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ts2322 오류
안녕하세요 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 섹션2 6번째 강의를 수강하던 중 button 태그에 스타일을 줄 때 float가 undefined 된다는 오류가 잘 해결 되지 않아 방법을 여쭙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yaml구조 공부링크 요청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중간에 yaml에 대해 더 궁금한 사람들을 위해 링크를 남겨주신다 하셨는데, 수업자료나 다른곳에서 링크를 찾을수가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클래스와 상속에 대한 질문입니다.
첫번째 질문 class Monster { power = 10; constructor(aaa) { this.power = aaa; } attack = () => { console.log("공격하자!!"); console.log(`내 공격력은 ${this.power} 이야`); }; run = () => { console.log("도망가자!!"); }; } const mymonster1 = new Monster(20); mymonster1.attack(); mymonster1.run(); const mymonster2 = new Monster(); mymonster2.attack(); mymonster2.run();//터미널 공격하자!! 내 공격력은 20 이야 도망가자!! 공격하자!! 내 공격력은 undefined 이야 도망가자!!위와 같이 new Monster 하면서 생성자에 power 값을 넘겨주지 않으면 undefined 이 찍히는데,저렇게 생성자가 있는 상황에서, 기본적으로 class 안에서 설정해 준 power 값 power = 10;을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두번째 질문class Monster { power = 10; constructor(aaa) { this.power = aaa; } attack = () => { console.log("공격하자!!"); console.log("내 공격력은 " + this.power + " 이야!!!"); }; } class SkyMonster extends Monster { run = () => { console.log("날라서 도망가자!!"); }; } class GroundMonster extends Monster { run = () => { console.log("뛰어서 도망가자!!"); }; } const skymonster = new SkyMonster(10); skymonster.attack(); skymonster.run(); const groundmonster = new GroundMonster(30); groundmonster.attack(); groundmonster.run(); class Monster { power = 10; constructor(aaa) { this.power = aaa; } attack = () => { console.log("공격하자!!"); console.log("내 공격력은 " + this.power + " 이야!!!"); }; } class SkyMonster extends Monster { constructor(qqq) { super(qqq); } run = () => { console.log("날라서 도망가자!!"); }; } class GroundMonster extends Monster { constructor(www) { super(www); } run = () => { console.log("뛰어서 도망가자!!"); }; } const skymonster = new SkyMonster(10); skymonster.attack(); skymonster.run(); const groundmonster = new GroundMonster(30); groundmonster.attack(); groundmonster.run(); //터미널 공격하자!! 내 공격력은 10 이야!!! 날라서 도망가자!! 공격하자!! 내 공격력은 30 이야!!! 뛰어서 도망가자!!위의 코드를 아래 코드로 바꾸면서 부모 생성자로 값을 넘겨주는 방법을 알려주셨는데터미널에 찍히는 결과는 똑같은데 왜 저렇게 부모 생성자로 값을 넘겨줘야 하는지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파이썬 동시성 프로그래밍 : 데이터 수집부터 웹 개발까지 (feat. FastAPI, async, await)
db 생성이 안됩니다
db 등록이 안되네요 윈도우입니다.https://yamea-guide.tistory.com/entry/atlas-MongoError-user-is-not-allowed-to-do-action-find-on이 글 참고해서 해봤는데도 안되요 ㅠ
-
해결됨[코드캠프] 훈훈한 Javascript
동기와 비동기, undefined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섹션 8 데이터 통신에서 동기와 비동기 실습을 하며 모르는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setTimeout(() => { console.log("setTimeout call") }) const func3 = function() { console.log("func3 call") } const func2 = function() { func3() console.log("func2 call") } const func1 = function() { func2() console.log("func1 call") } func1()이 코드를 실행하였는데 console 창에 setTimeout call 위에 undefined가 뜬게 이해가 안갑니다. 어느 부분을 실행하였을 때 나온 undefined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추가로 동시성 해결하는 방법
이번 강의에서 나온 방법말고도 자바에서 동시성을 해결하는 방법 중에 쓰레드 로컬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 것으로 압니다. 근데 이번 재고감소 로직에서 적용해보려고 하니까 코드작성이 잘 안되더라구요. 이번 강의예제에서와 같이 계속 변수값이 변하는 상황에서는 쓰레드 로컬을 적용하기 어려운건가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Vagrant up 관련 문의
Vagrant up 관련하여서 마스터노드와 워커노드1은 제대로 생성되었으나 나머지 2,3은 생성되지 않았는데 관련하여서 전체 실습에는 크게 문제가 없는지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페이징&가상메모리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가상메모리 부분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글 올립니다.1.페이징 기법에서 가상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눈 블럭이 페이지, 물리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눈 블럭이 프레임이라고 하셨는데, 페이지와 프레임의 크기는 같나요?1-1. 만약 같다면 그 크기는 영구적인가요?1-2. 만약 다르다면 페이지 크기는 프레임 크기보다 같거나 작아야 할텐데 그건 어떻게 제어/관리하나요? 2. 추가 공부를 하다가 가상메모리와 가상 주소 공간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프로세스 실행 시 각 프로세스는 가상 주소 공간을 가지며 0번지부터 시작한다고 하는데, 이 각각의 가상주소공간이 가상 메모리에 올라가는 건가요?2-1. 만약 그렇다면 가상메모리를 하나라고 생각해야 하나요, 아니면 여러개(프로세스 수만큼)라고 생각해야 하나요? 가상메모리라는 개념 자체가 추상적이어서 헷갈립니다. 2-2. 만약 여러개라면 페이지는 가상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눈 것인데, 각각의 가상메모리를 모두 일정한 크기로 나누는 건가요? 아니면 각 프로세스마다 페이지의 크기도 다른가요? 가상메모리가 말 그대로 가상의 것이라 실체가 없어서 그런지 개념이 너무 헷갈립니다ㅠㅠ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페이징(배치정책) CPU에 논리주소를 물리주소로 전달해 줄때 계산 단위
안녕하세요.CPU에서 논리주소 0x1000번을 요청을 했을때 메모리 관리자를 통해 물리주소로 반환된 값이2000이라고 가정을했을때0x2000번을 말하는건가요 아니면 10진수 2000을 말하는 건가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배달앱 클론코딩 [with React Native]
푸시 알림 받은 후 조건부 렌더링일때 Navigation.navigate 문제
안녕하세요.조건부 렌더링일때 푸시 알림을 받은 후 Navigation.navigate('Home')을 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해결 방법 있을까요?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PostHashtag테이블
PostHashtag(Post와 Hashtag 중간 테이블)에서 findAll을 해서 hashtag이름 까지 가지고 오는 방법이 있을 까요? 지금은 해쉬태그 Id까지밖에 가지고 오지 못해서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R 질문있습니다.
저는 선생님과 달리 bfs로 로직을 짰습니다.이유는 완전이진 트리만을 생각했기 때문에가장 높은 레벨인 노드들만 카운트하면 된다 생각했었습니다.물론 틀린생각이었죠.어찌됐든 bfs로 로직을 짰고 자식노드가 발견되면 플래그를 변경하고 플레그에 따라 리프노드를 선별하는 방식입니다.또한 삭제노드와 동일한 노드는 큐에 추가하지 않고 패씽했습니다.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http://boj.kr/9c43785254f842aa975a11e833102304
-
해결됨[리뉴얼] 타입스크립트 올인원 : Part1. 기본 문법편
선생님 제네릭에 관해서 질문 사항이 있습니다.
문자열 또는 숫자를 인자로 받아서 문자열 인자인 경우는 문자열 결합을 숫자 인자인 경우에는 숫자 덧셈을 구현하는 함수를 구현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뜨는데 제 짧은 지식으로는 도대체 이해가 안되서 질문을 남깁니다. 또한, 제네릭 타입의 변수는 type guard를 해줄 방법이 없는건가요?n1과 n2의 타입은 T & 'string' 또는 T & 'number'으로 추론합니다.
-
미해결Flutter 중급 1편 - 클린 아키텍처
의존성 주입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덕분에 클린 아키텍쳐 구조 잘 공부했습니다.혹시 의존성 주입부분에서 질문이 있습니다.제가 개인적으로 연습을 하면서 클린 아키텍쳐를 적용하고 있습니다./di/provider_setup.dart 에서 한번에 의존성 주입List<ChangeNotifierProvider> getProviders() { final dio = Dio(); SongRepository repository = SongRepository(dio); UseCases useCases = UseCases( getSearchSong: GetSearchSongUseCase(repository: repository), getSearchSinger: GetSearchSingerUseCase(repository: repository), getRecentlySongsList: GetRecentlySongsListUseCase(repository:repository), ); SearchViewModel searchViewModel = SearchViewModel(useCases: useCases); HomeViewModel homeViewModel = HomeViewModel(useCases: useCases); return [ ChangeNotifierProvider(create: (_) => searchViewModel), ChangeNotifierProvider(create: (_) => homeViewModel), ]; }main 에서 주입void main() { // provider 호출 final providers = getProviders(); runApp( MultiProvider( providers: providers, child: const MyApp(), ), ); }context.watch<SearchViewModel>(); 은 잘 작동해서 뷰에 출력을 잘 하고있습니다.class _SearchScreenState extends State<SearchScreen> {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final searchViewModel = context.watch<SearchViewModel>(); final state = searchViewModel.state; ... }context.watch<HomeViewModel>();은 에러가 발생합니다.class _Body extends StatelessWidget { const _Body({Key? key}) : super(key: key);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final homeViewModel = context.watch<HomeViewModel>(); final state = homeViewModel.state; ... }에러내용======== Exception caught by widgets library ======================================================= The following ProviderNotFoundException was thrown building _Body(dirty): Error: Could not find the correct Provider<HomeViewModel> above this _Body Widget This happens because you used a `BuildContext` that does not include the provider of your choice. There are a few common scenarios: - You added a new provider in your `main.dart` and performed a hot-reload. To fix, perform a hot-restart. - The provider you are trying to read is in a different route. Providers are "scoped". So if you insert of provider inside a route, then other routes will not be able to access that provider. - You used a `BuildContext` that is an ancestor of the provider you are trying to read. Make sure that _Body is under your MultiProvider/Provider<HomeViewModel>. This usually happens when you are creating a provider and trying to read it immediately. For example, instead of: ```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Provider<Example>( create: (_) => Example(), // Will throw a ProviderNotFoundError, because `context` is associated // to the widget that is the parent of `Provider<Example>` child: Text(context.watch<Example>().toString()), ); } ``` consider using `builder` like so: ```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Provider<Example>( create: (_) => Example(), // we use `builder` to obtain a new `BuildContext` that has access to the provider builder: (context, child) { // No longer throws return Text(context.watch<Example>().toString()); } ); } ``` If none of these solutions work, consider asking for help on StackOverflow: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tagged/flutter The relevant error-causing widget was: When the exception was thrown, this was the stack: #0 Provider._inheritedElementOf (package:provider/src/provider.dart:343:7) #1 Provider.of (package:provider/src/provider.dart:293:30) #2 WatchContext.watch (package:provider/src/provider.dart:693:21) #3 _Body.build (package:what_do_you_want_to_sing/presentation/home/home_screen.dart:79:35) #4 StatelessElement.build (package:flutter/src/widgets/framework.dart:4949:49) #5 ComponentElement.performRebuild (package:flutter/src/widgets/framework.dart:4878:15) #6 Element.rebuild (package:flutter/src/widgets/framework.dart:4604:5) #7 BuildOwner.buildScope (package:flutter/src/widgets/framework.dart:2667:19) #8 WidgetsBinding.drawFrame (package:flutter/src/widgets/binding.dart:882:21) #9 RendererBinding._handlePersistentFrameCallback (package:flutter/src/rendering/binding.dart:378:5) #10 SchedulerBinding._invokeFrameCallback (package:flutter/src/scheduler/binding.dart:1175:15) #11 SchedulerBinding.handleDrawFrame (package:flutter/src/scheduler/binding.dart:1104:9) #12 SchedulerBinding.scheduleWarmUpFrame.<anonymous closure> (package:flutter/src/scheduler/binding.dart:881:7) (elided 4 frames from class _RawReceivePortImpl, class _Timer, and dart:async-patch)저번에 이런 에러가 발생했을때, 의존성 주입이 안된 상태에서 context.watch() 를 해서 오류가 나 의존성을 추가해 해결했습니다.하지만 이번에는 잘모르겠습니다. 의존성도 잘 주입되어서 view 단에서 잘 호출 하고 있는거 같은데..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
미해결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윈도우즈에서 도커 사용하기 위한 Hyper-v 설정 이렇게 하는거 맞나여?
Hyper -V 설정 아래처럼 하기그리고 추가로 Hyper-V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 해야 되나여?
-
해결됨타입스크립트 입문 - 기초부터 실전까지
todoItems 타입을 더 상세하게 해도 관계는 없을런지요?
강의에서 todoItems 타입을 object[] 로 지정하셨는데요.{ id: number, title: string, done: boolean }[] 와 같이 상세하게 작성해도 무방할까요? 일단 에러는 안났는데, 실제 개발시에는 object[]가 더 간단할거 같지만, 어떤게 더 좋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부트 상품-주문 API 개발로 알아보는 TDD
ApiTest에서 MockMvc를 사용한 테스트가 아닌
ApiTest에서 MockMvc를 사용한 테스트가 아닌 RestAssured를 사용하여 테스트하는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Vue.js 중급 강좌 - 웹앱 제작으로 배워보는 Vue.js, ES6, Vuex
깃허브 권한요청드립니다
권한 요청드려요~
-
미해결앨런 iOS Concurrency(동시성) - 디스패치큐와 오퍼레이션큐의 이해
안녕하세욤
안녕하세요. 몇 달 전부터 동기/비동기 개념에 관해 틈틈히 짤막하게 찾아보고 (물론 이해는 안가네요🥲) 나름대로 의미를 정립해봤어요. 강의를 듣기 전에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질문드립니다. 그러면 강의 듣는 데 더 도움이 되리라 생각해서요. Swift에서 비동기 개념에서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하는 걸로 보이는데, 무슨 차이가 있는 건가요? 🥺① DispatchQueue② async/await③ CompletionHandler-Callback 🤔 개념은 같아 보이는데, 단순히 버전 차이인가요? 특히 (3)의 방법이 너무 어렵고 복잡해서 (2)의 방법이 새로 나왔다고 알고 있는데, 셋 모두 비슷한 맥락인가요?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강의자료 요청드립니다!!
강의자료 요청드립니다!! es3411@naver.com 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