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qql
qql에서 백틱 다음에 저는 문자열로 모든게 표현되는데, 강의 화면에서는 다르게 나오던데 어떤 익스텐션을 추가해야 되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checkbox 진행과정 질문입니다.
먼저 사용자가 서울을 체크하면item의 private List<String> regions; 에 SEOUL 이 저장이됩니다.<div> <div>등록 지역</div> <div th:each="region : ${regions}" class="form-check form-check-inline"> <input type="checkbox" th:field="*{regions}" th:value="${region.key}" class="form-check-input"> <label th:for="${#ids.prev('regions')}" th:text="${region.value}" class="form-check-label">서울</label> </div> </div>그 다음 th:field="*{regions}" 에 SEOUL이 들어가게 되고,th:value="${region.key}" 에 있는 SEOUL, BUSAN, JEJU와 일치하는 지 비교합니다.만약 있다면 checked = "checked" 를 합니다. 위와 같은 흐름이 맞는 지 궁금합니다.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코딩테스트 - it 대기업 유제
카드 가져가기를 sort로 풀게 되면,,, 시간복잡도가,,,,
안녕하세요, 이 문제의 파라미터 수가 30만개인데 이걸 nlogn 으로 풀면, 백준 기준으로는 타임 오바 되는 수준으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
해결됨Vue.js 시작하기 - Age of Vue.js
vue cli 설치 하는데 오류 해결을 못하고 있습니다.
node, npm 설치 잘 되여있는데 vue cli만 설치할려면 저런 오류가 뜹니다.cmd/cmder/powershell 들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서 명령어를 쳐봐도 달라지는건 없었습니다.npm uninstall -g @vue/cli 하고 다시 명령어를 쳐도 똑같이 나옵니다powershell 권한 수정 그런것도 해보고 환경변수 설정도 다 해보고 Cmder.exe 도 다운받아서 npm install -g @vue/cli 명령어 치면 계속 오류만 뜹니다.해결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cloudFront에 원본 프로토콜
원본 도메인을 적는 칸에 강의와는 다른 프로토콜 칸이 생겼습니다.해당 부분은 어떻게 진행하는 것인가요?++ 우선 뷰어 일치로 진행하였는데, 받은 주소가 자꾸 에러가 나네요.자물쇠는 걸렸지만 아래처럼 나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빌드 에러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지금 학교에서 자바 8버전을 쓰고 있어서 8버전으로 ./gradlew build 를 했는데 오류가 뜨더군요 그래서 11버전을 깔아서 다시 스프링 프로젝트를 만드려고 하는데 또 학교에선 8버전을 사용하기때문에 두가지 모두 사용할 방법이 있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쿠키 공유 질문이요
제가 어디서부터 흐름이 끊겼는지 모르겠는데 우선 로컬에서 브라우저랑 백엔드서버가 쿠키공유를 할 때 origin이 서로 달라서 브라우저에서는 axios.defaults.withCredentials = true를 해주고 백엔드서버에서는 credentials: true 하고 origin: http://localhost:3060을해서 쿠키를 서로 공유했는데 배포 할 때도 백엔드서버에서 브라우저 ip주소를 origin에 적어주면 공유 되는 거 아닌가요? 왜 배포할 떄는 브라우저와 백엔드서버 origin이 서로 같아야 쿠키가 공유 되는 건가요?
-
미해결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테스트코드 질문
안녕하세요 호돌맨님,!Service 계층 테스트코드와 MockMVC를 이용한 Controller 계층 테스트코드를 각각 작성하시는것 같은데, 이유가 있으신지요?, 저의 좁은 시야로는 Controller 테스트 실행시 Service 로직도 검증이 될것 같아서 질문을 드립니다.실무에서도 계층별(예를들어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로 테스트코드를 각각 작성하시는 편이신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프록시 객체 조회
교안에 "ac.getBean("myLogger", MyLogger.class) 로 조회해도 프록시 객체가 조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라고 나와 있어서 한번 만들어 봤는데 잘 안 되네요. ac.getBean을 다른 곳에서 해야 할까요? 어떻게 해야 확인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파이썬 무료 강의 (기본편) - 6시간 뒤면 나도 개발자
질문드립니다.
a={1:"미미",2:"방방}cabi.clear()print(cabi) 하고print(cabi.clear())같은 것인 줄 알았는데 출력값이 다르더라구요.정의상 무슨 차이인지 궁금해요~교수님
-
미해결Vue3 완벽 마스터: 기초부터 실전까지 - "실전편"
반응형의 사용에 관한 질문입니다(ref, reactive)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서 의문이 생기어 질문남깁니다.제가 이제까지는 .vue 파일내부의 script 내부에서, 모든 변수를 반응형화 하였는데요, 이게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기어 질문드립니다.예를 들어, 인풋에서 값을 받아 검색을 하는 상황에서, searchBookQuery라는 변수를 선언하여 반응형화 하였는데요, 그렇지 않고 그냥 let으로 선언해서 사용을해도 상관이 없으려나요? 모든 변수가 반응형객체로 생성된다는게 살짝 성능상에서도 좋지않을까 하는 고민이들어 질문 드립니다.코드예시// bookSearchResults는 렌더링 되는 부분과 연관이 있기에 // 반응형으로 생성해야한다라는 확신이 들지만 // 다른 변수는 어떨지 선생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const bookSearchResults = ref([]); const searchBookQuery = ref(""); const queryTimeout = ref(0); const searchBook = (e: Event) => { searchBookQuery.value = (e.target as HTMLInputElement).value; queryTimeout = setTimeout(async () => { if (searchBookQuery.value !== "") { const result = await axios.get(...); bookSearchResults.value = result.data.item; } else { bookSearchResults.value = null; } }, 500); }; // --------위: 반응형선언, 아래: 일반 변수선언------------ let searchBookQuery = null; let queryTimeout = 0; const searchBook = (e: Event) => { searchBookQuery = (e.target as HTMLInputElement).value; queryTimeout = setTimeout(async () => { if (searchBookQuery !== "") { const result = await axios.get(...); bookSearchResults.value = result.data.item; } else { bookSearchResults.value = null; } }, 500); };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안녕하세여 질문이 있습니다!
큰돌님 안녕하세여! 저는 게임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가 되기 위해서 C++ , C# 유니티 등을 공부중입니다. 그런데 CS관련지식도 필요할 거 같아서 큰돌님의 CS지식의 정석 편을 들어도 되는지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실습이 자바나 자바스크립트 위주로 진행된다는데 저는 C++, C#만 공부했는데 들어도 댈까요?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강의 내용 블로그 정리방법
선생님 안녕하세요, 백앤드를 희망하며 독학 중인 학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선생님 강의를 일단 1회독을 가볍게 보고 따라치면서 자바가 어떤건지 이해하고 2회독을 하면서 그땐 블로그에 정리도 함께 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여쭤보고 싶은 부분은, 많은 분들이 블로그에 공부를 정리한 용도로 많이 올리시는데저 역시 선생님 강의를 제가 배운 내용을 토대로 올리고자 하지만(출처 밝힘)어떤식으로 어떻게 올려야 할지는 감이 안와서요..막상 배운 내용을 그대로 따라 올리는건 복사 붙여넣기밖에 안될 것 같고빈 백지 상태에서 배운 코드를 하나씩 쳐보자니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고 (이 단계까진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습니다)강의 내용에 관한 궁금증과 별개이지만 배운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하는 팁?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
QueryDSL + leftJoin + on + fetchJoin 오류 문의 드립니다.
@Entity @Table(name = "tbl_board") class Board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val bdSeq: Int? = null, var bdTitle: String?, var bdContents: String?, var bdRegdt: LocalDateTime? = LocalDateTime.now(), @OneToMany(fetch = FetchType.LAZY, mappedBy = "board") @Filter(name = "filterTest", condition = "bdcSeq = :bdcSeq") var boardCmts: MutableSet<BoardCmt> = mutableSetOf(), @OneToMany(fetch = FetchType.LAZY, mappedBy = "board") var boardTags: MutableSet<BoardTag> = mutableSetOf() ) @Entity @Table(name = "tbl_board_cmt") class BoardCmt(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val bdcSeq: Int? = null,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bd_seq") var board: Board?, var bdcContents: String?, @OneToMany(fetch = FetchType.LAZY, mappedBy = "boardCmt") var boardCmtTags: MutableSet<BoardCmtTag> = mutableSetOf() )두개의 엔티티가 있는데val board = QBoard.board val boardTag = QBoardTag.boardTag val boardCmt = QBoardCmt.boardCmt val rows = query.select(board, boardCmt) .from(board) .leftJoin(board.boardCmts, boardCmt).on(boardCmt.bdcSeq.notIn(100)).fetchJoin() .fetch() // 오류 // org.hibernate.query.SemanticException: with-clause not allowed on fetched associations; use filters오류가 발생합니다.fetchJoin을 쓰면 on을 못쓰고 on을 쓰면 fetchJoin을 못쓰는 상황입니다.이와 관련해서 솔루션이 없는게 이해가 안되요. github나 stackoverflow나...제가 유일하게 찾은 솔루션은 두개// case 1 (query에서 on 조건을 빼고 kotlin에서 filter를 이용해서 처리) // comment 데이터가 많을수록 db성능 최악 val board = QBoard.board val boardCmt = QBoardCmt.boardCmt var rows = query.selectFrom(board) .leftJoin(board.boardCmts, boardCmt).fetchJoin() .fetch() rows = rows.map { it.boardCmts.filter { f -> f.bdcSeq != 100 } it } // case 2 (Tuple로 각각 받아와서 board 엔티티에 밀어넣기 // 쿼리성능에 이슈가 없지만 매핑하는데 피로도 상승 val rows = query.select(board, boardCmt) .from(board) .leftJoin(board.boardCmts, boardCmt).on(boardCmt.bdcSeq.notIn(100)) .fetch() return rows.fetchTest(board) { entity, fetchData -> entity.boardCmts = mutableSetOf() fetchData.forEach { it.get(boardCmt)?.let { item -> entity.boardCmts.add(item) } } }.map { it.toDto() }테이블마다 DEL_YN 필드가 들어가는 바람에leftjoin시 필수로 on(board.delYn.eq("Y)) 가 들어가야 되는 상황인데fetchJoin은 성능상 꼭 쓰고싶고, on은 반드시 들어갸야되고참 어렵습니다.
-
미해결스프링부트 JUnit 테스트 - 시큐리티를 활용한 Bank 애플리케이션
.authenticated()에 걸렸음에도 403에러가 뜨는 이유가 뭔가요?
.authenticated()에 걸렸음에도 403에러가 뜨는 이유가 뭔가요?인증이 필요한 페이지임에도 권한이 필요하다는 403 에러가 떠서 401로 직접 설정하는데, 403이 뜨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cope("singleton")을 넣지 않았는데도 싱글톤으로 동작
위에 코드와 같이 ClientBean 위에 @Scope("singleton")을 넣지 않았는데도 싱글톤으로 동작하는것 같습니다.그 이유가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 PrototypeBean.class);에 있는 ClientBean.class 때문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 되어서 싱글톤으로 동작하는 것이 맞을까요?
-
미해결면접과 취업을 부르는 '퍼블리셔 개인 포트폴리오 홈페이지' 제작
기능정의서 html에 첨부하는 방법/header include
pdf로 만든 기능정의서를 html안에 첨부하는 방식이 어떻게 될까요?검색해봐도 나오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캐글 Advanced 머신러닝 실전 박치기
히스토그램 x 값
안녕하세요. 현재 app_baseline01을 강의와 함께 같이 실습하고 있는 강의 수강생입니다..!train 데이터의 AMT_INCOME_TOTAL의 값들은 아래의 사진과 같은데, 히스토그램 그래프에서 x 값들이 소수점으로 나오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아래의 값들이 범위로 나눠져 나타나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소수점들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항상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malloc의 매개변수로 배열의 크기를 전달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메모리 공간을 얼마나 사용하던지, 결국 malloc()은 사용하는 배열의 첫주소인 void유형의 포인터를 반납하는데,"힙에서 메모리 공간을 얼마나 사용하겠다"라고 전달하여 메모리를 배정받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어떠한 장점이 있는건가요 ??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쿠키 & 세션을 REST API로 개발할 때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쿠키에 대해서 알게 되었지만 궁금한점이 있습니다.구글에 검색하다 본 기억이 있는데 쿠키 & 세션을 REST 개발환경에서는 못쓴다고 본적이 있는거 같은데 스프링 부트로 rest형식으로 개발할 때는 쿠키 & 세션을 못쓰는게 맞나요? 만약, 못쓰는게 맞다면 그러면 로그인 유지나 광고 3일 동안 안보겠습니다 같은 쿠키를 사용해야 할 때는 어떤식으로 시켜줘야나요? 리액트와 협업하면 프론트에게 맡겨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