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재귀로 탐색 시 종료조건에 대한 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큰돌님! 풀이를 보기 전에 제 식대로 일단 풀어봤는데요통과한 코드https://www.acmicpc.net/source/56817951실패한 코드https://www.acmicpc.net/source/56817956두 풀이 모두 8 line의 dfs의 종료 조건을 제외하고 동일한 코드입니다.결과는 v==26에서는 실패하고 v==27에서 성공합니다.dfs(int v, int on)의 v는 v번째 알파벳을 킬것인지 끌것인지 여부인데요, 제 생각에는 0~25까지 a부터 z를 담당하기 때문에 v==26 이 되면, 0~25까지 킬 것인지 끌것인지를 모두 확인했기 때문에, 그 때 종료를 시켜야 할 것 같은데v ==26에서는 풀이가 실패하고 v==27일 때 풀이가 통과해서 제 예상과는 다르게 동작합니다.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성공적인 진짜 iOS 개발자 되기 [기초부터 실무까지]
맵 랜드마크 영상 잘림 확인부탁드립니다
맵 랜드마크 영상 Search Controller 파트 내용 중 앞부분이 전 영상과 이어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서치 테이블뷰 작성 내용없음)앞 부분이 짤린 걸까요?
-
미해결[2025년 출제기준] 웹디자인기능사 실기시험 완벽 가이드
box-sizing을 전체선택자에 주면 안되나요
다음과 같이 box-sizing을 전체선택자에 줄경우크롬에선 적용이 되고엣지에선 적용이 안되는데*{ margin: 0;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각 div 영역에 box-sizing:border-box줄때는 됩니다.) 웹디자인 기능사에선 크롬,엣지,익스플로러(이제 익스플로러는 퇴출이겠지만..?) 동일하게 출력되어야 할거 같은데.... 결론적으로 전체선택자에 box-sizing:border-box를 주면 안되는걸까요?아래 캡처화면은 크롬과 엣지에서 실행시킨 결과입니다.엣지 화면 크롬 화면 전체 코드입니다.<!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link rel="stylesheet" href="css/style.css">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header> <div class="logo"> </div> <nav> <ul> <li>menu1</li> <li>menu2</li> <li>menu3</li> <li>menu4</li> </ul> </nav> </header> <div class="slide"> <div></div> </div> <div class="items"> <div class="notice"> </div> <div class="banner"> </div> <div class="link"> </div> </div> <footer> <div class="logo2"> </div> <div class="copyright"> </div> <div class="sns"> </div> </footer> </div> <!-- <script src="https://code.jquery.com/jquery-3.6.3.min.js" integrity="sha256-pvPw+upLPUjgMXY0G+8O0xUf+/Im1MZjXxxgOcBQBXU=" crossorigin="anonymous"></script> --> <script src="script/jquery-1.12.4.js"></script> <script src="script/custom.js"></script> </body> </html> *{ margin: 0;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 .container{ border: 1px solid hotpink; width: 1200px; height: 700px; margin: auto; } header{ width: 1200px; height: 100px; border: 1px solid green; } header .logo{ width: 200px; height: 100px; border: 1px solid yellow; float: left; } header nav{ width: 600px; height: 100px; border: 1px solid blue; float: right; } header nav ul { } .slide{ } .slide div{ border: 1px solid green; height: 300px; } .items{ overflow: hidden; } .items div{ border: 3px solid purple; height: 200px; float: left; box-sizing: border-box; } .notice{ width: 500px; } .banner{ width: 350px; } .link{ width: 350px; } footer{} footer div{ border: 2px solid blue; height: 100px; float: left; box-sizing: border-box; } .logo2{ width: 200px; } .copyright{ width: 800px; } .sns{ width: 200px; }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axios.js 에 인스턴스를 만든 후 Banner.js 에 import 할 때 문의
안녕하세요!axios.js 에 인스턴스를 만들고 그 인스턴스를 export default instance; 로 export 해줬는데그렇다면 Banner.js 에서 가져와서 사용할 때import instance from "../api/axios"; 라고 가져와서 instance.get(requests.fetchNowPlaying);이런 식으로 사용하는게 맞지 않나 생각이 들어서 질문 드립니다.
-
해결됨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2023.03.04 기준] 프론트앤드 빌드 방법 정리
해당 강의 프론트앤드 빌드 방법 정리합니다.강의 그대로 따라할 시에 제가 구성한 환경에서는 에러가 지속적으로 발생했습니다.에러 정보: Error: error:0308010C:digital envelope routines::unsupported환경 정보OS: MacOS Ventura 13.3 베타npm, npx version: 9.5.0node version: v18.14.2이에 따른 해결 방법 정리해봅니다. :)강의에 있는 git 프로젝트를 clone 한다.frontenddev 폴더 접근package.json 파일을 아래와 같이 작성 (dependencies 에서 antd 는 4.24.0 버전, 그 외는 2023.03.04 기준으로 최신 버전입니다. )frontenddev 폴더에서 sudo npx @next/codemod new-link . 을 실행한다.components/layouts/AccountForm.tsx 파일에서 <Link href="/signup"> 을 <Link href="/signup" legacyBehavior> 으로 변경Error: Invalid <Link> with <a> child. Please remove <a> or use <Link legacyBehavior>. 해결하기 위함입니다.참고 블로그: https://steady-learner.tistory.com/entry/Nextjs-Error-Invalid-Link-with-a-child-Please-remove-a-or-use-Link-legacyBehavior-%EC%98%A4%EB%A5%98npm i 후 npm run dev 하면 실행 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미해결
독립변수 값(조합) 예측 방법
안녕하세요회귀분석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보통 독립변수들을 가지고 종속변수를 예측을 하는데제가 궁금한 것은 특정 종속변수의 값에 해당하는 독립변수들의 값(조합)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예를들어 x1~x5가 있고 y가 있을 때x1 x2 x3 x4 x5 y10 32 25 10 30 33........이렇게 보통 데이터가 구성이 되는데 제가 알고 싶은것은 아래의x1 x2 x3 x4 x5 y 25y : 25라는 값을 예측하기 위해 x1~x5값을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방법론 적인 부분에서 알고 싶습니다
-
해결됨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자바의 메소드 (Method), return, 전달 값(Parameter)가 갑자기 헷갈립니다...ㅎ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제가 메소드 (Method), 전달 값 (Parameter), return 개념을 공부하는 도중, 갑작스레 개념이 헷갈려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나도코딩 자바편에 나온 동영상 강의와 함께, 커뮤니티에도 등록된 글을 보면서 다시 한 번 복습을 하고 있는데요...ㅎString getAddress(){ return "서울시 어딘가"; }이제 전달 값, 그러니까 Parameter가 없는 메소드인 경우, 그냥 위와 같이 return으로 문장을 출력하는 반면에, 갑작스레 parameter와 return이 함께 있는 메소드가 헷갈리더라구요...ㅎ(반환 타입) 메소드 이름 (전달값1, 전달값2, ...) { 반환 값 선언 // 예시 : int result = 0 // 메소드가 수행하는 여러 명령문들 수행 동작 1; // 괄호 안의 전달 값들을 사용 및 동작 수행 수행 동작 2; // 전달 값1, 2들을 이용하여 수행 2 수행 동작 3; // 전달 값1, 2들을 이용하여 수행 3 ... return 반환 값; // return result - 결과 값 반환 }int add (int x, int y) { int result = x + y; // 이미 int result = 0;을 내포함 return result; }제가 위의 메소드들에서 이해 한 부분은 (혹시 몰라서 다른 예시도 들고 왔습니다..ㅎ), void를 제외한 나머지 자료형 타입 (String, int 등...)들은 return을 가지고, 이 때 return을 하는 것은 반환 값이 되는데, 여기서 return 반환 값은 이미 이전에 괄호 안의 전달 값들을 이용하여, 수행 동작들을 마친 다음 반환 값을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게 맞을까요? 이렇게 메소드가 수행 된 다음엔, main 메소드에서 참조변수를 통해 수행되는 과정으로 최종 결과를 출력하는 거구요...ㅎ 이렇게 이해하는게 올바르게 이해 한 것일까요?(반환 타입) variable = 메소드 이름(); System.out.println(variable);System.out.println();을 쓰는게 일반적이진 않지만, (다른 메소드를 불러서 처리하거나, 아니면 메소드 안에 이미 print문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제 스스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일련의 과정을 위에 나온 것처럼 제 나름대로 정리해봤습니다. 또한 프로그래밍 공부를 계속하면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언어(OOP)의 기초 부분에서 가끔 헷갈릴 때가 있는데 (평상시에는 잘 씀에도 불구하고,) 그 때 마다 좋은 답글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어려운 Java 프로그래밍 공부 잘 헤쳐 나가고 있습니다 :) 다시 한 번 감사합니다 :)
-
해결됨Next.js 시작하기(feat. 지도 서비스 개발)
질문좀 드릴께요 지도
안녕하세요 선생님 혹시 지도는 구글지도를 이용해서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수강신청했습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1.9강
따라했는데 다르게 나와요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조건문
function solution(c, arr) { let answer = 0; let n = arr.length; function DFS(L, sum) { //if (sum > c) return; if (L === n) { console.log(sum); if (sum <= c) { answer = Math.max(answer, sum); } } else { DFS(L + 1, sum + arr[L]); DFS(L + 1, sum); } } DFS(0, 0); return answer; } let arr = [81, 58, 42, 33, 61]; console.log(solution(259, arr));강사님, 저는 동영상 보지 않고 혼자 풀었을 때, if(sum > c) return 대신에,if(L === n) 만에 if(sum <= c) 조건을 넣어서 풀었는데, 그래도 답은 나오더라구요. 이렇게 하면 sum이 c보다 큰 수의 경우도 포함되어서 확인하기는 하는데, 이렇게 풀어도 크게 차이는 없나요??
-
해결됨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API의 정의 질문
큰돌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학습 중에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 올립니다.API를 뭐라고 정의해야 될까요???큰돌님 강의 교안 19페이지에서는 API를 '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서로 통신하는 방법이자 컴퓨터 사이에 있는 중계 계층의 의미'라고 적어주셨는데요,강의 교안 185페이지 REST API 파트에서는API를 '소프트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적어주셨습니다.그 외에도, 인터넷으로 API의 정의에 대해 찾아보면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 규약'이라고 나오는 등 정의가 애매모호한 것 같습니다.기술면접에서 API에 대해서 질문이 들어올 경우, 어떻게 답하는게 가장 깔끔할까요?? 아니면, 어떻게 답해도 상관이 없을까요???
-
해결됨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REST API의 URI규칙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파트의 REST API 강의 내용 수강 중 문의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설명해주신 내용 중에 'Uniform-Interface의 6개의 규칙'과 'URI 규칙 6가지'간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잘 이해가 안 되는데요,6개의 Uniform-Interface 규칙을 지켜서 URI를 만들었을 때의 'URI 생성 규칙'이 교안 187페이지에 나와있는 6가지 규칙이라는 게 맞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내장톰캣 서블릿 강의를 듣는 도중 문제가 생겼습니다.
[질문 내용] 내장톰캣 서블릿 강의 코드를 따라 작성하고 실행하는 도중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제가 따로 작성한 코드도 없고 그냥 파일생성과 붙여넣기만 했는데.. 실행이 안되네요.. Gradle 설정 문제인가 싶어 Setting에 default 를 Intellij 로 바꾼 뒤 다시 실행했더니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떴습니다. 그리고 영한님과 다르게 main 실행 후 디랙토리에 아래 사진과 같은 패키지가 생성되었습니다. 문제가 무엇일까요?
-
해결됨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토큰기반 인증방식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토큰기반 인증방식에 대한 내용 학습을 하다가 질문이 생겨서 문의드립니다.교안이나 강의 내용을 보면, stateless를 유지하기 위해서, 기본 서버 이외에 인증 서버를 따로 두어야 하는 것으로 같은데 맞나요??그냥 하나의 서버에서 인증과 다른 요청 처리를 같이 하더라도, 서버에 인증정보가 관리되는 것이 아니고, 토큰에서 관리가 되기에 인증 서버를 따로 마련하지 않더라도 서버가 stateless하게 관리되는 것 같아서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유니티6] 따라하면서 배우는 고박사의 유니티 하이퍼캐주얼게임 시리즈 01
여기서 래디안을 구하는 이유가 이해가 안갑니다.
안녕하세요 고박사님.제가 이 강의에서 모든 부분 다 이해가 갑니다. 근데 제가 게임수학 부분은 안해봐서 그런지, 삼각함수 쪽에서 좀 막혀서 따로 공부했는데, 타겟에 핀 배치할 때 왜 굳이 래디안을 구해야하는 지 이해가 잘 안가서 여쭤봅니다.실험으로 래디안 식 없이 돌려보니 핀 머리는 잘 배치가 되는데 막대기 부분의 위치와 로테이션이 잘못 배치돼더군요. 꼭 있어야하는 식인 것 같은데, 왜 그런지 이해가 안갑니다.이 부분만 설명 한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데이터 정합성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회원은 저장되지만, 회원 이력 로그는 롤백된다. 따라서 데이터 정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트랜잭션 전파 활용2 - 커밋, 롤백 강의 中) 라고 하셨는데 지금 이 강의에서도 결국엔 회원은 저장되고 회원 이력 로그는 롤백되니까 데이터 정합성이 해결된게 아닌가요..?
-
미해결반응형 웹사이트 포트폴리오(App Official Landing Website)
질문있습니다
사진과 같이 award-list 가 한화면에 한그룹씩 3개의 슬라이드를 구현하려고 하는데요 슬릭슬라이더 를 입력하니까 구조감이 깨져버립니다.어떤게 문제인지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section : award --> <section class="award"> <div class="award-inner"> <h3 class="title">AWARDS</h3> <div class="award-cont"> <ul class="award-list">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18 경상북도 건축문화상 최우수상<br> 2019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 </p> <span class="award-txt"> 다산면 행정복합타운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19 한국문화공간상<br> 2018 김해건축대상 대상 </p> <span class="award-txt"> 김해 서부문화센터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16 청주시 아름다운 건축상 은상 </p> <span class="award-txt"> 한국전력공사 충북본부 사옥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17 한국문화공간상<br> 2016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br> 2016 경상북도 건축문화상 대상 </p> <span class="award-txt"> 고령군 문화체육복지관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15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 </p> <span class="award-txt">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첨단교육연구복합단지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12 서울시 건축상 우수상 </p> <span class="award-txt"> 올림픽홀 복합문화공간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ul> <ul class="award-list">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11 경주시 건축상 금상 </p> <span class="award-txt"> 월성스포츠센터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11 제주건축문화대상 본상 </p> <span class="award-txt"> 한전 제주지사 사옥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13 경주시 건축상 금상 </p> <span class="award-txt">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환경친화단지 방문객센터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18 경상북도 건축문화상 최우수상<br> 2019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 </p> <span class="award-txt">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관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07 부산다운 건축상 우수디자인 건축물부분 동상<br> 2007 이원 환경 건축,조경대상 환경건축대상 </p> <span class="award-txt"> 신고리 원자력 지역협력시설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04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 </p> <span class="award-txt"> 서울대학교 이공계 멀티미디어 강의동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ul> <ul class="award-list"> <li class="list-item"> <p class="award-tit"> 2007 경상남도 건축대상 은상<br> 2005 대한민국 토목, 건축대상 최우수상 </p> <span class="award-txt"> 김해 문화의 전당 </span> <a href="#none"> <span class="read-more-btn"> <em>read more</em> </span> </a> </li> </ul> </div> </div> </section> /*css*/ /*section - award*/ .award-inner { margin: auto; padding: 130px 0 0; } .award-cont { width: 1300px; padding: 50px; margin: 0 auto; justify-content: center; } .award-cont ul { width: 1200px; height: 565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red; } .award-cont li { float: left; width: 33.3333%; height: 30vh; border: 1px solid blue; } /* Slick Slider : award */ $(document).ready(function(){ $('.award-list').slick({ dots: false, infinite: true, speed: 300, slidesToShow: 1, adaptiveHeight: true });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7강 Static inner class 사용 이유
7강에서 @GetMapping("hello-api") @ResponseBody public Hello HelloApi(@RequestParam("name") String name){ Hello hello = new Hello(); hello.setName(name); return hello; } static class Hello{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코드 중 궁금한 사항이 있어 문의드립니다.static inner class를 쓰는 이유 알 수 있을까요??그냥 innerclass와 접근 범위가 다르다는 것밖에 이해가 어려워서 조금만 더 잘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Vue3 완벽 마스터: 기초부터 실전까지 - "실전편"
route.path관련 질문
<template> <div> <h2>About Vue</h2> <p>{{ $route.path }}</p> </div> </template> <script setup> import { useRoute } from 'vue-router'; const route = useRoute; console.log('route.path', route.path); </script> <style></style> 똑같이 따라해봤는데 console창에 undifined가 뜨네요 원인이 있을까요??
-
해결됨SW 개발자를 위한 성능 좋은 SQL 쿼리 작성법
선생님 강의연장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정선 선생님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제가 해외 장기출장으로 국내에온지 얼마 안되었습니다.아래 두 강의는 3월17일에 만료되고 몰아서 보기 힘들것같은데 단기간이라도 연장이 가능하다면 부탁드릴게요.항상 감사드립니다.1)SW 개발자를 위한 성능 좋은 SQL 쿼리 작성법2)SQL Server 컨설턴트가 알려주는, 쿼리 능력 레벨업(고급 T-SQL 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