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대다 연관관계를
다대다 연관관계를 연결테이블을 추가해서 일대다, 다대일 관계로 풀어내야함. 강의 자료에 있는 위 말에 조금 혼동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다대다 연관관게를 중간에 연결테이블을 두어서, 연결테이블을 기준으로 다대일 단방향 연관관계나, 다대일 양방향 연관관계로 하는것을 말하는것일까요?아니면, 이전 앞선 강의에서 학습한 일대다 단방향 연관관계를 말씀하시는걸까요..?강의에서는 중간 테이블을 기준으로 다대일 양방향 연관관계로 진행하신거 같은데, 강의자료에 있는 일대다 관계로 풀어냈다는 말의 의미가 무엇인지 혼동이 와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대다 연관관계에서
강의에서 다대다 연관관계 일때는, 중간에 엔티티를 하나 더 추가해서 일대다, 다대일 관계로 하는게 효율적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1. 그래서 MEMBER와 PRODUCT간에 다대다 관계인것을 중간에 ORDER를 추가해서 일대다, 다대일 관계로 해야하는거 같은데, 여기서 말씀하신 일대다 관계라는게, 앞선 강의에 있는 일대다 단방향 연관관계를 말하는것일까요??MEMBER -> ORDER간에 일대다 단방향 연관관계를 말씀하시는것인지, 아니면 MEMBER <-> ORDER 간에 다대일 양방향 연관관계로 하는것을 말씀하시는것인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즉, 여기서 말하는 일대다 관계라는게 MEMBER에서 외래키를 관리하는 일대다 단방향 연관관계의 개념인것인지, 중간테이블 관점에서 다대일 관계를 말하는것인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2. 다대다 연관관계일때는 중간에 엔티티를 두어, 중간 엔티티를 기준으로 다대일 단방향 연관관계나, 다대일 양방향 연관관계로 해야 하는것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DB 테스트 코드 작성에서 .containsExactly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 섹션 4 강의를 보다보니 의문점이 생겨서요 Repository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test() 메서드에 .containsExactly를 사용하고있습니다.강사님께서 내용과 순서가 모두 맞아야 한다고 설명하시더라고요. 메모리에서의 테스트나 DB를 조회할 때 순서를 보장할 수 없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문제가 있을 수도 있지만 간단한 테스트를 위해서 사용한것인지 아니면 실제로도 이런식으로 테스트 하는지 궁금합니다.관련한 질문들을 확인했으나 만족할만한 답변이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rojection 개념과 데이터 전달과정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궁금한게 있어서 질문합니다.Projection관련인데요.제가 이해하기로는 new 오퍼레이션을 이용해서 dto에 생성자로 데이터를 담는 방식에서 진화한 방식이라고 생각되는데, 그렇게 이해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interface로 proejction을 사용하면 get()함수를 통해 데이터를 꺼내오는 방식이고class를 사용하면 new 오페레이션을 사용하는 방법과 똑같이 생성자를 이용하는거 같은데, 대신 필드의 이름과 엔터티의 이름이 같던가, 같지 않다면 @Query를 이용해 alias로 맞춰주던가 하면 되는걸까요?? 또한, 이렇게 Projection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가져왔을대, interface던 class던 컨트롤러에서 데이터를 프론트로 넘길때 해당 객체를 사용해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따로 또 dto를 만들어서 담은 후에 내보내야 되는건가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단축키 질문입니다.
DTO와 인증 서비스 2분 33초에서 35초 사이에 코드가 갑자기 생기는데요. 혹시 어떤 단축키 눌른건지 알 수 있을까요?Alt + Insert눌러도 super까지 포함된 메소드는 나오지 않아서요.public MemberDTO(String email, String pw, String nickname, boolean social, List<String> roleNames) { super( email, pw, roleNames.stream().map(str -> new SimpleGrantedAuthority("ROLE_"+str)).collect(Collectors.toList())); this.email = email; this.pw = pw; this.nickname = nickname; this.social = social; this.roleNames = roleNames; }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서비스계층과 컨트롤러(3) 질문있습니다.
서비스계층과 컨트롤러(3)-상품수정 5분 42초에서 uuid값은 화면쪽에서 처리되면서 붙는다는게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있을까요?@Override public void modify(ProductDTO productDTO) { //step1 read Optional<Product> result = productRepository.findById(productDTO.getPno()); Product product = result.orElseThrow(); //change pname, pdesc, price product.changeName(productDTO.getPname()); product.changeDesc(productDTO.getPdesc()); product.changePrice(productDTO.getPrice()); product.changeKeyword(product.getKeyword()); //upload File -- clear first 내용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product.clearList(); List<String> uploadFileNames = productDTO.getUploadFileNames(); if(uploadFileNames != null && uploadFileNames.size() > 0 ){ uploadFileNames.stream().forEach(uploadName -> { product.addImageString(uploadName); }); } productRepository.save(product); }CustomFileUtil에서 saveFiles메소드에서 List<String> uploadNames = new ArrayList<>(); 배열을 선언하고 ProductServiceImp에서는 product.clearList();로 있던 배열에서 내용을 지우면서 사용하는데요. CustomFileUtil클래스 에서 데이터 베이스 1행에 저장할 리스트 생성해주고 그 리스트를 수정하는 역할이 product.clearList(); 인가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로그인 실패 로직 질문
현재 APILoginFailHandler에서 로그인 실패 처리를 하고 있는데 CustomUserDetailService에서 굳이 예외를 던질 필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제가 이해한 바로는 loadUserByUsername에서 제대로 로그인 처리가 안되면 failHandler가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왜 여기서 예외를 던지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EMBER테이블에 TEAM_ID컬럼이 생기는 이유
일대다 단방향 연관관계에서,@Entitypublic class Member {@Id @GeneratedValue@Column(name = "MEMBER_ID")private Long id;@Column(name = "USERNAME")private String name;... getter and setter}@Entitypublic class Team {@Id @GeneratedValue@Column(name = "TEAM_ID")private Long id;private String name;@OneToMany@JoinColumn(name = "TEAM_ID")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 getter and setter}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setName("member1");em.persist(member);Team team = new Team();team.setName("teamA");team.getMembers().add(member);em.persist(team); 1-1. @OneToMany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를 통해 MEMBER테이블에 TEAM_ID컬럼이 생기는거 같은데, 다른 여러 테이블도 있다고 가정했을때 어떤 이유로 MEMBER테이블에 TEAM_ID컬럼이 생성되는것인가요? @JoinColumn(name = "TEAM_ID")만 보고 MEMBER테이블인지 어떻게 아는것인가요..? List<Member> members 에서 Member라고 지정해줬기때문에 MEMBER테이블에 TEAM_ID컬럼이 생기는것인가요? 1-2 @OneToMany와 @JoinColumn을 통해 일대다 단방향 연관관계나 일대다 양방향 연관관계를 하게되면 무조건 다쪽 테이블에 외래키 컬럼이 추가되는건가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REST 방식 컨트롤러 만들기에서 익스플로러에 데이터 값이 출력 안됩니다
TodoController 파일 만들고 Api서버로 스프링 기동시키고 todo경로에 tno 값을 입력해도 익스플로러 화면에 제이슨데이터 값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DB상에 있는 데이터로 입력을 해도 나오지 않는 걸 보면 제이슨 설정이 잘못된게 아닌가 싶은데 답변 부탁드립니다아래에 로그 남겨둡니다오전 11:13:21: 실행 중 ':org.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main()'…Starting Gradle Daemon...Gradle Daemon started in 915 ms> Task :clean> Task :compileJava> Task :processResources> Task :classes> Task :org.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main() . ____ _ __ _ _ /\\ / ___'_ __ _ ()_ __ __ _ \ \ \ \( ( )\___ | '_ | '_| | '_ \/ _` | \ \ \ \ \\/ ___)| |_)| | | | | || (_| | ) ) ) ) ' |____| .__|_| |_|_| |_\__, | / / / / =========|_|==============|___/=/_/_/_/ :: Spring Boot :: (v3.4.1)2025-03-01T11:13:29.675+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 : Starting ApiserverApplication using Java 21.0.5 with PID 12000 (C:\Users\zzamp\Desktop\apiserver\apiserver\build\classes\java\main started by zzamp in C:\Users\zzamp\Desktop\apiserver)2025-03-01T11:13:29.678+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1 default profile: "default"2025-03-01T11:13:29.704+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e.DevToolsPropertyDefaultsPostProcessor : Devtools property defaults active! Set 'spring.devtools.add-properties' to 'false' to disable2025-03-01T11:13:29.704+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e.DevToolsPropertyDefaultsPostProcessor : For additional web related logging consider setting the 'logging.level.web' property to 'DEBUG'2025-03-01T11:13:30.098+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Bootstrapping Spring Data JPA repositories in DEFAULT mode.2025-03-01T11:13:30.13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Finished Spring Data repository scanning in 35 ms. Found 1 JPA repository interface.2025-03-01T11:13:30.495+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s.b.w.embedded.tomcat.TomcatWebServer : Tomcat initialized with port 8080 (http)2025-03-01T11:13:30.506+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 : Starting service [Tomcat]2025-03-01T11:13:30.506+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 : Starting Servlet engine: [Apache Tomcat/10.1.34]2025-03-01T11:13:30.53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a.c.c.C.[Tomcat].[localhost].[/] : Initializing Spring embedded WebApplicationContext2025-03-01T11:13:30.53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w.s.c.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 : Root WebApplicationContext: initialization completed in 835 ms2025-03-01T11:13:30.66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hibernate.jpa.internal.util.LogHelper : HHH000204: Processing PersistenceUnitInfo [name: default]2025-03-01T11:13:30.725+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rg.hibernate.Version : HHH000412: Hibernate ORM core version 6.6.4.Final2025-03-01T11:13:30.754+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h.c.internal.RegionFactoryInitiator : HHH000026: Second-level cache disabled2025-03-01T11:13:30.942+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s.o.j.p.SpringPersistenceUnitInfo : No LoadTimeWeaver setup: ignoring JPA class transformer2025-03-01T11:13:30.966+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ing...2025-03-01T11:13:31.03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dded connection org.mariadb.jdbc.Connection@77e522372025-03-01T11:13:31.040+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 completed.2025-03-01T11:13:31.082+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rg.hibernate.orm.connections.pooling : HHH10001005: Database info: Database JDBC URL [Connecting through datasource 'HikariDataSource (HikariPool-1)'] Database driver: undefined/unknown Database version: 10.11.10 Autocommit mode: undefined/unknown Isolation level: undefined/unknown Min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Max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2025-03-01T11:13:31.51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h.e.t.j.p.i.JtaPlatformInitiator :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 (set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to enable JTA platform integration)2025-03-01T11:13:31.555+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2025-03-01T11:13:31.810+09:00 WARN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JpaBaseConfiguration$JpaWebConfiguration : spring.jpa.open-in-view is enabled by default. Therefore, database queries may be performed during view rendering. Explicitly configure spring.jpa.open-in-view to disable this warning2025-03-01T11:13:32.040+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s.b.d.a.OptionalLiveReloadServer : LiveReload server is running on port 357292025-03-01T11:13:32.059+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s.b.w.embedded.tomcat.TomcatWebServer : Tomcat started on port 8080 (http) with context path '/'2025-03-01T11:13:32.064+09:00 INFO 12000 --- [apiserver] [ restartedMain] o.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 : Started ApiserverApplication in 2.638 seconds (process running for 2.905)2025-03-01T11:13:57.170+09:00 INFO 12000 --- [apiserver] [nio-8080-exec-1] o.a.c.c.C.[Tomcat].[localhost].[/] : Initializing Spring DispatcherServlet 'dispatcherServlet'2025-03-01T11:13:57.170+09:00 INFO 12000 --- [apiserver] [nio-8080-exec-1]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Initializing Servlet 'dispatcherServlet'2025-03-01T11:13:57.171+09:00 INFO 12000 --- [apiserver] [nio-8080-exec-1]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Completed initialization in 1 msHibernate: select t1_0.tno,t1_0.complete,t1_0.content,t1_0.due_date,t1_0.title from tbl_todo t1_0 where t1_0.tno=?Hibernate: select t1_0.tno,t1_0.complete,t1_0.content,t1_0.due_date,t1_0.title from tbl_todo t1_0 where t1_0.tno=?Hibernate: select t1_0.tno,t1_0.complete,t1_0.content,t1_0.due_date,t1_0.title from tbl_todo t1_0 where t1_0.tno=?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대다 매핑 @JoinColumn(name = "TEAM_ID") 질문
@JoinColumn 어노테이션에서 name 속성에 TEAM_ID 넣는 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이전에 다대일 관계에서는 매핑된 테이블의 필드명을 적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현재 속성은 어떤 것을 가리키는 것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데이터베이스 MEMBER 테이블의 외래키를 가리키는 것인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코드 다운로드 혹시 어디서 하나요? pdf 자료만 보여서요..
코드 다운로드 혹시 어디서 하나요? pdf 자료만 보여서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섹션5 강의 질문있습니다.
섹션5 수강하고 있는데 혹시 서비스 테스트코드나 레파지토리 테스트코드 실습파일은 어디있을까요? 글씨가 작아서 따라 치기가 어려워서요. 돋보기로 하면 글자가 깨져서요.상품 목록/등록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테스트 코드에서 아래를 실행하면 이런 에러가 납니다.(참고로 db는 연결되어있어요. springboot 돌리면 tomcat start 8080나옵니다.)Cannot invoke "com.example.backend.mallapi.domain.ProductImage.getFileName()" because "productImage" is null아래는 코드입니다. 참고로 upload 파일에도 파일이 2개가 있는상황이여서 productImage가 null일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왜나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gradlew clean bulid 오류가 납니다.. 도와주세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base) mirae@mirae-MacBookPro jpashop % ./gradlew clean buildStarting a Gradle Daemon, 1 incompatible Daemon could not be reused, use --status for details> Task :testJpashopApplicationTests > contextLoads() FAILED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at 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80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at 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773Caused by: org.hibernate.service.spi.ServiceException at 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76Caused by: org.hibernate.HibernateException at DialectFactoryImpl.java:1911 test completed, 1 failed> Task :test FAILED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What went wrong:Execution failed for task ':test'.> There were failing tests. See the report at: file:///Users/mirae/Desktop/study/SPRING_BOOT/jpashop/build/reports/tests/test/index.html* Try:>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Deprecated Gradle features were used in this build, making it incompatible with Gradle 9.0.You can use '--warning-mode all' to show the individual deprecation warnings and determine if they come from your own scripts or plugins.For more on this, please refer to https://docs.gradle.org/8.5/userguide/command_line_interface.html#sec:command_line_warnings in the Gradle documentation.BUILD FAILED in 10s8 actionable tasks: 8 executed(base) mirae@mirae-MacBookPro jpashop %같은 질문에서 해결 방안을 다 따라해봤지만 계속 오류가 납니다.gradlew 버전 8.5 , JDK 버전 21.0.1 이고intel macBook입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섹션 5. 상품 API 서버 구성하기-파일업로드 섬네일처리 쪽에서 질문있습니다.
섹션 5. 상품 API 서버 구성하기-파일업로드 섬네일처리 쪽에서 질문있습니다.application.properties 파일안에서 org.zerock.upload.path=upload 이 구문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위 사진에서 빨간 네모박스처럼. java 아래부터 mallapi폴더 전까지 폴더명들이 있는데요. org, zerock혹시. upload전까지 폴더명과 java 아래부터 mallapi폴더 전까지 폴더명이 같아야 하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업데이트 이후 조회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em.find()로 가져온 후 이름을 바꾸고 commit 이전에 em.find()로 똑같은 id의 이름을 조회해서 이름을 확인했을 때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1차 캐쉬로 조회하기에 바뀐 이름으로 조회되는 것이 맞나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상수, 문자 더하기 (참고) 부분 질문
안녕하세요. 상수처리에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3장 기본문법pdf의 p.21 참고를 강의촬영후 달아주셨는데요.Q1. '위와 같이 최적화가 가능' 이란 설명을 하셨는데 위 쿼리가 어떤 점에서 최적화가 된 쿼리인지 알고싶습니다.Q2. 상수를 더하는 것 처럼 최적화가 어려우면 SQL에 constant 값을 넘긴다. 이 말씀도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상수를 더한다는 표현과 상수를 넘긴다라는 표현이 낮설기만 한데요. 혹시 예시를 들을 수 있을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업로드파일 조회/삭제 질문있습니다.
업로드파일 조회/삭제 7분 58초에 ResponseEntity를 컨트롤러에 넣는것은 15년전 방식이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근데 ProductController에 아래 같이 있는데요. @GetMapping("/view/{fileName}") public ResponseEntity<Resource> viewFileGET(@PathVariable String fileName){ return fileUtil.getFile(fileName); }아래 코드를 Controller에 넣는게 15년전 방식인건가요?//파일 조회하는것 public ResponseEntity<Resource> getFile(String fileName) { Resource resource = new FileSystemResource(uploadPath+ File.separator + fileName); if(!resource.exists()) {//파일이 없을 떄 resource = new FileSystemResource(uploadPath+ File.separator + "default.jpeg"); } //http 헤더가 중요. 내가 보낸 타입을 알아야함. HttpHeaders headers = new HttpHeaders(); try{//마이 타입 headers.add("Content-Type", Files.probeContentType( resource.getFile().toPath() )); } catch(Exception e){ return ResponseEntity.internalServerError().build(); } return ResponseEntity.ok().headers(headers).body(resource);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트랜잭션 격리수준 질문
애플리케이션 수준에서 Repeatable Read를 JPA는 항상 보장하는지 궁금합니다. 어떤 글에서는 DBMS의 격리수준 설정값에 따라 JPA도 동일한 격리수준 설정값을 갖는다고 하는데요.대부분의 DBMS가 Read Commited라서 JPA도 ReadCommited인가보다 막연하게 생각했다가 아래 실습을 통해 큰 코를 다쳤습니다. 실습내용: TX1에서 MEMBER(id=1, age=20) 인 DB레코드를 em.find(Member.class, 1L)로 조회해서 엔티티객체를 얻는다. 이후 sleep(15초)을 걸어준다.TX2에서 h2-console에서 이 레코드를 업데이트 해서 age = 50 으로 변경하고 커밋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5초뒤 TX1에서 JPQL로 조회한 엔티티는 같은 주소값을 갖는 동일한 엔티티객체를 갖는다. 즉, age가 여전히 20이다.어떻게 정리를 하는 것이 좋을까요?DBMS설정값을 따른다 vs Repeatable Read참고: https://cheese10yun.github.io/jpa-jpql/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Driver org.mariadb.jdbc.Driver is not suitable for jdbc:mysql://localhost:3306/mydb
mariadb driver로 접속할 수 없다고 나오는데 이거 혹시 무슨 문제인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대다 단방향 연관관계 질문드립니다.
일대다 단방향 연관관계에서,@Entitypublic class Member {@Id @GeneratedValue@Column(name = "MEMBER_ID")private Long id;@Column(name = "USERNAME")private String name;... getter and setter}@Entitypublic class Team {@Id @GeneratedValue@Column(name = "TEAM_ID")private Long id;private String name;@OneToMany@JoinColumn(name = "TEAM_ID")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 getter and setter}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setName("member1");em.persist(member);Team team = new Team();team.setName("teamA");team.getMembers().add(member);em.persist(team); 위와 같은 일대다 단방향 연관관계에서,1. 이렇게하면 Team엔티티의 members필드인 리스트에 값을 추가 및 변경(team.getMembers.add(member), team.setMembers())하고 Team엔티티를 저장하면, MEMBER 테이블에 대한 UPDATE쿼리가 추가적으로 생성되고, MEMBER 테이블의 외래키(TEAM_ID)를 추가 및 변경할 수 있다.이렇게 이해했는데요. @OneToMany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를 통해 MEMBER테이블에 TEAM_ID컬럼이 생기는거 같은데, 다른 여러 테이블도 있다고 가정했을때 어떤 이유로 MEMBER테이블에 TEAM_ID컬럼이 생성되는것인가요? @JoinColumn(name = "TEAM_ID")만 보고 MEMBER테이블인지 어떻게 아는것인가요..? 2. db에 위와같이 Member와 Team을 저장한다음에,team.getMembers()을 해서 Member를 구한 다음에, Member를 통해 MEMBER테이블에 있는 Member의 TEAM_ID값을 알고싶으면 어떻게해야하나요?제가 알기로는 team.getMembers()로 가져온 Member 객체에는 TEAM_ID를 알 수 있는 필드가 없어서 알수없다고 생각하는데 이게 맞을까요?그럼 Member의 TEAM_ID값을 알고싶으면 양방향 연관관계로 만들어서 Member 엔티티에 @ManyToOne을 추가하고 Member 객체에서 member.getTeam().getId(); 를 통해 TEAM_ID를 직접 조회해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