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edowon0623/docker:latest /usr/sbin/init코드를 보시면 아시다싶히 -p 10022:22 마운팅과추가로 -p 8081:8080 마운팅을 추가하였습니다. 이후 Jenkins로 빌드를 진행하였고 아래와 같이 빌드가 정상적으로 처리가 되는것이 확인이 됩니다.하지만 localhost:8081/hello-world로 접속하면 접속이 안되고 localhost:8080/hello-world로 접속해야만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당연히 제대로 된다면 둘 다 접근이 가능해지겠죠?근데 톰캣 포트로만 접근이되버려서...제가 처음 ssh를 기동할때 분명 8080포트를 8081로 마운팅을 했는데 왜 8081포트로 접속이 안되는건지 원인과 해결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dood방식 yum sed 작업
DOOD방식에서는 그럼 yum install -y iptables net-tools sed -i -e 's/overlay2/vfs/g' /etc/sysconfig/docker-storage위 두 명령어를 실행하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docker-server eth0 inet주소로 ssh접근이 되지 않습니다
맥 OS는 Ventura 13.2.1입니다.도커 이미지를 docker run --privileged --name docker-server -itd -p 10022:22 -p 8081:8080 -e container=docker -v /sys/fs/cgroup:/sys/fs/cgroup:rw --cgroupns=host edowon0623/docker-server:m1 /usr/sbin/init 로 실행하였습니다.net-tools하고 ssh서버를 깔았구요, docker-desktop으로 컨테이너에 terminal에서 확인을 했을 때 [root@147277fe7c68 etc]# service sshd statusRedirecting to /bin/systemctl status sshd.service● sshd.service - OpenSSH server daemon Loaded: loaded (/usr/lib/systemd/system/sshd.service; enabled; vendor preset: enabled) Active: active (running) since Sun 2023-07-09 04:34:51 UTC; 2h 40min ago라는 결과가 출력되어 ssh도 잘 깔려있고 22번 포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했을 때 LISTEN으로 잘 동작했습니다[root@147277fe7c68 etc]# netstat -an | grep LISTENtcp 0 0 0.0.0.0:22 0.0.0.0:* LISTENtcp6 0 0 :::22 :::* LISTEN 도커 이미지를 실행하고 centOS8임을 확인하고 ssh서버까지 실행된다고 이해했습니다 ssh root@localhost -p 10022를 사용해서 로컬호스트에서 접속할때는 정상적으로 잘 접근됩니다. 그런데 ifconfig를 사용해서 eth0의 주소를 확인 해 보면 eth0: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65535 inet 172.17.0.3 netmask 255.255.0.0 broadcast 172.17.255.255라고 떠서 172.17.0.3으로 접속하면 되겠다고 이해 했는데 로컬 iterm2를 사용해서 접속해보면 접속이 거부됩니다. iterm2과 terminus에서는 시간초과가 나고 👤 Starting a new connection to: "172.17.0.3" port "10022"⚙️ Starting address resolution of "172.17.0.3"⚙️ Address resolution finished⚙️ Connecting to "172.17.0.3" port "10022"😨 Connection failed: connection timed out. No more addresses to try. jenkins에서는 jenkins.plugins.publish_over.BapPublisherException: Failed to connect and initialize SSH connection. Message: [Failed to connect session for config [docker-server]. Message [java.net.ConnectException: Connection refused (Connection refused)]]라는 에러가 뜹니다.어느부분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흑흑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Docker 내부의 ansible컨테이너에서 ssh root@ip로 접근할 수 있는이유가 궁금합니다.
ssh가 22번포트를 사용함으로 별도로 포트번호를 지정하지않아도 ssh root@ip로 접근이 가능한건가요? 만약 그렇다면 컨테이너 내부포트가 22번이 아닌 다른 컨테이너에게도 똑같이 접근할 수 있나요?원래 컨테이너 내부는 userid@내부ip로 접근할 수 있는건가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원본도표자료 pdf 깨짐
위 이미지처럼 파일 열어보니 대부분 다 잘려있는데 병합된 버전으로 다시 업데이트해서 올릴 계획이 있으실까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docker 로 ssh 서버 연결 시 사용되는 docker images 만들기
docker 로 ssh 서버 연결 시 사용되는 docker images를 만드는 방법도 설명 되어 있나요 ?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참조 관련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이 두 가지 있습니다.강의에선 node_modules가 호스트에 없어서 참조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소스코드는 존재하여 전부 참조하는식으로 진행이 되었는데,그럼 docker build시 COPY ./ ./ 이부분은 아예 필요가없는거 아닌가요? 이미지에 이미 소스가 존재할텐데, 강의처럼 볼륨참조 설정을 넣어주면 컨테이너 생성 시, 이미 존재하는 소스는 호스트에서 가져와서 덮어쓰기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강사님께 질문드립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제가 지금 프로젝트를 하고 있고 CI/CD 및 Docker까지 적용하고자 이 강의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일단 프로젝트가 급해서 쿠버네티스까지는 프로젝트가 끝나고 난뒤 이후에 개념을 다시 잡는 용도로 듣고자 하는데, 섹션2를 수강하고 난뒤 바로 섹션 5로 넘어가도 섹션5를 듣는데 무리가 없는지 여쭤봅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MAC 에서 설치할때 JDK 환경변수 설정에서 막힙니다.
MAC용 JDK를 다운받고, .bash_profile 에서 JAVA_HOME 환경변수를 설정하였는데요. 어떤 부분을 놓쳤는지, echo $JAVA_HOME 을 해보면 The operation couldn’t be completed. Unable to locate a Java Runtime. 에러가 나오네요. 백엔드 개발자가 아니다보니, JDK설치 부분에서부터 막히네요 ㅜㅜ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부록
부록이 뭔가요 ?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elasticbeanstalk에 배포
elasticbeanstalk에 배포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뜹니다. 강사님께서 올려주신 linux2 버전 소스들을 참고했습니다. dockerfile과 docker-compose.yml 은 아래와 같습니다. 저는 elasticbeanstalk가 docker-compose 파일을 토대로 이미지를 생성하고 컨테이너를 생성한다고 이해했습니다. 구글링을 해봐도 잘 모르겠어서 진도를 못나가겠습니다... 부탁드립니다 ㅠㅠㅠ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수강생 대다수가 동일 이슈(SSH 접속 불가)로 고통 받는 것 같은데요 강사님 답변을 원합니다.
ssh 접속 시도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출력 됩니다.- 방화벽 내리고 /etc/hosts.allow 127.0.0.1 추가하고 sshd 서비스 재시작해도 안됩니다.kex_exchange_identification: read: Connection reset by peerConnection reset by 127.0.0.1 port 10022 다운 받은 SSH 이미지 정상 동작 상태임을 확인Up 44 minutes 0.0.0.0:10022->22/tcp, :::10022->22/tcp, 0.0.0.0:8081->8080/tcp, :::8081->8080/tcp docker-server열린 포트 확인하여 포트포워딩 설정 확인Active Internet connections (only servers)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tcp 0 0 0.0.0.0:10022 0.0.0.0:* LISTENtcp 0 0 0.0.0.0:ssh 0.0.0.0:* LISTEN도커 컨테이너, 소캣 상태 정보 확인CGroup: /system.slice/docker.service ├─ 9218 /usr/bin/dockerd -H fd:// --containerd=/run/containerd/containerd.sock ├─25925 /usr/bin/docker-proxy -proto tcp -host-ip 0.0.0.0 -host-port 8081 -container-ip 172.17.0.2 -container-port 8080 ├─25933 /usr/bin/docker-proxy -proto tcp -host-ip :: -host-port 8081 -container-ip 172.17.0.2 -container-port 8080 ├─25946 /usr/bin/docker-proxy -proto tcp -host-ip 0.0.0.0 -host-port 10022 -container-ip 172.17.0.2 -container-port 22 └─25953 /usr/bin/docker-proxy -proto tcp -host-ip :: -host-port 10022 -container-ip 172.17.0.2 -container-port 22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Node.js를 처음 깔고 npm init을 해주는데 에러발생
제가 자바를 사용하다보니 node가 처음이라서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npm init에 대한 에러를 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vi /etc/sysconfig/docker 가 없어요
윈도우 10 환경에서 SSH Server 설치를 하고있습니다..이미지 실행 : docker run --privileged --name docker-server -itd -p 10022:22 -p 8081:8080 -e container=docker -v /sys/fs/cgroup:/sys/fs/cgroup edowon0623/docker:latest /usr/sbin/init이미지 실행후 ssh 접속해서 vi /etc/sysconfig/docker 다음 디렉토리로 가면 docker 파일이 존재하지 않아요 왜그런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