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Presentation Layer 테스트 (2) 질문있습니다.Presentation Layer 테스트 (2) 58:57에모듈을 분리해도 사실은 서비스 계층에서 BeanValidation을 책임상 하지 않는데의존하고 있기때문에 의존성을 계속 추가해야 한다. 이렇게 말씀해주셨는데 컨트롤러에서 전부 검증을 책임지지 않고특수 형태 Validation은 서비스 레이어나 도매인 객체 생성할때 검증한다고 하셨는데검증 로직을 스프링 AOP,스프링 Assert 로 구현을하면서비스 계층이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많이 의존하게 되는거 같아서요강사님은 어떤식으로 검증로직을 선호하시고, 선호하시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도커 mysql 연결 안되는 문제[section27] 08-06 도커 패키징 강의 관련 내용입니다.강의대로 똑같이 세팅하고 진행해보니, 빌드까지는 잘되지만 실행할 때 데이터베이스와 연결이 안되는 문제가 생깁니다.Unable to connect to the database, Retrying... 에러가 뜨는데, 강의에서 말씀하셨듯이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늦게 켜지는 문제라고 생각하고 계속 시도해도 똑같이 연결이 안됩니다.세부 에러메시지가 다른 걸 보니 다른 문제같은데, 구글링해서 mysql 세팅도 바꿔보고 코드도 바꿔보고 이것저것 다 해봤는데 안돼서 이렇게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의 실무를 위한 올인원 기본기 클래스강의 자료 링크강의 자료 링크가 동작이 안되는데 확인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서비스 계층의 테스트 범위에 대해서//CommunityCommandService.java public void updateCommunity(Long communityId, String description, List<String> newTags) { Community community = communityRepository.findCommunityById(communityId); community.updateCommunity(description, newTags); }만약, 이런 코드가 있다고 하면Service는 데이터를 받고 Community 클래스에게 실제 데이터 변경을 위임합니다. //Community.java public void updateCommunity(String description, List<String> tags) { this.description = new Description(description); this.hashtags.updateTags(tags, this); } Service 클래스를 테스트할 때상태검증으로 테스트한다면,//CommunityCommandService.java @Test void 상태검증_테스트() { community = new Community("dummy Intro", List.of("dummy tag")); given(communityRepository.findById(any)).willReturn(community); communityCommandService.updateCommunity("new intro", List.of("new tag")); assertThat(community.getIntroduce).isEqualTo("new intro"); assertThat(community.getTags).containsExactly("new tag"); }이렇게 테스트하게 됩니다.사실 데이터의 변경 자체는 CommunityTest에서 테스트 하였습니다.//CommunityTest.java @Test void updateCommunity() { final Community community = TestCommunity.builder().build(); community.updateCommunity("커뮤니티 소개란 입니다.", List.of("태그1", "태그2")); assertThat(community.getHashtags()).extracting("tag").containsExactly("태그1", "태그2"); assertThat(community.getDescription()).isEqualTo("커뮤니티 소개란 입니다."); } 이렇게 되면 CommunityCommandService에서 내부 Community.updateCommunity를 중복적으로 검증하는게 아닌지 생각이 듭니다.객체지향 관점에서, Service는 Community에게 위임하여 상태를 변경시킵니다.실제 내부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했는지에 집중하는게 아니라, 객체에게 위임했는지 여부에 좀 더 초점을 맞춰야하는 걸까요? (verify를 통해서) 질문저는 사실 상태검증을 더 좋아합니다. 상태검증을 사용한다면 위와 같은 중복검증이 발생하게 되는걸까요? 객체지향의 관점에서 보면 사실 verify를 통해서 호출여부를 판단하는게 더 좋아보입니다. 다만, 상태검증을 위해서라면 위와 같이 중복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피할 수 없는건가요?강사님의 경우, 상태검증을 할 때 위와같이 Community 로직을 다른 곳에서 테스트하였다고 해도, Service에서 다시 테스트하나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Persistence 계층 단위테스트를 어디까지 하는게 맞을까요?@DisplayName("상품 번호 리스트로 상품목록을 조회하기") @Test void findAllByProductNumberIn(){ //given Product product1 = createProduct("001", 1000); Product product2 = createProduct("002", 3000); Product product3 = createProduct("003", 5000); productRepository.saveAll(List.of(product1, product2, product3)); //when List<Product> findProducts = productRepository.findAllByProductNumberIn(List.of("001", "003")); //then assertThat(findProducts).hasSize(2) .extracting("productNumber","price") .containsExactlyInAnyOrder( tuple("001",1000), tuple("003",5000) ); }1.데이터 계층은 유효한 상품 번호 리스트만 넘어왔다는 전제로만 테스트를 해도 충분한가요?유효하지 않은 상품번호는 검증 로직에서 걸러졌다고 생각하고 테스트를 한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DisplayName("미등록된 상품 번호 리스트로 상품목록을 조회하기") @Test void findAllByProductNumberIn(){ //given Product product1 = createProduct("001", 1000); Product product2 = createProduct("002", 3000); Product product3 = createProduct("003", 5000); productRepository.saveAll(List.of(product1, product2, product3)); //when List<Product> findProducts = productRepository.findAllByProductNumberIn(List.of("004", "005")); //then assertThat(findProducts).hasSize(0); } 2.JpaRepository가 제공하는 기본 save,findAll 등도개발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올바르게 저장 되었는지, 조회가 되었는지 테스트도실무에서는 작성하시나요 ?아니면 이미 만들어진 코드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테스트 코드라 생각해서넘어가는지 궁금합니다. @DisplayName("주문 생성시 상품 리스트에서 주문의 총 금액을 계산한다.") @Test void calculrateTotalPrice(){ //given List<Product> products = List.of( createProduct("001", 1000), createProduct("002", 2000) ); //when Order order = Order.create(products, LocalDateTime.now()); //then assertThat(order.getTotalPrice()).isEqualTo(3000); } private Product createProduct(String productNumber, int price) { return Product.builder() .type(HANDMADE) .productNumber(productNumber) .price(price) .sellingStatus(SELLING) .name("메뉴 이름") .build(); } @DisplayName("주문 생성시 주문 상태는 INIT 이다.") @Test void init(){ //given List<Product> products = List.of( createProduct("001", 1000), createProduct("002", 2000) ); //when Order order = Order.create(products, LocalDateTime.now()); //then assertThat(order.getOrderStatus()).isEqualByComparingTo(OrderStatus.INIT); } @DisplayName("주문 생성시 등록시간을 기록한다.") @Test void registeredDataTime(){ //given LocalDateTime registeredDateTime = LocalDateTime.now(); List<Product> products = List.of( createProduct("001", 1000), createProduct("002", 2000) ); //when Order order = Order.create(products, registeredDateTime); //then assertThat(order.getRegisteredDateTime()).isEqualTo(registeredDateTime); }Order.create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때엔각각 필드 초기화를 단위테스트를 진행했는데, @DisplayName("주문번호 리스트를 받아 주문을 생성한다.") @Test void createOrder(){ LocalDateTime registeredDateTime = LocalDateTime.now(); Product product1 = createProduct(HANDMADE, "001", 1000); Product product2 = createProduct(HANDMADE, "002", 3000); Product product3 = createProduct(HANDMADE, "003", 5000); productRepository.saveAll(List.of(product1, product2, product3)); OrderCreateRequest request = OrderCreateRequest.builder() .productNumbers(List.of("001", "002")) .build(); OrderResponse orderResponse = orderService.createOrder(request, registeredDateTime); assertThat(orderResponse.getId()).isNotNull(); assertThat(orderResponse) .extracting("registeredDateTime","totalPrice") .contains(registeredDateTime,4000); assertThat(orderResponse.getProducts()).hasSize(2) .extracting("productNumber","price") .containsExactlyInAnyOrder( tuple("001",1000), tuple("002",3000) ); }createOrder 테스트 코드는 같이 검사를 했습니다.3.각 초기화를 해주는 정적 매서드를 테스트 코드로 작성을 했는데Order.create 테스트 코드는 필드마다 분리를 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createOrder 테스트 코드는 같이 검사를 했습니다.또 강의에는 없지만 ProductResponse.of 정적 메서드로도 초기화를 했는데따로 분리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OrderServiceTest의 createOrder()에서 같이 테스트 코드에 포함되었습니다.테스트 코드를 분리하는 경우와 같이 검사하는 경우를 나누는 기준이 있을까요? 
- 
      
        
    미해결[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JoinColumn() 관련 오류@JoinColumn()@OneToOne(() => ProductSalesLocation)productSaleslocation: ProductSalesLocation; 코드가 들어가면 import { JoinColumn, JoinTable } from 'typeorm/browser'; 위 처럼 import가 되고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뜹니다. Join Column OneToOne 부분만 지우고 코드를 돌리면 잘 돌아가는데, 저것을 추가하는 순간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뜹니다.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16-01-mysql-relation2/node_modules/typeorm/browser/index.js:3import "reflect-metadata";^^^^^^SyntaxError: Cannot use import statement outside a module at internalCompileFunction (node:internal/vm:73:18) at wrapSafe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176:20) at Module._compile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218:27) at Object.Module._extensions..js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308:10) at Module.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117:32) at Function.Module._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958:12) at Module.require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141:19) at require (node:internal/modules/cjs/helpers:110:18) at Object.<anonymous> (/Users/hychoi/WebstormProjects/backend-study/class/16-01-mysql-relation2/src/apis/products/entities/product.entity.ts:3:1) at Module._compile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254:14)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tailwind css가 적용이 안돼요강의 보고 따라했는데 tailwind가 적용이 안되네요 뭐가 문제일까요? Hello world!에 밑줄이 그어져야 하는데 그대로예요.다른분이 하신 질문보고 거기 답변달린 방법들 해봤는데 계속 해결이 안되네요..시도한 방법tailwind.config.js 파일의 content 확인터미널에서 pakage.json에 dependencies 최신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기App.css 확인npm run start했던거 껐다가 다시켜기아래는 해당하는 파일들이예요.App.css에서 [Unknown at rule @tailwindcss (unknownAtRules)] 경고가 떴었어요 이게 문제일까요?근데 저 오류로 검색해보면 죄다 그냥 경고 무시하기 설정방법만 나오던데 다른 해결방법이 있는건가요?tailwind.config.js/** @type {import('tailwindcss').Config} */ module.exports = { content: ["./src/**/*.{html,js}"], theme: { extend: {}, }, plugins: [], }app.css@tailwind base; @tailwind components; @tailwind utilities; /*아래는 생략*/app.jsimport React, {useState} from "react"; import "./App.css"; import List from "./components/List"; import Form from "./components/Form";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todoData, setTodoData] = useState([]);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 const handleSubmit = (e) => { e.preventDefault(); let newTodo = { id: Date.now(), title: value, completed: false } setTodoData(prev => [...prev, newTodo]); setValue(""); }; return ( <div className="container"> <div className="todoBlock"> <div className="title"> <h1>할 일 목록</h1> </div> <h1 className="text-3xl font-bold underline"> Hello world! </h1> <List todoData={todoData} setTodoData={setTodoData}/> <Form handleSubmit={handleSubmit} value={value} setValue={setValue} /> </div> </div> )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회원가입 과제 정답 확인하고싶은데 전체 코드 올려주실수있나요?정답 확인하고 싶어서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15-02 API-Gateway2 윈도우는 되는데 도커는 안됩니다저의 개발 환경은 윈도우입니다.이렇게 코드를 실행하였을 시 로컬 개발환경에서는 잘 실행이 됩니다.그런데 docker로 실행시켰을 시 gateway만 아래의 오류가 뜹니다. 어떻게 처리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상품카테고리 API 실행 후, respository.save() 오류안녕하세요. 부트캠프 백엔드 강의를 수강하고 있습니다.강의 [섹션8. ORM활용 API구현 > 상품카테고리 등록 API] 에서 질문이 있습니다.ProductCategory 생성 API를 실행하면, ProductCategory의 Metadata가 없다는 오류가 뜹니다강의자료(노션)의 코드를 그대로 copy&paste 해줘도 동일한 오류가 나옵니다.상품카테고리 등록 API 통하여 {name} 인수는 제대로 서버에 들어옵니다.(Console.log에 제대로 나와요)디버깅해보니 아래 코드에서 에러가 발생합니다. const result = await this.productCategoryRepository.save({ name });=> 위 코드를 주석처리하면 오류발생 없이, DB 테이블들이 정상적으로 생성됩니다. {name} 에 인수도 잘 들어오는데, 터미널에서 보면 mysql 쿼리문도 생성이 안됩니다. 제가 어떤 부분에서 수정을 해줘야할까요? 댓글 부탁드립니다~좋은강의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부트 상품-주문 API 개발로 알아보는 TDDTRUNCATE TABLE 시 AUTO_INCREMENT 컬럼 1로 초기화MySQL이나 H2 에서 TRUNCATE TABLE 시 AUTO_INCREMENT 컬럼값도 1로 초기화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강의에서는 TRUNCATE 후 AUTO_INCREMENT 컬럼인 ID 를 1부터 다시 시작하게 하는 쿼리를 추가하셔서 어떤게 맞는건지 헷갈립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며칠 안으로 수강하는게 목표인가요?이 강의는 며칠 안으로 끝내는게 목표인가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강의를 다 듣고 몇가지 궁금점이 있어요안녕하세요, 강의를 모두 들었고 정말 알차고 재밌게 다 들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복습을 하다보니 실무 관점에서 몇가지 궁금한 부분들이 있는데요!!1) JpaRepository 를 구현하는 구현체로 기본적인 CRUD 등 (ex. save(), saveAll() 등) 사용한다면, 이 부분도 별도 테스트를 작성하시나요? 전 이미 제공된 기본 메소드라 테스트 안해도 될 것 같다고 생각드는데 강사님은 실무에서 이부분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2) update/delete를 하게되면 저는 보통 void로 리턴값 없이 HttpStatus.ok 코드 정도만 보내곤했는데요. ApiResponse<Void> 이렇게 해서 보내도 무관할지 아니면 처리된 id값 정도라도 응답데이터에 실어서 보내는게 좋은가요?3) 클라이언트에게 response하고 싶은 데이터가 API마다 다를 수 있는데 그럴때 서로 다른 Response DTO를 각자 만들어서 반환하시는 편인가요?? 제가 질문한 부분들은 할려면 다 할 수 있지만 좀 더 실무적인 관점에서의 방법이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grapnql fetchboardscount와 createboard안녕하세요 데이터 통신 실습 중에 질문이 생겨 남깁니다. create board 실행 시 리턴값으로 number를 지정했을 때 나오는 게시물의 수와 fetchboardscount 실행 시 리턴값이 다른 이유가 궁금합니다. createboard의 리턴값도 몇 번째 게시물로 생성된 것인지 알려주므로 둘 다 게시물의 개수를 알려주는 게 아닌가요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서버가 안열려요코드캠프 서버가 안 열려요 실습해야 하는데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db가 이미 존재한다는 오류가 뜹니다graphql 방식이 아닌 rest로 변경하면서 다시한번 복습중인데 rest의 경우 app.module.ts에서 TypeOrmModule.forRoot({})에서 synchronize: true, 가 되어있을 시 db오류가 나는데 제가 다른 것을 잘못 설정한 것인가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Presentation Layer 테스트 (1)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안녕하세요! PresentationLayer 테스트(1) 수강하며 문득 든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강의 36:03 쯔음에서 Product가 하나도 저장되지 않은 상태를 테스트할 때, 새로운 Product의 최신 번호를 조회하게 되면 "001"이 되는 과정에서 ActiveProfile을 test로 해주지 않아 DB에 데이터가 임의로 들어가 있던 것 때문에 테스트 통과가 되지 않았는데요.그러면 그 전에 진행했던 createProduct 테스트의 given에서 Product를 하나 저장한다면 여기서도 ActiveProfile이 test이지 않았던 상태였기 때문에 저장한 데이터가 4번째 데이터가 되어야 하고 그랬다면 테스트 통과가 안 되어야 하는게 맞지 않았나..? 하는 갑작스러운 의문이 들었습니다.제가 놓치고 있는게 무엇일까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Spring REST Docs 관련 질문안녕하세요 강사님, 우선 꿀팁 가득차있는 강의 너무너무 잘 들었습니다.Spring REST Docs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에서는 이미 레이어별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였는데요. Spring REST Docs 적용하면서 별도의 ProductControllerDocsTest 클래스를 만들어 createProduct()의 동일한 테스트 코드가 문서를 위해 또 들어가는 것 같아 관리해야할 테스트 코드가 두배가 되는게 아닌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실무에서는 이렇게 테스트 전용 테스트코드와 문서용 테스트 코드를 별도 분리하는지, 아니면 둘을 함께 포함하여 하나로 작성하는 방식인가요? ~ 감사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nodejs express에서 type(commonjs,module) 관련 질문서버작동을 위한 node app.js를 실행할때에 dotenv를 require, import를 하면서 문의점이 발생했습니다. //server.js import { creatApp } from "./app.js"; import database from "./models/database.js"; const startServer = async () => { try { await database; const app = creatApp(); const PORT = process.env.PORT; app.listen(PORT, () => { console.log(`server is listening on ${PORT}👌`); }); } catch (err) { console.log(`Failed server connect❌`); database.destroy(); } }; startServer(); //database.js import { createConnection } from "typeorm"; import dotenv from "dotenv"; dotenv.config(); const database = createConnection({ type: process.env.DB_CONNECTION, host: process.env.DB_HOST, username: process.env.DB_USERNAME, password: process.env.DB_PASSWORD, port: process.env.DB_PORT, database: process.env.DB_DATABASE, }); export default database; 이렇게 진행하면 정상적으로 서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database.js에서의 dotenv import 부분을 require방식으로 server.js에 옮겨놓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근본적으로 commonJS(require)방식과 module(import)방식에 대해서 dotenv를 불러올때에 require를 쓰면 server.js에 적용할때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import를 똑같은상황에서 적용하려면 왜 database.js로 넘어가야하는지 그게 궁금해졌습니다!require와 import를 해올 때 전반적으로는 rquire는 동기적이고 import비동기적인 성질(?)때문이라고 하기에 영향이 있는건지.. 근본적인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ㅠㅜ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ㅠㅜ!!!!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양방향 매핑안녕하세요~ 양방향 매핑을 사용하면 엔티티 간의 결합도를 높이기 때문에 가급적 단방향으로 만들면 좋다는 의견도 많은 것 같더라구요.심지어는 양방향 매핑을 만들어야 한다면 엔티티가 아니라 id 값을 넣어서 참조를 하는게 더 좋다는 의견도 있구요. 강의에서는 양방향 매핑을 사용하셨는데 실무에서도 자주 양방향 매핑으로 설계하시나요?사용하신다면 이러한 단점이 있지만 편의성이 더 크기 때문인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