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조회가 되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회원등록을 하지 않았으 때 회원 조회를 하게되면 # 이름은 뜨게 되는데 회원등록을 하고 난 후 회원조회를 하게되면 오류가 뜹니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https://github.com/JongchanJeon/starter_Spring 감사합니다.
-
미해결Vue.js 끝장내기 - 실무에 필요한 모든 것
nom update check failed는 어떠한 이유로 뜨는 것인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덕분에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back-end project를 실행하는데npm run dev 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서버도 돌아가고 /api/docs 경로도 잘 조회가 됩니다. 다만 저 경고문구는 왜 뜨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Component, @RequestMapping에 관하여
@Controller를 클래스 레벨에 붙이면 스프링에서 애노테이션 기반 컨트롤러로 인식한다고 학습했습니다.강의 10분 쯤에서 @RequestMapping과@Component를 같이 클래스 레벨에 쓰면 @Component에 의해 스프링 빈에 등록돼서 매핑정보로 인식된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이것도 애노테이션 기반 컨트롤러로 인식되는 건가요? 그렇다면 스프링 빈에 등록될 때 빈 이름은 무엇으로 등록되나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chapter_2 , build 파일 실행불가...
기존에 이미 작성되어있던 코드를 지우고 제가 영상보면서 연습 차 다시 작성했는데..-_-;저장하고 그 후에 ./build 실행하니 다양한 오류가 뜨더라구요... raineesm@DESKTOP-VLU7A79:~/Matbi_VerilogHDL_Season1/chapter_2$ ./buildWARNING: [XSIM 43-3479] Unable to increase the current process stack size.INFO: [VRFC 10-2263] Analyzing Verilog file "/home/raineesm/Matbi_VerilogHDL_Season1/chapter_2/tb_clock_generator.v" into library workINFO: [VRFC 10-311] analyzing module tb_clock_generatorERROR: [VRFC 10-8414] extra comma in port association list is not allowed [/home/raineesm/Matbi_VerilogHDL_Season1/chapter_2/tb_clock_generator.v:56]ERROR: [VRFC 10-8530] module 'tb_clock_generator' is ignored due to previous errors [/home/raineesm/Matbi_VerilogHDL_Season1/chapter_2/tb_clock_generator.v:21]Vivado Simulator v2022.2Copyright 1986-1999, 2001-2022 Xilinx, Inc. All Rights Reserved.Running: /home/raineesm/tools/Xilinx/Vivado/2022.2/bin/unwrapped/lnx64.o/xelab tb_clock_generator -debug wave -s tb_clock_generatorMulti-threading is on. Using 2 slave threads.ERROR: [XSIM 43-3225] Cannot find design unit work.tb_clock_generator in library work located at xsim.dir/work.ERROR: Please check the snapshot name which is created during 'xelab',the current snapshot name "xsim.dir/tb_clock_generator/xsimk" does not exist
-
미해결[파이토치] 실전 인공지능으로 이어지는 딥러닝 - 기초부터 논문 구현까지
코랩 실행여부 관련
코랩 실행시 에러메시지가 자주 뜹니다 ㅠㅠ가령 보스턴 집값 예측하기(4-1)강의를 수강 중인데첫줄부터 실행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에러메시지가 뜨고,하위 코드도 전부 에러가 뜹니다. [Errno 2] No such file or directory: '/content/gdrive/My Drive/deeplearningbro/pytorch' /content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aws 포트지정
노드버드 프로젝트를 하나의 인스턴스에서 프론트와 백 서버 둘다 올리기 위해서aws 인스턴스 3000번 포트와 3065번 포트를 열어놓으려고 하는데 사용자지정tcp에서 열어놓으면 되는걸까요?
-
미해결
테스트
테스트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5:40분초 쯤에... 프로퍼티클래스의 분리 강의에서
@Bean @ConditionalOnMissingBean public ServletWebServerFactory jettyServletWebServerFactory(ServerProperties serverProperties){} 이부분에 ServerProperties 을 따로 주입을 안받아도 되나요..? 빈으로 띄워서 그런건가..?매개변수에 딱 저렇게 누가 넣어주는건가요..?@Autowired없이..? 헷갈리네요 ㅠㅠㅠ
-
해결됨[NarP Series] MVC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나프2탄]
이클립스에서 javascript 람다 사용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11분 15초 쯤부터 Javascript의 람다식을 사용하면 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document).ready(function() { $("#regBtn").click(()=> { location.href="<c:out value='/register.do'/>"; }); });이클립스에서 ES6 문법 사용이 가능한가요???람다식은 ES6부터 나온 기능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버전에 나온 백틱(`)을 사용하려고 했는데, 이클립스에서 에러 표시를 내서 사용을 안 하고 있었습니다.19년 3월 버전의 이클립스 환경에서 보면, Legacy 프로젝트를 생성했는데 ECMA 3 Browser Support Library라고 되어있길래 ES6은 지원이 안 되나 싶었습니다.(다시 보니 ECMA Script가 아니라 ECMA 3 Browser네요 ㅎㅎ; 제가 잘못 예측한 것일 수도 있겠네요)이클립스에서 ES6 버전의 JS를 쓰면 Ajax 결과로 나오는 흔한 JSON 데이터를 편하게 불러올 수 있을텐데 말이죠 ㅠㅠ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따로 분리한 getAccessToken() 함수 result의 타입
강의를 보고 똑같이 따라했지만 저는 result에 타입이 unknown이라고 뜨네요. 이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로그인 후 넘어간 페이지에서 버튼 누르는 과정에서 오류가 뜹니다.ㅜ아래는 아폴로 세팅입니다. 문제가 무엇일까요?import { ApolloClient, ApolloLink, ApolloProvider, fromPromise, InMemoryCache, } from "@apollo/client"; import { onError } from "@apollo/client/link/error"; import { createUploadLink } from "apollo-upload-client"; 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useRecoilState } from "recoil"; import { getAccessToken } from "../../../commons/libraries/getAccessToken"; import { accessTokenState } from "../../../commons/store"; const GLOBAL_STATE = new InMemoryCache(); interface IApolloSettingProps { children: JSX.Element; } export default function ApolloSetting(props: IApolloSettingProps) { const [accessToken, setAccessToken] = useRecoilState(accessTokenState); // 3. 프리랜더링 무시 - useEffect useEffect(() => { console.log("지금은 브라우저다"); const result = localStorage.getItem("accessToken"); console.log(result); if (result) setAccessToken(result); }, []); // 에러를 캐치하고 캐치한 에러가 토큰만료면 재발급 받은 후, 기존의 쿼리를 포워드해서 다시 날려준다. const errorLink = onError(({ graphQLErrors, operation, forward }) => { // 1-1. 에러를 캐치 if (graphQLErrors) { for (const err of graphQLErrors) { // 1-2. 해당 에러가 토큰만료 에러인지 체크(UNAUTHENTICATED) if (err.extensions.code === "UNAUTHENTICATED") { return fromPromise( // 2-1. refreshToken으로 accessToken을 재발급 getAccessToken().then((newAccessToken) => { // 2-2. 재발급 받은 accessToken 저장하기 setAccessToken(newAccessToken); // 3-1. 재발급 받은 accessToken으로 방금 실패한 쿼리의 정보 수정하기 if (typeof newAccessToken !== "string") return; operation.setContext({ headers: { ...operation.getContext().headers, // 만료된 토큰이 추가되어 있는 상태 Authorization: `Bearer ${newAccessToken}`, // 토큰만 새것으로 바꿔치기 }, }); }) ).flatMap(() => forward(operation)); // 3-2. 방금 수정한 쿼리 재요청하기 } } } }); const uploadLink = createUploadLink({ uri: "https://backendonline.codebootcamp.co.kr/graphql", // https 로 변경(토큰 정보를 쿠키에 담을 수 있게) headers: { Authorization: `Bearer ${accessToken}` }, credentials: "include", // https 변경으로 추가된 조건 }); const client = new ApolloClient({ link: ApolloLink.from([errorLink, uploadLink as unknown as ApolloLink]), // cache: new InMemoryCache(), cache: GLOBAL_STATE, }); // prettier-ignore // 주석으로 prettier-ignore 해주면 한줄로 바뀌는걸 막아준다 return <ApolloProvider client={client}> {props.children} </ApolloProvider>; }혹시 이부분때문일까요??link: ApolloLink.from([errorLink, uploadLink as unknown as ApolloLink])
-
미해결플러터(Flutter) 앱 개발 입문부터 프로젝트 완성까지
개발환경 구축에서 프로그램 다운로드 어디서 하나요?
설명란에 링크 있다고 했는데 링크가 없어요...3개 파일 어디서 다운 받을 수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m.remove 동작 안함 이유?
Member.classpackage dev.devpool.domain; import javax.persistence.*;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ong id; @OneToMany(mappedBy = "member", cascade = CascadeType.ALL) List<Child> children = new ArrayList<>(); public List<Child> getChildren() { return children; } public void setChildren(List<Child> children) { this.children = children;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nickName; private String email; private String password; public Member() { } public Member(String name, String nickName, String email, String password) { this.name = name; this.nickName = nickName; this.email = email; this.password = password; }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String getNickName() { return nickName; } public void setNickName(String nickName) { this.nickName = nickName; } public String getEmail() { return email; } public void setEmail(String email) { this.email = email; } public String getPassword() { return password; } public void setPassword(String password) { this.password = password; } } Child.classpackage dev.devpool.domain; import javax.persistence.*; @Entity public class Child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ManyToOne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Member getMember() { return member; } public void setMember(Member member) { this.member = member; } }로 부모를 Member 자식을 Child로 만들고 delete 시 cascade가 적용되는지를 체크하려 하였습니다. MemberRepository에서 delete 쿼리를 아래와 같이 작성하였습니다.Test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Test public void ss()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김우"); member.setEmail("rereers15@naver.com"); member.setPassword("taeu4"); member.setNickName("귀요미"); Child child = new Child(); child.setMember(member); member.getChildren().add(child); memberService.join(member); em.flush(); em.clear(); System.out.println("================"); memberService.delete(member.getId()); System.out.println("================"); } SQL 하지만 em.remove 부분이 동작하지 않습니다.이유가 무엇인가요? ** save메서드에서 저장 후 remove()를 하는 것을 실험해보았는데 이 경우는 delete 쿼리까지 정상 출력됩니다. 영속성 컨텍스트와 @Transaction과 관련된 이슈인 것같은데 이와 관련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코딩은 실전이다! - Git알못을 위한 깃린이코스(Git, Github 실습위주)
slack 초대 부탁드립니다.
seliscos@gmail.com입니다.
-
미해결
MemberRepositoryTest를 실행하면 에러가 발생하는데 class 에 public을 지우면 에러가 안나요 ㅠㅠ
[에러문구입니다.]org.junit.runners.model.InvalidTestClassError: Invalid test class 'jpabook.jpashop.MemberRepositoryTest':1. No runnable methods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validate(ParentRunner.java:525)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init>(ParentRunner.java:92)at org.junit.runners.BlockJUnit4ClassRunner.<init>(BlockJUnit4ClassRunner.java:74)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init>(SpringJUnit4ClassRunner.java:137)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Runner.<init>(SpringRunner.java:49)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ConstructorAccessorImpl.newInstance0(Native Method)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ConstructorAccessorImpl.newInstance(NativeConstructorAccessorImpl.java:62)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ConstructorAccessorImpl.newInstance(DelegatingConstructorAccessorImpl.java:45)at java.base/java.lang.reflect.Constructor.newInstance(Constructor.java:490)at org.junit.internal.builders.AnnotatedBuilder.buildRunner(AnnotatedBuilder.java:104)at org.junit.vintage.engine.discovery.DefensiveAllDefaultPossibilitiesBuilder$DefensiveAnnotatedBuilder.buildRunner(DefensiveAllDefaultPossibilitiesBuilder.java:114)at org.junit.internal.builders.AnnotatedBuilder.runnerForClass(AnnotatedBuilder.java:86)at org.junit.runners.model.RunnerBuilder.safeRunnerForClass(RunnerBuilder.java:70)at org.junit.internal.builders.AllDefaultPossibilitiesBuilder.runnerForClass(AllDefaultPossibilitiesBuilder.java:37)at org.junit.vintage.engine.discovery.DefensiveAllDefaultPossibilitiesBuilder.runnerForClass(DefensiveAllDefaultPossibilitiesBuilder.java:57)at org.junit.runners.model.RunnerBuilder.safeRunnerForClass(RunnerBuilder.java:70)at org.junit.vintage.engine.discovery.ClassSelectorResolver.resolveTestClass(ClassSelectorResolver.java:66)at org.junit.vintage.engine.discovery.ClassSelectorResolver.resolve(ClassSelectorResolver.java:4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discovery.EngineDiscoveryRequestResolution.lambda$resolve$2(EngineDiscoveryRequestResolution.java:134)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3$1.accept(ReferencePipeline.java:195)at java.base/java.util.ArrayList$ArrayListSpliterator.tryAdvance(ArrayList.java:1632)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forEachWithCancel(ReferencePipeline.java:127)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copyIntoWithCancel(AbstractPipeline.java:502)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copyInto(AbstractPipeline.java:488)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wrapAndCopyInto(AbstractPipeline.java:474)at java.base/java.util.stream.FindOps$FindOp.evaluateSequential(FindOps.java:150)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evaluate(AbstractPipeline.java:234)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findFirst(ReferencePipeline.java:54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discovery.EngineDiscoveryRequestResolution.resolve(EngineDiscoveryRequestResolution.java:185)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discovery.EngineDiscoveryRequestResolution.resolve(EngineDiscoveryRequestResolution.java:125)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discovery.EngineDiscoveryRequestResolution.resolveCompletely(EngineDiscoveryRequestResolution.java:91)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discovery.EngineDiscoveryRequestResolution.run(EngineDiscoveryRequestResolution.java:82)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discovery.EngineDiscoveryRequestResolver.resolve(EngineDiscoveryRequestResolver.java:113)at org.junit.vintage.engine.discovery.VintageDiscoverer.discover(VintageDiscoverer.java:44)at org.junit.vintage.engine.VintageTestEngine.discover(VintageTestEngine.java:63)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DiscoveryOrchestrator.discoverEngineRoot(EngineDiscoveryOrchestrator.java:103)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DiscoveryOrchestrator.discover(EngineDiscoveryOrchestrator.java:85)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discover(DefaultLauncher.java:92)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75)at com.intellij.junit5.JUnit5IdeaTestRunner.startRunnerWithArgs(JUnit5IdeaTestRunner.java:71)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1.execute(IdeaTestRunner.java:38)at com.intellij.rt.execution.junit.TestsRepeater.repeat(TestsRepeater.java:11)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startRunnerWithArgs(IdeaTestRunner.java:35)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prepareStreamsAndStart(JUnitStarter.java:235)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JUnitStarter.java:54)package jpabook.jpashop;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 올려주신 소스는 //org.junit.test 인데 그것 때문일까요? import org.junit.runner.Run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annotation.Rollback;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Runner;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tatic org.junit.Assert.*;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Test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Transactional @Rollback(false) public void testMember() throws Exception{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A"); //when Long savedId = memberRepository.save(member); Member findMember = memberRepository.find(savedId); //then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getId()).isEqualTo(member.getId());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getUsername()).isEqualTo(member.getUsername()); } }
-
미해결
글로벌 getValidator 적용 문의
안녕하세요 수업중에 글로벌 validator를 등록하는 소스를 보여주셨는데요.궁금한 게 있어 질문 드립니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ItemServiceApplication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ItemServiceApplication.class, args); } @Override public Validator getValidator() { return new ItemValidator(); } }글로벌 적용 시 사용하는 WebMvcConfigurer를 들어가봐도 반환 타입이 Validator[]는 없고 Validator만 존재하는데, 여러 개의 validator를 등록이 가능할까요?아래는 컨트롤러에 적용하는 소스인데 여기는 함수를 까보니 여러 개의 인자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더라구요. @InitBinder public void init(WebDataBinder dataBinder) { //dataBinder.addValidators(itemValidator); dataBinder.addValidators(itemValidator, memberValidator, storeValidator); }글로벌 적용은 복수개의 validator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log.info("item.open={}", item.getOpen()); 에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NotReadablePropertyException: Invalid property 'item' of bean class [hello.itemservice.domain.item.Item]: Bean property 'item' is not readable or has an invalid getter method: Does the return type of the getter match the parameter type of the setter?에러가 발생합니다. Item.java 파일에 private Boolean open; 라고 쳤는데도 오류가 발생하는데 어디서 문제가 생긴걸까요? @Data도 넣었습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입문자를 위한 Javascript 알고리즘 이론+실습
계산기가 이상해, typeof 풀이 문의
섹션 3. 숫자와 문자열 > typeof [🧮 계산기가 이상해]function solution(num1, num2) { return typeof(num1), typeof(num2);}저는 이렇게 풀었는데요!리턴값은 똑같은데 혹시 이렇게 풀면 안 되는 걸까요?아시는 분, 꼭 답변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10:11 코드 질문입니다.
참조에 의한 값을 반환받는 함수를 이용해 역시 참조를 이용해 변수를 선언하면 함수가 끝나면서 사라지는 인자를 참조하므로 두번 출력하면 쓰레기값이 나온다고 설명해주셧는데요. Visual Studio 2019에서는 몇번을 출력해도 제대로 나오고 있습니다. 왜그런 건가요??아래 코드 46~55줄 입니다. #include <iostream>#include <limits>#include <array>#include <vector>#include <algorithm>using namespace std;//정수를 반환받는 경우int getValue(int x) { int value = x * 2; return value;}int* getValue2(int x) { int value = x * 3; return &value;}int* allocateMemory(int size) { return new int[size];}//reference로 반환int& getValue3(int x) { int value = x * 4; return value;}int main() { int value = getValue(3); int value2 = *getValue2(3); /*dereferencing해서 받는건 문제는 없으나 권장하지 않음 15~17의 value는 getValue2를 벗어나면서 사라지는데, 그 사라지는 변수의 주소값을 dereferencing하는건 위험 빌드해보면 값은 나오나 warning 뜸. 그렇다고 변수에 dereferencing은 더 위험. getValue2를 벗어나면서 사라지는 값의 주소값을 인자로 받는 값을 또 dereferencing 하는거니까 이 방법은 잘 안쓰긴 함. 단, 아래와 같이 배열의 동적할당에는 자주 씀. factory pattern이라고 나중에 배움.*/ int* array = allocateMemory(1024); //int *array = new int[1024];와 동일 //대신, 동적 할당이므로 delete해줘야하는데 delete가 allocateMemory 함수 말고 main 함수에 있어야해서 단점임. delete[] array; int value3 = getValue3(5);//getValue3이 반환하는 레퍼런스가 가리키는 실제 값이 value3로 복사해 들어옴. int& value4 = getValue3(5); //이거는 문제. value4는 getValue3가 끝나면 사라지는 26번째 줄의 value를 참조함 //없어지는 변수의 값을 복사해서 가져오는 value3는 괜찮은데, 없어지는 변수를 직접 참조하는 value4는 문제겠지 //그 얘로 두번 출력해보면 한번은 제대로 나오는데 다음은 쓰레기값 나옴. 지워진 값의 주소를 참조하니까. cout << value3 << endl; cout << value3 << endl; cout << value4 << endl; cout << value4 << endl; cout << value4 << endl; return 0;}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sum(rooms[i].length) 질문입니다.
n 은 방의 갯수 1000개rooms[i].length 은 한 방의 키의 개수 1000개이고sum(rooms[i].length) 는 모든 방의 키의 합이 아니라 한 방의 키의 합인거 아닌가요??...그래서 시간복잡도 O(V +E)에서V= 10^3, E= 10^6 이 되는 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Three.js로 시작하는 3D 인터랙티브 웹
vector의 길이를 1로 설정해야하는 이유?
Raycater강의를 듣다(특정 광선을 지나가는 메쉬 감지하기)direction벡터의 값을 (0,0,-100)에서 (0,0,-1)로 설정하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혹시 길이가 1이 아닐 경우에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