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날씨 API 코드 오류
const weatherSearch = function (position) { console.log(position); fetch(`https://api.openweathermap.org/data/2.5/weather?lat=${position.latitude}&lon=${position.longitude}&appid=9756434244216c3d2f9c08591b54bede`) } // 위치 정보를 처리하는 함수 const acessToGeo = function (position) { const positionObj = { latitude: position.coords.latitude, // 위도 longitube: position.coords.longitude // 경도 (오타: longitube → longitude) }; console.log(positionObj); // 위치 정보 출력 console.log(position); // 전체 위치 데이터 출력 weatherSearch(positionObj) }; 2.5로 수정햇는데 오류가 뜨네요 어떠한 오류인 지 모르겠습니다 밑 코드는 // DOM 요소 선택 const todoInput = document.querySelector("#todo-input"); // 할 일 입력 필드 const todoList = document.querySelector("#todo-list"); // 할 일 목록 // localStorage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오기 const savedTodoList = JSON.parse( localStorage.getItem("saved-items") ); /* 문자열로 저장된 데이터를 JSON.parse를 통해 배열로 변환 */ // 새로운 할 일을 생성하는 함수 const createTodo = function (storageData) { let todoContents = todoInput.value; // 입력 필드에서 가져온 값 if (storageData) { todoContents = storageData.contents; // 저장된 데이터가 있으면 그 내용을 사용 } // 할 일을 나타내는 DOM 요소 생성 const newLi = document.createElement("li"); // li 요소 생성 const newSpan = document.createElement("span"); // span 요소 생성 (할 일 내용 표시) const newBtn = document.createElement("button"); // 완료 버튼 생성 // 완료 버튼 클릭 시 해당 할 일을 완료 상태로 변경 newBtn.addEventListener("click", () => { newLi.classList.toggle("complete"); // 완료된 상태를 토글 saveItemsFn(); // 변경 내용을 저장 }); // 할 일을 더블클릭하면 삭제 newLi.addEventListener("dblclick", () => { newLi.remove(); // li 요소 제거 saveItemsFn(); // 변경 내용을 저장 }); // 저장된 데이터가 완료 상태면 완료 표시 추가 if (storageData?.complete) { // 옵셔널 체이닝 사용 newLi.classList.add("complete"); // 완료 클래스 추가 } // 할 일 내용을 span에 추가 newSpan.textContent = todoContents; // li 요소에 버튼과 span을 자식으로 추가 newLi.appendChild(newBtn); newLi.appendChild(newSpan); // 할 일 목록에 li 추가 todoList.appendChild(newLi); // 입력 필드를 비우기 todoContents.value = ""; // 변경된 목록 저장 saveItemsFn(); }; // Enter 키를 눌렀을 때 할 일 추가 const keyCodeCheck = function () { if (window.event.keyCode === 13 && todoInput.value !== "") { createTodo(); // 입력값이 있으면 할 일을 생성 } }; // 전체 삭제 기능 const deleteAll = function () { const liList = document.querySelectorAll("li"); // 모든 li 요소 선택 for (let i = 0; i < liList.length; i++) { liList[i].remove(); // 모든 할 일 제거 } saveItemsFn(); // 변경 사항 저장 }; // localStorage에 저장하는 함수 const saveItemsFn = function () { const saveItems = []; // 저장할 데이터를 담을 배열 // 현재 목록의 할 일들을 객체로 변환하여 저장 for (let i = 0; i < todoList.children.length; i++) { const todoObj = { contents: todoList.children[i].querySelector("span").textContent, // 할 일 내용 complete: todoList.children[i].classList.contains("complete"), // 완료 상태 }; saveItems.push(todoObj); // 객체를 배열에 추가 } // 배열이 비었으면 localStorage에서 데이터 제거, 아니면 저장 saveItems.length === 0 ? localStorage.removeItem("saved-items") // 데이터가 없으면 키 삭제 : localStorage.setItem( "saved-items", JSON.stringify(saveItems) // 배열을 문자열로 변환 후 저장 ); }; // 저장된 데이터가 있으면 불러와 화면에 표시 if (savedTodoList) { for (let i = 0; i < savedTodoList.length; i++) { createTodo(savedTodoList[i]); // 저장된 데이터로 할 일을 생성 } } const weatherSearch = function (position) { console.log(position); fetch(`https://api.openweathermap.org/data/2.5/weather?lat=${position.latitude}&lon=${position.longitude}&appid=9756434244216c3d2f9c08591b54bede`) } // 위치 정보를 처리하는 함수 const acessToGeo = function (position) { const positionObj = { latitude: position.coords.latitude, // 위도 longitube: position.coords.longitude // 경도 (오타: longitube → longitude) }; console.log(positionObj); // 위치 정보 출력 console.log(position); // 전체 위치 데이터 출력 weatherSearch(positionObj) }; // Geolocation API로 사용자 위치 요청 const askForLocation = function () { navigator.geolocation.getCurrentPosition( acessToGeo, // 위치 정보를 가져오면 실행할 콜백 (err) => { console.log(err); //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 정보를 출력 } ); }; // 위치 요청 실행 askForLocation();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fetch() 사용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강의를 전부 수강한 수강생입니다. 강사님의 강의를 보다가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강의에서는 API 요청 방식을 fetch를 사용하여 전부 Next 서버에서 요청을 보내는 방식이던데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fetch를 사용하여 브라우저를 통해 요청하는 방법과 강의와 같이 사용하는 방법, API Route(Handle) 방식을 사용하는 방법의 차이를 알 수 있을까요?? 또한 Next 서버의 부하는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데이터베이스 초기화(npx prisma db push) 이슈입니다.
npm install 해서 의존성 설치후에 npx prisma db push를 했는데$ npx prisma db pushEnvironment variables loaded from .envPrisma schema loaded from prisma\schema.prismaDatasource "db": PostgreSQL database "postgres", schema "public" at "aws-0-ap-northeast-2.pooler.supabase.com:5432"Error: P1001: Can't reach database server at aws-0-ap-northeast-2.pooler.supabase.com:5432Please make sure your database server is running at aws-0-ap-northeast-2.pooler.supabase.com:5432.이렇게 나옵니다. 챗지피티랑 스택 오버플로우 이런거 봐도 잘 안돼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CSR, SSR 렌더링 방식 문의
안녕하세요~설명해주신 CSR, SSR 렌더링 강의보고 CSR, SSR 렌더링 방식에 대해 궁금한점 두가지 남겨봅니다!(유사한 질문이 있는지 찾아봤는데 글이 많아서 찾질 못해서 중복 감안하고 올려봅니다🙏🏻) 질문1CSR은 bundle js 다운로드 레이턴시 만큼 FCP가 느리고 반대로 SSR은 bundle js 다운로드 레이턴시만큼 CSR보다 FCP가 빠르다고 이해했는데요. TTI 기준으로 보면 결국 CSR, SSR모두 차이가 없는게 맞을까요? (gzip압축 해제, js parse, hydration등의 처리에서 드는 비용의 차이가 있겠지만 이런 부분들은 크게 영향을 주진 않을거라고 생각하여 문의드립니다. 혹시 두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큰 요소가 있다면 그 부분도 고려해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2CSR의 장점으로 초기 렌더링이 느리고 이후에 페이지 이동시 빠르게 화면을 그릴 수 있다고 하셨는데요, CSR에서 초기 렌더링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코드 스플리팅 전략을 취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이렇게 CSR에서 코드 스플리팅 방식을 취한 경우 페이지 이동시 결국 bundle js 다운르드 레이턴시가 또 발생할거 같은데요. prefetch, preload같은 전략을 취하지 않고 코드스플리팅만 적용한 CSR방식은 단점만 남는 렌더링 전략이 맞을까요? 유일한 장점은 CSR이지만 코드 스플리팅을 했기 때문에 초기 FCP가 조금 빠르다정도일거 같은데 이해한게 맞는지 문의드려봅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Next-Auth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백엔드 취준생인데 프론트를 좀 할 일이 있어서 강의 듣고 있는데 Next-Auth 부분이 이해가 쉽지 않네요... 몇 가지 질문 드리고자 합니다.1. session 객체에 어떤게 담기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Home() { const session = await auth() if (session?.user) { redirect('/home') return null } return ( <Main/> ); }export const { handlers: { GET, POST }, auth, signIn, } = NextAuth({ // 개발자가 직접 만든 화면에서 로그인 하도록 진행 pages: { signIn: '/i/flow/login', // 로그인 newUser: '/i/flow/signup' // 회원가입 }, providers: [ CredentialsProvider({ async authorize(credentials) { const authResponse = await fetch(`${process.env.NEXT_PUBLIC_BASE_URL}/api/login`, { method: 'POS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body: JSON.stringify({ id: credentials.usename, password: credentials.password, }) }) if (!authResponse.ok) { return null } const user = await authResponse.json() return { email: user.id, name: user.nickname, image: user.image, ...user } } }) ], })Home 에서 auth() 를 통해 불러온 session 객체에 CredentialsProvider 가 리턴한 객체가 담기는건가요?그런데 그렇다고 하기엔 객체에 user 라는 속성이 없어서 아닌 것 같기도 해서 아닌 거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export default function Login() { const router = useRouter() const { data: session } = useSession(); if (session?.user) { router.replace('/home') return null } router.replace("/i/flow/login") return ( <Main /> )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session 에 어떤게 담기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auth() 로 리턴한 세션과 같은 객체가 담기는 것 같긴 한데 도대체 session 에 뭐가 담기는지 파악이 쉽지 않네요 ㅋㅋㅋ그래서 session 객체의 user 를 클릭해서 들어가보니 다음과 같은 interface 가 나오네요.export interface DefaultSession { user?: User expires: ISODateString }auth/core 에 있는 인터페이스인 것 같은데 이 인터페이스가 어느 시점에 등장(?) 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2. 지금 진행하는 로그인 방식은 백엔드에 로그인 관련 API 가 있다고 가정하고 진행하는 것으로 저는 이해를 했는데요export const handlers = [ http.post(`${baseUrl}/api/login`, () => { console.log('로그인'); return HttpResponse.json(User[1], { headers: { 'Set-Cookie': 'connect.sid=msw-cookie;HttpOnly;Path=/' }, }) }), http.post(`${baseUrl}/api/logout`, () => { console.log('로그아웃'); return new HttpResponse(null, { headers: { 'Set-Cookie': 'connect.sid=;HttpOnly;Path=/;Max-Age=0' } }) }), http.post(`${baseUrl}/api/users`, async ({ request }) => { console.log('회원가입'); // return HttpResponse.text(JSON.stringify('user_exists'), { // status: 403 // }) return HttpResponse.text(JSON.stringify('ok'), { headers: { 'Set-Cookie': 'connect.sid=msw-cookie;HttpOnly;Path=/' }, }); }) ];이게 지금 api 를 mocking 한 건데 여기에 요청을 보내고 있으니까요.그러면 이 API 에서 리턴한 유저(User[1]) 가 세션에 담기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이것도 1번 질문하고 좀 연관이 되네요) 그러면 만약에 백엔드 API 가 로그인 성공했을 때 http body 에 별도의 객체를 리턴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 이런 궁금증도 생깁니다.3. 그리고 로그아웃을 할 때는 왜 로그아웃 API 에 따로 요청을 보내지 않고 signOut 함수만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이것만 사용해도 쿠키가 삭제가 돼서 그런 것인가요? 그러면 백엔드 서버에 별도의 로그아웃 API 를 만들지 않아도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장문의 질문글이 된 거 같은데, 뭔가 Next-Auth 를 처음 접하다보니 사용법이 좀 익숙치가 않네요. AI 에 물어보거나 구글링을 해 봐도 좀 파악이 쉽지 않아 여기에 질문 남겨봅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ES Lint 9에서의 rule 설정
ES Lint 설정안녕하세요. 현재 Next.js 15.1 버전에서ESLint가 9버전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형식이 많이 바뀌었는데 기존의 8 버전에서는{ "extends": ["next/core-web-vitals", "next/typescript"], "rules": { "@typescript-eslint/no-unused-vars": "warn", "@typescript-eslint/no-explicit-any": "off" } } 하지만 9 버전에서는 형식이 많이 바뀌었는데no-unused-vars나 on-explicit-any 같은 설정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일단은 이렇게 코드를 쓰기는 했는데 적용이 잘 안되는 것 같습니다.(eslint.config.mjs)import { dirname } from "path"; import { fileURLToPath } from "url"; import { FlatCompat } from "@eslint/eslintrc"; const __filename = fileURLToPath(import.meta.url); const __dirname = dirname(__filename); const compat = new FlatCompat({ baseDirectory: __dirname, }); export default [ ...compat.extends("next/core-web-vitals", "next/typescript"), { files: ["**/*.ts", "**/*.tsx"], rules: { "@typescript-eslint/no-unused-vars": "off", "@typescript-eslint/no-explicit-any": "warn", // 경고로 설정 }, }, ];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의 사전 렌더링 질문
안녕하세요, 우선 강의 너무 잘 들었습니다.사전 렌더링에 대한 부분에서 궁금중이 있어 문의를 남깁니다.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또한 서버에서 JS 실행을 통해 서버 측에서 사전 렌더링이 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다만, 서버에서 실행되는 사전 사이드 렌더링의 경우 useEffect, useState 등과 같은 훅은 어떤 식으로 실행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왜냐하면 서버 클라이언트에서는 훅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는 곧 서버에서 훅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이해하고 있어서요.만약 해당 훅 들이 서버에서 실행되지 않고, 컴포넌트에 마운트 된 이후에 실행 되는 것이라면, 컴포넌트 return 문 안에 있는 State나 로직들은 undefined 인 상태에서 렌더링 되어 Client에 HTML 형태로 전달 되는 것일까요? 또한 비슷한 질문인데, 사전 렌더링에서 local storage, DOM 조작 등과 같이 Client에서만 접근 가능한 API에서는 어떤 식으로 사전 렌더링이 진행되는지, 그리고 초기 HTML을 그릴 때는 해당 값들을 어떻게 처리하는 지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서버 액션을 트리거하는 방법
안녕하세요.지금까지 서버 액션을 트리거 하실때 form 태그를 이용해서, 제출형식으로 트리거 하셨는데, next 에서 서버 액션을 트리거 할때 단순한 작업이라면 form태그가 아닌 버튼형식으로 하는것도 괜찮은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버튼으로 하는것도 가능은 하지만 권장되지 않는 방식인것인가요?이를테면 각각의 북페이지에 유저가 좋아요와 싫어요를 누를 수 있는 기능이 있다고 가정했을때, 좋아요와 싫어요는 단순한 기능이라고 생각이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버튼으로 서버 액션을 트리거하는 방법도 괜찮은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boards/224/ 403 이 뜨네요.
next.config.mjs/** @type {import('next').NextConfig} */ const nextConfig = { reactStrictMode: true, trailingSlash: true, generateBuildId: () => "tranme24", // 아래 주소들만 out 폴더에 만들기 exportPathMap: () => ({ "/": {page: "/"}, "/boards": {page: "/boards"}, "/404": {page: "/404"}, }) }; export default nextConfig; 위와같이 설정 경로에서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파일들이 동일한걸 확인했습니다.왜 안되는걸까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안녕하세요! next-auth 로그인하기 부분 질문입니다.
지금 강의에서 보여주신게 아직 업데이트가 안 된 것인지 궁금합니다!Auth.js 홈페이지에 있는 문서와 코드가 조금 다른 것 같아서요. next.js 15 버전으로 강의 따라가고 있고 auth.js 설치할 때 auth@5 하니까 설치가 안 돼서 auth@beta 이렇게 설치하고 진행 중 입니다! 제가 본 페이지는 다음과 같습니다.https://authjs.dev/getting-started/authentication/credentials 추가일단 제로초님이 하신 방법으로 CredentialsProvider 직접 import 하니까 되는 것 같습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사용중인 Theme 문의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혹시 사용중이신 Theme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공유 부탁드려도 될까요? 가독성이 좋아서 저도 동일하게 적용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useEffect로 사용을 해도 되나요?
useEffect(() => { localStorage.setItem('todoData', JSON.stringify(todoData)); }, [todoData]); 이렇게 작성을 하고, 나머지는 다 주석을 처리했는데도 정상 작동하는 것 같더라구요. 하지만 의문인게 setTodoData((prev) => [...prev, newTodo]); localStorage.setItem('todoData', JSON.stringify([...todoData, newTodo]));여기도 주석처리를 했는데, 여기는 조금 작성하는 게 다르지 않나요? handleRemoveClick = () => { setTodoData([]) }여기도 그렇구요. 그런데 그냥 다 정상 작동 하네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로그인 방식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로그인 방식을 구현하면서, 쿠키로만 개발할 경우 완전히 백엔드에 의존하게 되어 로컬로, 동시에 키고 개발을 하지 않는이상, 도메인간 불일치를 해결 할 방법이 없어, msw를 사용해야 한다고, 이전에 말씀해주셨습니다!!보통, 회사나, 개인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 어떤 방식으로 로그인을 주로 만드시는지 조금 알고 싶어 궁금하여 질문을 남깁니다!!로그인 방식 고찰로그인 성공시, accessToken을 body로 받고, refreshToken은, httpOnly 쿠키로 받는 경우 (서버에서, DB or Redis를 통해 refreshToken 관리) → 인증 필요 요청 (Bearer accessToken), 리프레시 필요 요청 (refreshToken 심긴 쿠키를 바탕으로 요청)- DB에서 관리하는 것 보다, redis를 통해 관리했을 떄 읽기 속도가 빠름을 확인!응답: accessToken과 refreshToken 모두 body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인증 필요 요청과, 리프레시 토큰 재발급 요청 모두 헤더의 Bearer에 accessToken이나, refreshToken을 넣어서 전달.)현재 방식: accessToken, refreshToken 모두 쿠키로 응답받고, 요청또한, 쿠키를 포함하여 전달.제로초님은, Next.js를 활용하여, 웹 사이트를 만드실 떄, 어떠한 방식으로 로그인을 구현하시는지 궁금하고, 많은 회사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보통 어떤 방식인지도 알고싶습니다!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MSW 오류
먼저 next와 react의 버전은 각각 15버전과 19버전입니다 next 15 부터는 http.ts 의 코드가 간결하게 바뀌어서 적용해보던 중 세팅 단계에서 해당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reading 'url' 구글에 검색해보니 최신버전에서도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ㅠㅠ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ERROR] MSW Server-Side 적용 실패 에러 / (Module not found Error '_http_common')
[문제점]MSW의 nodejs Server를 Server-Side 에서 실행하려고 할 때Module not found Error '_http_common'와 같은 에러 발생으로 빌드가 실패하는 상황을 겪고 있습니다. 저만 겪고 있는 상황인지 싶지만 질문 드립니다.[현상황]아래와 같이 SSR Component안에서 AP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받아온 후 화면을 그리고나면,export const Home = async () => { const res = await fetch("https://api.github.com/users/zerocho"); const data = await res.json(); return ( <div className="flex flex-1 items-center justify-center"> <h1>{data.name}</h1> <img src={data.avatar_url} alt={data.name} className="rouneded" /> </div> ); };아래와 같은 화면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이를 MSW의 Server-side를 사용하기 위해서 Layout단에서 server를 listen하도록 실행하면if ( process.env.NEXT_RUNTIME === "nodejs" &&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 const { server } = require("@/mocks/http"); server.listen(); } export default function RootLayout({ children }: { children: React.ReactNode; }): JSX.Element { return ( <html lang="en"> <body className={inter.className}> <MSWProvider> <Suspense>{children}</Suspense> </MSWProvider> </body> </html> ); }아래와 같은 Build Error로 Module not found: Can't resolve '_http_common' 나게 됩니다.[찾아본 원인?]_http_common이 Node.js built-in module인데, Next.js Webpack의 config에서 해당 module을 자동 import 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에러라고 합니다. (출처:https://github.com/mswjs/msw/issues/2291)[시도한 해결 방안 1]- src/instrumentation.ts 파일을 아래와 같이 추가.export async function register() { if (process.env.NEXT_RUNTIME === "nodejs") { const { server } = await import("./mocks/http"); server.listen(); } }- next.config.js를 아래와 같이 수정/** @type {import('next').NextConfig} */ module.exports = { reactStrictMode: true, transpilePackages: ["@repo/ui"], experimental: { instrumentationHook: true }, };결과 동일[시도한 해결방안 2]- next.config.js에 webpack 내용 추가/** @type {import('next').NextConfig} */ module.exports = { reactStrictMode: true, transpilePackages: ["@repo/ui"], experimental: { instrumentationHook: true }, webpack: (config, { isServer }) => { if (isServer) { if (Array.isArray(config.resolve.alias)) // server일시 browser를 제외 시킨다 config.resolve.alias.push({ name: "msw/browser", alias: false }); else config.resolve.alias["msw/browser"] = false; } else { if (Array.isArray(config.resolve.alias)) config.resolve.alias.push({ name: "msw/node", alias: false }); else config.resolve.alias["msw/node"] = false; } return config; } }; 결과 동일[추가 조사한 내용들]- 현재 github issue에 아래와 같이 등록되어 있습니다.https://github.com/mswjs/msw/issues/2291Server-Side를 사용하지 않고도 MSW를 사용할 수는 있지만, 해결 방안이 있을지 해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슈퍼베이스 커넥션 셋팅이 없어서 주소 복사를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6분 50초에 나오는 영상처럼, 똑같이 들어가서 주소를 복사를 할려고 하는데 없어서 못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SignupModal 타입 에러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SignupModal 에서 에러가 하나 나오는데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S2322: Type '(formData: FormData) => Promise<{ message: string; } | undefined>' is not assignable to type 'NonNullable<string | ((formData: FormData) => void | Promise<void>) | undefined>'.<br/>Type '(formData: FormData) => Promise<{ message: string; } | undefined>' is not assignable to type '(formData: FormData) => void | Promise<void>'.<br/>Type 'Promise<{ message: string; } | undefined>' is not assignable to type 'void | Promise<void>'.<br/>Type 'Promise<{ message: string; } | undefined>' is not assignable to type 'Promise<void>'.<br/>Type '{ message: string; } | undefined' is not assignable to type 'void'.<br/>Type '{ message: string; }' is not assignable to type 'void'.이런 에러가 나옵니다. formData 의 타입이 정확하지 않아서 생기는 에러 같습니다. 근데 정상적으로 실행은 됩니다.제 꺼에선 이렇게 에러가 나오는데 제로초님 화면에서는 에러가 나오는 것 같지 않아서 어떻게 그렇게 된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npm run build 시 에러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실습도중에 에러가 발생하였는데 원인을 찾지못해서 질문드립니다..1.3)실습용 백엔드 서버 세팅하기 강의에서 12:11분에 npm run seed 명령어로 시드데이터도 받아지는것을 확인했습니다. (그 이전까지의 실습도 에러없이 정상적으로 실행했습니다.) 이후에 npm run build를 실행해보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해서 질문드립니다.=================================C:\study\React\onebite-books-server-main>npm run build> onebite-books-server@0.0.1 build> nest buildsrc/book/book.service.ts:22:29 - error TS2345: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never'.22 select: prismaExclude('Book', ['searchIndex']), ~~~~~~src/book/book.service.ts:28:29 - error TS2345: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never'.28 select: prismaExclude('Book', ['searchIndex']), ~~~~~~src/book/book.service.ts:35:29 - error TS2345: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never'.35 select: prismaExclude('Book', ['searchIndex']), ~~~~~~src/book/book.service.ts:56:29 - error TS2345: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never'.56 select: prismaExclude('Book', ['searchIndex']), ~~~~~~src/book/book.service.ts:70:31 - error TS2345: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never'.70 select: prismaExclude('Book', ['searchIndex']), ~~~~~~src/book/book.service.ts:88:29 - error TS2345: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never'.88 select: prismaExclude('Book', ['searchIndex']), ~~~~~~src/util/prisma-client-exception.filter.ts:6:15 - error TS2339: Property 'PrismaClientKnownRequestError' does not exist on type 'typeof Prisma'.6 @Catch(Prisma.PrismaClientKnownRequestError) ~~~~~~~~~~~~~~~~~~~~~~~~~~~~~src/util/prisma-client-exception.filter.ts:8:27 - error TS2694: Namespace '"C:/study/React/onebite-books-server-main/node_modules/.prisma/client/default".Prisma' has no exported member 'PrismaClientKnownRequestError'.8 catch(exception: Prisma.PrismaClientKnownRequestError, host: ArgumentsHost) { ~~~~~~~~~~~~~~~~~~~~~~~~~~~~~Found 8 error(s).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usePathname 과 /explore 페이지 부분은 좀 너무 빠르네요...
밑에 수업노트에 주신 링크도 그 파일이 아니라 깃헙 레포로 연결되고, 너무 빠르네요 ㅠㅠ _component 부분 보면 RightSearchZone 컴포넌트도 없어서 좀 헤매게 되는 것 같습니다...css 내용도 갑자기 어디서 튀어나온건지 좀 파악이 어렵네요 ㅠ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next15] msw 질문드립니다.
기존에 강의로 msw로 코드만들었던 수강생입니다.여러개의 질문과 에러?라고할만한 사항이 있는데요.기존강의에는 http.js 파일에서 express 기반으로 서버를 만들어서 9090포트를 사용했는데요. 새로 강의하신 내용에서는 express를 배제하고 코드가 간결하게 바꿨는데 이렇게 바꾼 내용의 대해서 조금 설명 부탁드립니다. 간략히 알기로는 기존 MSW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서버에서 html 요청이 발생하기 때문에 요청을 가로챌수 없기 때문에 express썻다고 알고있습니다. 이게 맞을까요? 그리고 바뀐코드는 이런문제가 해결이 된건가요?1번의 문제가 해결되었다면, 기존의 9090 서버포트와 더불어 npm run mock를 실행하여 서버를 동작했던걸로 알고있는데 이기능은 필요한가요?msw 세팅과 .env 강의부분에서 환경변수를 api에 직접 넣도록 수정했는데, 이전꺼랑 차이가 뭔가요? 추가로 클라이언트컴포넌트에서는 환경변수가 콘솔로 읽히고있는데 handler에서는 읽히지 않고있습니다. 코드는 이전강의 코드(백엔드 db연결전까지)와 같고요. 추가로 nextjs나 react를 버전업을 하지는 않았습니다. 이유가뭔지 유추해주실수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