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getTotalPrice같은 조회함수가 왜 필요한지 모르겠씀니다=_=
totalPrice라는 변수를 만들어서 처음 주문 들어왔을떄 계산해서 넣어두고, 주문 취소라던지 하는 변경이 일어나면 그때 상황에 맞게 업데이트 해주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일반적으로 변경보다는 조회가 빈번하니까 변경되었을때 미리 계산해두고 조회할떄는 가져다 쓰기만 하는게 더 맞지않나 싶어서요=_=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연관관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선생님께서 양방향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단방향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 좋다고 말씀하셨는데 그렇다면 한가지 예시로 Member와 order의 관계에서 회원으로 로그인해서 주문내역을 확인하고 싶을 경우 양방향의 경우 다이렉트로 Member.getOrders로 처리가 가능하지만 단방향의 경우 em.find(Order.class, member.getId())를 통해 한번더 쿼리문을 날려야 되는데 이게 더 맞는 사용방법이라는 말씀이신가요??? 아직 실무 JPA경험이 없어서 왜 그 부분이 더 좋은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강의에서 말씀하시는 끊어줘야 된다는 부분이 어떠한 이유로 끊어줘야되는지 여쭤봐도될까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remove() 동작 방식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JPA 책이 와서 복습을 하던 도중 remove() 동작 방식과 관련해 의문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엔티티를 삭제하기 위해 remove() 시에 삭제 쿼리가 지연 SQL 저장소로 가는 것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이를 아래와 같은 예시를 통해 확인했습니다. 예시1 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setName("Kim");em.persist(member);em.remove(member);System.out.println("======commit=======");tx.commit(); <실행결과> 그런데 다음과 같은 코드를 실행할 경우에는 insert 쿼리 하나만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예시2 try{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Kim"); em.persist(member); em.remove(member); em.persist(member); // 추가 코드 System.out.println("======commit======="); tx.commit(); <실행결과> remove()시에 지연 SQL 저장소에 delete 쿼리가 저장되어 delete 쿼리가 발생해야한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았습니다. remove() 후에 나온 persist()로 인해 지연 SQL 저장소에 있는 delete 쿼리를 지워주는 것인가요? 물론, 위 실행결과 처럼 동작하는 것이 성능상 옳다고 생각하나 어떻게 이렇게 동작하게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추가적으로 영속성 컨텍스트 자체는 언제 생성되고 소멸하는지도 궁금합니다. 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setName("Kim");em.persist(member);System.out.println("======commit=======");tx.commit();Member foundMember = em.find(Member.class, 1L);System.out.println("member1.getName() = " + foundMember.getName()); 위와 같은 코드를 실행했을 때, 커밋 후에도 영속성 컨텍스트를 이용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회문문자열 질문
public String mysolution(String str) { Boolean answer = true; str = str.toLowerCase(); char[] c = str.toCharArray(); int lt = 0 , rt = str.length()-1; while(lt<rt) { if(c[lt]!=c[rt]) { answer = false; break; } lt++; rt--; } return answer ? "YES" :"NO"; } 위처럼 문자열바꾸기 할떄 썼던 방법을 쓰는것 보다 강의에서 풀어주신 방법이 더 효율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관계에서 '주인이 아닌쪽은 읽기만 가능'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한 강사님. 양방향 매핑 관계에서 '주인이 아닌쪽은 읽기만 가능하다' 라고 설명해 주셨는데요, 이 의미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저는 이를 이해하기로, Member(하인) - Order(주인) 관계에서 List<Order> orders = member.getOrders(); 로 가져온 order 객체들에 대해 수정이 불가능하다라고 이해를 했는데요, 간단한 실험을 해보니 orders.forEach(order -> { order.setOrderStatus(OrderStatus.CANCEL); entityManager.persist(order); }); 의 방법으로 order들이 update 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습니다. 반대로 order.getMember(); 로 가져온 member들에도 수정이 가능했고요.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것일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p6spy 성능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서 `p6spy` 를 잘 활용하고 있는데요. 강의 내용 중에 prod 에서는 성능 관련을 확인 후 사용해야 된다는 내용을 보고 궁금해졌습니다. 처음에는 그냥 `build.gradle` 에서 prod 설정에만 안뜨게 하면 되겠지 (dev, test 에서는 되는 것을 의도) 라고 생각했는데, profile 에 따라 `build.gradle` 이 동적으로 움직이는 건 application.xml 이랑은 다르게 좀 어렵더라구요; 그래서 질문은 2개 입니다. 1. profile 에 따라 `build.gradle` 의 설정 (특히 dependency) 이 동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2. `p6spy` 와 같은 외부 라이브러리의 성능 검증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size 함수 관련
안녕하세요. 영한님. size 함수의 결과값을 확인하고 싶어서 똑같이 입력했는데 for(Integer s : result) 부분에서 s = 0 이 출력되지 않습니다. 아래 코드에서 어느 부분이 잘못됐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ry{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Username("관리자1"); em.persist(member1);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Username("관리자2"); em.persist(member2); em.flush(); em.clear(); String query="select size(t.members) from Team t"; List<Integer> result = em.createQuery(query, Integer.class) .getResultList(); for(Integer s : result){ System.out.println("s = " + s); }; tx.commit();}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Controller에 대해서 궁금한게 생겼어요
안녕하세요!! 컨트롤러를 보다가 단순 호기심이 생겨서요 MemberController와 ItemController에서는 회원가입을 하거나 상품을 등록할때, MemberForm클래스나 ItemForm클래스를 만들어서 파라미터값으로 넘겨주셨습니다. 그런데 OrderController에서는 주문을 할 때 OrderForm을 만들지 않고, 하나하나 @RequestParam으로 넘겨준 특별한 이유가 궁금해서 질문드렸어요 별다른 이유가 없으면 OrderForm을 만들어서 넘겨도 되는거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ap<Long,Member>를 넣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Member class에는 long id, String name을 가지고 있어서 id값에 Long을 주는건 이해가 되는데 name값을 넣어주려면 Member가 아니라 String이 들어가야되는게 아닌가요?? 잘 이해가 안되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기본키 전략 max + 1 문의
안녕하세요 영한님 JPA 책 부터 인프런의 여러 좋은 강의들 항상 잘 듣고 배우고 있습니다. 간혹 기본키를 숫자 형태로 max + 1로 하는 레거시한 프로젝트를 만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경우 동시성 이슈 관련하여 JPA에서 어떤 전략을 사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Spring Data JPA 사용 중입니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면 * 사용자 - 식단카드라는 두 개의 테이블이 존재합니다. * 식단카드에는 card_key, user_id를 복합키로하며 그 외 카드 식단 정보가 있습니다. * 식단카드 생성시 user_id를 조건으로 검색하여 가장 높은 card_key를 가져와 + 1해서 card_key를 만들어 저장합니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에서 비동기 처리로 여러 식단카드를 등록하려다보니 먼저 실행된 요청 쓰레드의 트랜잭션이 성공하고, 두번째 실행된 요청 쓰레드가 먼저 실행된 쓰레드랑 같은 최근값을 읽고 + 1해서 커밋하려니 중복된 키 오류가 발생합니다. 제가 시도해본 방법은 여러가지였는데, 모두 잘 안되더라고요. MariaDB innoDB 엔진 사용하고요. 기본적으로 JPQL을 사용하여 max + 1 값을 가져오는 Repository 인터페이스 메서드 선언 시도 해본 방법 1. @Transactional isolation level을 SERIALIZBLE 로 변경 * 해결 되지 않음 2. 비관적 락 @Lock(LockModeType.PESSIMISTIC_WRITE) * 해결 되지 않음 * 구글링 찾아보니 기본키 인덱스 이외의 다른 인덱스가 있을 경우 동작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정확한 공식 문서 내용을 찾아볼 수가 없네요. 3. JPQL NATIVE QUERY 사용하고 FOR UPDATE로 LOCK * 해결 되지 않음 결국 Spring Retry 연결하여 실패시 계속 재시도하여 들어가게끔 처리는 했는데, 어거지로 해결한 느낌이라 계속 속에 남아있네요 ㅜㅜ 트랜잭션이나 LOCK에 대해서 공부해서 적용해봐도 안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ㅜㅜ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강사님 프로그램 시작시 질문있습니다
제가 야생형 코스를 따라가고 있어서 아직까지 이해가 잘 가지 않고 그냥 따라치기 바쁘네요 ㅎㅎ 다름이 아니라 JPA를 사용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할때마다 테이블을 계속해서 만들고 시작하나요 ?? 그리고 제가 디비가 약해서 디비 관계에대해 잘 이해 못하는 부분들이 조금씩 있고 각 어노테이션들의 기능들을 기본편을 보지않고 와서 그런지 모르고 가고 있는데 계속해서 진도 진행해도 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xtends JpaRepository<> vs @Repository 질문
안녕하세요 기본편 강의 잘 들었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는데, DB에 접근하는 클래스를 만들 때 스프링 공식 사이트에서는 extends JpaRepository<> 있고 현재 강의에서는 @Repository로 접근을 하는데 둘의 차이가 있는 것 인가요? 추상적인 질문이었다면 죄송합니다 ㅠ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Jpa 로 단순 조회기능을 이용하게될때 Service Layer 에서 @Transactional(readOnly=true) 를 메소드에 선언해서 사용했었는데요 테스트하다보니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없이 사용해도 조회도되고 controller 단에서도 영속성컨텍스트가 살아있는걸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osiv 는 켜놓았습니다) findById or findAll 같은 단순 조회기능에서는 @Transactional 은 없어도 되는건가요? spring 에서는 기본적으로 트랜잭션범위와 영속성컨텍스트의 범위가 동일하다고 알고있는데 @Transactional 설정을 안해줘도 조회기능에선 영속성컨텍스트가 유지된다고 보면될까요 ? 아니면 @Transactional(readOnly=true) 는 @Transactional 없이 동작하는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걸까요 ㅠ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ItemServiceImpl.java 클래스를 만들지 않은 이유
강사님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 올립니다. 보통 ItemService 같은 서비스 클래스는 구현체를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혹시 강의처럼 ItemServiceImpl 클래스를 안만들고 바로 구현해도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건지 궁금합니다. (JPA라서 그런건지 아니면 예제이기 때문에 단순화 시키신건지 등 ..)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Do it!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with 은종쌤
자료실에서 코드 확인하려고 다운 받았는데
이지스퍼블리싱에서 자료실에서 연습문제 답 확인 겸 다운 받았는데 이걸 어떻게 열어서 볼 수 있나요? 이클립스로 열어보려고 하는데 오류만 뜨네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appedSuperclass 질문
안녕하세요 조금 초보적인 질문인데 @MappedSuperclass 를 추상 클래스로 사용했는데 인터페이스로 사용을 할 수 있나요? 만약 기존 엔티티가 이미 상속을 받고 있을 때 추상클래스 상속이 안되면 어떤식으로 풀어가야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 예제에서 에러가 발생합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에서 자바코드로 직접 스프링빈 등록하기부분을 듣고있습니다. 회원 서비스와 회원 리포지토리의 @Service, @Repository, @Autowired 애노테이션을 제거하고 @bean 설정할때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return new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 에서 에러가납니다. 에러 메시지는 ' java: incompatible types: hello.hellospring.repository.MemberRepository cannot be converted to hello.hellospring.repository.MemoryMemberRepository' 입니다. 캐스팅해야한다고 뜨는데, 수업화면에서는 별도 캐스팅없어도 오류가 발생하지않더라구요 ㅠ 제가 어느부분을 놓친건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package hello.hellospring.repository; import hello.hellospring.domain.Member;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Optional; public interface MemberRepository { Member save(Member member); Optional<Member> findById(Long id);//널일경우 대비 Optional<Member> findByName(String name); List<Member> findAll(); } package hello.hellospring.repository; import hello.hellospring.domain.Memb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emory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private static Map<Long,Member> store = new HashMap<>(); private static long sequence = 0L; @Override public Member save(Member member) { member.setId(++sequence); store.put(member.getId(),member); return member; } @Override public Optional<Member> findById(Long id) { return Optional.ofNullable(store.get(id)); } @Override public Optional<Member> findByName(String name) { return store.values().stream() .filter(member -> member.getName().equals(name)) .findAny(); } @Override public List<Member> findAll() { return new ArrayList<>(store.values()); } public void clearStore(){ store.clear(); } } package hello.hellospring.service; import hello.hellospring.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hello.hellospring.repository.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Configuration public class Spring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return new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findById 반환타입 Optional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 강의 매번 감사합니다! 강의를 듣고 토이프로젝트중에 질문이 생겼습니다! 강의 21분쯤에 스프링 데이터 JPA가 제공하는 findById의 반환값을 받아올때 반환값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Optional이고 강의에선 편의상 get()으로 가져온다고 하셨습니다! 강의에서 orElse 로 처리한다고 간단하게 언급해주셨는데, 실무에서는 그럼 위와 같은 상황에서 어떤식으로 가져오나요? 관련되어서 조사를 해보았는데 orElse로 값이 없을때 반환할 값을 넣어준다고 하더라구요. 그럼 이 테스트에서는 값이 없을때 반환할 객체 하나 생성해두고 orElse에 넣으면 되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JPAQueryFactory를 필드로 제공하는 경우
new JPAQueryFactory(em)을 굳이 @BeforeEach에 포함시켜야 할까 생각이 들어 코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해봤는데요. @AutowiredEntityManager em;JPAQueryFactory queryFactory = new JPAQueryFactory(em);@BeforeEachpublic void before() {// queryFactory = new JPAQueryFactory(em); 그리고 테스트를 실행하면 queryFactory.select(m) 부분에서 NullPointException이 발생합니다. 제 생각에는 EntityManager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기 전에 new를 통해 JPAQueryFactory를 생성하려 하니 문제가 생겼다고 생각했는데 맞을까요? 아니라면 어떤 이유로 exception이 생기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오랜만에 또 돌려보네요.! 다름이 아니라 OneToOne 연관 관계에서 Member입장에서는 Lokcer가 있는지 알려면 Locker 테이블을 찾아야 하기 떄문에, 프록시로 설정할 이유가 없다고 하셨습니다. (여기 까진 이해 했습니다) 그런데 그럼 public class Team { @ManyToOn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 Team도 마찬가지로 member_id 컬럼이 실제 DB에 없기 떄문에 Member테이블을 조회해야하는 하는데, 여기서는 프록시가 동작하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ManyToOne에서는 지연로딩이 동작하고, @OneToOne에서만 동작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둘 다 값이 없어서 상대 테이블을 조회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