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fetch join DISTINCT 중복제거
fetch join 부분이 조금 어렵게 느껴져서, gpt에게 물어보며 공부했습니다.강의에서 fetch join으로 나온 중복 데이터를 DISTINCT 키워드를 이용해서 제거해주시는 부분을 보았는데, gpt가 다음과 같이 설명해주는 것을 보았습니다.DISTINCT 키워드가 SQL과 JPA 양쪽에서 다르게 동작하기 때문에 완전한 중복 제거가 보장되진 않습니다.이 말이 맞다면 현업에서는 이런 문제를 어떤 식으로 해결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리눅스, 윈도우, IOS 등등 대부분의 운영체제는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나여?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데이터 검증 방법 질문입니다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CHECK 제약조건을 최후의 방어선으로 활용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제약 조건 이외에도 DBMS 에서 별도로 제공해주는 데이터 검증 방법이 존재하나요?그리고 실무에서는 이런 기능들을 제약조건과 어떻게 활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실무에서 중첩(내부) 클래스 사용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중첩 클래스를 학습하다 보니 실무에서도 종종 쓰일까 생각이 들었습니다.(쓰니까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예시로 Member, Role 과 같은 객체가 있을 때, 이 관계를 중첩 클래스로 표현하는 게 더 합리적일까요? 부족하다 보니 이런 고민이 드네요!(코드와 주관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경우로 가정)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입문 - 모든 IT인을 위한 SQL 첫걸음(SQL부터 차근차근)
정말 별 거 아니긴 한데요
6. SQL - 데이터 가공, 8페이지 LENGTH() 예시 부분오탈자도 아니고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거 알지만 다른 쿼리문들은 알리아스가 대문자인데 여기만 소문자라서 제보합니다.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Spring WebFlux + LLM 실전 구현
순수 webflux 프로젝트의 가독성 팁 그리고 향후 kotlin을 활용한 프로젝트 계획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로 덕분에 webflux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현재 kotlin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가 있어,webflux를 사용할때는 coroutine을 함께 사용하는데요, 이렇게 하면서 코드를 함수형처럼 짤 수 있어 보다 쉽게 동료들에게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 혹시 강사님께서도 coroutine을 함께 사용하기도 하시는지, 그렇다면 java가 아닌 kotlin을 사용한 강의 계획이 있는지 궁금합니다.또한, 강의에서 쉽게 설명해주셨지만 비즈니스 로직이 좀 더 추가되는 경우 코드가 많이 복잡하고 가독성이 어려워지던데, 가독성을 위한 팁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ps. webflux 2 프로젝트에는 사용 가능한 gmemini api key가 입력되어 있습니다. 😅
-
미해결
개인적으로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조회 쿼리 작성하실 때 Native Query로 작성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비슷한 상황에서 저는 Query Dsl로 생성해서 작성하는 편이라서요..! JPA 관한 질문이긴 하지만 쿠케님의 관점이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실제 실무에서도 이런식으로 쿼리를 작성하는지 궁금합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향로님의 추석 챌리지에서 우연히 제목을 보고 바로 구매했는데 아직 완강하지는 못했지만 정말 좋은 강의 같습니다!선배 개발자님이 개발하시는 느낌으로 보고있습니다! ㅎㅎ궁금한 점은 혹시 실무에서도 이런식으로 서브쿼리를 이용해서 대규모 데이터에 대해서 처리를 하는지가 궁금해져서 질문 남겨봅니다!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혹시 다음 강의 계획은 없으신가요?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혹시 다음 강의 계획은 없으신가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인메모리 DB, 테스트 컨테이너 선택 기준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강의에서는 H2 인메모리 DB를 이용해 테스트를 진행하셨는데,실무에서는 테스트 환경에서 실제 MySQL이나 PostgreSQL 같은 실제 운영 DB와 동일한 컨테이너 기반 테스트 DB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실무에서는 인메모리 DB와 컨테이너 DB 중 어떤 상황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시는지, 선택 기준이나 장단점에 대해 조언을 받을수 있을까요?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프로세스가 많아질수록 segment table도 많아지는 건가요?
각 프로세스가 segment table을 가진다고 하셨는데, 프로세스가 많아질수록 segment table도 계속해서 많아지는 건가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Path Enumeration 방식 적용 후 redis 적용 방법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에서 Path Enumeration 방식을 활용해 데이터베이스 조회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매우 유익하게 배웠습니다.실제 대규모 서비스 환경에서 이 조회 결과를 Redis로 캐싱하려고 할 때, 캐시를 저장하는 자료구조 선택에 대해 강사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현재는 Path를 기반으로 DB에서 계층 구조를 유지하며 정렬된 댓글 목록을 조회하고 있습니다. 이 결과를 Redis에 저장하는 방법으로 아래 두 가지를 고려하고 있습니다.1. List 구조 (LRANGE)장점: DB에서 조회한 정렬 순서를 그대로 Redis에 저장할 수 있어, 조회 시 한 번에 가져올 수 있습니다.고민: CUD(특히 중간 삽입) 발생 시 전체 List를 삭제하고 DB에서 다시 조회해 재저장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2. Sorted Set 구조 (ZADD)장점: 각 댓글을 멤버로 저장하고 Path 값이나 정렬 기준을 score로 부여하면, CUD 발생 시 해당 멤버만 ADD/REMOVE로 처리할 수 있어 갱신이 효율적입니다.고민: Path 기반의 정렬 값을 Redis의 score로 매핑하는 과정이 다소 복잡합니다.이처럼 캐싱 로직의 구현 복잡도(Sorted Set)와 갱신 효율성(List의 TTL 전략) 사이의 균형을 고려할 때,강사님께서는 무한 depth 댓글 구조를 캐싱할 때 어떤 Redis 자료구조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STOMP 동작 과정 질문
강의에서 STOMP 동작 간 /app, /topic 요청을 동시에 보낸다고 하셨는데 그럼 app 경로 발행된 메세지는 broker를 통해서 topic 경로로 전달이 되고 맨 처음에 동시에 보낸 topic 요청도 broker를 통해서 전달이 되어서 broker에서 구독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메세지를 보내준다고 이해하면 되는 것일까요? /topic으로 2번 가는 것 처럼 느껴져서 약간의 혼동이 있었습니다!
-
미해결[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무료 Apple ID로 실기기 테스트 가능한가요?
React Native 프로젝트를 실제 아이폰 기기에서 빌드하려고 하는데,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error Signing for "AwesomeProject" requires a development team. Select a development team in the Signing & Capabilities editor. (in target 'AwesomeProject' from project 'AwesomeProject') error Failed to build ios project. "xcodebuild" exited with error code '65'. To debug build logs further, consider building your app with Xcode.app, by opening 'AwesomeProject.xcworkspace'. 이 경우, Apple Developer Program(유료 계정) 에 가입해야만실제 기기에서 앱을 빌드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건가요? 무료 Apple ID 계정으로는 실기기 테스트가 불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질문 작성시 꼭 참고해주세요에러 메세지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에러 메세지를 읽고 한번 검색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질문글을 작성하실때는, 현재 문제(또는 에러)와 코드나 github을 첨부해주세요.개발중인 OS, ReactNative, Node 버전 등의 개발환경을 알려주셔야합니다.에러메세지는 일부분이 아닌 전체 상황을 올려주세요. 일부만 보여주시면 답변이 어렵습니다. (에러 일부만 자르거나 일부만 복사하지말아주세요)
-
해결됨가장 쉽고 깊게 알려주는 Kafka 완벽 가이드 [ By. 비전공자 & Kakao 개발자 ]
OutBox 패턴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최근 OutBox 패턴을 사용해보려고 시도중입니다 !CDC도구를 사용하지않고 어플리케이션에서 폴링을 구현한다고 하였을 때 폴링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따로 두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ex) 주문서버에서 DB에 저장 -> 폴링 서버에서 DB에 저장된 이벤트를 폴링으로 조회 후 메시지 발행이렇게 생각한 이유는 주문서버에 폴링을 구현한다면 스케일 아웃 상황에서 폴링 로직도 저절로 스케일아웃되기때문입니다.여러개의 폴링 로직이 같이 돌아가면 데이터가 꼬일 수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어플리케이션 폴링구조의 outbox 패턴 구현에 대한 정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리액트 개발자 도구 현업 사용 빈도
안녕하세요, 현재 Vue 2.0을 사용하고 있으며, React로 이직을 하고자 해당 강사님의 강의를 수강하고있습니다.혹시 현업에서도 해당 도구를 많이 사용하는지 빈도가 궁금합니다. Vue를 사용하면서는 그러지아니하다보니 이것을 알고있는게 좋은지 파악이 안된다보니 쌩뚱한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
-
해결됨가장 쉽고 깊게 알려주는 Kafka 완벽 가이드 [ By. 비전공자 & Kakao 개발자 ]
kafka 컨슘은 실시간 인가요?
실시간 이라면 stream하고 어떻게 차이가 나는걸까요?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백엔드 MVC에서 View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는 따로 나눠서 개발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이럴 때, NestJS는 직접 화면을 만들어서 보여주지 않고 프론트엔드에 데이터를 주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백엔드 안에서 MVC 패턴을 적용할 때 화면의 역할을 하는 View 부분이 모호해지는 것 같습니다.해당 경우에 MVC를 백엔드에서 어떻게 주로 활용하게 되나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학습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이번에 코딩 테스트 역량을 강화하고자 선생님 강의를 듣게되었습니다.강의를 듣으면서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삼성,카카오 보다 게임 업계쪽으로 취업하고자 하는데 이 강의 하나면 될까요? 아님 또 따로 공부해야하는 게 있나요? 기초도 어느정도 있다고 생각하고, 백준 플레, 프로그래머스 고득점 킷을 다수 문제를 풀었습니다.하지만 정작 코딩 테스트나 심화문제 등 여러 개념들이 섞인 문제만 보면 풀지를 못하겠습니다... 제가 모르는 개념이 있는걸까요? 아님 기초가 부족할걸까요? 무작정 문제를 풀어라고 하는데 제자리 걸음을 하는것 같아 답답합니다. 선생님이 제공하는 문제 말고도 다른 문제를 풀고자한다면 어디로 가면 풀면 좋을까요? 알고리즘 힌트 없이 랜덤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실전 처럼) 선생님 강의를 완강하면 바로 코딩테스트 응시하는데 무리가 없을까요?
-
미해결머신러닝 엔지니어 실무
ML 파이프라인과 배포 프로세스
실무에서 쿠베플로우 파이프라인을 구성할 때 모델 학습부터 프로덕션 배포까지 하나의 파이프라인으로 완전히 자동화하는 것이 일반적인가요? 아니면 학습 파이프라인과 배포는 별도로 관리하는 경우가 많은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