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서버가 여러대일때 createdDate, updatedDate 처리?
안녕하세요. 보통 createdDate 나 updatedDate 같은걸 등록할때 서버쪽에서 시간을 얻어서 등록하나요? 만약 서버가 여러개 있다고 할때 각 서버마다 아주 미세하게 시간이 다를수도 있을거 같은데요. 그럼 실제 A서버에서 등록한 시간이 B서버에서 등록한 시간보다 느린데 빠르게 등록될수도 있을거같아서요. 차라리 db에서 제공하는 default값이나 트리거등으로 값을 넣어주는게 확실하고 더 낳지 않나요? 실무에선 보통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1. 외부타임서버에서 가져오는건 시간 텀이 있을수 있으니 내부에 NTP서버를 두고 시간갱신을 한다. 이떄 NTP클라이언트들의 시간갱신을 텀을 보통 얼마나 주는지도 궁금합니다. 24시간씩 두지는 않을거 같고 6시간? 1시간? 10분? 2. 시간이 중요할거 같으면 db에서 처리한다. 그리고 시간업데이트할떄 연관된 엔티티끼리의 createdDate 시간은 같이 맞추나요? 아님 조금 차이가 나둬 상관없으니 각각 시간을 구해서 업데이트하나요? 아님딱히 중요한건 아니니 그냥 개별로 업데이트 하나요? 예를들어 ORDER, ORDER_ITEM, DELIVERY, ORDER_HISTORY(ORDER와 N:1의 crud내역) 엔티티가 있을때 같은 주문일경우 각각의 엔티티의 시간을 똑같이 맞추나요? 아님 시간차이가 조금 나도 상관없으니 그냥 엔티티별로 createdDate, updatedDate를 업데이트하나요? 그리고 새 강의 계획은 언제쯤 인지 알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선생님 optional<>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선생님 강의 시청도중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남깁니다. 자바 8부터 객체 리턴시에 null이 리턴되어 참조되는걸 방지하고자 optional을 사용한다고 말씀하셨는데요 optional로 감싼 객체는 1회용으로 거기서 원래 객체를 꺼내면 메모리에 남은 optional객체는 gc가 수거해야할 쓰레기가 되는건가요? 그렇다면 무분별한 optional남용은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메소드명에 OrNull을 추가해서 명시적으로 해당 메서드에서는 null이 리턴될 가능성이 있다고 알리고 사용하는 쪽에서 null값을 리턴받은경우에 대한 예외처리를 분기문등으로 진행하는게 낫지 않나요? 정확히 optional을 사용할때의 어떤 장점때문에 오버헤드의 가능성을 감수하고 사용하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PSQLExeption 오류 나는데요 ?
처음 설치하면서 계정 생성하고 암호 입력하면 자동으로 db 생성 되지 않나요 ? 계정 ,비번 문제도 아닌거 같고, 폰트가 깨지는 거 보니 인코딩 문제일 수도 있겠는데 ...? 검색해도 안나오네요 ㅠ Postgres는 최신형입니다. -------------------------------------------------------- org.postgresql.util.PSQLException: Ä¡¸íÀû¿À·ù: "springboot" µ¥ÀÌÅͺ£À̽º ¾øÀ½ (pgjdbc: autodetected server-encoding to be ISO-8859-1, if the message is not readable, please check database logs and/or host, port, dbname, user, password, pg_hba.conf) at org.postgresql.core.v3.QueryExecutorImpl.receiveErrorResponse(QueryExecutorImpl.java:2497) ~[postgresql-42.2.8.jar:42.2.8] at org.postgresql.core.v3.QueryExecutorImpl.readStartupMessages(QueryExecutorImpl.java:2618) ~[postgresql-42.2.8.jar:42.2.8] at org.postgresql.core.v3.QueryExecutorImpl.<init>(QueryExecutorImpl.java:135) ~[postgresql-42.2.8.jar:42.2.8] at org.postgresql.core.v3.ConnectionFactoryImpl.openConnectionImpl(ConnectionFactoryImpl.java:250) ~[postgresql-42.2.8.jar:42.2.8] at org.postgresql.core.ConnectionFactory.openConnection(ConnectionFactory.java:49) ~[postgresql-42.2.8.jar:42.2.8] at org.postgresql.jdbc.PgConnection.<init>(PgConnection.java:195) ~[postgresql-42.2.8.jar:42.2.8] at org.postgresql.Driver.makeConnection(Driver.java:458) ~[postgresql-42.2.8.jar:42.2.8] at org.postgresql.Driver.connect(Driver.java:260) ~[postgresql-42.2.8.jar:42.2.8] at com.zaxxer.hikari.util.DriverDataSource.getConnection(DriverDataSource.java:138) ~[HikariCP-3.4.1.jar:na] at com.zaxxer.hikari.pool.PoolBase.newConnection(PoolBase.java:353) ~[HikariCP-3.4.1.jar:na] at com.zaxxer.hikari.pool.PoolBase.newPoolEntry(PoolBase.java:201) ~[HikariCP-3.4.1.jar:na] at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createPoolEntry(HikariPool.java:473) ~[HikariCP-3.4.1.jar:na] at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checkFailFast(HikariPool.java:562) ~[HikariCP-3.4.1.jar:na] at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init>(HikariPool.java:115) ~[HikariCP-3.4.1.jar:na] at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getConnection(HikariDataSource.java:112) ~[HikariCP-3.4.1.jar:na]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강의중에 실무에 대한 궁금중이 있어서 질문합니다.
강의중에서 SimpleOrderDto 클래스 생성자에 인자로 entity를 받는데 중요하지 않은곳에서 중요한것을 받는건 상관 없다고 하셨는데..! 영한님도 실무에서 dto 생성자에 entity를 직접 받아서 사용하시나요??? 될수있으면 엔티티로 받지 말고 값을로 받아서 채우던가 , 다른 클래스(dto) 변환 해서 넘기는게 좋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어서요 예를들어 public class CommonWrapper { @Getter public static class SelectMember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writer; private String contents; private String mention; private SelectMember(Long id, String writer, String contents, String mention) { this.id = id; this.writer = writer; this.contents = contents; this.mention = mention; } public static SelectMember from (Member member) { return new SelectMember(member.getId(), member.getWriter(), member.getContents(),member.getMention()); } } 궁금해서 여쭈어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to entity 변환은 어느 곳이 적절할까요?
1) dto -> entity 2) entity -> dto 각각의 변환은 어디가 적절할까요? 1번 2번 둘 다 controller 혹은 service 에서 하게 되는데 사람마다 스타일이 각각 다른 것 같습니다 영한님이 프로젝트에서 사용하시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방법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선호하는 것과 실제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기 모호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기에 추가로 질문 드립니다) 영한님이 사용하시는 방법에 대한 이유도 알 수 있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업무를 하다가..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질문드립니다. 질문1 Repository에서 @Quer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nativeQuery = true 옵션을 주고 Entity 객체로 값을 반환을 받는데 네이티브 쿼리에서 추가한 연산한값 또는 rownum 같은 값을 Entity 객체로 받을수 있을까요? 구글링을 해보니까 안된다고 하는것 같아서요 Entity 객체에 @Transient 애노테이션을 붙여서 필드를 생성해 놓았지만 해당 애노테이션은 엔티티를 만들때 컬럼을 생성하지 않는 역할이라서 역시 안될것 같았지만 역시나 안되네요 혹시 다른 방법이 있을까 해서 질문 남깁니다 질문2 Spring Data Slice를 사용해서 페이징을 구현하려고 하는대요 커서의 개념으로 조회를 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PageRequest.of(0,3)으로 고정 해 놓고 id 값을 기준으로 3개씩 조회를 하려고 하였는데 (id < 입력 값) order by 정렬 기준으로 id를 사용할수가 없는 경우에는 혹시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순차적으로 id 값이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래서 rownum을 사용해서 조회를 하였는데 Entity 객체로 rownum이 반환이 안되더라구요;;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Projections 이건 지금 처음 보았는데 안되면 Projections 고려해 바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ConcurrentSessionControlAuthenticationStrategy 질문입니다!
현재 Ajax 방식 로그인을 위해 해당 강의에서 나온 방식으로 AbstractAuthenticationProcessingFilter를 상속받아 Filter를 커스텀하여 로그인 기능이 구현되어있습니다. 이후 동시세션 제어를 위해 securityConfig에서 아래 코드를 적용하였지만 http .sessionManagement() .maximumSessions(1); AuthenticationProcessingFilter를 커스텀하여 ConcurrentSessionControlAuthenticationStrategy이 적용되지 않는것 같은데 적용하는 방법을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getter setter 질문 드립니다.
static class Hello { private String name2;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2;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2) { this.name2 = name2; }}이렇게 변수 이름을 name2로 바꿔줘도 json으로 바뀌면 키 값이 name인데 이유가 뭔가요? 그런데 get, set 메서드 이름에도 2(getName2, setName2)를 붙여주면 키 값이 name2로 잘 나옵니다 이렇게 동작하는 이유가 뭔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em.flush() 궁금한 게 있습니다.
12분 쯤 벌크연산에서 flush()를 날린 뒤에 벌크연산을 수행하니 db에는 41살, 영속성 컨텍스트에는 40살인 채로 남고 그 상태에서 명시적으로 em.flush()를 날리면 db에 40살이 찍히리라 예상 했는데... flush()할 때 단순히 DB와 동기화하는 게 아니라 변경 감지를 통해 쓰기 지연된 부분만 내보내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비슷한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강사님 QueryDSL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49157 여기 글이랑 같은 오류인데 강사님이 알려주신 링크 들어가니까 권한이 없다고 나오는데..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ㅜ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elloSpringApplication 메인 메서드 동작시킬때
HelloSpringApplication 메인 메서드 동작시킬때, application이 실행되면서 서버가 도는 것 같습니다. 궁금한 점이 이때, 작성해둔 모든 컨트롤러, 서비스, 레파지토리, 도메인 등이 같이 가동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컨트롤러가 여러개 있으면 @Controller로 기재된 모든 컨트롤러가 MemberService, MemberRepository 또는 더 나아가 모든 서비스와 레파지토리와 연결되는건가요? 왜냐하면 10분에 나오는 영상에 helloController와 연결된 그림이 있습니다. MemberController와 연결 시켜주는 과정인줄 알았는데 helloController가 그림에 있길래 모든 Controller가 @Service라고 기재된 것과 연결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사실 더 나아가 service와 repository도 전부 서로서로 연결되는 구조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appedBy와 cascade를 함께 썼을 때
mappedBy로 설정된 컬렉션은 읽기만 가능한 줄 알고 있어서 cascade가 적용이 안되는 게 아닌가..? 싶었는데 컬렉션에 엔티티를 추가할 경우 엔티티도 영속화 해주지만 그 엔티티의 FK 값은 반영이 안되는 것 같은데 제가 제대로 이해한 게 맞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컬렉션에 대한 fetch join은 1개만 사용해야 한다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영한님. 간단한 질문을 드리고 싶어서 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강의 마지막에 "컬렉션(일대다 관계)에 대한 fetch join은 1개만 사용해야 한다. 2개 이상 붙이면 일대 다대 다 형태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 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여기서 2개 이상 사용하는 케이스는 아래 두 케이스를 모두 포함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 Order 클래스 내부에 일대다 관계에 대한 필드가 2개인 경우 - Order 클래스 내부에 일대다 관계에 대한 필드가 1개고, 그 필드의 객체 내부에 일대다 관계에 있는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문득 생긴 고민이라 적절한 예시가 생각나지 않네요ㅠㅠ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2 SQL 접속 불가 문제입니다.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DB SQL 문제 때문에 질문드립니다 해당 오류는 H2 DataBase의 접근 오류 문제인거 같습니다. 바로 앞전에 엔티티 매핑에서 부터 뭔가 이상해서 DB를 초기화하고 다시 돌려보니 아예 DB에 데이터 쓰기 자체가 안되는거 같습니다. 참고로 H2 SQL, MY SQL 방언 문제 할 수 있는거 죄다 다해봤는데 도저히 먹히지 않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아예 Spring을 사용해야 되서 아예 xml 파일에서 작동 되지가 않습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gradlew dependencies
안녕하세요. 저는 windows10 사용자입니다.아래와 같이 인텔리제이 터미널 로컬에 입력하면 실패한다고 뜹니다.C:\study\jpashop>gradlew dependencies 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 Where: Build file 'C:\study\jpashop\build.gradle' line: 39 * What went wrong: A problem occurred evaluating root project 'jpashop'. > Could not find method testImplementation() for arguments [org.junit.vintage:junit-vintage-engine, build_c5fjxfeq8g2hpdi6kd0zeexhk$_run_closure5@1757541f] on root project 'jpashop' o f type org.gradle.api.Project. *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 BUILD FAILED in 1s =========================================다음은 환경정보입니다. C:\study\jpashop>gradlew -version ------------------------------------------------------------ Gradle 6.8.3 ------------------------------------------------------------ Build time: 2021-02-22 16:13:28 UTC Revision: 9e26b4a9ebb910eaa1b8da8ff8575e514bc61c78 Kotlin: 1.4.20 Groovy: 2.5.12 Ant: Apache Ant(TM) version 1.10.9 compiled on September 27 2020 JVM: 11.0.11 (Oracle Corporation 11.0.11+9-LTS-194) OS: Windows 10 10.0 amd64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로그 글씨 색깔
빌드해서 실행해봤을 때 아래 로그 색깔이 저는 전부 검은색인데 강사님 화면은 색깔이 다 들어가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따로 설정이나 설치해야 하는 플러그인이 더 있는건가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기본값타입 컬렉션은 왜 전체지움과 insert 가 발생하지 않는것인가요?
임베디드 타입 컬렉션이 추적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 지웠다 생성한다면, 값 타입컬렉션또한 그렇게 발생해야 하는것 아닌가해서 질문드립니다! 치킨 -> 한식 String 변경시에도 같은 이유로 추적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변경되어야하는거 아닌가요!? 기본 값 타입 객체는 뭔가 보장이 되기 때문에 그런건가요? 항상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안녕하세요 질문 드립니다. org.gradle.api.GradleScriptException: A problem occurred evaluating root project 에러가 발생합니다..
마지막 강의에서 queryDsl 설정을 적용했을때 .. 이런 에러가 발생합니다.. 제가 git에서 프로젝트를 올려놓고 프로젝트를 여러환경에서 받아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은 하는데 .. 어떻게 해결을 하면 좋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insert 쿼리가 log에 안찍혀요!
test를 실행할 때 insert 로그가 안찍혀요... @Rollback(false)를 설정 했을때는 찍힙니다. @Rollback(false)를 설정하지 않아도 찍히게 하고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yml 복붙해서 넣어드립니다... 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logging.level: org.hibernate.SQL: debug org.hibernate.type: trace
-
해결됨스프링 시큐리티
RoleHierarchy 엔티티를 따로 만들지 않아도 되나요?
RolehierarchyImpl 에 String 타입 프로퍼티에 A > B\n 이런 타입으로 지정만 해주면 될 것 같아서 Role 엔티티 자체에 RoleGrade 라는 ENUM 타입을 지정해줘서 알파벳 순으로 가져와서 그걸 for-loop 돌리면서 문자열만 만들면 될거 같아서 해봤는데 실시간으로 적용이 되더라구요. @Overridepublic void reloadRoleHierarchy()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List<Role> allRoles = roleRepository.findAllWithRoleGrade(); for (int i = 0; i < allRoles.size(); i++) { try { allRoles.get(i + 1); /* 검증 코드 */ sb.append(allRoles.get(i).getRoleName()); sb.append(" > "); sb.append(allRoles.get(i + 1).getRoleName()); sb.append("\n"); } catch (Exception e) { break; } } this.roleHierarchy.setHierarchy(sb.toString());} ResourcesController 에서 자원 등록, 삭제 하고나서 reload 메소드를 호출했듯이 이 메소드를 Role 등록, 삭제 뒤에 등록해주니 잘 되네요. 혹시 실무에서는 이런식으로 쓰는것보다 엔티티를 따로 만들어서 관리하는것을 선호하나요? RoleHierarchy 엔티티 안에 자기 자신을 ManyToOne 으로 조인하니 너무 어려워서 이렇게 해보긴 했는데, 실무에서는 엔티티 방식으로 관리하는걸 선호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혹시 몰라 git 링크 첨부해봅니다. 한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view4 브랜치입니다. https://github.com/twosom/SpringSecurity-ProjectReview.git *추가적으로 이제 계층 구조 Role을 구성했으면 Resources 랑 Role 은 굳이 N : N 관계로 구성하지 않아도(테이블 상에서는 1 : N , N : 1) 되는건가요? 기존에는 하나의 Reosurces 에 여러개의 Role 이 있을 수 있고 Role 하나가 여러 Resources 에 포함될 수 있기에 N : N 관계로 만들었지만, 계층 구조가 적용되면 외래키가 Resources 테이블에만 존재해도 (N : 1) 될 것 같아서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