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급 SQL 문제풀이
4번 BST 문제 틀리는 이유
4번 bst 문제와 관련해서 아래와 같이 쿼리 했는데 틀리네요 ㅠㅠ이유를 모르겠습니다SELECT DISTINCT BST.N, CASE WHEN BST.P IS NULL THEN 'Root' WHEN B2.N IS NULL THEN 'Leaf' ELSE 'Inner' END FROM BST LEFT JOIN BST B2 ON BST.N = B2.PORDER BY BST.N
-
미해결비전공 기획자 및 관리자를 위한 IT 필수 지식
강의 자료 요청
안녕하세요, 필기 및 공부를 위해 강의 자료를 요청 드립니다.메일 주소는 fyoo2829@gmail.com 입니다.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중복된 닉네임
중복된 닉네임할때 const exUser = await User.findOne({ where: { email: req.body.email, nickname: req.body.nickname, }, });이렇게 추가 해주면 되나요? 아니면 따로 만들어줘야하나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H질문
http://boj.kr/f1f1a8da0bf348f18816f1df97c07baf어디가 틀린건지 도저히 모르겠습니다....ㅠㅠ 제가 짠 코드에다가 선생님이 MAX로 설정하신 부분 해서 했는데 답은 나오는데 틀렷다고 뜨는데 어디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n == m일 경우 어떻게 출력해야하나요...? 일단 시간은 0인것은 알겠는데 그다음에 공백을 출력을 해야할지 아니면 n을 출력을 해야할지를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문제로 배우는 C언어
20번 소수 판별하기에서 질문 있습니다.
3:14부터 설명하시는 내용에 대해서 질문 있습니다. 다른 부분은 예외로 치고 반복문에서만 봤을 때,반복문이 최대한 조금 돌아가게 만드는 게 효율성이 높고 좋은 코드라고 볼 수 있는건가요?? 그런 의미에서 21번 최대공약수 문제에서 for (i = 1; i <= a && i <= b; i++) { if (a % i == 0 && b % i == 0) max = i; } printf("%d", max);이렇게 작성하였는데 코드를 최대한 간결하게 작성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그런데 의문인 점이a, b 중 작은 값이 30이라면 반복문이 무조건 30번 돌아가기 때문에 선생님께서 작성하신 코드에 비해 비효율적이고 안좋은 코드라고 볼 수 있을까요?그렇다면 앞으로 반복문이 들어가는 코드를 작성 할 때 반복횟수를 고려하면서 작성하는 게 좋은 습관을 만드는 길인걸까요? 아니면 이렇게까지 신경 쓸 필요는 없나요? 궁금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유튜브 사이트 만들기
로컬스토리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다름이 아니라 로컬스토리지에 대해 질문을 드리려고 합니다!!강사님께서 첨부하신 boiler-plate을 사용하지 않고, 이전의 boiler-plate 강의 수강 후 직접 작성한 파일을 그대로 가져와서 youtube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로그인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하게 되면, 로컬스토리지에 userId가 저장될 수 있게 기능을 구현하려 하는데, 아래와 같이 어딘가로 저장은 되지만 어플리케이션 탭의 로컬스토리지에는 표시가 되지 않습니다. 혹시 어떤 이유 때문에 이러 일이 일어나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ㅠㅠ--------------------------------------------------------------------------------------------------------------------------------------확인해보니 크롬 브라우저에는 위 사진과 같이 저장된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았지만 브레이브 브라우저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상적으로 표시 됐습니다!! 특이사항이 있다면 크롬 브라우저에서 로그인 할 때, 암호가 유출되었을 수도 있다는 알림이 뜨는데 그것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YOLO 구현으로 배우는 딥러닝 논문 구현 with TensorFlow 2.0
object_exists_cell_i 계산식
object_exists_cell_i, object_exists_cell_j = int(cell_size * ycenter / input_height), int(cell_size * xcenter / input_width) loss.py 강의의 18:13s에서 계산식 "cell_size * ycenter / input_height" 에서 ycenter가 0.4(normalized)이고, cell_size가 4 -> 두개를 곱하면 1.6이고, int형변환되어 1이라서 Grid Cell , input_height 값을 계산식에서 제외하신것 같습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컴파일 과정
컴파일 과정에서 생기는 .i .s .o 의 파일을 직접 열어보고 싶은데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
해결됨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노션 자료 이메일 잘못 입력했어요..
cs 면접강의랑 코딩테스트 all in one 강의 두 개를 수강중인데,제가 노션을 구글계정을 사용중인데, 구글폼에 실수로 네이버 이메일을 작성해버려서 네이버로 로그인해야지만 자료를 볼 수가 있네요...죄송한데 구글 계정으로 다시 보내주실 수 있나요..? 구글 이메일은 두 강의 모두 구글폼에 다시 작성했어요...ㅠㅠ
-
미해결실전! Querydsl
test
test할때는 log.info잘 사용 안하나요?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BeanClassLoaderAware 인터페이스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BeanClassLoaderAware 를 통해 ClassLoader 를 주입을 받는다고 가정할 때public class MyAutoConfigImportSelector implements DeferredImportSelector, BeanClassLoaderAware { private ClassLoader classLoader; @Override public String[] selectImports(AnnotationMetadata importingClassMetadata) { List<String> autoConfigs = new ArrayList<>(); ImportCandidates.load(MyAutoConfiguration.class, classLoader) .forEach(autoConfigs::add); return autoConfigs.toArray(new String[0]); } @Override public void setBeanClassLoader(ClassLoader classLoader) { this.classLoader = classLoader; } } MyAutoConfigImportSelector 는 스프링에서 사용하는 공유되는 클래스로더에 의해서 로딩되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this.getClass().getClassLoader() 로 해도 같은동작)그렇다면 BeanClassLoaderAware 인터페이스를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또한 BeanClassLoaderAware javadoc 에서 framework classes 가 구현하도록 의도되었다고하는데 framework classes 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
미해결메타스플로잇(Metasploit) 활용한 취약점 분석(초중급과정)
쉬운말로 상대방 IPtable에서 DNS설정을 바꾼다는 말 아닌가요??
좀 그렇군요...알려주실려면 다 알려주셔야하는거 아닌가요??(_ _)
-
미해결메타스플로잇(Metasploit) 활용한 취약점 분석(초중급과정)
실슬-MSF 공격코드2는 ppt로 작성해서 올려주세요
무슨 말인지 혼동됩니다...어디가 웹서버이고 어디가 공격자이고 어디가 희생자이고...웹서비시엔 뭐가 올라가 있어야 하고....희생자는 무슨 취약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어야 하고...공격자 PC에선 무슨 설정이 되어있어야 한느지 혼동됩니다... ppt로 잘 정리된 자료 요청합니다
-
해결됨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회원가입 성공 시 테스트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호돌맨님회원가입 성공 시 테스트 코드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 질문 드립니다. @Test @DisplayName("회원가입 성공") void test1() { PasswordEncoder encoder = new PasswordEncoder(); Signup signup = Signup.builder() .name("호돌맨") .email("hodolman@gmail.com") .password("1234") .build(); authService.signup(signup); assertEquals(1L, userRepository.count());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All().iterator().next(); assertEquals("hodolman@gmail.com", user.getEmail()); // assertNotNull(user.getPassword()); // assertNotEquals("1234", user.getPassword()); assertTrue(encoder.matches("1234", user.getPassword())); assertEquals("호돌맨", user.getName()); } 지금 userRepository에 비밀번호가 암호화 된 상태로 저장중이어서 assertTrue로 테스트를 한 번 짜봤는데 위처럼 하는 방식은 좋지 않은 방식인가요?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npm install -g serve 설치 오류가 납니다..ㅠㅠ
hyunwooji@jihyeon-uui-MacBook-Air emotiondiary % npm install -g servenpm WARN config global --global, --local are deprecated. Use --location=global instead.npm ERR! code EACCESnpm ERR! syscall mkdirnpm ERR! path /usr/local/lib/node_modules/servenpm ERR! errno -13npm ERR! Error: EACCES: permission denied, mkdir '/usr/local/lib/node_modules/serve'npm ERR! [Error: EACCES: permission denied, mkdir '/usr/local/lib/node_modules/serve'] {npm ERR! errno: -13,npm ERR! code: 'EACCES',npm ERR! syscall: 'mkdir',npm ERR! path: '/usr/local/lib/node_modules/serve'npm ERR! }npm ERR! npm ERR! The operation was rejected by your operating system.npm ERR! It is likely you do not have the permissions to access this file as the current usernpm ERR! npm ERR! If you believe this might be a permissions issue, please double-check thenpm ERR! permissions of the file and its containing directories, or try runningnpm ERR! the command again as root/Administrator.npm ERR! A complete log of this run can be found in:npm ERR! /Users/hyunwooji/.npm/_logs/2023-02-19T07_24_53_420Z-debug-0.log 구글링 해봣을때는 npm 업데이트 문제인거같다고로 찾아서npm update 도 해봣는데 전혀 해결되지 않고 더 꼬이고 있는거같습니다.. 완강을 앞두고 좌절중이네요ㅠ 오늘 다 완강하고 싶었는데 도저히 해결이 안되어 질문남깁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조회대상 빈이 2개 이상 일 때 빈지정에 방법들의 DIP 위반 여부
관련 강의 : 의존관계 자동 주입 - 6번째 강의(@Autowired, @Qualifer, @Primary)질문타입이 같은 빈이 여러 개 조회 될 때, 특정 빈을 선택하는 방법을 3가지 소개해 주셨는데..이 3가지 방법이 결국 특정 빈을 지정해 주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특정 빈을 지정해 DI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DIP 위반을 피하기 위해서 이전 강의에서 AppConfig에서만 특정 빈을 선택하도록 하였습니다. 예를들어 AppConfig에서 DiscountPolicy 중 Rate..와 Fix... 를 선택하게 하고 , 또한 AppConfig에서 MemberRepository 중 Memory..., DB...,External... 등을 선택하도록 하여 DIP 위반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그런데 @Qualifer,@Primary 등을 사용하면 OrderServiceImpl 이나 MemberServiceImpl 이 RateDiscountPolicy, FixDiscountPolicy 또는 Repository 관련 하위 클래스 등을 선택하게 되어 결국은 DIP에 위반되는 것은 아닌지 여쭈어 봅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후속 강의 Webflux가 듣고 싶습니다.
강의를 듣다보니, Webflux 후속 강의를 준비하실 생각이 있다고 하셨는데, 계획이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지연로딩과 페치조인을 이용한 메서드명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모든 관계를 지연로딩으로 설계하고,성능을 최적화 시키기 위해 필요한 엔티티들만 페치조인을 이용하여 사용할 때영한님의 경우 메서드명을 어떻게 명명하시나요?실제로 실무에 적용 하다보니 이 부분이 정말 애매한 것같아서 질문드립니다.성능을 최적화 시킬려면 사용하는 주 엔티티(Member)에서 필요한 연관관계 엔티티(Team, Order, OrderItem, Item)들을 페치조인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그러다보니 많은 메서드들이 나오고 그로인해 메서드명이 길어지는 등 문제가 발생하는데요..강의 내용을 예시로 들면// member - team 패치조인 getMemberWithTeam(Long memberId) // member - team, order 패치조인 getMemberWithTeamAndOrder(Long memberId) // member - team, locker, order 채치조인 getmemberWithTeamAndLockerAndOrder(Long memberId) ...이런 식으로 패치조인하는 엔티티명을 넣어주면 메서드명들이 너무 길어지고 난잡한? 느낌이 나서 영한님의 경우 어떻게 메서드명을 짓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무 환경 그대로 주문게시판 만들기 웹개발 기초 마스터
시퀀스 질문
시퀀스에서 Cycle을 사용하면 중복키 관리는 안하게 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생성자 주입으로 변경했을 때 Provider 생성할때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단위 테스트로 할 때 필드 주입이 좋지 않다고 하셔서 생성자 주입으로 변경 후 돌려봤을 때 Provider를 적용하기 전에 ObjectProvider<PrototypeBean> 으로 했을 때는 테스트가 성공했지만 Provider로 할때는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서 왜 발생했는지 질문드립니다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singletonWithPrototype.ClientBean':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1: No qualifying bean of type 'javax.inject.Provider<hello.core.scope.SingletonWithPrototype$PrototypeBean>' available: expected at least 1 bean which qualifies as autowire candidate. Dependency annotations: {}아래는 전체 코드 입니다.package hello.core.scope; import jakarta.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karta.annotation.PreDestroy;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javax.inject.Provider;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public class SingletonWithPrototype { @Test void prototypeFind()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 prototypeBean1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1.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1.getCount()).isEqualTo(1); PrototypeBean prototypeBean2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2.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2.getCount()).isEqualTo(1); } @Test void singletonClientUsePrototype()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 PrototypeBean.class); ClientBean clientBean1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1 = clientBean1.logic(); assertThat(count1).isEqualTo(1); ClientBean clientBean2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2 = clientBean2.logic(); assertThat(count2).isEqualTo(1); } @Scope("singleton") static class ClientBean { private final PrototypeBean prototypeBean; //생성시점에 주입되어서 계속 같은 거 사용. private final Provider<PrototypeBean> prototypeBeanProvider; @Autowired //생성자 하나니까 @Autowired 생략해도 되긴 함 public ClientBean(PrototypeBean prototypeBean, Provider<PrototypeBean> prototypeBeanProvider) { this.prototypeBean = prototypeBean; this.prototypeBeanProvider = prototypeBeanProvider; }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prototypeBeanProvider.get(); prototypeBean.addCount(); return prototypeBean.getCount(); }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void addCount() { count++;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