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섹션5-공주구하기]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섹션5-공주구하기] 문제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점이 생겨서 질문드리게되었습니다.먼저 코드를 작성해보았었는데, 저의 풀이 아이디어는(1) 데크의 원소 개수가 1개가 될 때 까지 반복(2) 데크를 왼쪽으로 k-1만큼 회전(3) 데크의 가장 첫번째 원소를 제거하도록 코드를 작성했는데요, 예제 입력 8과 3을 넣었는데 1이 출력됩니다.. ㅠㅠ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k = map(int, input().split()) # 데크에 왕자 번호 생성 prince = deque() for i in range(1, n+1): prince.append(i) while len(prince) == 1: prince.rotate(-(k-1)) # 왼쪽으로 k-1만큼 회전 prince.popleft() # 데크의 가장 첫번째 원소 제거 print(prince[0])
-
미해결공공데이터 수집하여 대파 가격 분석과 시각화 하기
공공 데이터 신청..
옛날 강의라 그런지 현재 open api에서는 해당 데이터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ㅠㅠ파일데이터에서만 확인가능합니다...csv파일만 확인가능해요 ㅠ이런 경우 어떻게해야하죠?
-
미해결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파이썬 코드를 저장했을때 자동으로 서버가 재실행 되지 않습니다..
settings 를 common, dev, prod 3개로 만들고 부터 안되는데 무슨 문제일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Q 입력값이 전부0인경우는 고려하지 않는 문제일까요?
5 5 0 0 0 0 00 0 0 0 00 0 0 0 00 0 0 0 00 0 0 0 0 이렇게 입력하면 1 0 이렇게 출력되는데 아예 치즈가 없으면 0 0 이렇게 나와야 하지 않나요 근데 맞다고 해줘서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오류발생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똑같이 했는데 저부분이 오류가 발생합니Cannot resolve method 'hasText' in 'StringUtils'이렇게 나옵니다
-
미해결2. 웹개발 코스 [JAVA 개발언어]
javaSE-20 이 없습니다...
자바 최신버전인 20.0.1버전을 설치했는데 create a java project 에서 jre선택하는데 javaSE-19가 끝입니다/... 그냥 그거 선택해서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
해결됨Next.js 시작하기(feat. 지도 서비스 개발)
vscode 모노레포 디버깅 셋팅
공식문서에 vscode 디버깅 셋팅은 나와잇지만모노레포인 경우의 디버깅 셋팅은 알려주지 않고잇습니다.모노레포인 경우 공식문서대로 셋팅하면 안되더라고요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vscode 공식문서 - 없음next.js 공식문서 - 없음github에서 next.js 프로젝트 찾아서 디버깅 셋팅되잇는지 하나하나 살펴봄 - 20개 정도 찾아봣지만 못찾음오픈채팅방 - 답변받지 못함stack overflow - 못찾음몇몇 외국인에게 직접적인 도움 요청- 본인도 모르니 알게되면 알려달라는 답변모노레포에서 디버깅 셋팅이 가능한지 알고싶습니다또 webstorm에서는 모노레포 next.js 사용시풀스택 디버깅이 가능한지 알고싶습니다.
-
미해결
(권철민 성생님)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질문
권철민 선생님의 파머완가 책 읽고 독학중입니다아래와 같이 5장에 다항회귀에서 overfitting 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코드가있는데 도저히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습니다.cross_val_score 를 사용하면 pipeline (다항회귀) 모델을 교차검증방식으로 cv '지정 횟수만큼 '학습'-'예측' 진행하는데, 아래 코드를 보면 cross_val_score 교차검증 실행 바로 이전에 전체 데이터로 fit 학습하는 이유가 있나요? fit하고 cross_val 하면 학습을 두번하는 것 아닌지요?출력된 차트를 보면 'degree=15 일때 오차가 가장 적어보입니다. 오차는 model 실선과 samples 점 사이의 차이 아닌가요?? degree=15 일때의 mse 값이 어떻게 크게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어차피 그래프의 30개 샘플 점들의 교차검증으로 error 를 계산한거라면 mse가 가장 작은 값이 나와야하는것 아닌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왜 App.config 파일의 객체 생성 메서드를 static 으로 주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 스프링 프로젝트를 하며 원리가 궁금해서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 아니라, 싱글톤 컨테이너 파트의 @Configuration과 싱글톤 강의에서 스프링의 싱글톤 컨테이너를 테스트 하는 부분을 듣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 코드에서 실수를 발견했습니다. 테스트 결과가 강의처럼 여러 번 객체를 생성해도 하나의 객체만 생성(싱글톤 적용)될 수 있어야 하는데 제 코드에서는 작동되지 않았습니다.이전 코드를 찾아본 결과, App.confing 파일의 memberRepository()의 접근제어자를 static으로 주었기에 싱글톤이 적용되지 않고 계속 새로운 객체가 생성되어 테스트에 실패했습니다. AppConfig.java 일부입니다.//올바른 메서드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이전 메서드 @Bean public stat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그런데 그 이유가 너무 궁금해져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static method에서 객체를 생성하면 왜 스프링 컨테이너가 이를 싱글톤으로 처리하지 못하는 걸까요?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처음에 sdkman 설치하는데서 설치가안됩니다(윈도우)
안녕하세요 강사님 제가 다른게아니고 윈도우에서 sdkman 설치를하려고하는데요계속 이런오류가나오면서 source자체가 먹히지가않습니다powershell에서 입력했구요 어떻게해야할까요 ㅠ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graphQL에서 @apollo/server의 port번호는 4000번으로 default가 되어있는것 같습니다.
v3버전 이후로는 server.listen에 대한 값이 없는것같아서 port번호를 4000번으로 기본설정해놓는걸 console.log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과 혹시 port번호를 변경하고자 할때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계속 해메고 있네요,,,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강의자료 A.003/U 설치 후 강제종료 시 발생하는 문제
안녕하세요. 덕분에 강의 알차게 수강 중입니다.올려주신 강의 자료 중 A.003/U를 vagrant로 설치 후(1.24.7 버전..README에서는 1.24.8이라고 되어 있지만 vagrant 파일 내에는 1.24.7버전으로 되어 있어서 1.24.7버전으로 설치했습니다)강제 종료가 발생한 후 다시 virtual box를 실행시켜서 노드를 확인해 보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root@m-k8s:~# k get nodes E0427 14:58:18.486078 1922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s://192.168.1.10:6443/api?timeout=32s": dial cp 192.168.1.10:6443: connect: connection refused E0427 14:58:18.486251 1922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s://192.168.1.10:6443/api?timeout=32s": dial cp 192.168.1.10:6443: connect: connection refused E0427 14:58:18.487807 1922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s://192.168.1.10:6443/api?timeout=32s": dial cp 192.168.1.10:6443: connect: connection refused E0427 14:58:18.489723 1922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s://192.168.1.10:6443/api?timeout=32s": dial cp 192.168.1.10:6443: connect: connection refused E0427 14:58:18.491648 1922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s://192.168.1.10:6443/api?timeout=32s": dial cp 192.168.1.10:6443: connect: connection refused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192.168.1.10:6443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혹시나 하여 vagrant up을 한 후 다시 재설치하여 실행한 후 또 종료 후 재실행하니 다시 똑같은 에러가 발생하는데요.혹시나 하여 kubelet을 실행해 보니 다음과 같은 로그가 발생했습니다.root@m-k8s:~/.kube# kubelet I0427 15:09:00.641157 2469 server.go:415] "Kubelet version" kubeletVersion="v1.27.1" I0427 15:09:00.641178 2469 server.go:417] "Golang settings" GOGC="" GOMAXPROCS="" GOTRACEBACK="" I0427 15:09:00.641271 2469 server.go:578] "Standalone mode, no API client" I0427 15:09:00.643456 2469 server.go:466] "No api server defined - no events will be sent to API server" I0427 15:09:00.643466 2469 server.go:662] "--cgroups-per-qos enabled, but --cgroup-root was not specified. defaulting to /" I0427 15:09:00.643675 2469 container_manager_linux.go:266] "Container manager verified user specified cgroup-root exists" cgroupRoot=[] I0427 15:09:00.643706 2469 container_manager_linux.go:271] "Creating Container Manager object based on Node Config" nodeConfig={RuntimeCgroupsName: SystemCgroupsName: KubeletCgroupsName: KubeletOOMScoreAdj:-999 ContainerRuntime: CgroupsPerQOS:true CgroupRoot:/ CgroupDriver:cgroupfs KubeletRootDir:/var/lib/kubelet ProtectKernelDefaults:false NodeAllocatableConfig:{KubeReservedCgroupName: SystemReservedCgroupName: ReservedSystemCPUs: EnforceNodeAllocatable:map[pods:{}] KubeReserved:map[] SystemReserved:map[] HardEvictionThresholds:[]} QOSReserved:map[] CPUManagerPolicy:none CPUManagerPolicyOptions:map[] TopologyManagerScope:container CPUManagerReconcilePeriod:10s ExperimentalMemoryManagerPolicy:None ExperimentalMemoryManagerReservedMemory:[] PodPidsLimit:-1 EnforceCPULimits:true CPUCFSQuotaPeriod:100ms TopologyManagerPolicy:none ExperimentalTopologyManagerPolicyOptions:map[]} I0427 15:09:00.643715 2469 topology_manager.go:136] "Creating topology manager with policy per scope" topologyPolicyName="none" topologyScopeName="container" I0427 15:09:00.643722 2469 container_manager_linux.go:302] "Creating device plugin manager" I0427 15:09:00.643742 2469 state_mem.go:36] "Initialized new in-memory state store" I0427 15:09:00.649586 2469 kubelet.go:411] "Kubelet is running in standalone mode, will skip API server sync" I0427 15:09:00.650341 2469 kuberuntime_manager.go:257] "Container runtime initialized" containerRuntime="containerd" version="1.6.20" apiVersion="v1" I0427 15:09:00.650597 2469 volume_host.go:75] "KubeClient is nil. Skip initialization of CSIDriverLister" W0427 15:09:00.652329 2469 csi_plugin.go:189] kubernetes.io/csi: kubeclient not set, assuming standalone kubelet W0427 15:09:00.652338 2469 csi_plugin.go:266] Skipping CSINode initialization, kubelet running in standalone mode I0427 15:09:00.652599 2469 server.go:1168] "Started kubelet" I0427 15:09:00.652626 2469 kubelet.go:1548] "No API server defined - no node status update will be sent" I0427 15:09:00.653540 2469 server.go:194] "Starting to listen read-only" address="0.0.0.0" port=10255 I0427 15:09:00.653722 2469 ratelimit.go:65] "Setting rate limiting for podresources endpoint" qps=100 burstTokens=10 I0427 15:09:00.653736 2469 server.go:162] "Starting to listen" address="0.0.0.0" port=10250 E0427 15:09:00.653787 2469 cri_stats_provider.go:455] "Failed to get the info of the filesystem with mountpoint" err="unable to find data in memory cache" mountpoint="/var/lib/containerd/io.containerd.snapshotter.v1.overlayfs" E0427 15:09:00.653807 2469 kubelet.go:1400] "Image garbage collection failed once. Stats initialization may not have completed yet" err="invalid capacity 0 on image filesystem" I0427 15:09:00.654351 2469 fs_resource_analyzer.go:67] "Starting FS ResourceAnalyzer" I0427 15:09:00.654429 2469 server.go:461] "Adding debug handlers to kubelet server" I0427 15:09:00.654857 2469 volume_manager.go:284] "Starting Kubelet Volume Manager" I0427 15:09:00.655355 2469 desired_state_of_world_populator.go:145] "Desired state populator starts to run" I0427 15:09:00.671132 2469 cpu_manager.go:214] "Starting CPU manager" policy="none" I0427 15:09:00.671158 2469 cpu_manager.go:215] "Reconciling" reconcilePeriod="10s" I0427 15:09:00.671171 2469 state_mem.go:36] "Initialized new in-memory state store" I0427 15:09:00.671471 2469 state_mem.go:88] "Updated default CPUSet" cpuSet="" I0427 15:09:00.671492 2469 state_mem.go:96] "Updated CPUSet assignments" assignments=map[] I0427 15:09:00.671500 2469 policy_none.go:49] "None policy: Start" I0427 15:09:00.672503 2469 memory_manager.go:169] "Starting memorymanager" policy="None" I0427 15:09:00.672520 2469 state_mem.go:35] "Initializing new in-memory state store" I0427 15:09:00.672895 2469 state_mem.go:75] "Updated machine memory state" I0427 15:09:00.676749 2469 kubelet_network_linux.go:63] "Initialized iptables rules." protocol=IPv4 I0427 15:09:00.677830 2469 kubelet_network_linux.go:63] "Initialized iptables rules." protocol=IPv6 I0427 15:09:00.677847 2469 status_manager.go:203] "Kubernetes client is nil, not starting status manager" I0427 15:09:00.677867 2469 kubelet.go:2257] "Starting kubelet main sync loop" E0427 15:09:00.677896 2469 kubelet.go:2281] "Skipping pod synchronization" err="[container runtime status check may not have completed yet, PLEG is not healthy: pleg has yet to be successful]" I0427 15:09:00.706770 2469 manager.go:455] "Failed to read data from checkpoint" checkpoint="kubelet_internal_checkpoint" err="checkpoint is not found" I0427 15:09:00.707970 2469 plugin_manager.go:118] "Starting Kubelet Plugin Manager" I0427 15:09:00.718193 2469 reconciler_new.go:29] "Reconciler: start to sync state" I0427 15:09:00.757274 2469 desired_state_of_world_populator.go:153] "Finished populating initial desired state of world" I0427 15:09:00.780684 2469 pod_container_deletor.go:80] "Container not found in pod's containers" containerID="4f30c0e29a0f50f0ac88f0ede3349dc7330049aab9679fab780ce0509f5880d5" I0427 15:09:00.780763 2469 pod_container_deletor.go:80] "Container not found in pod's containers" containerID="688af4ee6a0b5d1a70a23a6df6ab95aa4444dbc18051bd0c5ff5987f6fdc9f6c" I0427 15:09:00.780897 2469 pod_container_deletor.go:80] "Container not found in pod's containers" containerID="70eb6a49bde6dfa88689e65d6e0ce7df0580d7695aa4f07b3c230ac0304dfad3" I0427 15:09:00.780924 2469 pod_container_deletor.go:80] "Container not found in pod's containers" containerID="c71ce1abd0a094beb98683158c68aa42ef4dc86e2ab01b79265af907c03432e3" I0427 15:09:00.780937 2469 pod_container_deletor.go:80] "Container not found in pod's containers" containerID="ab52d73f40d007573c50517a218fc897ae545d4e5088f1df32fcb93f0025dde0" I0427 15:09:00.780949 2469 pod_container_deletor.go:80] "Container not found in pod's containers" containerID="7edc40acc8631594bd532b918db1337a823e323027d056c8e1cf1d524de69f65" I0427 15:09:00.780961 2469 pod_container_deletor.go:80] "Container not found in pod's containers" containerID="5f3831d2e20022c990dff7bb346ce9619b45a34e80ee93b4b3d6a8cd34492357" I0427 15:09:00.780973 2469 pod_container_deletor.go:80] "Container not found in pod's containers" containerID="c44a3606db9d1d371a33d5ecd54c094f2962fdf034ddf051c7e5a49b889abb0f" I0427 15:09:00.819081 2469 reconciler_common.go:172] "operationExecutor.UnmountVolume started for volume \"config-volume\" (UniqueName: \"kubernetes.io/configmap/04ba41e5-b5ea-491f-9dc4-3989094542ce-config-volume\") pod \"04ba41e5-b5ea-491f-9dc4-3989094542ce\" (UID: \"04ba41e5-b5ea-491f-9dc4-3989094542ce\") " I0427 15:09:00.819093 2469 reconciler_common.go:172] "operationExecutor.UnmountVolume started for volume \"kube-api-access-8kfmr\" (UniqueName: \"kubernetes.io/projected/04ba41e5-b5ea-491f-9dc4-3989094542ce-kube-api-access-8kfmr\") pod \"04ba41e5-b5ea-491f-9dc4-3989094542ce\" (UID: \"04ba41e5-b5ea-491f-9dc4-3989094542ce\") " I0427 15:09:00.819099 2469 reconciler_common.go:172] "operationExecutor.UnmountVolume started for volume \"config-volume\" (UniqueName: \"kubernetes.io/configmap/225235fa-89f9-4fc8-a190-9962ba532fb4-config-volume\") pod \"225235fa-89f9-4fc8-a190-9962ba532fb4\" (UID: \"225235fa-89f9-4fc8-a190-9962ba532fb4\") " I0427 15:09:00.819108 2469 reconciler_common.go:172] "operationExecutor.UnmountVolume started for volume \"kube-api-access-rvx4m\" (UniqueName: \"kubernetes.io/projected/225235fa-89f9-4fc8-a190-9962ba532fb4-kube-api-access-rvx4m\") pod \"225235fa-89f9-4fc8-a190-9962ba532fb4\" (UID: \"225235fa-89f9-4fc8-a190-9962ba532fb4\") " I0427 15:09:00.819121 2469 reconciler_common.go:172] "operationExecutor.UnmountVolume started for volume \"kube-api-access-br4wk\" (UniqueName: \"kubernetes.io/projected/b5e3a923-48f5-46f1-bd6f-7e9136a4c0bd-kube-api-access-br4wk\") pod \"b5e3a923-48f5-46f1-bd6f-7e9136a4c0bd\" (UID: \"b5e3a923-48f5-46f1-bd6f-7e9136a4c0bd\") " I0427 15:09:00.819128 2469 reconciler_common.go:172] "operationExecutor.UnmountVolume started for volume \"kube-proxy\" (UniqueName: \"kubernetes.io/configmap/f822a0ef-4459-400e-b73a-dfd9d8d2f614-kube-proxy\") pod \"f822a0ef-4459-400e-b73a-dfd9d8d2f614\" (UID: \"f822a0ef-4459-400e-b73a-dfd9d8d2f614\") " I0427 15:09:00.819134 2469 reconciler_common.go:172] "operationExecutor.UnmountVolume started for volume \"kube-api-access-ctcvw\" (UniqueName: \"kubernetes.io/projected/f822a0ef-4459-400e-b73a-dfd9d8d2f614-kube-api-access-ctcvw\") pod \"f822a0ef-4459-400e-b73a-dfd9d8d2f614\" (UID: \"f822a0ef-4459-400e-b73a-dfd9d8d2f614\") " W0427 15:09:00.820262 2469 empty_dir.go:525] Warning: Failed to clear quota on /var/lib/kubelet/pods/04ba41e5-b5ea-491f-9dc4-3989094542ce/volumes/kubernetes.io~configmap/config-volume: clearQuota called, but quotas disabled종료가 발생한 후 다시 실행하면 노드를 찾지 못하는 문제가 계속적으로 발생하는데, 매번 재설치 하는 것도 번거롭고, 이 상태에서 어떻게 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공식 문서를 찾아보고 검색을 해 봐도 잘 모르겠습니다. 1.24.8 changelog를 확인해 보면 노드의 endpoint를 찾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것 같기도 한데...잘 이해되지 않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네요.노드를 찾지 못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스프링 MVC2편 : 스프링 인터셉터 - 요청 로그 ]강의에서 2분 10초쯤에 uuid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uuid를 prehandle()에서 aftercompletion() 로 넘겨주기 위해서 LogInterceptor 클래스 안이면서, prehandle()와aftercompletion() 밖에다 선언해주면 안된다고 하셨는데, 그 이유가 혹시 싱글턴으로 인터셉터를 관리하는데, 한개의 인스턴스를 공유해서 쓰므로, 트랜잭션 끼리 uuid가 겹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인가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MVC1, MVC2, Front Controller의 이론적 구분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제가 이전에 JSP 강의를 다른 곳에서 수강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배운 MVC의 이론적 내용을 확인하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MVC model 1은 JSP가 Controller와 View의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MVC model 2는 Controller와 View를 분리하고, Front Controller를 두어서 공통 처리를 수행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위의 2가지가 제가 배운 내용을 요약한 것인데요.그렇다면 Front Controller를 도입한다면 MVC2에 해당한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을까요?인터넷에서 검색했을 때는 MVC model 2에 Front Controller를 도입하지 않고, 모두 개별 Controller를 사용하는 것처럼 이야기하는 블로그가 많아서 확실하게 하고자 질문을 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istinct 사용 전 데이터 뻥튀기 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사님과 코드를 똑같이 작성했는데 distinct를 사용하기 전에도 데이터 뻥튀기 없이 올바르게 데이터가 나옵니다. 제가 어떤 부분을 잘못한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format_sql 안됨
server: port: 80 spring: jpa: hibernate: ddl-auto: none properties: hibernate: #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logging.level: org.hibernate.SQL: debug # org.hibernate.type: trace logging: level: org: hibernate: persister: entity: debug 디비연동은 잘해놨습니다. 그런데 로그가 정리가 안되네요..format_sql: true 이게 안먹는것같습니다.ㅠㅠ 버전은 2.6.0 인데 버전문제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createQuery
public List<Member> findByPage(int age, int offset, int limit){ return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age = :age order by m.username desc") .setParameter("age", age) .setFirstResult(offset) .setMaxResults(limit) .getResultList();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age = :age order by m.username desc", Member.class)아래처럼 끝에 반환하는 클래스 타입을 적어줘야 된다고 기억을 하는데 위에 코드 처럼 적어주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더라구요? 반면에public long totalCount(int age){ return em.createQuery("select count(m) from Member m where m.age = :age") .setParameter("age", age) .getSingleResult(); }totalCount 의 경우 클래스 타입을 안적어주면 바로 빤갈줄이 그어지는데 반환하는 클래스 타입이 생략이 가능한 경우도 있는건가요??
-
미해결배달앱 클론코딩 [with React Native]
Apple Developer에서 fcm설정에 관하여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제가 강의에서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우선 keys는 하나로 여러 앱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이해했습니다.)강의에서는 fcm 설정을 위해 p12(인증서 방식)이 아닌 p8(인증키 방식)으로 하고 있습니다.강의 과정에서는Apple developer Identifiers 탭에서 해당앱을 누르고 push notification에서 edit을 누른 후 Development SSL Certificate와 Production SSL Certificate 두개를 만든 후 다운로드하면 Apple developer에서 Certificates 탭에 방금 만든 push services와 Sandbox push services 두개의 Certificates가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A라는 앱과 B라는 앱 두개모두 fcm을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Identifiers각각 위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면 push services(2개)와 Sandbox push services(2개) 총 4개의 Certificates가 생성될 텐데 이런 방식으로 하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즉 Certificates에서 push services는 앱에 따라서 여러개를 만들어야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투포인터 유형] 백준 3273 두 수의 합 질문
<< 코드는 하단에 링크로 첨부하였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큰돌 선생님백준 3273 두 수의 합 문제를 30분 여유 시간 안으로 생각하고 먼저 풀어보려고 했는데 틀렸다고 나와서 질문 드리려 합니다.문제에서 보여준 예제 경우는 정답이 맞게 나왔지만 3% 쯤에서 틀렸다고 나옵니다. 그런데 왜 틀렸는지 모르겠습니다.수열을 정렬하고, 오른쪽 j인덱스를 줄여나가면서 왼쪽 i의 0번째 부터 탐색하면서 x와 값이 같으면 cnt++ 하는 로직을 떠올리고 구현했습니다.선생님이 작성하신 코드의 로직과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지 파악을 못해서 틀린 것 같습니다. 제 코드를 봐주시고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Q1. 위에서 설명한 저의 로직이 어떤 부분에서 부족한가요?Q2. 선생님의 코드와 비교해서 분석한다면 어떤 부분이 다른건가요?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http://boj.kr/ee88cf1f8b544d1cb9dfb0617b018d9a PS. 선생님 덕분에 타기업 코테도 풀어볼 수 있었습니다. 쨔쓰!비록 면접도 전에 탈락했지만 자신감 얻고 쭉쭉가겠습니다. 이왕 이렇게 된 거 코테 마스터 하겠습니다... (대충 질문 폭격해서 괴롭힐 수 있다는 떡밥)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0주완성에서 제일 어려운 문제 백준 난이도가 몇인가요?
혹시 플래티넘 문제도 있나요? 강의를 다 듣고 나면 골드 문제를 양치기를 해서 실버를 넘어 골드를 지나 언젠가 플레를 가고 싶은데 현실적으로 시간이 없어서 코테 기출을 많이 볼거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