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게임을 만들기 전에 서버공부부터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캐쥬얼 싱글 게임을 만드려고 하는 뉴비입니다. 강의수강중에 서버에 관련한 질문을 보다가 저도 비슷한 궁금증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싱글 게임에는 굳이 서버가 필요 없다고 하셨는데요 그래도 플레이팹이나 파이어베이스같은 서버를 붙히고 싶습니다!1. 유저 데이터를 서버에서 받아서 여러 기기에서 플레이해도 설정값 등등을 불러올수 있도록2. 주기적으로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값과 서버의 데이터값을 비교해서 동기화3. 인게임 재화를 이용한 상자에서 나오는 아이템들을 처리하는 함수등등 중요한 데이터를 서버에서 호출4. 우편함 시스템 등등위와 같은 기능들을 서버로 구현해서 보안도 향상시키고 일부 편의 기능들도 추가하고싶어요. 그런데 제가 서버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다는게 문제입니다 : (그래서 지금 당장 서버공부 부터 시작을 해야할까요? 게임을 만들다가 추후에 서버를 붙히려고 하면 기존의 코드를 전부 수정해야한다던지 하는 일이 일어나지는 않을까요..? (이부분이 제일 궁금합니다) 배움의 순서가 어느것이 맞는 것인지 게임을 만들면서 추후에 서버를 고려해도 괜찮은지 루키스님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Lock-Based Queue 병목현상 질문 드립니다.
Lock-Based Queue를 제작하여 테스트를 할 때 waitPop을 사용할 경우 sleep을 지우고 디버깅을 해보면 Queue 사이즈가 무한정으로 늘어납니다. Push를 한 번 Pop을 2번 돌려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제 스레드에서 사용할 시에는 sleep을 사용하지 않고 while문으로 돌리게 될텐데, wait를 쓰면 이렇게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걸까요? 이 현상을 해결할 방법은 없나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초급 중급 마무리한 학생입니다.. 파베관련 질문 하나만 받아주실 수 있을까요
코팩님 덕분에 초급 중급 강의 열심히 듣고 파베 듣고 있습니다.비록 강의와는 무관하지만.. 하루종일 구글링하다가 지쳐서 부득이하게 코팩님께 질문드립니다.죄송합니다.파베 cli로 연동하고 xcode 를 실행하면 위와같이 계속 Module 'firebase_core' not found에러가 납니다. pod 재설치도 해보고 수동으로도 연동해보고 별짓 다해봐도 안되네요... 도움좀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저거 Module 'firebase_core' not found이 에러만 나는 게 아니라 등록한 firebase package 전부다 인식이 안되는 듯 합니다...
-
미해결처음하는 딥러닝과 파이토치(Pytorch) 부트캠프 (쉽게! 기본부터 챗GPT 핵심 트랜스포머까지) [데이터분석/과학 Part3]
딥러닝으로 Regression 문제 적용해보기 (House Price Kaggle 문제) 질문입니다
해당 강의 11:25 에서standardScaler()를 X_train과 X_test에 적용을 시키는데 결과값인 y_train에는 결국 SalePrice를 구하기위해서 standardScaler()를 적용시키지 않는다고 이해를 했습니다. 여기서 질문이, 그럼 standardScaler()는 주로 input 데이터들(ex - X_train과 X_test 등) 에만 적용을 시키고 결과값(y_train 등)에는 적용을 잘 안시키나요?
-
미해결[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수업 내용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http.createServer(async (req, res) => { try { if (req.method === 'GET') { if (req.url === '/') { const data = await fs.readFile(path.join(__dirname, 'restFront.html'));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turn res.end(data); } else if (req.url === '/about') { const data = await fs.readFile(path.join(__dirname, 'about.html'));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return res.end(data); } else if (req.url === '/users')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harset=utf-8' }); return res.end(JSON.stringify(users)); } // /도 /about도 /users도 아니면 try { const data = await fs.readFile(path.join(__dirname, req.url)); return res.end(data); } catch (err) { // 주소에 해당하는 라우트를 못 찾았다는 404 Not Found error 발생 } restFront.js , restFront.css 등을 받아오는 try 부분에서강의에는 const data = await fs.readFile(`.${req.url)`);로 수업하셨는데책과 깃헙예제에는 const data = await fs.readFile(path.join(__dirname, req.url)); 로 되어있어가지구요1. .${req.url}에서 백틱과 .은 꼭 쓰여야 하는건지랑2. 책의 예제코드에서 __dirname의 경로는 restServer.js가 있는 위치가 기준이 되는건지 질문드립니다. else if (req.method === 'POST') { if (req.url === '/user') { let body = ''; // 요청의 body를 stream 형식으로 받음 req.on('data', (data) => { body += data; }); // 요청의 body를 다 받은 후 실행됨 return req.on('end', () => { console.log('POST 본문(Body):', body); const { name } = JSON.parse(body); const id = Date.now(); users[id] = name; res.writeHead(201, {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 res.end('등록 성공'); }); } } return req.on('end', () =>{}) 에서 'end'라는 이벤트가 어느 부분에서 발생해서 저기 들어가는건지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BoardWrite.presenter의 작성자 input 값의 defaultValue
BoardWrite부분의 presenter의 작성자 부분에defaultValue값에 자꾸 오류가 떠서 문의드립니다.비밀번호나 내용부분과 같이 다른 input창의 defaultValue에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데 왜 유독 작성자 부분에만 에러가 뜨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멘토님 파일에는 이전시간에 배우지 않았던 readOnly부분이 추가되어있고 defaultValue값도 수정되어있더라구요! readOnly에 대한 부분은 구글링을통해 왜 쓰는지는 알았지만 뒤에 {!!props.~~} 왜 이렇게 선언하는지와,defaultValue부분에 || "" 부분이 왜 들어가는지 모르겠습니다ㅠ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여 초보적인 질문드려서 죄송합니다..Configuration ProxyBeanMethods 값을 false 를 주면 호출 할때마다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게 되는데.. 다시 말해 싱글톤임을 보장 받을수 없게 되는걸로 이해하였습니다. 아마 false주는 경우는 없을듯합니다만 혹시 사례가 있을까요?'굳이' 라는 말을 강의에서 계속 하셔서 사례라고 하면 생각해봤을때 싱글톤의 단점인것을 보안하기 위해 사용되는건지? 아니면 성능적인것 때문에 그런지 궁금합니다.마지막 내용에 spring 에 실제 사용된 내용으로 봤을떈, 단순한 Configuration 일땐 false를 주면 될듯한데. 디테일한 사례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localhost:8080/hello시 whitelabel error 발생
localhost:8080/hello 로 접속할시 whitelabel error 발생합니다!@ServletComponentScan 붙이고war인것도 확인했지만콘솔에도 찍히지 않는 상황입니다!어떤곳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ㅠㅠ현재 helloServlet과 ServletApplication의 상태입니다!package hello.servlet.basic; import jakarta.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karta.servlet.annotation.WebServle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java.io.IOException; @WebServlet(name = "helloServlet", urlPatterns = "/hello") public class Hello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ystem.out.println("HelloServlet.service"); } } package hello.servle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ServletComponentScan; @ServletComponentScan //서블릿 자동 등록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Servlet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ServletApplication.class, args); } }현재 폴더 구조입니다!
-
해결됨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캐시의 설정 주체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와 질문답변 항상 감사합니다. 캐시랑 쿠키 -> 서버, 프런트 개발자(브라우저가 개발자 이외 서비스 개발자들) 가 구현하지 않아도 브라우저(크롬 등) 에서 자동으로 설정이 기본적으로 되어 있나요?예를 들어, 브라우저의 캐시 저장소에 캐시를 저장한 클라이언트가, 재요청을 할 때에 먼저 캐시 저장소를 찾잖아요? 이런 로직은 브라우저 소프트웨어(크롬 등) 이 구현해 놓은 건가요? 역시 비슷한 질문으로, 캐시 무효화와 같은 Cache-Control: no-cache 등을 서버에서 내려주면 프런트에서는 브라우저? 또는 프런트 개발자 ? 스토리지에 저장을 하지 않도록 로직을 설정하는 주체가 어딘가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B BFS 시간초과질문
1012 BFS로 풀어봤습니다. 시간초과가 나는데,이유를 모르겠습니다. 12%에서 시간초과가 나와서 백준 질문 게시판도 확인했지만, 해당 위치에서 반례또한 제대로 답이 나왔습니다.어떤 점이 문제인지 알고 싶어 질문 남깁니다.항상 좋은 가르침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급 SQL
작성한 코드가 그대로 나올 떄
.작성한 코드가 아래와 같이 그대로 인쇄되어서 나옵니다. 해커랭크 자체 오류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기본 실습에서 /log-test 주소가 WhiteLabelError가 뜹니다.
↑ 되는 경로↑ 안되는 경로밑에 분과 동일한 증상을 겪었는데 저같은 경우는 데스크탑 바로 밑에 프로젝트 경로를 옮기면 실행이 되고 데스크탑 하위 다른 디렉토리에 프로젝트를 넣어서 실행하니까 안되더라구요.다른 친구한테도 부탁해서 해봤었는데 동일한 조건에서 안되더라구요,,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들은 다 바탕화면 밑에 하위 디렉토리를 만들어서 진행했을 때 이런 문제가 없었는데 이 프로젝트만 유독 왜 이런 문제가 생길까요??당장에 프로젝트가 되는 상황이긴 하나 이런 문제가 다시 발생하면 안될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
해결됨실습으로 끝장내는 웹 크롤링과 웹 페이지 자동화 & 실전 활용
셀레니움으로 네이버를 열고나서 갑자기 data;라는 주소로 바뀌고 내용이 사라집니다.
현재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자꾸 에러뜨는게 있어서 구글링하면서 2줄이 추가되었네요.options = Options() ## ERROR:device_event_log_impl.cc(218) 방지코드 options.add_argument('--no-sandbox') options.add_experimental_option("excludeSwitches", ["enable-logging"]) ## 화면 창 유지해주는 코드 options.add_experimental_option("detach", True) 그런데, 네이버 창이 떠서 잠시 머물다가 창이 꺼지진 않고 이렇게 바뀝니다.주소가 data; 내용은없음..무엇이 문제일까요. 구글링해도 잘 못찾겠네요.
-
미해결바닥부터 시작하는 STM32 드론 개발의 모든 것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하는 모터 납땜시 요령 !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하는 모터 납땜시 전선을 꼬아가면서 납땜하면 어려운것 같습니다. 모터를 뒤집어서 전선을 최대한 직선이 되도록 만든상태에서 납땜한 이후에 모터를 뒤집어 주면 편하더라구요.
-
미해결
model.evaluate(x_test, y_test)
모델 평가에서 model.evaluate(x_test, y_test)를 사용했습니다.그런데 저는 출력 값으로 정답률과 loss가 리스트 형식으로 출력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결과가 자꾸 loss값 하나로만 나옵니다.혹시 어떤 이유일까요..??
-
해결됨실습으로 끝장내는 웹 크롤링과 웹 페이지 자동화 & 실전 활용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webdriver' from partially initialized module 'selenium' 에러
A 폴더 안에 있는 B폴더에서 셀레니움 실습하던게 있었는데, 여기서는 자동설치 코드로 실행이 잘 되는데요,A폴더 안에 C폴더에서 이번 강의들으면서 실행하려고 하니 아래 에러가 발생합니다..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 (base) C:\Users\jyjcj\PycharmProjects\webcrawling>C:/Anaconda3/python.exe c:/Users/jyjcj/PycharmProjects/webcrawling/kimple_inflearn/selenium_exercise/selenium.py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Users\jyjcj\PycharmProjects\webcrawling\kimple_inflearn\selenium_exercise\selenium.py", line 14, in <module>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File "c:\Users\jyjcj\PycharmProjects\webcrawling\kimple_inflearn\selenium_exercise\selenium.py", line 14, in <module>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webdriver' from partially initialized module 'selenium' (most likely due to a circular import) (c:\Users\jyjcj\PycharmProjects\webcrawling\kimple_inflearn\selenium_exercise\selenium.py)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영속쿠키 질문입니다.
사용자가 로그아웃을 하면, 브라우저의 쿠키와 서버의 세션이 모두 삭제되고쿠키는 브라우저(클라이언트), 세션은 서버에서 관리하는 정보라고 알고 있습니다.다른분의 답변에서 Spring boot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1800s(초)로 세션이 지속된다고 되어있고,따로 특성을 관리하는 파일에서 다르게 설정해주면, 해당 시간을 늘리는 것도 줄이는 것도 가능합니다. 보통 세션의 지속시간은 그 시간이 지나면 바로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maxIntervalTimout 이라고 해서 세션을 사용하지 않은 시간, 즉 특정 세션값을 마지막으로 사용한 시점으로 부터 어느정도 지나면 지운다는 의미입니다.라고 되어있는데 그러면 B사이트에서 A 사용자의 영속쿠키를 일주일로 설정을 했다고 가정을 하면 A는 로그아웃이나 브라우저를 종료하고 3일동안 B사이트의 안들어오면 쿠키는 남아있고 세션은 지속시간이 끝났으니까 A 사용자의 영속쿠키에 대한 세션 ID를 삭제했다가A가 4일만에 그 사이트에 재방문시 A 사용자의 영속쿠키에 대한 새로운 세션 ID를 발급해주는 건가요?? 답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메모리 주소 10진수로 출력
안녕하세요 c++입문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강의 6:35 부근에서 array element의 주소값을 출력하기 위해 &를 입력하였고, 이렇게 되면 16진수 형태로 주소가 출력됩니다. 또한int array[num_rows][num_columns] = { {1,2,3,4,5}, // row 0 {6,7,8,9,10}, // row 1 {11,12,13,14,15}, // row 2 };로 상단에 선언된 상태입니다.10진수 형태의 주소값을 출력하기 위해 & 앞에 (int)를 붙였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Error] cast from 'int*' to 'int' loses precision [-fpermissive]이전 강의에서도 메모리 주소를 출력하는 예제가 있었는데, 그때에도 같은 오류가 발생했었습니다.(size_t)&(array[0])(size_t)&(array[1])(size_t)&(array[2])...이렇게 (int) 대신 (size_t)를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4byte단위로 메모리 주소가 10진수 형태로 출력되는데, (int)만 사용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원인을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협상(accept-language)
안녕하세요 친절한 강의와 질문 답변 항상 감사드립니다. Accept-language : ko-KR 등등(q값) -> 서버에서는 이 우선순위 등을 서버 개발자들이 파싱하나요? 아니면 브라우저에서 자동으로 구현이 되어 있나요? 실수로, 내보낼 때 content-language: ko 인데 내용은 영어로 (휴먼에러) 내보낼 수도 있는 것인가요? 이런 불일치가 있다고 해서 에러가 나거나 그럴 수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수동, 자동빈 중복 등록 시 테스트코드에선 오류가 나지 않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수동빈과 자동빈을 중복 등록할 때 테스트코드에서는 에러가 뜨지 않았지만 CoreApplication을 실행시켰을 때는 에러가 납니다. 선생님께서 이는 스프링부트를 사용했을 때 에러가 나게 해주기 때문이라고 하셨었는데, 그렇다면 테스트코드의 Junit에서는 스프링부트가 아닌 스프링을 사용했기 때문에 에러가 나지 않은 건가요? 저희가 스프링부트 환경에서 코드를 작성하고 있는데 Junit에서만 스프링을 쓰는게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