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Querydsl
@PostConstruct와 @Transactional 분리
@PostConstruct와 @Transactional 분리해야 하는이유를 간단히 짚고넘어가셔서 그런데 좀더 자세하게 설명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 ㅠㅠ
-
미해결실전! Querydsl
외래키설정 ConstraintMode
ConstraintMode.NO_CONSTRAINT를 이용해서 조인컬럼을 지정할경우 논리적으로만 맺고 물리적인 외래키를 맺지않는걸로 알고있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외래키를 지정하는게 좋은방법인가요 ?
-
해결됨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강좌 (renew ver.) - 초보부터 개발자 취업까지!!
오라클 회원가입 질문
jdk다운로드를 클릭했더니 로그인 창으로 이동하길래로그인을 해야하는거같길래 회원가입을 진행했는데요회원가입에 필요한 정보중에 직책 과 회사명 을 요구하더라구요전 회사에 다니지 않는데 회원가입을 할수 없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from절 서브 쿼리
안녕하세요... 신입 개발자 입니다 ㅠㅠ 회사에서 mybatis만 사용하다가 querydsl로 바꿔보고 싶어서 적용중인데요 from table1 left join ( select * from table2 left join table3 on table2.id = table3.id ) as table4 on table1.id = table4.id where order by 이런 게 3depth 정도 되는 쿼리가 있습니다 querydsl이 페이징이 너무 편해서 querydsl로 하고 싶은데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되는지 조언해주실 수 있나요? from 절에서 서브쿼리가 안된다고 본거같은데... from 절 쿼리를 1개의 List<Tuple>로 구현하고 다른 from 절 쿼리를 1개의 List<Tuple>로 구현하고 각각의 List<Tuple>을 최종 테이블로 from 절에 명시해야 되는지... 그런데 데이터 조회를 해봤더니 하나의 List를 구하는데 너무 많은 데이터가 있어서,,, 엄두가 안납니다.. 후후..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상품에서 유저 수정 권한 관련 문의드립니다!!
상품 수정을 진행할 때 어떤 인증 절차가 있어야 한다고 해주셨는데요! 제가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는 이 인증 절차를 시큐리티 컨텍스트에서 유저 아이디를 받아와 항상 findByprodcutIdandUserId(상품아이디,유저아이디) 이런 식으로의 인증을 거치고 있습니다! 분명 이런 식과 다른 방법도 있겠지만 여러번 고민과 의논에도 현재 방식보다 간단하고 좋아보이는 방식이 생각이 나지 않아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혹시 영한님께서 사용하시는 실무에서의 인증 절차는 어떤식으로 사용하시는지 깊게 알고 싶습니다! 이 로직이 항상 리팩토링 해달라고 신호를 보내는데 그 방법을 알지 못해서 볼때마다 안타깝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하고 그 내용이 쉽지 않더라도 조언 주시면 공부해서 적용하고 싶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changeTeam 관련하여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너무 잘듣고 있는데 중간에 의문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이 의문이 기본, 실전 Spring Data jpa 어디서 났는지 구체적으로 기억이 안나서 일단 기본편에서 질문드립니다! 구조는 Member(N) - Team(1) 양방향 매핑으로 설정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Member가 Team을 바꾸려는 상황입니다. 강의를 보면.. Member 엔티티 내에 아래와 같은 changeTeam() 이라는 메소드를 구현합니다. public void changeTeam(Team team) {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 그렇다면 객체의 입장에서 아래처럼 된다는 것 까지는 이해를 했습니다. - Member 내에 '새 Team'으로 변경됨 - '새 Team' 내에도 원하는 Member가 추가됨 여기서 2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 그런데 '구 Team' 객체는 어떻게 되나요? 그 객체의 상태값인 List<Member> members에는 여전히 Member가 남아 있지 않나요? getMembers() 불러와서 remove를 쓰던 다른 방법을 쓰던 어쨌든 지워주던가 해야하는것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2. 1의 의문이 타당하여 만약 changeTeam() 내에 기존 Team에서 Member를 삭제해주는 추가적인 구현이 있을 경우.. 처음 Member에 team을 설정해주는 setTeam()과 changeTeam()을 아예 따로 구현하는게 바람직할까요? 실무적 관점에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member와 team 관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JPA 기본편에서는 양방향관계를 최대한 안써야한다고 말씀하셨던것 같은데 이번 예제에서는 양방향 관계로 구현을 하였습니다. 그 이유와 꼭 언제 꼭 양방향을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Value 오브젝트(@Embeddedable 객체)는 그대로 노출해도 된다
개발자님 강의 계속 반복해서 열심히 듣고있습니다강의 도중에 엔티티는 노출하면 안된다 하지만 Value 오브젝트는 바뀔일이 없기 때문에 노출해도 된다고 하셨는데만약에 Address 값 객체가 있다고 했을때 Address의 필드 String cityCode가 Interger areaCode로 바뀐다고 해도 문제가 없나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에 의존성 주입이 필요한 경우?
안녕하세요. 영한님 교육을 듣고 실무에 적용해보려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JPA없이 사용할 때는 Spring 에서 의존성 관리를 잘 해주고 있어서 @Autowired 애노테이션을 쓰든 명시적으로 정의를 하든 인터페이스로 정의되어 있는 필드에 구상체를 주입받을 수가 있는데 Entity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상체 주입은 어떤방식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또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도메인 클래스가 Map 타입 필드를 가지고 있는데 Key가 Class<T> 타입인 경우는 어떤 식으로 해야할지 감이 안오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fetch join을 했을 경우 1차 캐시에 많은 데이터가 담기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의 듣는 중 질문이 있어 남깁니다. 만약 team의 개수가 수, 수십만개의 데이터가 나오는 경우라면 모두 1차캐시로 들어가는 건가요? 만약 그럴 경우 생기는 문제는 없는건가요? 영속성 컨텍스트의 1차캐시가 감당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얼마나 되는건가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ersistenceContext 질문
안녕하세요 jpa api 강의와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repository에서 EntityManager를 정의하는 방식이 달라서 이 두 방식의 차이점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Item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ersistenceContextprivate EntityManager em;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테스트 코드에서 @autowired 사용 질문입니다!
강의 중 테스트 코드 작성시 Repository 와 같은 경우 autowired가 아닌 생상자 주입을 권장한다고 해주셨는데 혹시 그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힝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도메인 서비스
안녕하세요! 강의 막바지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도메인 서비스 이렇게 계층을 한 단계 더 나누는 경우가 있다고 말씀해주신거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위와 같은 구조는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도메인 서비스, 도메인, 리파지토리] 이렇게 구성되는건가요? 2. 위와 같이 구성 시 장점이 어떤 것이 있는 것인가요? 3. 위와 같은 프로젝트 구조말고 다른 구조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검색어정도만 알려주실 수 있다면 구글링해서 찾아보겠습니다. 질문이 조금 많네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외래키에 해당하는 컬럼으로 조회하고 싶을때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
특정 팀 소속인 사용자 목록을 얻고 싶다면 Member Repository에서 아래와 같이 만들어서 findByTeam(Team team, Pageable pageable); Team 객체에 해당하는 Team의 id 값을 담아서 조회 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 맞나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BookForm 객체를 dto 로 사용하는 것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jpa 와 관련있는 질문은 아니지만 너무 궁금해서 올렸습니다. view 단에서 controller 단으로 데이터를 넘길 때 BookForm 객체를 넘기고 이 안의 데이터를 또다시 서비스로 넘길 때 넘길 파라미터가 많을 경우 dto를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고 하셨는데 레이어 간의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한 관례 같은 건가요? 혹시 처음부터 BookForm 객체를 dto로 취급해서 넘기는 것은 좋지 않은 방법 인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컬럼 기본변수지정을 래퍼로 하는것과 그냥으로 하는것은 어떤차이가있나요 ?
int vs Integer long vs Long 강의중에서는 Long으로 쓰시는거같은데 구지 그렇게 하신이유가있을까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to 클래스 만드실 때
선생님, DTO 클래스 만드실 때 private 타입으로 만들어도 되던데.. 왜 static으로 만드시는지 궁금해서 질문 드려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Item 클래스의 addStock, removeStock method 동시성 문제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여러 스레드에서 addStock 또는 removeStock method 실행시 stock 수가 변경할때 동시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나요? junit으로 multi thread 요청을 테스트 해보고 싶어서 이런 저런 방법을 시도중인데 제가 테스트를 잘못한건지 동시성 문제가 발생하더라구요.. JPA에 입문한지 얼마 안되서 어떤식으로 해결하는게 좋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TO 프로젝트 위치 관련
안녕하세요 orderSimpleQueryDTO의 경우에는 특수한 쿼리를 위한 경로에 위치시켰는데 DTO를 프로젝트에서 일반적으로 어디에 위치시키는지 궁금합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팀 프로젝트를 같이 진행하고 있는데 그 프로젝트에서는 Domain에 위치시켰습니다. 현업에서나 아니면 강사님께서는 어느 위치를 선호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m.find는 primary key만 조회할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수업을 듣는 중 궁금사항이 있습니다. em.find는 primary key만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인 건가요? primary key가 아닌 일반 데이터 값을(ex. username)을 조회하고자 할 때는 em.find로는 불가능 한건가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