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MyView.java 내 render 질문입니다.
현재 프로젝트 java SE 1.8 사용중입니다.model.forEach(key, value) -> request.setAttribute(key, value)이 부분에서 앞부분이 변수여야한다면서 에러가 생기는데요,forEach 자동 생성 시에 forEach(action) 으로 자동완성이 되더라구요. 다른 답글에서 영한님이 자바 8 문법 지원을 하게끔 시도해보라고 답변하신 걸 봤는데,어떻게 해야하는지 감이 안잡힙니다. 추가적으로 iterator 구문도 안되어서 일단 while문으로 변경해서 사용중입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JdbcUtils.closeConnection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커넥션 풀 안에 있는 커넥션을 획득해서 사용한 후에, JdbcUtils.closeConnection() 메소드를 실행하면 커넥션이 끊길것 같은데, 끊기면 안되지 않나요? 왜냐하면 커넥션 풀 안에 있는 커넥션들은 계속 DB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서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블로그에 정리해서 올려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덕분에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혹시 강의를 듣고 학습한 것을 블로그에 정리해서 올려도 괜찮을까요?출처 다 남기고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유연한 컨트롤러1 - v5 어댑터 목록조회,핸들러어댑터는 같은 클레스에서 작동하는거죠?
안녕하세요 유연한 컨트롤러1 - v5에 궁금한점이 있어서 글남깁니다. 핸들러 어댑터 목록은 ControllerV3HandlerAdapter 클레스의 supports 함수로 판단하고핸들러 어댑터에서 컨트롤러 호출하는거는 ControllerV3HandlerAdapter 클레스의 handle 함수로 v3에 만든거 사용하고 결과 받아서 다시 프론트로 넘겨주던데 저는 원래 네모 한칸당 한 클레스로 파일 나눠 구별하는 느낌인줄 알았는데 함수로 나눠 같은 클레스에서 작동한거죠?
-
미해결깃헙 블로그(Github blog)로 차별화 된 나만의 홈페이지 만들기!
toc__menu 관련
안녕하세요좋은 강의를 보고 블로그를 만들어서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작성중에 toc가 두번째 메뉴부터는 ul 태그로 들어가지 않고 빠져나와서 아래 사진과 같이 보이게 됩니다.혹시 어느 부분을 수정해야할지 문의드립니다! 제 github은 https://github.com/crackernote 입니다!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템플릿 엔진과 뷰 템플릿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멋진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강의를 듣다보니 용어에 대한 궁금함이 생겨 질문합니다.템플릿 엔진은 HTML 문서에 동적으로 생성하는 JSP나 타임리프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궁금한 점은 뷰 템플릿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템플릿 엔진으로 생성된 결과물을 의미하는 것인지,템플릿 엔진과 동일한 의미인지,템플릿 엔진의 HTML 문서에 동적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것인지명확하게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을 남깁니다 🥲
-
해결됨[개념반] 배워서 바로 쓰는 Pandas
: 의 의미
section1. where 강의자료 문제 16번 풀이에서 첫번째 파라미터에 ':'을 입력해주셨는데 어떤 의미인가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RestaurantCard.fromModel 의 인자
RestaurantCard.fromModel 의 인자로required RestaurantModel model가 할당되어 있는데, RestarauntDetailScreen 위젯에서 RestaurantCard 위젯을 사용할 때, RestaurantDetailModel 을 사용합니다.변수의 type이 달라도 문제가 없는 것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필드 주입은 외부에서 변경이 불가능해 테스트하기 힘들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에 대한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잘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의존성 주입의 여러 방법 중 필드 주입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필드 주입에서 설명해주신 것처럼 생성자를 제거하고 필드 주입을 하니 NPE가 발생하고, 정말 DI 프레임워크가 없다면 테스트하기 힘듦을 느꼈습니다.그런데 앞의 "외부에서 변경이 불가능해" 라는 말은 어떤 의미인가요? OrderServiceImpl의 예시처럼 OrderServiceImpl이 memberRepository와 discountPolicy를 의존하고 있고, 이 코드를 테스트하려면 결국 setter 메서드를 열어줘야 하는데 결국 그러면 다형성을 이용해 변경이 가능한 것 아닌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질문입니다.
package hello.itemservice.web.validation; import hello.itemservice.domain.item.Item; import hello.itemservice.domain.item.ItemRepository; import hello.itemservice.domain.item.SaveCheck; import hello.itemservice.domain.item.UpdateCheck; import java.util.List;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validation.BindingResult; import org.springframework.validation.annotation.Validated;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ModelAttribut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athVariabl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o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support.RedirectAttributes; @Slf4j @Controller @RequestMapping("/validation/v3/items")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ValidationItemControllerV3 { private final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GetMapping("/{itemId}") public String item(@PathVariable long itemId, Model model) { Item item = itemRepository.findById(itemId); model.addAttribute("item", item); return "validation/v3/item"; } @GetMapping("/add") public String addForm(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item", new Item()); return "validation/v3/addForm"; } 클래스단의 리퀘스트 맵 마지막에 / 를 붙이는 것과 안 붙이는 것중 뭐가 정석인가요?클래스단에서@RequestMapping("/validation/v3/items/")이렇게 한다면 메소드에는 전부 /를 빼고 add ,get 만 사용하면 될텐데 뭐가 암묵적인 룰(?) 인 것일까요 ?
-
미해결스파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 Part 1
Spark를 이용하여 binary file -> parquet, csv 변환 가능여부
안녕하세요.mssql에서 벌크 백업한 binary 파일을 spark를 이용하여 parquet, csv 등 파일 변환이 가능한지..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swr이 ssr을 지원하지 않는건가요?
19:20에서 load action이 꼭 ssr이 되어야 하는 거 아니면, swr를 쓰는 걸 추천한다고 하셨는데,이게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어요..ssr은 그냥 getServerSideProps 함수 안에다가, 아무 action 함수를 넣으면 ssr로 data가 불려와 지는 거 아니였나요?그러면 swr 뿐만 아니라 RTK Query나 thunk를 써도 ssr이 안 되는 거는 마찬가지인가요? 갑자기 잘 모르겠네요 ...
-
미해결
강의 기간 만료
인프런 자체에 강의 수료기간이 긴 줄 알고 있었는데,제가 수강한 강의의 기간이 다른 강의보다 짧아서 만료가 되었습니다.혹시 이어서 수강 가능할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urlPatterns 값이 같을 경우에 어떻게 처리가 되나요?
FrontControllerServletV2의 urlPatterns를 FrontControllerServletV1과 같이 /front-controller/v1/* 로 바꾸고, http://localhost:8080에 접속하여 FrontController - v1에 있는 회원가입이나 회원목록을 들어가면 FrontControllerServletV1로 실행이되는데 왜그런지 궁금합니다.간단히 이야기하자면 urlPatterns 값이 같을 경우에 어떻게 처리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주차 개념 #4- 인접행렬 질문
안녕하세요 큰돌님.인접행렬 강의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문제] 정점 20개인 그래프로 인접행렬 표현 시 메모리 최소로 쓸때, 배열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요? 질문1(강의 59초) 배열을 표현할때bool a[10][20]으로 할수도 있다라고 하셨는데, 이 표현이 20개의 노드중 10개의 노드로만 단방향 경로로 그래프를 만든다는 의미일까요? 질문2(강의 1분25초) arr[20][20] 필요한데 이보다 큰값을 부여할수 있다라고 언급하셨는데 a[10000][10000], 노드 20개를 이용해서 a[10000][10000] 배열을 어떻게 만들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프로젝트로 배우는 타입스크립트
요즘 바벨 사용 여부가 궁금합니다.
요즘엔 IE를 안쓰는데 바벨을 써야하는지요?환경 설정할 때 es버전을 어떤 걸 지원해야하는지 잘모르겠는데어떤 기준으로 적용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퀘이사(Quasar) 완벽 마스터: Vue 프론트 웹을 빠르게 만들고 싶다면! (Based Vue3)
quasar scss 파일 추가 @import url(custom.scss) 방식..??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quasar scss 파일 추가하고 스타일 커스터마이징 하고 싶은데quasar.variables.scss에기존방식처럼 app.scss에 @import url(custom.scss) 해서 넣으니...에러가 떠서... 작업이 안되는데 혹시.. 따로 스타일 파일 추가하는 방식이 있을까요?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NotNull과 @NotBlank 사용 차이
@NotBlank는 null + 공백을 허용하지 않고 @NotNull은 null만 허용하지 않으니 빈칸은 입력을 허용인 것이 맞나요? 그렇다면 Integer 타입에는 @NoutNull을 붙이셨는데, 여기에는 어차피 빈칸이 들어가면 안되기 때문에 @NotBlank를 사용 하는게 낫지 않나요?? 어떤 의도로 @NotNull은 사용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예제로 배우는 딥러닝 자연어 처리 입문 NLP with TensorFlow - RNN부터 BERT까지
BERT를 이용한 텍스트 분류에서 다중분류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보여주신 두 개의 예가 모두 이진 분류 문제라서 질문드려 봅니다.AUTOTUNE = tf.data.AUTOTUNE batch_size = 32 class_names = ['neg', 'pos'] # train 데이터셋 준비 df_train_target = df_train.pop('labels') train_dataset = tf.data.Dataset.from_tensor_slices((df_train.values, df_train_target.values)) raw_train_ds = train_dataset.shuffle(len(df_train)).batch(batch_size) train_ds = raw_train_ds.cache().prefetch(buffer_size=AUTOTUNE) # validation 데이터셋 준비 df_valid_target = df_valid.pop('labels') valid_dataset = tf.data.Dataset.from_tensor_slices((df_valid.values, df_valid_target.values)) valid_ds = valid_dataset.shuffle(len(df_valid)).batch(batch_size) valid_ds = valid_ds.cache().prefetch(buffer_size=AUTOTUNE) # test 데이터셋 df_test_target = df_test.pop('labels') test_dataset = tf.data.Dataset.from_tensor_slices((df_test.values, df_test_target.values)) test_ds = test_dataset.shuffle(len(df_test)).batch(batch_size) test_ds = test_ds.cache().prefetch(buffer_size=AUTOTUNE)여기서 class_names를 class수 에 맞게 변경하고 net = tf.keras.layers.Dense(1, activation=None, name='classifier')(net)Fine Tuning시 Dense Layer를 class수에 맞게 변경 하고...< 여기서 activation은 이진 분류 문제임에도 sigmoid가 아니라 None인데, 그럴경우 linear로 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다중분류 문제 분류를 할 때도 None으로 설정하면 될까요? > def print_my_examples(inputs, results): result_for_printing = \ [f'input: {inputs[i]:<30} : score: {results[i][0]:.6f}' for i in range(len(inputs))] print(*result_for_printing, sep='\n') print() examples = [ 'this is such an amazing movie!', # this is the same sentence tried earlier 'The movie was great!', 'The movie was meh.', 'The movie was okish.', 'The movie was terrible...' ] reloaded_results = tf.sigmoid(reloaded_model(tf.constant(examples))) original_results = tf.sigmoid(classifier_model(tf.constant(examples))) print('Results from the saved model:') print_my_examples(examples, reloaded_results) print('Results from the model in memory:') print_my_examples(examples, original_results)마지막으로 다중분류를 할 때,reloaded_results = tf.sigmoid(reloaded_model(tf.constant(examples))) original_results = tf.sigmoid(classifier_model(tf.constant(examples)))여기서 tf.softmax로 바꿔주면 되나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Gorouter 사용에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강의는 잘보고있습니다.Gorouter에 대해 다시 정리하는 도중 하나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드립니다.이론에서 사용하셨던 프로젝트 기준으로만약 이런식으로context.go('/one'); Home -> one로 이동한다고 가정했을때 Home에 print buildOne에 print build를 해두면 flutter: One Screen buildflutter: HomeScreen didChangeDependenciesflutter: HomeScreen build이렇게 찍히더라구요 (Home은 ful위젯으로 바꿔서 찍어봤습니다) 제가 의문인건 Home -> One 이동하는건데왜 Home이 다시 빌드가 되며, 이는 메모리 낭비라고 생각하는데다른 대안이나 원래 구조상 이렇게 짜여져있는건가요? 기존방식이었던Navigator.of(context).push( MaterialPageRoute(builder: (_) => OneScreen()) );이런식으로 이동을 한다면 기존스택은 남아 제가 원하는 대로 flutter: One Screen build만 찍히는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