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persistence.xml 찾을수가 없다네요
INFO: HHH000318: Could not find any META-INF/persistence.xml file in the classpath [土 10 24 00:40:20 JST 2020]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x.persistence.PersistenceException: No Persistence provider for EntityManager named hello at javax.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85) at javax.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54) at hellojpa.JpaMain.main(JpaMain.java:9)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 안녕하세요 강사님 일본에서 강의를 보고있는데 이런 에러가 뜨는데 어디가 잘못인지 잘모르겠네요 공부를 하고싶은데 처음부터 막혔네요 ㅠ파일 압축해서 링크 올렸습니다 도움 부탁드려요 https://drive.google.com/file/d/1kPvVoYZ1WSx77OdBGGq4YMMpOgyc2q_7/view?usp=sharing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컨트롤러 테스트
먼저 강의 내용과는 다른 질문 드려서 죄송합니다. 컨트롤러는 왜 테스트 해야 할까요? 컨트롤러 자체에는 비즈니스 로직이 없고 그저 서비스 계층에 위임하는 역할밖에 없는데 테스트 할 가치가 있을까요?? 서비스 계층 모두 테스트가 완료 되었다면 컨트롤러도 정확히 동작할거라고 예상 할수 있지 않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cascade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김영한 강사님께서 cascade는 소유자가 하나일때 사용하라고 하셨는데, orderItem 같은 경우는 소유자가 order와 item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사용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단지 예제를 이용해서 사용하신건지
-
미해결더 자바, 코드를 조작하는 다양한 방법
인스턴스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매번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는데 클래스 로딩이 끝나고 나서 heap 영역에 인스턴스 관련 정보가 들어가 있고 Class<Book> bookClass = Book.class 를 통해 인스턴스를 가져올 수 있다고 했는데 그러면 이 인스턴스는 new Book() 으로 생성된 인스턴스와는 다른 건가요? 실제 멤버변수의 값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왜 new Book() 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Book.class 로 가져오는 인스턴스와 new Book() 으로 생성된 인스턴스가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지도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실무에서 WEB을 구현할 때의 순서가 궁금합니다.
강의를 전부 들어서 기본적인 Domain - Repository - Service - Controller 순서대로 하는 것은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이 강의에서는 회원 가입, 목록, 상품 목록, 상품 검색들 전부의 Domain Repository Service 단을 짜고 그 후에 Controller와 웹 뷰페이지를 만드셨는데요 제가 궁금한 부분이 실무에서도 이런식으로 밑단을 다 만들어놓고 웹을 구현하나요? 아니면 일부분을 먼저 만들어놓고 그 다음껄로 넘어가서 다시 짜는건가요? 예를 들면 전자는 로그인, 회원가입, 상품 등록, 상품 검색이 필요하다고 가정하면 로그인 회원가입 상품등록 검색에 필요한 모든 리포지토리와 서비스단을 미리 구현하는 거고 후자는 일단 회원가입에 필요한 리포지토리와 서비스 단을 구현하고 웹페이지를 만들어서 테스트 후에 로그인 기능을 만들고 상품 등록을 만들고 상품 목록과 검색을 만들고.. 이런 방식입니다. 사실 제가 웹사이트를 현재 만들고 있는데 전자로 진행하려고 했으나.. 이게 jpa도 처음 배워봐서 그런지 먼가 설계를 하는 부분부터 멘붕이 오더라구요.. 당장 필요한 메서드도 생각이 안나고 이 메서드는 무슨 파라미터가 필요할까.. 고생하면서 리포지토리 다 짜놓으니까 또 필요에 의해 List에서 Optional로 리턴 타입받으니까 꼬리에 꼬리를 물고 오류가 터지더라구요.. ㅋㅋ 그래서 실무에서는 보통 어떤 방식을 선호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렸습니다. 그리고 개인플젝같은경우는 후자로 해도 상관없나요? 이게 강의를 들을때는 몰랐는데 다 듣고 막상 해보려니 설계부터 장난이 아니네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설계질문입니다.
강의 잘봤습니다!! 역시 꿀강의!!! 배운 것을 토대로 토이프로젝트를 간단하게 진행 해보려고 합니다. 그래서 팁좀 받을 수 있을까... 해서요!!! 요구사항은 이렇습니다. - 회원엔티티는 본인의 플레이리스트 엔티티를 조회한다. - 플레이리스트의 정보는 동영상 엔티티에 저장되어 있다. - 회원은 본인의 플레이리스트 목록을 삭제할 수 있다. - 회원은 본인의 플레이리스트 중 가장많이 들은 곡 리스트를 조회할 수 있다. - 모든 사용자는 동영상 엔티티에 있는 모든 곡 중 가장 많이 들은 곡 리스트를 조회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로 아래와 같이 설계하였습니다. 가능하시다면 피드백 가능할까요 ㅜ.ㅜ @Entity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email; @OneToMany(mappedBy = "member") private List<PlayList> playList = new ArrayList<>();} @Entitypublic class Video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title; @Column(name = "video_no") private String videoNo; private String image; private int count; // 재생 횟수} @Entitypublic class PlayList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int count; // 재생 수 @ManyToOne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ManyToOne @JoinColumn(name = "video_id") private Video video;}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더티체킹을 통한 수정과 delete() 메서드를 통한 삭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한 강사님. 기본편부터 Querydsl까지 강의를 듣고, 덕분에 예전부터 만들고 싶었던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진행 중에 기본적인 CURD를 하던 중, 기본편부터 말씀하신대로 수정은 더티체킹을 통해서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더티체킹을 하기 위해 엔티티를 영속화시키려면 클라이언트에서 넘어온 id로 findById() 메서드를 통해 DB에 select를 꼭 한번 해주어야 하는건가요? 마찬가지로 삭제할 때도 클라이언트에서 넘어온 id로 엔티티를 조회 후 em.remove() 메서드에 인자로 넘겨주어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영속화 시키는법: em.persist, em.find) 기존에 개발하던 방식은 update문, delete문을 통해 한 번만 통신을 하였는데, 뭔가 select를 한 번 더 하자니 손해보는? 느낌입니다 ㅋㅋㅋ 아니면 상황마다 다르게 해도 되는지요? 예를 들면 실무에서 관리자 사이트 같은 실시간 트래픽이 많지 않은 곳은 더티체킹을 하고, 실시간으로 수정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고객 서비스에서는 update문을 직접 날리는 방식으로 하는 것처럼요. 그리고 실무에선 엔티티에 Setter 메서드를 웬만하면 사용하지 않고 의미있는 메서드명을 만들어서 사용한다고 하셨는데, 그럼 예를 들어서 Member 엔티티를 더티체킹을 통해 수정하려면 changeMember(String username, int age) 같은 메서드를 만들어서 사용하시는 건가요? 강의를 들을 땐 뭔가 다 이해가 되는 기분이였는데, 막상 실제로 개발을 시작하니 기존과 다른 개발 방식이 낯서네요 ㅋㅋㅋㅋ 그래도 덕분에 개발에 대한 새로운 눈이 띄여지는 것 같습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unit5 이용했을 시 재고수량초과 테스트코드 작성방법입니다
@Testpublic void 상품주문_재고수량초과() throws Exception{ //given Member member = createMember(); Item item = createBook("시골 JPA", 10000, 10); int orderCount = 11; //when //then NotEnoughStockException ex = assertThrows(NotEnoughStockException.class, () -> { orderService.order(member.getId(), item.getId(), orderCount); }); assertEquals(ex.getMessage(), "need more Stock");}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관계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Member 엔티티에서는 team 객체에 @ManyToOne , @JoinColumn(name = "TEAM_ID")로 설정했는데, 반대로 Team 엔티티에서 기본키 설정에서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TEAM_ID")도 설정되어있는데, @Column(name = "TEAM_ID") 이걸 빼더라도 조인 매핑이 되더라구요. 이유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jpa 가 알아서 id를 TEAM_ID 로 매핑해주는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부트 업데이트
강의 영상이 중복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세션 2 3번째 영상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 도커 이미지 만들기와 5번째 영상 스프링 부트로 효율적인 도커 이미지 만들기 영상이 동일합니다. 5번째 영상이 잘못 올라온 것 같습니다. 수정 부탁드립니다.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odelAttribute
안녕하세요! // @PostMapping(value = "/items/edit") @PostMapping(value = "/items/{itemId}/edit") public String updateItem(@ModelAttribute("form") BookForm form) { Book book = new Book(); book.setId(form.getId()); book.setName(form.getName()); 1. @ModelAttribute를 안붙여도 되는데 강사님은 왜 붙이신건지 알고 싶습니다!! 2. url에 itemId가 form으로 넘어오는 상황인데 이때 url에서 itemId를 빼는 것이 더 올바른 건가요? 아니면 강사님 처럼 사용은 하지 않아도 관례상 넣어줘야 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안녕하세요 초보적인 질문일것 같은데..
rest 방식으로 회원 등록 api를 만들었는데 , 그럼 예를 들어 1편에서 했던 MemberController에서 회원 등록을 하는것은 필요 없는 과정인가요? 앞으로 rest api 방식으로 해서 html이랑 연결시키면 되는건가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Maven 라이브러리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께서 출판하신 JPA책과 같이 보면서 복습하고 있습니다. Jpa 책 73페이지에 보면 hibernate-entitymanager 핵심 라이브러리를 pom.xml에 등록해서 사용하셨는데 현 강의에서는 spring-data-jpa -> hibernate-core만 있고 엔티티매니저는 없는데 버전이 올라가면서 core만 있으면 되는건지 Maven Repository에서도 못찾아 질문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예외 발생 시킬때
문득 궁금한 점이 예외가 발생되어서 catch문으로 잡아서 처리하지 않으면 프로그램이 종료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복 이름 일때 예외 발생시키고 어디서도 catch로 잡아 주지 않았는데 왜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시퀀스 방식에 대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디비에 50개씩 올려놓고 메모리에서 1개씩 쓴다는게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가서 ㅠㅠ 디비에서 메모리로 1개씩 가져온다는 말인가요? 아니면 메모리에 50개씩 쌓아놓고 1개씩 쓴다는 말인지..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분리된 일반 리포지토리 네이밍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한 강사님.기본편 부터 쭉 들으며 열정넘치신 강의 덕분에 많은 배움이 있었습니다.강의 중에 리포지토리 네이밍에 관해 궁금한것이 생겼는데요, 메인 리포지토리 분리할 경우 고려할 사항에 대해 말씀해주셨는데요,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 - Command(명령성) / Query(복잡한쿼리)* - CoreBusinessLogic(핵심비지니스로직) / ViewPrivateLogic(View계층쿼리로직)* - LifecycleStepedLogic(생성주기에 따른 절차적로직) 알려주신 QueryRepository 외에 분리되야 할 부분의 리포지토리의 이름들을 어떻게 구분하면될까요? Query : query.XxxQueryRepository Command : command.XxxCommandRepository CoreBussiness : ? LifecycleStepedLogic : ?? 추측해본 결과로는 이런방식인데요,1. 실무서 이런방식으로 구분하시는지,2. 강의 내용 외 분리시킬 리포지토리의 패키지와, 이름을 각각 어떤이름으로 사용하시는지3. 묶어서 사용할 경우, 어떤것들 끼리 묶어서 사용하시는지간략한 구체적인 사례들이 궁금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지연로딩 설정 예제에서 질문입니다.
[지연로딩] 설정 예제 관련 질문입니다. 기본편 강의에서는 지연로딩 설명시 member.getTeam()을 호출해도 팀에 있는 필드를 호출(member.getTeam().getName())하기 전까지는 SQL문이 호출되지 않았는데, 현재 예제에서는 member.getTeam()만 호출했는데도 SQL문이 실행되고 있는건 혹시 toString() 메서더를 호출때문인건가요?? toString()이 호출되면서 Team에 있는 뭔가가 호출했다고 인식해서 SQL문이 나간건가해서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엔티티 직접 사용 - 묵시적 조인 질문입니다.
[엔티티 직접 사용 - 외래 키 값] 강좌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team = :team" 에서 앞에서 배운 "경로 표현식"에서 본 경우와 같이 경로 탐색(m.team)을 사용하므로 묵시적으로 m와 t 사이에 조인이 일어날것 같은데 일어나지를 않네요. 그래서 "경로 표현식"에서 한 예제와 어떤 차이가 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 경로 탐색은 select와 where절에서 사용가능)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B 초기화 관련 질문입니다.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영한님의 경우 프로젝트 재실행마다 모든 DB 테이블이 초기화 되는데, 저는 주문 내역만 초기화되고, 이외의 테이블들은 초기화가 되지 않습니다. ( 근데 또 이상한게 아까 설정 한번 건드려봤을 땐 한번 됐었는데 또 안되네요;; ) 어떻게 설정을 바꾸면 모두 초기화가 될까요? 주문 내역 테이블은 초기화가 되는데, delivery 테이블은 초기화가 되지 않아서 PK 중복 에러가 자꾸 나네요ㅠ main의 application.yml test의 application.yml p.s. 영한님 저서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책은 2015년 출간 되었던데, 이후 개정된 적은 없나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Repository vs Service 의 역할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정말 잘 보고있습니다. 궁금한점이 있어서요 Repository 패키지와 Service 패키지가 보통 구분되어있는데 정확하게 쓰임새의 차이점을 모르겠습니다. 그냥 스프링에서 Service 역할을 하는 것이 스프링 부트에서는 Repository가 하는거로 알고있었는데.. 어떤 경우에 Repository에 구현하고, 어떤 경우에 Service에 구현하는지.. Service에 구현하는것은 조금더 비즈니스 적인 내용을 구성한다고 하셔서 혼란이 조금 생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