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실전! Querydsl
페치 조인의 사용 기준이 고민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듣고 즐겁게 공부하고 있습니다.개인적으로 토이프로젝트를 하던 중에 쿼리 최적화(?) 기준에 관해서 고민이 생겼습니다. 현재 회원의 모든 게시물을 조회하는 로직이 있는데, 회원를 조회하고(1) 회원의 모든 게시물을 조회하고(2) 이렇게 총 2번의 쿼리가 발생합니다.이런 상황에 페치 조인을 통해 회원을 조회할 때 게시글도 한번에 페치 조인해오는 코드를 만드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이정도는 괜찮은지 잘 결정하지 못하겠습니다. 해당 코드를 개발하더라도 사용하는 경우가 더 생길지 안생길지는 모르는 상황입니다.물론 정답은 없겠지만, 영한님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어서 질문 남깁니다! 좋은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 애초에 해당 접근방식의 문제가 아니여서 다르게 해결은 했습니다. 그래도 기준이 궁금하여 질문은 남겨두겠습니다. comment.getPost().getMember() 처럼 타고타고 들어가는 상황일 때마다 페치조인을 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스프1탄]
43강 컨트롤러 관련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다름이 아니라폼-> 컨트롤러로 넘긴 값 중 memPassword는아직 비교 되기 전에 컨트롤러로 넘어가서 누락 메세지에 걸리게 되므로 삭제한다고 하셨었는데요~회원가입 페이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할때마다 1차와 2차 비밀번호가비교되면서 화면에 "비밀번호 일치"가 뜬다는 것은 이미 그 함수의 내용은 실행되고 있고 $("#memPassword").val(memPassword1);전송버튼 누르기 전에 memPassword의 input값이 value값으로 이미 세팅이 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요??ㅠ관련된 내용은 강의 38분 50초쯤에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OrderServiceTest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OrderServiceTest 실행 시 NullPointException이 발생합니다.(OrderServiceTest)orderService.createOrder() 부분에서 발생하는데, 더 파고들면, discount() 메서드에서 발생합니다.(OrderServiceImpl)강의와 똑같이 코드를 작성하였는데, 오류가 계속 뜨네요. 제가 생각한 오류의 이유는 test 클래스 작성 시 MemberServiceImpl에서 생성하는 MemoryMemberRepository 객체와 OrderServiceImpl에서 생성하는 MemoryMemberRepository 객체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객체에서 memberId를 저장하고 조회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해서 객체 주소를 찍어보는 코드를 넣어보았는데요,(OrderServiceImpl)(MemberServiceImpl)이렇게 해서 test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위 두 줄 마지막에 MemberServiceImpl에서 생성한 MemberRepository 객체와 OrderServiceImpl에서 생성한 MemberRepository 객체가 상이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코드를 변경해야 한다면, 어떻게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 있으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실무에서 patch와 put 잘 사용하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전에 혼자 프로젝트할때 서버db와 연동이 되있다보니까 비동기통신으로 서버와 연결할때 수정 등 데이터처리할때 put이나 patch를 안쓰고 다 post로 보내서 처리했는데 실무에서는 put과 patch를 자주사용하나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기초 프로그래밍 입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현재 꿈을위해 1인개발을 준비하고 있는 게임업계 아트출신 학생입니다.선생님의 강의와 c#문법책, 여러가지 자료들을 복합적으로 보면서 공부를 진행하고 있는데요.아무래도 여러가지를 동시에보다보니 의문점이 생겼습니다.아무래도 개발을 하다보면 문법적으로 자주쓰이거나, 필수적으로 느껴지는것들이 있고, 선호도나 사용성이 떨어져서 드물게 사용되거나, 다른문법으로 대체가능한것도 있으리라 판단됩니다.선생님의 강의를 보면서 도움이 아주 많이되어서 감사하면서도, 그 와중에 책에서만(아무래도 두껍고 많은양을 다루다보니...) 다루는 내용이 있는데,선생님께서 강의로 만들어주신 문법적인 부분위주로 공부를 끝내고, 개발도중 필요한 부분이 생기면 그때 추가적으로 더 공부해도 개발에 무리가 없을까 하는 의문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솔직히 책을 다 공부하면 좋겠지만, 워낙 양이많고 공부만 하면서 하기보단, 개발을 진척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문법을 익히며 개발과 공부를 동시에 진행하는게 효율적일것 같아서 필수적이거나, 조금더 유용한부분 위주로 공부를 끝내고 진행을 하는게 좋을것 같다는 판단에 질문 드려봅니다!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vue.js 실전 프로젝트(트위터 클론)
permission denied firebase 에러
firebase 스토리지 최초 생성하고 프로필 이미지를 올렸을 때 permission denied firebase 에러가 날수있습니다.강의에서 따로 언급되지는 않았는데 이럴경우 storage > Rules에서 allow read, write: if false;를 allow read, write: if true;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arp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오늘 공부하다 어떤 예제를 보았는데요,제가 아는 선에서는 조금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 호스트 A의 ip 주소가 123.123.123.123 이고 라우터가 123.123.123.1일 때,이 경우 서브넷 마스크를 /24로 추측하는 것이 마땅한가요?같은 라우터의 같은 포트에 서로 다른 네트워크 주소를 가지는 호스트들이 묶여있을 수 있나요? 예를 들어 10.10.10.10/24와 10.10.20.11/24가 같은 LAN 상에 존재할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호스트 B의 주소가 123.123.321.1일 때, 호스트 A가 호스트 B로 arp를 보낼 수가 있나요? 서브넷 마스크는 모르는 상황입니다arp 포맷을 보면 src 하드웨어 주소와 dest 하드웨어 주소가 포함되어 있던데 이건 이미 이더넷 헤더에 들어있는 내용 아닌가요? 이것이 왜 중복해서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여기서 예제의 내용은 3번인데요, 그림에는 A와 라우터만 있고 A가 B에게 arp를 보내면 라우터가 응답해주는 그런 모양새였습니다근데 제가 보기엔 A랑 B가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서 arp를 한다는거 자체가 말이 안되는거 같은데...다만 여기서 서브넷 마스크를 /16이라고 생각하면 얼추 맞는거 같기도 해서...아직 제 지식에 대한 확신이 안 서는듯 합니다.ㅠㅠ 선생님의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UE5] Part1. 언리얼 엔진 블루프린트
c++, 연동, VR, 데디서버 강의도 추후 올라올 건가요?
현재 rookis 님의 언리얼5 강의는 'part3 언리얼엔진 게임개발 입문'여기까지 나왔는데, c++ 연동, vr, 데디서버 이건 추후에 계속 올리실건가요?간혹 강사들중에서 나머지 파트들은 무슨 특별 회원가입비를 더 내야지 듣게끔 유도해서 혹시나 여쭤봅니다.
-
해결됨Next.js 시작하기(feat. 지도 서비스 개발)
안녕하세요.
일단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제 학습 수준이 아직 낮아서, 더이상 진도는 안나가고 있고 다시 리액트를 좀 복습중입니다.ㅎㅎ저도 언능 수준이 올라가서, 박용주님처럼 이것저것 만들어보고 싶네요. 최종 목표는 웹게임을 만들어보는겁니다.ㅎㅎ아무튼.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혹시 next.js로 개발을 할 때 Redux는 잘 사용 안하나요?리액트 배우면서 redux를 아주 중요하게 다루는것 같은데, next.js강의는 여러곳을 돌아다녀 봐도redux에 대해서는 안가르치는것같더라구요. 리액트에서 당연히 배워왔을 소양이라서 커리큘럼에 없는건지, 아니면 next.js에서는 redux는 잘 사용 안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Vue3 완벽 마스터: 기초부터 실전까지 - "실전편"
axios, vite 환경 변수 에러
이 부분이 에러가 나는데.envVITE_APP_API_URL=http://localhost:5001/.env.developmentVITE_APP_API_URL=http://localhost:5000/index.jsimport axios from 'axios'; function create(baseURL, options) { const instance = axios.create(Object.assign({ baseURL }, options)); return instance; } export const posts = create(`${import.meta.env.VITE_APP_API_URL}posts/`); // development : http://localhost:5000/posts/ // production : http://localhost:5001/posts/어느 부분에서 에러가 나는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Next.js 시작하기(feat. 지도 서비스 개발)
깃헙주소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의시작마다 브랜치가 나오는데, 깃헙주소 알 수 있을까요?감사합니다.1-2 브랜치 1-4 브랜치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강의 중간중간 보시면 git checkout 하시는 것으로 보아 github주소가 있는 것 같습니다. github 주소 공유해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3차 다항식 만들기
선생님! 다항회귀공부하면서 코드에 3차 다항식을 만들 때 y = 1 + 2*X[:,0] + 3*X[:,0]**2 + 4*X[:,1]**3저기 [:,0] 이부분은 식에 왜 해주는 건가요??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트래픽이 몰릴때
트래픽이 몰릴 경우에 정적 페이지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고 하셨는데, 정적 페이지는 트래픽이 많아져도 과부하가 생기지 않나요??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x표시가 떠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프로젝트 열었는데 엑스표시가 뜨는데 왜그런지 모르겠습니다 자바 버전도 확인해보았습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docker 관련 질문 드립니다.
Pause Container pod 생성후docker ps -a명령어 수행시아무런 컨테이너도 안나오는데사용중인 가상화가 docker 가 아니라서 그런건가요? 사용중인 가상화 조회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전이 설정
영상 제일 마지막에 영속성 전이 설정 하는 부분에서OrderItem이 Item과도 연관이 되어있지 않나요?~OrderItem을 Order에 cascade해도 상관없는 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애플리케이션] 초기화의 의미!
[애플리케이션] 초기화도 결국에는 서블릿을 등록하는 것인데, 왜 굳이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용어를 썼을까요?저 같으면, 그냥 [서블릿 컨테이너 초기화의 또 다른 방법]이라고 설명을 했을텐데....여기서 말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
미해결중상급 퍼블리싱을 위한 CSS3의 모든 것
css 선택자의 모든-선택자 우선순위가 중요한 이유 강의 내용중에서
안녕하세요 수강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은 학생입니다. 강의를 듣던중 질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강의 12분 경 선택자 우선순위를 설명하시면서 외부 스타일시트 보다 내부 css가 더 우선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style>h1 {color : yellowgreen;}</style> 이런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부 css가 우선해서 yellowgreen 이 적용된다는 식으로 말씀을 해주셨는데 우선순위가 같을 경우 top-down 으로 적용되다 보니 yellowgreen이 적용되는거 아닌가요 style 태그가 link 태그 상단으로 이동된다면 결과는 반대가 됩니다 우선순위가 같을 경우 나중에 쓴것이 덮어쓴다고 알고있습니다 하신 말씀이 오해의 소지가 있는거 같아 질문 남깁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ssr방식과 csr방식
수업시간 5분 50초때 설명해주시기로는ssr방식은 첫 페이지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seo를 가능하게 하고, 이후 페이지 전환시에는 react방식으로 하신다고 하셨는데, 이게 next.js에서 구현된 ssr에 한하여 설명해주신건가요?? 아니면 next가 아니더라도 보편적인 ssr방식을 설명해주신건가요 ?? 동아리 면접 대비로 ssr, csr, spa, mpa 개념이 헷갈려서 공부하고있는데,제가 이해하기로는 ssr은 브라우저의 요청시마다 페이지 전체를 데이터까지 적용하여 서버에서 전달받아 렌더링하는걸로 이해했는데, 6분때 설명해주시는것은 csr방식이 섞인것 같은데, 혹시 제 이해가 잘못되었나 싶어서 여쭤봅니다.. + 수업 1분20초에 ssr의 전체 과정이 길어서 로딩속도가 많이걸려 느리게 그려준다고 하셨는데, 다른 관련 블로그 글에선 오히려 csr방식이 서버에 첫 요청시 전체 페이지에 대한 문서파일을 받아오니 ssr보다 첫페이지 로딩속도가 느리다고 하더라고요.그러면 첫페이지 로딩속도는 ssr이 csr보다 빠르고,페이지 전환 속도는 csr이 ssr보다 빠르다고 정리하면 될까요??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미해결앨런 iOS Concurrency(동시성) - 디스패치큐와 오퍼레이션큐의 이해
global큐에 sync로 작업을 보냈을 때는 터지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sync를 공부하다가 의문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메인스레드에서 메인큐로 sync로 작업을 보내면ui를 보여줘야할 메인에서 작업을 한없이 기다리게 되니 크래시가 난다고 알고 있습니다.강의에서, 메인에서 글로벌큐로 sync로 작업을 보내더라도 실질적으로는 메인에서 작업을 한다고 하셨는데요.그렇다면 실질적으로는 메인에서 sync로 작업을 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는데, 그런 경우에는 왜 크래시가 발생하지 않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