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순서가 이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1. EntityTransaction.commit 하면 flush() 가 먼저 일어난다. 2.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는 변경 내용을 DB에 동기화한다. (쓰기지연SQL에 있는 SQL을 전송한다. , 저장은 안됌!) 3. 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의 Commit을 하여 저장이된다. 이렇게 이해했는데 맞을까요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ibernate.jdbc.batch_size 질문있습니다.
JPA가 쓰기지연으로 인해 한 트랜잭션 안에서 엔티티를 몇개를 persist 하던간에 commit을 만나기 전까지는 1차캐시 저장소와 쓰기지연 sql 저장소에 각각 보관해두다가 commit을 만나면 DB에 insert 쿼리를 날리는거 맞나요 ?? 그렇다면 batch_size 옵션이 전 무의미하다고 느껴져서요 !! 어차피 이 옵션이 있던지 없던지 한번에 쿼리는 날리는데 어떤의미가 있는지 잘 와닿지가 않습니다.
-
미해결운영체제 공룡책 강의
1강 개발환경 구축을 c 대신 java로 할 수 있을까요?
C언어를 안쓰고 자바로 개발 공부하고 있는 학생인데, 운영체제에 대해 공부하고자 강의를 수강 중입니다. 1강을 따라 설치를 하고 있는데요, gcc는 C언어를 컴파일해주는 gnu인 것 같은데(아니라면 정정해주세요) 검색해보니 자바로 실습하기 위해선 gcj를 설치해야 하는 듯 하여 sudo apt-get install gcj 명령어를 실행했는데 설치가 되지 않네요. 어떻게 하면 될까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제네릭
HashMap<Character, Integer> a = new HashMap<Character, Integer>(); 이랑 HashMap<Character, Integer> a = new HashMap<>(); 는 무슨 차이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회원가입 테스트 오류
안녕하세요 강사님 항상 좋은 강의와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강의 중 '회원가입' 테스트를 그대로 따라 코딩하였으나 실행에 오류가 뜹니다. 관련하여 사진과 오류글을 그대로 올려보니 한 번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3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DefaultTestContext.getApplicationContext(DefaultTestContext.java:124)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ServletTestExecutionListener.setUpRequestContextIfNecessary(ServletTestExecutionListener.java:19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ServletTestExecutionListener.prepareTestInstance(ServletTestExecutionListener.java:13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TestContextManager.prepareTestInstance(TestContextManager.java:244)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createTest(SpringJUnit4ClassRunner.java:227)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1.runReflectiveCall(SpringJUnit4ClassRunner.java:289) at org.junit.internal.runners.model.ReflectiveCallable.run(ReflectiveCallable.java:1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methodBlock(SpringJUnit4ClassRunner.java:29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Child(SpringJUnit4ClassRunner.java:246)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Child(SpringJUnit4ClassRunner.java:97)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4.run(ParentRunner.java:331)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1.schedule(ParentRunner.java:79)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runChildren(ParentRunner.java:329)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access$100(ParentRunner.java:66)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2.evaluate(ParentRunner.java:293)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BeforeTestClassCallbacks.evaluate(RunBeforeTestClassCallbacks.java:6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AfterTestClassCallbacks.evaluate(RunAfterTestClassCallbacks.java:70)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3.evaluate(ParentRunner.java:306)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run(ParentRunner.java:413)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SpringJUnit4ClassRunner.java:190) at org.junit.runner.JUnitCore.run(JUnitCore.java:137) at com.intellij.junit4.JUnit4IdeaTestRunner.startRunnerWithArgs(JUnit4IdeaTestRunner.java:69) 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startRunnerWithArgs(IdeaTestRunner.java:33)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prepareStreamsAndStart(JUnitStarter.java:221)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JUnitStarter.java:54)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DefinitionStoreException: Failed to parse configuration class [jpabook.jpashop.JpashopApplication];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lictingBeanDefinitionException: Annotation-specified bean name 'memberRepository' for bean class [jpabook.jpashop.repository.MemberRepository] conflicts with existing, non-compatible bean definition of same name and class [jpabook.jpashop.domain.MemberRepository]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ClassParser.parse(ConfigurationClassParser.java:189)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ClassPostProcessor.processConfigBeanDefinitions(ConfigurationClassPostProcessor.java:331)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ClassPostProcessor.postProcessBeanDefinitionRegistry(ConfigurationClassPostProcessor.java:247)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PostProcessorRegistrationDelegate.invokeBeanDefinitionRegistryPostProcessors(PostProcessorRegistrationDelegate.java:311)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PostProcessorRegistrationDelegate.invokeBeanFactoryPostProcessors(PostProcessorRegistrationDelegate.java:112)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invokeBeanFactoryPostProcessors(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74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564)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71)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63)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38)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39) 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load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java:123)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Internal(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99)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24) ... 25 more Caused by: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lictingBeanDefinitionException: Annotation-specified bean name 'memberRepository' for bean class [jpabook.jpashop.repository.MemberRepository] conflicts with existing, non-compatible bean definition of same name and class [jpabook.jpashop.domain.MemberRepository]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lassPathBeanDefinitionScanner.checkCandidate(ClassPathBeanDefinitionScanner.java:349)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lassPathBeanDefinitionScanner.doScan(ClassPathBeanDefinitionScanner.java:287)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mponentScanAnnotationParser.parse(ComponentScanAnnotationParser.java:132)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ClassParser.doProcessConfigurationClass(ConfigurationClassParser.java:29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ClassParser.processConfigurationClass(ConfigurationClassParser.java:250)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ClassParser.parse(ConfigurationClassParser.java:207)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ClassParser.parse(ConfigurationClassParser.java:175) ... 38 more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UrlResourcesMapFactoryBean을 FactoryBean인터페이스를 상속해서 만드신 이유가 있나요?
저는 FactoryBean인터페이스를 상속하지 않고 @Component로 등록해서, 내부에 resourceMap을 반환하는 메소드를 하나 만들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FactoryBean을 상속받으면 어떠한 장점이 있어서 구현하신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o(n2) 인 이유가 이해가 안가요!
3-4연속부분수열에서 i가 증가할 수록 j루프에서 반복 횟수가 줄어드는 경우에도 o(n2)이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sum==m 인경우에는 sum-=arr[lt]를 하면 당연히 sum보다 작아지니까 sum+=arr[rt]-arr[lt]를 바로 해주면 한단계가 줄어들지 않나요! sum이 m보다 같을때도 클때랑 마찬가지로 sum-=a[lt]를 해준뒤 다시 sum<m 에 걸려서 sum+=arr[rt]를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코드를 간단하게 해주야해서 그런건가요! 그리고 원소에 m보다 큰 수가 포함되어있는 경우 lt를 증가시키다보면 lt보다 rt가 커지지 않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로직 배치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강의를 보며 MyBatis로 개발된 프로젝트에 JPA를 적용해보고 있는데요. change 라는 메소드를 도메인객체에 작성하신 부분에 질문이 있습니다. 기존 프로젝트에서는 update 나 휴면계정처리 같은 메소드를 모두 dao에 배치했었는데 JPA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update, 휴면계정처리 또는 로그인 상태 확인 과 같은 메소드는 어디에 배치하는 것이 좋을지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질문이 미시적인데요. 결과적으로 domain, repository, service, controller 에 배치되는 로직의 기준에 대해 팁을 알고 싶습니다. 맞는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예시를 들자면 아래와 같이요. ex) repository에는 DB에 접속이 꼭 필요한 메소드만 작성한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부트스트랩 적용 후 회색영역이 안 뜰 때 해결방법
그 회색 창 html을 보시면 class="jumbotron"으로 되어 있을텐데 부트스트랩4까지 지원해주던 클래스입니다. 부트스트랩5로 올라가면서 빠졌다고 합니다. 현재 부트스트랩 가장 최신 버전이 5.0.1이기 때문에 저처럼 최신 버전 받았다가 엥 왜 얘만 안되지 하시는 분이 있으실까봐 관련 정보를 남깁니다. 부트스트랩 4를 이용하시면 문제 없고 어차피 디자인적인 요소라 크게 신경 안쓰고 넘어가셔도 될 것 같습니다. - 부트스트랩5 점보트론 변경 정보 https://getbootstrap.com/docs/5.0/migration/#jumbotron - 부트스트랩4 다운로드 링크 https://getbootstrap.com/docs/4.6/getting-started/download/ - 다운로드 없이 cdn으로 적용하기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51764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orderItem LAZY 로딩 질문
안녕하세요. orderItems.stream().forEach(o -> o.getItem().getName()); orderItem 반복문 돌 때 getName을 하거나 getprice, getstockQuantity를 넣어도 모든 필드가 로딩이 되는데 왜 그런건지 이해가 잘 안가는데 간단한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에러가 나는데 .. 확인 부탁드립니다
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setUsername("kim");em.persist(member);List<Member> resultList = em.createNativeQuery( "select MEMBER_ID, city, street, zipcode, USERNAME from MEMBER") .getResultList();for (Member member1 : resultList) { System.out.println("member1.getUsername() = " + member1.getUsername());} java.lang.ClassCastException: class [Ljava.lang.Object; cannot be cast to class jpabook.jpashop2.domain.Member ([Ljava.lang.Object; is in module java.base of loader 'bootstrap'; jpabook.jpashop2.domain.Member is in unnamed module of loader 'app') at jpabook.jpashop2.JpaMain.main(JpaMain.java:66) 6월 21, 2021 5:34:08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PoolState stop INFO: HHH10001008: Cleaning up connection pool [jdbc:h2:tcp://localhost/~/jpashop2] 6월 21, 2021 5:34:08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PooledConnections close ERROR: Connection leak detected: there are 1 unclosed connections upon shutting down pool jdbc:h2:tcp://localhost/~/jpashop2 형변환 할수 없다고 하는 에러가 나는데요.. List<Member> resultList = em.createNativeQuery( "select MEMBER_ID, city, street, zipcode, USERNAME from MEMBER", Member.class) .getResultList(); 이렇게 고치면 ERROR: Column "INSERT_MEMBER" not found [42122-200] javax.persistence.PersistenceException: org.hibernate.exception.SQLGrammarException: could not execute query at org.hibernate.internal.ExceptionConverterImpl.convert(ExceptionConverterImpl.java:154) at org.hibernate.query.internal.AbstractProducedQuery.list(AbstractProducedQuery.java:1613) at org.hibernate.query.Query.getResultList(Query.java:165) at jpabook.jpashop2.JpaMain.main(JpaMain.java:63) 이런 에러가 나오고요... 그래서 Member 에서 BaseEntity를 extends 를 않하면 잘 돌아갑니다... 이유가 뭘까요?? BaseEntiy도 첨부하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뻥튀기가 된다는 말이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 페치 조인 강의를 들으며, 일대다 에서 데이터가 뻥튀기 된다는 말이 1. 다대일의 관계의 경우 - 예를들어, Member - Team이 다대일 관계인 경우, "Member입장에서" 데이터가 뻥튀기 되지 않는다. 2. 일대다의 관계 경우 - 예를들어, Team - Member가 일대다 관계인 경우, "Team입장에서" 데이터가 뻥튀기 된다. 이런 의미인가요? 사실 각 Member, Team 테이블에 데이터가 동일한 조건 하에서, Team inner join Member나 Member inner join Team는 결과가 같다고 생각했기에, 입장에 따라 뻥튀기냐 아니냐로 갈리나도 이해했는데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RememberMe 설정 시 문제가 발생합니다...
제가 RememberMe 설정 중 문제가 발생하여 해당 부분이 잘 안풀려 강사님께 질문 드립니다. 로그인 한 사용자 정보가 필요하여 AuthenticationProvider 에서 하단 캡쳐화면 처럼 설정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RememberMe 기능을 하단 캡쳐 화면 처럼 설정 하였습니다. 설정 후 rememberMe 기능 사용 시 로그인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디버깅 하여 확인 시 하단 캡쳐 화면과 같이 해당 부분에서 (TokenBasedRememberMeService에서 UserDetails user = getUserDetailsService().loadUserByUsername(username);) 다시 사용자를 다시 조회를 하여, email 파라미터의 값이 객체가 들어와서 로그인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 합니다. 제가 RememberMe 기능 과 @AuthenticationPrincipal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Dto의 사용자 정보를 둘 다 사용을 하고 싶은데 이 경우 어떻게 해야하는지 구글링을 봐도 안나와서 강사님께 여쭤봅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group by 결과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재밌게 잘 듣고 있습니다. 간단한 질문이 있습니다~! group by를 한 다음에 Tuple teamA = result.get(0); 으로 알려주셨는데 0번 index로 가져온 결과값이 Team B가 아니라 Team A에 관한 집계 결과를 보장하는지 궁금합니다. (내부적으로 정렬 같은 방식이 일어나는건가요..??ㅎㅎ)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Conroller에서 생성자를 통한 의존성 주입시 멤버 변수에 final 키워드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한 팀장님.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강의 02:35 쯤 'MemberConroller' 클래스의 멤버변수로 'MemberService' 타입의 멤버변수를 선언할 때 final 키워드를 설정한 이유에 대한 질문입니다. Java에서 final 키워드가 붙은 멤버변수는 쉽게 말해 '변할 수 없다.' 라는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저는 스프링에서 다루는 Bean은 '특별한 설정 설정(Scope)'이 없는 경우 싱글톤 형태로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어 상황에 따라 다른 클래스의 의존 주입 객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MemberController에서는 Setter 메소드도 선언되지 않았으니 생성자를 통한 의존 주입 이후에는 MemberService 타입의 멤버변수가 변경될 가능성이 없다고 보아 final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inal 키워드를 사용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Do it!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with 은종쌤
클래스와 객체1(4) 에서 생성자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중 14:14 에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제가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 중 첫번째랑 두번째를 왜 따로 써줘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첫번째는 매개변수가 없는 생성자이고 두번째는 생성자 오버로딩으로 이해했는데 그러면 그냥 두번째 생성자만 남기고 첫번째는 지워도 되지 않을까요?(어차피 new 키워드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해줬고, 첫번째 부분 없애도 컴파일은 제대로 되더라구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Entity 사용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먼저 항상 좋은 강의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실무에서는 Mybatis만 사용하다, 강사님 강의를 통해서 처음 JPA를 접하고, 개인 프로젝트에서 처음 JPA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강의에서 Entity를 직접 반환을 하면 안된다고 하신걸로 기억을 하는데, API 개발 시 리턴을 할 때만 직접 Entity로만 반환을 하면 안되지는 일반 MVC 형태의 개발을 할 때는 직접 Entity를 반환하는 방식을 실무에서 사용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평소 Controller에서 파라미터를 받을 때 @ModelAttribute를 이용해 DTO를 통해 파라미터를 받는 방식을 주로 이용하는데, JPA 사용 시 @ModelAttribute를 이용하여 직접 Entity를 받는 방식은 좋은 방식인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DDD 애그리거트 에서 JPA 지연로딩 전략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영한 선생님 스프링 클라우드와 JPA를 사용하여 간단한 마이크로서비스 구축을 하는 연습을 하는 도중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대출 (Rental)이라는 애그리거트는 반납도서와 대출도서라는 엔티티를 연관관계로 맺고 있습니다. 대출 (1) ---- (N) 반납 도서 대출 (1) ---- (N) 대출 도서 영속성 전이(cascade) + 고아 객체(orphanRemoval)를 통해서 대출 애그리거트 를 통해서 반납 도서와 대출 도서를 생명주기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지연로딩 전략을 사용해서 컬렉션 패치 조인을 사용할 때 너비로든 깊이로든 2개 이상의 컬렉션 페치조인을 사용하면 안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럼 지연로딩 전략을 통해서 대출과 반납도서 대출도서를 조회해오는 방법은 어떻게 하면 좋을지 고민입니다. 대출과 반납도서를 먼저 페치조인으로 조회해오고 다음 대출에 속한 대출 도서를 조회해오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대출에 속한 대출 도서를 조회할 때는 리포지토리를 통해 조회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대출 애그리거트에서 대출 도서를 사용하는 시점에 초기화해서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또 궁금한 점이 애그리거트 루트 패턴을 사용할 때는 애그리거트에 대한 리포지토리만 생성하고 하위 엔티티에 대한 리포지토리를 생성할 필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을 두서 없이 작성한 거 같아서 정리하자면 1. 애그리거트 루트 패턴을 사용할 때 애그리거트에서 2개의 컬렉션 (지연 로딩) 조회 전략 2. 애그리거트 루트 패턴을 사용할 때의 리포지토리 생성전략 3. 영속성 전이와 고아 객체를 통해 자식의 생명주기를 관리하고 있는데 자식리포지토리를 조회용으로 생성해도 되는지?? 입니다.! ---------- 추가 상품 서비스와 주문 서비스에서 주문 가능한 상품이 여러개라고 할 때 주문 (1) - 주문_상품 (N) ||(서비스 분리) 상품 으로 만들어지고 주문_상품이라는 엔티티에서 상품의 ID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어떠한 주문의 주문 상품목록을 조회한다고하면 주문 서비스에서 주문_상품의 ID 리스트를 Feign-Client 같은 동기 API 호출을 통해서 상품 서비스에서 IN 쿼리로 상품들의 정보를 조회한 뒤에 응답을 받고 응답 받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주는 방법이 맞는지 궁굼합니다. 정리하자면 주문서비스에서 주문한 상품의 목록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줄 때 상품 서비스에서 상품 Id List를 IN쿼리로 조회를 해서 응답하는 것이 맞는지 입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v2 api의 delivery 쿼리 조회문
안녕하세요 영한님! 간단한 주문 조회v2 질문이 있습니다. @GetMapping("/api/v2/simple-orders")public Result ordersV2() { List<Order> orders = orderService.findAll(new OrderSearch());//프록시가 들어있는 orde 객체 List<SimpleOrderDto> collect = orders.stream().map(o -> new SimpleOrderDto(o.getId(), o.getMember().getName(), o.getOrderDate(), o.getStatus(), o.getDelivery().getAddress())).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new Result(collect);} 위의 v2 api를 실행하면 문제없이 5개의 쿼리문이 나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name을 조회하는 쿼리는 예상했던데로 단순 조회 쿼리인 select member0_.member_id as member_i1_5_0_, member0_.city as city2_5_0_, member0_.street as street3_5_0_, member0_.zipcode as zipcode4_5_0_, member0_.name as name5_5_0_ from member member0_ where member0_.member_id=? 와 같이 나가지만. delivery 엔티티에 접근할때 select delivery0_.delivery_id as delivery1_2_0_, delivery0_.city as city2_2_0_, delivery0_.street as street3_2_0_, delivery0_.zipcode as zipcode4_2_0_, delivery0_.status as status5_2_0_, order1_.orders_id as orders_i1_6_1_, order1_.delivery_id as delivery4_6_1_, order1_.member_id as member_i5_6_1_, order1_.order_date as order_da2_6_1_, order1_.status as status3_6_1_ from delivery delivery0_ left outer join orders order1_ on delivery0_.delivery_id=order1_.delivery_id where delivery0_.delivery_id=? 위와 같이 외부 조인문이 나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마치 패치조인을 한거 같은 전혀 예상치 못한 쿼리문이여서 질문을 드립니다. 또한 모두 lazy로 설정을 했습니다. 혹시 데이터베이스의 방언차이 때문일까요? mysql 사용중입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ntityManager 는 왜 AutoCloseable 을 지원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문득 궁금한점이 생겨서 질문해봅니다. 항상 사용하고 버려야 한다면 AutoCloseable 지원하여 try-with-resource 문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지만 시용해볼려고 하니 지원하지 않고있습니다. 이에 따른 이유가 혹시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해봅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