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실전문제풀이 13-3 질문
안녕하세요.3번 선지 D 해설에서 "ALB는 하나의 서버에만 요청을 보낸다"고 설명되어 있는데, 제가 이해하기로는 ALB (Application Load Balancer)는 여러 서버에 요청을 분산하는 AWS 서비스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해 주실 수 있을까요? 이해가 잘 가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
-
미해결CloudNet@ - Amazon EKS 기본 강의
Karpenter 설정
안녕하세요EKS 강의를 완강한 후 궁금한 점이 있어 댓글을 남깁니다!Karpenter 설정 시 사용하신 YAML 파일을 보니, 지금까지 원클릭에서 사용했던 addons 및 IAM 설정 등이 빠져 있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이전 방식과 동일하게 Karpenter YAML에도 addons 및 IAM을 추가한 전체 파일을 볼 수 있을까요?공부한 내용을 참고하여 하나씩 다시 추가해볼 수는 있지만, 정확하게 설정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는 문서가 없어 이렇게 댓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
미해결누구나 시작할 수 있는 네트워크 Step 1 (네트워크 모델)
섹션 2번과 4번이 중복 입니다.
섹션이 4번 까지 잇는데요 2번하고 4번이 같은 내용인데 진도율은 다 들어야 올라 가네요. 수정해야 할것 같습니다. 수정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AWS VPC 과금 문제(탄력적 IP)
탄력적 IP 설정 이후, 리눅스용 도커 설치 영상에 따라 우분투 서버에 docker를 설치했습니다. 그런데 과금이 되었더군요. 프리티어라 과금이 안될줄 알았는데, 정책이 바뀌어 탄력적 IP 설정에 비용이 청구됩니다.https://dev.classmethod.jp/articles/rate-policy-for-aws-public-ipv4-addresses-will-change-kr/탄력적 IP 사용을 안하면 과금이 된다는 말씀도 하셨던거 같은데 그냥 탄력적 IP를 해제하면 될까요? 서버 사용은 동적으로 바뀌는 IP로 접속하면 되는건지...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Event와 Condition Variable 중에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이전 강의인 Event와 비교했을 때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EventEvent를 사용하면 Lock코드와 묶여있지 않기 때문에 Producer 쓰레드가 연달아 Lock을 가져가게 될 경우에 q의 값이 누적되어 값이 틀어질 수 있다고 하셨던 것으로 이해했습니다.아래는 Event 강의의 코드인데요, Consumer 함수에서 if(!q.empty())를 while(!q.empty())로 변경했을 때 q의 크기가 4자릿수로 넘어가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 반면에, 조건변수를 사용하면 q의 크기가 4자릿수가 넘어갈 때가 심심찮게 발생합니다. CPU사용량은 거의 비슷합니다.강의 설명에서는 Kernel Object와 User-Level Object의 차이때문에 Event보다 조건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뉘앙스로 느껴집니다. 물론, 이전 가르침을 통해서 상황에 따라 효율적인 방식은 전부 다르겠지만, 이번의 경우는 예외처럼 느껴져서 질문드립니다. 조건변수가 더 효율적인 방식인가요?#include "pch.h" #include <iostream> #include "CorePch.h" #include <thread> #include <atomic> #include <mutex> #include <windows.h> mutex m; queue<int32> q; HANDLE handle; void Producer() { while (true) { { unique_lock<mutex> lock(m); q.push(100); } ::SetEvent(handle); this_thread::sleep_for(100ms); } } void Consumer() { // 데이터를 꺼내 쓰고 있음 while (true) { ::WaitForSingleObject(handle, INFINITE); // 현재 상태가 ManualReset이면 수동으로 Non-Signal로 바꿔줘야 함. //::ResetEvent(handle); unique_lock<mutex> lock(m); if (!q.empty()) { int32 data = q.front(); q.pop(); cout << data << '\n'; } } } int main() { handle = ::CreateEvent(NULL/*보안속성*/, FALSE/*bManualReset*/, FALSE/*bInitialState*/, NULL); thread t1(Producer); thread t2(Consumer); t1.join(); t2.join(); ::CloseHandle(handle); }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연장 부탁드립니다
수강연장 부탁드립니다 ..!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연장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AWS 자격증을목표로 입문했는데요..업무강도가 너무많아져서 병행을못하고있습니다.연장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이벤트를 쓰는 것이 CPU 처리율이 더 높게 나오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 선생님 강의 덕분에 서버에 입문을 수월하게 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다름이 아니라, 이벤트를 쓰면 WaitForSingleObject 함수로 인해서 계속해서 대기가 되는 상태일텐데 CPU 점유율이 쓸데없이 무한루프를 도는 것보다 많이 먹습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이벤트 사용X> <이벤트 사용O>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입문 올인원] C++ & 자료구조/알고리즘 & STL & 게임 수학 & Windows API & 게임 서버
IOCP 멀티 게임에서 Collsion 충돌 처리는 어떻게 구현하나요?
본 강의에서는 제가 못찾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멀티 게임 구현시 타일맵을 이용한 충돌 구현만 있는 것 같습니다. (혹시 만약 있다면 어디에서 언급되는지 모르겠네요..) 얼핏 기억하기로는 충돌 처리는 서버에서 해야 한다고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에 있는 CollisionManager, Collison클래스와 같이 충돌과 관련된 클래스를 서버 쪽에도 복붙하여 충돌 처리를 하는 방향이 맞을까요? 만약 그렇다면 현재까지는 클라이언트에서 Collision 범위를 네모 박스와 같은 형태로 그려서 눈으로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니까 쉽게 디버깅할 수 있었는데, 서버에서 충돌을 구현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거 아닌가요? (그렇다면 디버깅이 굉장히 어렵겠네요...) 서버에서 충돌을 구현하면 클라이언트에서는 충돌 처리를 안하니까 클라이언트의 Bullet과 벽은 Collision은 제거하면 될까요? 멀티 게임에서 충돌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방향을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기간 연장 요청드립니다!
안녕하세요!해당 강의를 열심히 수강하면서 AWS 자격증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시험날짜가 다가오는데 아직 강의 수강을 완료하지 못했습니다 ㅠㅠ!혹시 수강기간을 연장해주실 수 있을까요?확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몬스터 충돌판정
안녕하세요 강의를 보고 배운 서버와 dx11로 3d게임을 만들어 보고있습니다. 이동동기화 등은 잘 됬고 몬스터를 만들었는데 접속한 클라에서 모두 동일하게 로직이 돌아가야하니 몬스터의 로직은 서버에서 돌아가게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플레이어가 몬스터를 타격하면 타격한 플레이어가 타격했다는 패킷을 보내고 플레이어가 플레이어를 타격하면 피격당한 플레이어가 패킷을 보내는 식으로 했는데 투사체 같은경우 몬스터가 투사체를 맞았다 라는건 서버에서도 충돌체를 두고 몬스터가 검증을 해야할까요? 클라에서 판단하더라도 그러면 여러 클라가 있을경우 여러 클라가 다 맞았다는 패킷을 보낼것 같아 뇌가 꼬입니다...물론 방법이야 많겠지만 이부분 구현에 있어 감이 안잡혀 질문드립니다 ㅠㅠ
-
미해결CloudNet@ - Amazon EKS 기본 강의
작업 노드에서 키 없이 어떻게 워커 노드 접속이 가능하죠?
원클릭 배포에서 작업 노드에서 Worker Node로 SSH 접속이 가능하던데 작업 노드가 별도의 private key를 가지고 있지 않는데 어떻게 가능한거죠?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응용
홀펀칭 P2P에 관해 약간의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Full Cone NAT를 이용한 경우 홀펀칭을 이용해서 P2P 통신이 가능해지는데 TCP Protocol로 해서 해당 NAT 테이블에 등록이 되어 있어서 지속적으로 P2P 통신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P2P 통신을 하러 들어온 다른 클라이언트 쪽에서 TCP FIN을 보내서 4-way handshake를 하게 되면 해당 호스트 역할을 맡은 클라이언트의 공유기의 NAT table에서 제거되어 P2P연결이 모두 종료되는 건가요? 게임으로 따지면 누군가 해당 IP와 Port를 확인하는 것 만으로 방을 폭파시킬 수 있는 건가요? 이상입니다.오늘도 좋은 하루 되십시오. 감사합니다.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연장 문의드립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수강기간이 얼마남지 않았는데 완강하지 못하여수강연장 문의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응용
Out of Path 장치로 거짓 응답으로 보내는 경우
Out of Path 장치로 유해 사이트로 바로 응답하는 경우에도실제 해당 사이트에서는 응답을 보내주는데ISP단에서 해당 응답은 차단 안하는건가요? 그러면 실제로 브라우저에 뜨지는 않지만 클라이언트에서는 해당 응답을 받긴 하는건가요? 더 자세히 보자면 TCP 3-way handshake단계가 먼저 들어갈 것 같은데, 이 3-way handshake의 응답을 ISP단의 Out of Path 장치가 먼저 수행해서 실제 서버와 3-way handshake를 못하게 막는건가요? 만약 응답을 차단하지 않는다면, 여러 응답들을 모두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내면 실제 서버의 응답 역시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아마 ISP에서 해당 서버의 ISP로의 Inbound를 막아서 못들어올 것 같기도 합니다. 잘 모르겠습니다.) 이상입니다.오늘도 좋은 하루 되십시오. 감사합니다.
-
해결됨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이더넷 질문 드립니다.
Ethernet 헤더 분석 및 LSO 이슈 강의에서 고급 네트워크 설정을 따라하려고하는데 이더넷이 없어요 .. 혹시 VMware에서 하신걸까요 .. 아니면 BIOS에서 제가 잘못한걸까요.. 답변 부탁드릴게요 !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응용
WAF
inline 장비를 설명해주실 때 WAF를 말씀해주신것 같은데 이 강의에서는 proxy라고 설명해 주셔서요.어느게 맞을까요??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putty 사용중 네트워크 문제발생
1. 라우터1, 라우터2가 시리얼케이블로 연결되어있다2. 라우터1에 스위치1이 연결되어있다3. 스위치1에 PC1, PC2가 연결되어있다.4. PC1과 PC2는 네트워크가 다르다PC1 - 204.200.10.2/24, 게이트웨이 204.200.10.1/24PC2- 204.200.20.2/24,게이트웨이 204.200.20.1/24 스위치에서는 VLAN을 잘 나누었고, 트렁크까지 완료했음.라우터에서는 스위치와 연결된 물리포트를 NO SHUTDOWN으로 열어주었고, 포트를 가상화하여 서브인터페이스를 구성하였음. (ENCAPSULATION DOT1Q)그러나 문제가 발생함(PC1에서 PC2로 핑 가지않음, PC2의 게이트웨이까지는 핑 도달,PC2에서 PC1로 핑 가지않음, PC1의 게이트웨이까지는 핑 도달) 이런경우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ㅠㅜputty를 이용해서 네트워크를 구성해보았는데..그 이상 진행이 되질 않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DNS와 트랜잭션 ID
강의에서 언급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DNS 캐시서버는 UDP로 통신하기 때문에 여러 요청이 왔을 때 요청을 구별하기 위해 트랜잭션 ID를 붙혀서 클라이언트를 구별한다고 공부했습니다. 그런데 트랜잭션 ID가 없어도 요청받은 IP주소와 port번호를 보고 응답을 해주면 되는게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트랜잭션 ID가 필요한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추가적으로 만약 DNS 통신을 TCP라고 가정했을 때 TCP도 결국엔 IP 주소와 port번호를 보고 데이터를 응답해 줄텐데 TCP는 연결 지향형이기 때문에 괜찮다고 하더라구요.UDP, TCP 모두 IP주소와 Port보고 응답할텐데 UDP는 트랙잭션 ID가 필요하고 TCP는 괜찮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 기간 연장 요청드립니다.
AWS Assoicate 자격증 일정 및 아직 다 보지를 못해 수강 기간 연장 요청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