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
원본으로 가기
8:00 원본으로 가는건 마우스 오른쪽 main component로 가기 선택하면 되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이해안되는 곳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의존관계 주입 방법에서 오더서비스 의존관계 주입을 하였습니다.그러고 난 다음 확인 하기 위해 오더서비스임플 생성자에 sout문장을 넣은거 같습니다.근데 오토앱컨피트테스트는 빈에서 멤버서비스를 가지고 오는것으로 보이는데 실행을 하니 오더 서비스에 생성자에 추가한 sout문장들이 출력이 되었습니다 저는 오더서비스의 생성자에 추가한 문장들이 나오지 않습니다. 원래 멤버서비스 객체를 받아온거 아닌가요? 왜 오더서비스 sout문장이 나오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ㅜ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페이징 질문입니다!!
영환님 항상 강의를 듣다가 궁금증이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페이징 부분에서 Pageable를 파라미터와 응답값으로 그대로 사용하는 부분이 있습니다.응답으로 Pageable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Pageable객체와 last, totalPages 등이 전부 응답값으로 설정되게 되는데, 보통 실무에서나 프로젝트에서도 그대로 사용하나요?! 응답 값에서 필요한 부분만 추출해서 사용하는게 좋지 않나요? ("Page를 1부터 시작하기" 말고)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작성자 비밀번호 레이아웃이 깨져요
_app.js에 글로벌 적용시켜서 전체 레이아웃은 잡았는데 작성자랑 비밀번호 구역이 들어가는 부분에서 justify-content: space-between; 명령어가 먹질 않아요ㅠㅠ뭐가 문젠가 해서 justify-content: center 해봐도 먹히지않아 문제가 다른곳에 있는것같은데 도통 알수가 없습니다..아래에 코드 첨부합니다ㅠ index.jsemotion.js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useState 사용 질문
기초질문이지만 명확하게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 (완전 초보입니다.. ㅠㅠ)Calculator function에서 temperature,scale 선언시에 useState()로 받는것은 재사용방지를 위한 hook을 사용하는 것인가요 ˀ̣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Digit 뒤에 reference를 사용하는 이유
안녕하세요.2분 10초에 prefix operator 만드실때요.Digit뒤에 &를 사용하셨잖아요.Digit&는 return type을 의미하는 것일텐데 *this는 포인터 아닌가요?이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고민하다가 &를 빼봤는데 잘 작동하더라구요. 왜 &가 없어도 잘 작동이 되는걸까요?추가적으로 질문이 하나가 있는데요.코딩공부를 하다보면 반복되는 문장들이 있잖아요.이번에 배우고 있는 연산자 오버로딩들을 보면 구조가 어느정도 정해져있고 내가 필요에 따라 조금만 바꿔가며 사용하면 되는 것 같은데요.초보가 이런 부분을 공부할 때 하나하나 이해를 해가며 공부를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마치 영어 문장 외우듯이 'prefix는 자기자신을 return하니까 &가 붙어야하고 postfix는 자기자신을 return하는건 아니니까 &가 없어도 돼'라고 외워버려도 괜찮을까요?모든 부분을 하나하나 이해하고 넘어가면 제일 좋겠지만 시간적으로 조금 낭비 같다는 생각도 들어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FireBase 익명로그인 실패
강사님 말씀대로 했는데 익명 로그인 부분에서 else(익명로그인 실패)부분이 뜨네요
-
미해결CCNA - Cisco Certified Network Associate (200-301) 자격증 과정
일시정지 기능이 있나요?
개인사정상 2주일 ~ 한달정도 일시정지를 하고싶은데 따로 신청하는 방법이 있나요?
-
미해결Vue3 완벽 마스터: 기초부터 실전까지 - "기본편"
컴포넌트 이벤트 전파 관련 질문입니다
컴포넌트에서는 이벤트 전파가 안 일어나나요?예를들어 <부모 컴포넌트 @test = "함수1"> <자식 컴포넌트 /> </부모 컴포넌트> 일때 자식.vue의 자식 컴포넌트가 context.emit('test')로 이벤트를 보내면 자식.vue에서 <자식의 자식 @test = "this.$emit('test')/> 안 하고 그냥 <자식의 자식 /> 으로 따로 이벤트를 emit 안해주면 부모.vue의 함수1 이 실행 안되나요?
-
미해결
IntelliJ에서의 빌드 오류
제가 Java 11 버전을 다운받고 환경변수도 다음과 같이 설정했습니다, Spring Boot는 다음과 같이 설정했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IntelliJ에서 실행해보았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뜹니다. 강의 출처는 김영한 선생님의 프로젝트 만들기입니다... 이거 어떻게 해결해야 될까요...? ㅠ ㅡ ㅠ
-
미해결유니티 머신러닝 에이전트 완전정복 (기초편)
using Unity.MLAgents; 오류
이 오류는 어떻게 해결하나요?구글링 해서 어셈블리를 추가한다고 봤는데 어떤 것을 추가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프로젝트로 배우는 React.js
Cancel 버튼
안녕하세요. 수정페이지 폼 4 강의에서Cancel 버튼 클릭 시 goBack 함수에서 사용하신const goBack = () => { if (editing) { navigate(`/blogs/${id}`); } else { navigate('/blogs'); } };대신에const goBack = () => {navigate(-1);}-1 로 뒤로가기를 하면 문제점이 있을까요?
-
미해결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
맥 텍스트 스타일 복사
맥에서 텍스트 스타일 복사 단축키가 안먹는 이유는 뭘까요? 원래 option+command+ c/v 아닌가요?
-
미해결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static-pod.yaml 생성 후 에러 발생
GCP 에 가상 머신으로 환경 만들어서 하고 있습니다.여기서 static-pod.yaml 생성 후 kubectl get pods 했을 때 에러가 나옵니다.방화벽에서 포트 오픈 해야 되나요? 그 전 시간 까지는 에러가 없이 잘 됐었습니다..확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강의에서 배운 상품 CRUD를 RESTAPI 로 바꾸기
강의에서 배운 상품 CRUD를 RESTAPI로 바꿔보고 싶은데, 이게 해볼만한 시도일까요? 참조할만한 자료가 있을까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C 문제 저는 왜 런타임 에러가 날까요..
안녕하십니까 항상 잘보고있습니다!!2-C문제를 풀면서 큰돌님과 똑같이 답안을 작성하였는데, 저는 왜 런타임 에러가 날까요.. 흑흑 분명 똑같은데 .. 몇번이고 비교해봤는데 뭐가 다른지 모르겠네요 ㅠㅠ #include<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a[101][101], visited[101][101], e[101][101], n, temp, ret = 1; int dy[4] = {-1, 0, 1, 0}, dx[4] = {0, 1, 0, -1}; void dfs(int y, int x, int d){ visited[y][x]=1; for(int i=0; i<4; i++){ int ny=y+dy[i]; int nx=x+dx[i]; if(ny<0 || nx<0 || ny>=n || nx>=n ) continue; if(!visited[ny][nx] && a[ny][nx]>d ) dfs(ny, nx, d); } return; } int main(){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cout.tie(NULL); cin>>n; for(int i=0; i<n; i++){ for(int j=0; j<n; i++){ cin>>a[i][j]; } } for(int d=1; d<101; d++){ fill(&visited[0][0], &visited[0][0]+ 101 * 101, 0); int cnt=0; for(int i=0; i<n; i++){ for(int j=0; j<n; j++){ if(a[i][j]>d && !visited[i][j]){ dfs(i, j, d); cnt++; } } } ret=max(ret, cnt); } cout<<ret<<'\n'; return 0;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application.yml url설정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요 부분에서 jpashop이 그냥 h2콘솔에서 설정한 이름이랑 서로 맞기만하면 되는건가요?아니면 처음 프로젝트를 생성할때 설정한 groupid나 artifactid랑 맞춰야 하는건가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N:M 등록 / 조회 API
query{ fetchProduct(productId:"7967c808-532f-48e8-87b7-4f4536ab1903"){ id name description price isSoldout productSaleslocation{ id address addressDetail lat lng meetingTime } productCategory{ id name } productTags{ id name } } } { "errors": [ { "message": "Cannot return null for non-nullable field Query.fetchProduct.", "locations": [ { "line": 2, "column": 3 } ], "path": [ "fetchProduct" ], "extensions": { "code": "INTERNAL_SERVER_ERROR", "exception": { "stacktrace": [ "Error: Cannot return null for non-nullable field Query.fetchProduct.", " at completeValue (C:\\Users\\enter\\OneDrive\\바탕 화면\\agarang-camp\\19-01-typeorm-crud-many-to-many\\node_modules\\graphql\\execution\\execute.js:594:13)", " at C:\\Users\\enter\\OneDrive\\바탕 화면\\agarang-camp\\19-01-typeorm-crud-many-to-many\\node_modules\\graphql\\execution\\execute.js:486:9", " at 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96:5)", " at async Promise.all (index 0)", " at execute (C:\\Users\\enter\\OneDrive\\바탕 화면\\agarang-camp\\19-01-typeorm-crud-many-to-many\\node_modules\\apollo-server-core\\src\\requestPipeline.ts:501:14)", " at processGraphQLRequest (C:\\Users\\enter\\OneDrive\\바탕 화면\\agarang-camp\\19-01-typeorm-crud-many-to-many\\node_modules\\apollo-server-core\\src\\requestPipeline.ts:407:22)", " at processHTTPRequest (C:\\Users\\enter\\OneDrive\\바탕 화면\\agarang-camp\\19-01-typeorm-crud-many-to-many\\node_modules\\apollo-server-core\\src\\runHttpQuery.ts:436:24)" ] } } } ], "data": null } 똑같이 따라헀는데, fetchproduct 부분에서 왜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 것일까요? product.entity.ts 를 아래와 같이 nullable: true로 수정했는데도 플레이 그라운드에서 똑같은 에러가 나옵니다. ======================== import { Field, Int, ObjectType } from '@nestjs/graphql'; /* eslint-disable prettier/prettier */ // product.entity.ts import { ProductCategory } from 'src/apis/productCategory/entities/productCategory.entity'; import { ProductSaleslocation } from 'src/apis/productsSaleslocation/entities/productSaleslocation.entity'; import { ProductTag } from 'src/apis/productTags/entities/productTag.entity'; import { User } from 'src/apis/users/entities/user.entity'; import { Column, DeleteDateColumn, Entity, JoinColumn, JoinTable, ManyToMany, ManyToOne, OneToOne, PrimaryGeneratedColumn, } from 'typeorm'; @Entity() @ObjectType() export class Product { @PrimaryGeneratedColumn('uuid') @Field(() => String) id: string; @Column() @Field(() => String) name: string; @Column() @Field(() => String) description: string; @Column() @Field(() => Int) price: number; @Column({ default: false }) //시작시 디폴트값 @Field(() => Boolean) isSoldout: boolean; // soldedAt: Date // @Column({ default: false }) //시작시 디폴트값 // @Field(() => Boolean) // isDeleted: boolean; // @Column({ default: null }) //시작시 디폴트값 // @Field(() => Date) // DeletedAt: Date; @DeleteDateColumn() @Field({ nullable: true }) deletedAt: Date; @JoinColumn() @OneToOne(() => ProductSaleslocation) @Field(() => ProductSaleslocation) productSaleslocation: ProductSaleslocation; @ManyToOne(() => ProductCategory) @Field(() => ProductCategory) productCategory: ProductCategory; @ManyToOne(() => User) @Field(() => User, { nullable: true }) user: User; @JoinTable() @ManyToMany(() => ProductTag, (productTags) => productTags.products) @Field(() => [ProductTag]) productTags: ProductTag[]; } /*tag가 배열이다 그래프QL에서 배열은 양쪽으로 감싸는 게 배열이다. */ 위 product.enttity.ts를 수정한 이유는 DB에 deletedAt 컬럼이 null, userId 컬럼이 null로 되어 있어서 아래와 같이 추가해주었습니다. 그래도 똑같은 에러가 발생하네요. @Field({ nullable: true }) deletedAt: Date; @ManyToOne(() => User) @Field(() => User, { nullable: true }) user: User;
-
미해결실전! Querydsl
join()를 작성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join을 해주는데 join()을 써주는 이유
join()를 작성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join을 해주는데 join()을 써주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Test public void group() { List<Tuple> result = queryFactory .select(member.team.name, member.age.avg()) .from(member) // .join(member.team, team) .groupBy(member.team.name) .fetch(); Tuple teamA = result.get(0); Tuple teamB = result.get(1); assertThat(teamA.get(member.team.name)).isEqualTo("teamA"); assertThat(teamA.get(member.age.avg())).isEqualTo(15); //10, 20 assertThat(teamB.get(member.team.name)).isEqualTo("teamB"); assertThat(teamB.get(member.age.avg())).isEqualTo(35); //30, 40 }제가 위와 같이 코드를 수정하여 돌려봤는데 테스트를 잘 통과하였고 생성된 sql에서도 join을 자동으로 해주었습니다. 따로 join()을 쓰신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이렇게 풀어도 괜찮나요?
선생님.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제가 맥환경이라 채점이 안되서요예시문제 값에 대한 출력값은 정상적으로 나오는데, 혹시 반례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