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부트 JUnit 테스트 - 시큐리티를 활용한 Bank 애플리케이션
(해결완료) MockMvc를 이용한 테스트가 안됩니다.
※※※※※ 해결완료 ※※※※※mvc.perform()의 get이나 post 같은 매서드 타입을스태틱임포트 해야하는데이 때 선택지가 3개 있습니다.이 중 MockMvcRequestBuilders의 post()를임포트 하니까 해결이 됐습니다.RequestBuilder로 캐스팅을 해주지 않아도 되구요그리고, 이래저래 해보면서 MockMvc 말고도MockMvcBuilder 객체를 이용해서 build().perform()으로 시작해 똑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됩니다!※※※※※ 해결완료 ※※※※※SecurityConfig 테스트 강의에도 질문을 드렸는데..답이 없길래 그냥 넘어갔는데 여기서도 쓰여다시 질문드립니다.MockMvc를 이용해서 테스트를 진행할 때,@Test @DisplayName("회원가입 테스트") void join_test() throws Exception { // given JoinRequestDto joinRequestDto = JoinRequestDto.builder() .username("minsu") .password("1234") .email("minsu@gmail.com") .fullname("김민수") .build(); String requestBody = 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joinRequestDto); System.out.println("requestBody = " + requestBody); // when ResultActions resultActions = mvc.perform((RequestBuilder) post("/api/join").content(requestBody).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 then }위 부분에서 문제가 생기는 부분은 아래 코드인데요// when ResultActions resultActions = mvc.perform((RequestBuilder) post("/api/join").content(requestBody).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먼저 content를 설정할 수 있는 api?가 없고요.해당 구문을 RequestBuilder로 캐스팅해야빨간줄이 사라집니다. 그러니까 perform()이 파라미터로 RequestBuilder를 받게 돼있습니다.gradle은 아래와 같습니다.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1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5.RELEASE' } group = 'io.com'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1'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security'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com.auth0:java-jwt:4.2.1'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runtimeOnly 'com.h2database:h2' runtimeOnly 'com.mysql:mysql-connector-j'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security:spring-security-test' } 그리고 테스트쪽 라이브러리는 아래와 같습니다.Gradle: org.junit.jupiter:junit-jupiter:5.8.2Gradle: org.junit.jupiter:junit-jupiter-api:5.8.2Gradle: org.junit.jupiter:junit-jupiter-engine:5.8.2Gradle: org.junit.jupiter:junit-jupiter-params:5.8.2Gradle: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commons:1.8.2Gradle: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engine:1.8.2Gradle: org.mockito:mockito-core:4.5.1Gradle: org.mockito:mockito-junit-jupiter:4.5.1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통합, 인수 테스트 사전 데이터 세팅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테스트에 대해 파편화 된 지식을 학습자들이 원하는 내용으로 잘 만들어 낸 좋은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저희 팀음 통합 테스트 및 인수 테스트를 할 때 미리 쿼리문을 작성해두고 이를 @SqlGroup과 @Sql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삽입해주고 있습니다.이 경우 강의 내에서 말씀하신 것 처럼 스키마 변경이 생길때마다 모든 쿼리를 찾아 수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매 케이스마다 세팅을 하기에는 연관된 5개~10개의 테이블에 대한 데이터 수십개를 매번 세팅해줘야 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집니다.이때 repository를 계층을 넘어서까지 임포트 해서 사전 데이터 삽입을 해줘야 하는가 궁금하구요.또한 모든 객체에 Builder를 개방하면 그나마 할만하겠지만 아닌 경우 객체가 제공하는 제한적으로만 생성이 가능할텐데, 리플렉션이라도 써야하는건지 너무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소 두서 없고 여러 질문을 한번에 했지만 제가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는 전달 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 
      
        
    미해결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Repository 대신 Reader / Writer 사용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회사내에서 Reader, Writer 개념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흐름은 아래와 같습니다controller -> service -> reader or writer -> repository제가 궁금한것은 JPA를 사용하고 있어 단건데이터 수정시 더티체킹을 하고 있는데요.writer내에서 더티체킹을 위한 엔티티를 조회하는거 조차 하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안된다면 reader에서 엔티티를 조회하고 서비스로 반환한 다음 해당 엔티티를 writer로 넘겨줘야 하는지요..!!아 그리고 해당 강의가 지식공유자 답변 미제공 강의더라구요 ㅠㅠ 답변이 의무는 아니시지만 선생님의 지구 내핵 같은 깊은 배려심으로 답변을 해주시는거신지요.. 한줄기 빛 같은 강의(강의보다 시력 0.2 감소됨)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ProductService부분에서 리팩토링 언급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섹션2의 '스프링에서 OOP와 안티패턴 : Transactiojn script' 회차를 듣던 중 10분 42초 부분에서 ProductService 코드를 리팩토링하고 싶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어떤 부분에서 리팩토링 하고 싶으신건지 궁금합니다!! 제 부족한 지식으론 딱히 건드릴게 보이질 않아서요 ㅠㅠ※ 3년차 개발자이지만 회사 내 사수가 없어 좌절하고 있던 시기에 우근님의 강의를 듣는 순간 가뭄의 단비와 같으며 세상에서 가장 달콤한 술을 먹은 것 마냥 취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 JUnit 테스트 - 시큐리티를 활용한 Bank 애플리케이션
MockMvc.perform(get("/api/s/hello")); 구문 에러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유튜브에 이어 인프런에서도 잘 보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SecurityConfigTest에서이번 강의의 첫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있는데, ResultActions resultActions = mvc.perform(get("/api/s/hello"));코드에서 get()이라는 매서드에서 빨간 줄이 뜹니다. 그러니까 자동완성으로도 get()이라는 매서드는 뜨지 않고, More Action에도 적절한 답이 없습니다. 보면 매서드를 스태틱 임포트한 것 같은데.. 혹시 제가 이상한건가요?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의존성을 분리하는 건 캡슐화를 깼다고 볼 수 없을까요?
07:05 부근에서 메서드 내에 내부 알고리즘을 확인한 시점에서 캡슐화가 깨졌다는 언급을 해주셨습니다.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는 의존성을 분리했을 때 또한 로직이 외부(인자)로 노출되므로 이것도 캡슐화가 깨졌다고 볼 수 있는 것 아닐까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etup 해야하는 데이터가 대용량인 경우 테스팅 가이드
안녕하세요. 우빈님양질의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강의를 듣던 도중 실무에서는 어떻게 해결을 할까? 🤔라는 궁금증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만약에 테스트 코드 작성시에 setup해야 할 데이터가 대용량이라면실무에서는 주로 어떤 방식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해결하나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 오류
org.springframework.dao.InvalidDataAccessApiUsageException: org.hibernate.TransientPropertyValueException: object references an unsaved transient instance - save the transient instance before flushing : example.cafekiosk.spring.domain.orderproduct.OrderProduct.product -> example.cafekiosk.spring.domain.product.Product;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org.hibernate.TransientPropertyValueException: object references an unsaved transient instance - save the transient instance before flushing : example.cafekiosk.spring.domain.orderproduct.OrderProduct.product -> example.cafekiosk.spring.domain.product.Product 스프링부트 2.7.12 인데 오류가 납니다.. 강사님 코드를 보니 OrderProduct Entity 쪽엔 cascade 가 설정이 안되어 있는데 설정을 하니 오류가 없어졌습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테스트 [2023.11 업데이트]
toHaveTextContent 에러
안녕하세요.'context wrapper 추가로 에러 제거하기' 강의에서 발생한 에러가 해결되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https://www.inflearn.com/questions/736423/tohavetextcontent-%EC%97%90%EC%84%9C-%EC%97%90%EB%9F%AC%EA%B0%80-%EC%9E%90%EA%BE%B8-%EB%82%98%EB%8A%94%EB%8D%B0-%EC%95%84%EB%AC%B4%EB%A6%AC-%EC%B0%BE%EC%95%84%EB%8F%84-%EC%9E%98-%EB%AA%A8%EB%A5%B4%EA%B2%A0%EC%8A%B5%EB%8B%88%EB%8B%A4이 글과 동일한 에러가 계속 발생하는데, 이 질문자분이 답글로 남겨주신 코드로 수정해보아도 해결이 되지 않습니다. 어디서 문제가 발생한 건지 강의를 다시 보고 또 봐도 찾기가 어려워 깃허브 주소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update product's total when products change expect(element).toHaveTextContent() Expected element to have text content: 1000 Received: 총 가격: 0 16 | userEvent.clear(americaInput); 17 | userEvent.type(americaInput, "1"); > 18 | expect(productsTotal).toHaveTextContent("1000"); | ^ 19 | }); 20 | at Object.<anonymous> (src/pages/OrderPage/test/calculate.test.js:18:25) https://github.com/daeunleeeee/react-shop-test
 - 
      
        
    해결됨부트캠프에서 알려주지 않는 것들 (리액트) 1편
TDD - Green, Red, Refactor
안녕하세요. TDD의 Green, Red, Refactor 파트(9:40)에서리팩터링을 진행하시면서 onPageNumberClick 함수를 useCallback으로 감싸서 렌더링이 다시 될때 이 함수가 두번 생성되지 않도록 한다고 하셨는데이 부분이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요. 설명해주신걸로 유추해보면 useCallback으로 감싸면 함수가 한번만 생성되는 것 같은데 useCallback을 사용했을때와 사용하지 않았을 때 차이에 대해서 조금 더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클래스형과 함수형 컴포넌트
안녕하세요 선생님현재 섹션2까지 수강하였는데요 이후에는 전부 함수형 컴포넌트로 강의 해주시는 건가요?클래스형 컴포넌트 기초적인 내용 학습 병행해야 할지 고민이되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수정 시 전체 수정되는 오류 OTL
복습하면서 강의를 보지 않고 저 혼자 다시 만들어보고 있는 중입니다. 그래서 드래그 라이브러리나 React.memo 같은 기능은 우선 차치하고 CRUD 기능만 해보려고 하는데요.edit을 위한 💬 버튼을 누를 경우 다른 할 일들도 editing... 으로 전체 수정되는 오류가 있습니다 ㅠㅠ 어디가 꼬였는지 알 수 없어 몇 시간 째 헤매고 있는데, 어느 부분이 문제인지 알 수 있을까요? Lists 컴포넌트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App.js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Form from "./components/Form"; import Lists from "./components/Lists"; function App() { const today = new Date(); const month = today.getMonth() + 1; const day = today.getDate();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 const [todoData, setTodoData] = useState([]); const handleSubmit = (event) => { event.preventDefault(); let newTodo = { id: Date.now(), title: value, done: false, }; setTodoData([...todoData, newTodo]); setValue(""); }; const handleClear = () => { setTodoData([]); }; return ( <div className="flex justify-center items-center min-h-screen w-screen bg-purple-100"> <div className="w-full lg:max-w-lg lg:max-w-3/4 p-6 m-4 bg-white rounded shadow"> <div className="flex justify-between pb-2"> <h1> 📌 {month}월 {day}일 오늘의 할 일 </h1> <button onClick={handleClear}>🧹 전체 삭제</button> </div> <Lists todoData={todoData} setTodoData={setTodoData} /> <Form handleSubmit={handleSubmit} value={value} setValue={setValue} /> </div> </div> ); } export default App; Lists.js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Lists = ({ todoData, setTodoData, title, id }) => { const [isEditing, setIsEditing] = useState(false); const [editedTitle, setEditedTitle] = useState(title); const handleDelete = (id) => { let newTodoData = todoData.filter((data) => data.id !== id); setTodoData(newTodoData); }; const handleDone = (id) => { let newTodoData = todoData.map((data) => { if (data.id === id) { data.done = !data.done; } return data; }); setTodoData(newTodoData); }; if (isEditing) { return <div>Editing...</div>; } else { return ( <div> {todoData.map((data) => ( <div className="flex py-2 my-2 justify-between items-center border rounded bg-purple-50" key={data.id} > <div className="mr-2 p-2"> <input className="mr-2" type="checkbox" defaultChecked={data.done} onChange={() => handleDone(data.id)} ></input> <span className={data.done ? "line-through" : undefined}> {data.title} </span> </div> <div className="pr-2"> <button className="mr-2" onClick={() => setIsEditing(true)}> 💬 //오류 발생 </button> <button className="mr-2" onClick={() => handleDelete(id)}> ❌ </button> </div> </div> ))} </div> ); } }; export default Lists; Form.js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Form = ({ handleSubmit, value, setValue }) => { const handleChange = (event) => { setValue(event.target.value); }; return ( <div> <form className="flex justify-between pt-2" onSubmit={handleSubmit}> <input className="p-2 mr-2 border-2 rounded shadow w-full" type="text" placeholder="할 일을 입력하세요" value={value} onChange={handleChange} /> <input className="p-2 border-2 rounded bg-purple-200 text-white hover:bg-purple-300" type="submit" value="입력" /> </form> </div> ); }; export default Form;
 - 
      
        
    해결됨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IoC != DI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선생님 습하고 더운 여름 몸 건강히 계시길 바랍니다.강의를 듣는 도중 궁금한 부분이 생겼습니다.DIP와 IoC가 다르다고 말씀하신 부분이,DIP가 의존성 주입을 역전함으로써 제어의 흐름을 바꾸지만 IoC가 의존성을 주입해주는 것은 아니어서 그렇다고 이해되는데 제대로 이해한 게 맞을까요? ㅜㅜ 또, Open-Closed 법칙을 설명해주시는 1:32초 부분에 수정에는 열려있어야 한다는 말씀을 하셨는데수정 시 많은 메소드 혹은 클래스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수정에 열려있는 것이 아닌지요 ㅜㅜ...제가 잘 모르다보니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git 배포!!!!!!
동일한 질문이 있는데 답변을 이해하지 못해서 질문합니다. 저는 [깃허브아이디]/상위폴더/하위폴더/하위폴더2 에 지금까지 만든 넷플릭스 파일들이 있습니다.이 경우에 package.json의 homepage 부분과 index.js의 basename은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 것인지요? 아까까지 전체 주소(하위폴더2까지) homepage, basename을 작성하여 배포했는데 완성된 주소는 상위폴더까지만 적혀 있습니다.지금은 [깃허브아이디].github.io/[상위폴더]/로 다시 배포했는데 상위폴더 안의 Read.me만 나오고 있습니다. (캐시 삭제 및 20분 정도 기다림)ㅠㅠ 왜 이러는지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배너 Iframe 디자인 시 가상 요소
여기서 &를 써서 스타일을 추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그냥 위에 있는 Iframe에 적용하면 안되는 건가요?이 부분을 Iframe에 포함시키니 오류가 나서 왜인지 궁금합니다.const Iframe = styled.iframe` width: 100%; height: 100%; z-index: -1; opacity: 0.65; border: none; &: :after { content: "";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width: 100% height: 100% } `;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axios 401 오류
axios 코드입니다.import axios from "axios"; const instance = axios.create({ baseURL: "https://api.themoviedb.org/3", params: { api_key: "895e2a24f997d16a2490bcfddde450c28", language: "ko-kr", }, }); export default instance;requests 코드입니다.const requests = { fetchNowPlaying: "movie/now_playing", fetchNetflixOriginals: "/discover/tv?with_networks=213", fetchTrending: "/trending/all/week", fetchTopRated: "/movie/top_rated", fetchActionMoives: "/discover/movie?with_genres=28", fetchComedyMovies: "/discover/movies?with_genres=35", fetchHorrorMovies: "/discover/movies?with_genres=27", fetchRomanceMovies: "/discover/movies?with_genres=10749", fetchDocumentarues: "/discover/movies?with_genres=99", }; export default requests; App 코드입니다.import "./App.css"; import Nav from "./components/Nav"; import Banner from "./components/Banner"; function App() { return ( <div className="App"> <Nav /> <Banner /> </div> ); } export default App; Banner 코드입니다.import axios from "../api/axios";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requests from "../api/requests"; function Banner() { const [movie, setMovie] = useState([]); useEffect(() => { fetchData(); }, []); const fetchData = async () => { // 현재 상영중인 여러 편의 영화 정보 가져오기 const request = await axios.get(requests.fetchNowPlaying); // 여러 편의 영화 중 하나의 영화 ID 가져오기 const movieId = request.data.results[ Math.floor(Math.random() * request.data.results.length) ].id; // 특정 영화의 상세 정보 가져오기 const results = await axios.get(`movie/${movieId}`, { params: { append_to_response: "videos" }, }); console.log("results", results); console.log(movieId); }; return <div></div>; } export default Banner; 확인해봤을 때는 틀린 부분이 없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ㅠㅠ 어디 잘못 작성한 게 있을까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마이바티스와 테스트 코드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너무 잘 듣고있습니다. 회사에서 Mybatis로 개발 중인데 테스트 코드 작성에 어려움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JPA의 경우 CRUD가 기본적으로 구현되어 있지만, Mybatis의 경우 xml(또는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메서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테스트 코드 작성이 어렵더군요.. 만약 Money 테이블이 있고, 해당 Repository에 Select 코드가 없는 경우 어떻게 검증을 해야 좋을까요? 테스트를 위해 xml이나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닌 것 같고, Jdbc Template를 이용해봤는데 이 경우에는 데이터가 롤백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아마 잘못 사용해서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Repository 부분을 Mock으로 Stub하여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도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 경우에는 Repository 쿼리를 수정할 때마다 Service에 정의된 Stub도 그에 맞게 계속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서 이 방법도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이 케이스도 A,B 각각 모듈 단위의 테스트는 성공하나 결합하여 테스트할 때 실패하는 경우라고 볼 수 있을까요?) 회사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문화는 아니어서 물어볼 사람이 없어 질문 남깁니다.. 좋은 강의 감사하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기대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부트 상품-주문 API 개발로 알아보는 TDD
ProductService의 updateProduct 로직 질문입니다.
updateProduct 로직을 보면, 맨 첫줄에productPort.getProduct로 조회를 해온 뒤 product.update(~~~)로 변경을 하면, 변경 감지가 일어날텐데굳이 save를 호출하신 이유가 뭐에용??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도메인 테스트 코드 작성을 해봤습니다.
도메인//Order 도메인 @Entity @Table(name = "orders")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 {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OrderStatus status; @OneToMany(mappedBy = "order",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 주문 취소 */ public void cancel(){ this.setStatus(OrderStatus.CANCEL); /** 재고 원복 */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 }//OrderItem public class OrderItem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item_id") private Item item;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order_id") private Order order; public void cancel() { getItem().addStock(count); // 재고수량을 늘려준다. } }//Item public class Item { private int stockQuantity; public void addStock(int quantity) { this.stockQuantity += quantity; } }불필요한 코드는 제거 했습니다. 테스트 코드@DisplayName("주문을 생성하고, 주문 취소시 주문 취소로 상태를 변경하고, 감소된 상품 재고를 수량을 추가한다.") @Test void cancelOrder(){ //given OrderItem orderItemMock1 = Mockito.mock(OrderItem.class); OrderItem orderItemMock2 = Mockito.mock(OrderItem.class); BDDMockito.doNothing().when(orderItemMock1).cancel(); BDDMockito.doNothing().when(orderItemMock2).cancel(); //OrderItem 가변인자는 내부에서 List로 보관 Order order = Order.createOrder(orderItemMock1,orderItemMock2); //when order.cancel(); //then assertThat(order.getStatus()).isEqualByComparingTo(OrderStatus.CANCEL); Mockito.verify(orderItemMock1,Mockito.times(1)).cancel(); Mockito.verify(orderItemMock2,Mockito.times(1)).cancel(); }Order 도메인의 cancel()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야한다고 할때cancel 호출로 변경된 상태(enum)와내부 List<OrderItem> 필드에 하나씩 취소 요청을 할때Mock으로 OrderItem 도메인을 만들고 호출을 했는지만 검사를 했습니다. Mock 객체를 만드니까 간단한 단위테스트 인데도 속도가 많이 느려지더라구요이런 경우에Order.cancle 로직에 대한 테스트이기 때문에 나머지는 Mock으로 처리관련된 OrderItem.cancle(),Item.addStock()은 별도 단위테스트로 검증했기때문에추가 검증이 필요없다.Order.cancle 로직에 대한 테스트이지만,OrderItem.cancle(),Item.addStock() 테스트 검증이 끝났다고 해도비즈니스 계층 통합테스트 느낌으로 given에서 데이터를 준비하고연관된 데이터를 전부 검증한다. 1번으로 할경우 테스트 목적은 한눈에 들어오지만2번으로 할경우 이 로직이 어디까지 관련이 되어있는지 테스트 코드로 알수 있을거같아서강사님이 말씀하신 테스트를 문서처럼 사용할 수 있는거같습니다. 고민을 해보니 Order.cancel()은 서비스 계층에서 호출을 할텐데1번으로 테스트를 하고, 서비스 계층에서 통합 테스트를 하는게 맞을까요?더 나은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Persistence Layer(2) 강의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Persistence Layer(2) 강의를 수강 중에 질문이 있습니다.먼저, 저는 h2 database 대신 mysql을 사용하기로 해서, 아래와 같이 application.yml 파일을 작성했습니다.그리고 build.gradle에 mysql import 부분 역시 등록하였습니다.spring: profiles: default: local datasource: url: jdbc:mysql://localhost:3306/testing?useSSL=false&characterEncoding=UTF-8 username: root password: [생략]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jpa: hibernate: ddl-auto: none sql: init: mode: always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local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show-sql: tru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defer-datasource-initialization: true # (2.5~) Hibernate 초기화 이후 data.sql 실행 # h2: # console: # enabled: true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test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show-sql: tru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sql: init: mode: never 그리고 ProductRepositoryTest를 실행한 결과,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 상에서는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나, @DataJpaTest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orm.jpa.HibernateJpaConfiguration':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ataSource':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replace DataSource with an embedded database for tests. If you want an embedded database please put a supported one on the classpath or tune the replace attribute of @AutoConfigureTestDatabase.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ataSource':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replace DataSource with an embedded database for tests. If you want an embedded database please put a supported one on the classpath or tune the replace attribute of @AutoConfigureTestDatabase. 제 생각에는, application.yml 파일 설정에서 제가 잘못 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혹시 어느 부분을 제가 놓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