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charAt 을 사용하지 않고 배열로 바꿔 사용한점 빼고는 거의 동일한 코드같은데 실패합니다 ㅠㅠ
한참동안 코드를 살펴봐도 어디가 잘못된 건지 모르겠네요 ㅜㅜ 테스트케이스에 올라온건 통과하는데 fail 이라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ㅠㅠ 확인 한번 부탁드립니다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ource = sc.nextLine(); String target = sc.nextLine(); System.out.println(solution(source, target)); } private static int solution(String source, String target) { int answer = 0; HashMap<Character, Integer> t = new HashMap<>(); for(char c : target.toCharArray()){ t.put(c, t.getOrDefault(c, 0)+1); } HashMap<Character, Integer> s = new HashMap<>(); char[] sArr = source.toCharArray(); for(int i = 0; i < t.size()-1; i++){ s.put(sArr[i], s.getOrDefault(sArr[i], 0) +1); } int lt = 0; for(int rt = t.size()-1; rt < sArr.length; rt++){ s.put(sArr[rt], s.getOrDefault(sArr[rt], 0) +1); if(t.equals(s)) answer++; s.put(sArr[lt], s.get(sArr[lt])-1); if(s.get(sArr[lt]) == 0) s.remove(sArr[lt]); lt++; } return answer; }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변경된 테스트에서 MemberRepository를 주입받는 코드의 용도
안녕하세요! 강의에서 기존 테스트를 통합 테스트로 변경하면서 생성자 주입 코드가 필드 주입 코드로 변경되었는데요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필드 주입으로 변경한 후 MemberRepository를 Autowired 받는 부분은 주석 처리를 해도 테스트 코드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더라고요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생각을 해보니 MemberService를 Autowired할 수 있다는 건 MemberService 빈이 이미 생성되어 있다는 거고 MemberService 빈이 생성되려면 MemberService 생성자의 매개변수로 받을 MemberRepository가 필요하기 때문에 MemberRepository 빈도 이미 생성되어 있다는 거고 결국 MemberRepository 빈을 전달하면서 MemberService 빈을 생성했기 때문에 이후부터는 필드 주입이든 생성자 주입이든 MemberService를 Autowired하기 위해 MemberRepository가 함께 쓰이지 않아도 될 것 같더라고요 혹시 아니라면 MemberRepository를 주입받는 코드의 용도가 따로 있는 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강사님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에 내부에 set과 add , get이 각각 들어갈때가 다르길때 혹시 어떤 경우일때 set이고 get인지 알고 싶습니다. 제가 생각했을때는 1) member엔티티와 order 엔티티 간 setMember메소드에서 member는 다대일 중 '다'이므로 setMember 메서드를 만들어야 했던건가요? 2) 마찬가지로 그렇다면 order와 orderItem 사이에서 orderItem은 일대다 의 '일' 이므로 addOrderItem()메서드가 생성되었다 생각을 했는데 그렇게 따지니 setDelivery() 메서드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일대일의 관계로 '일'에 위치해 addDelivery()인가 싶기도 하였으나 그렇지 않더라고요 ㅠㅠ 3) setDelivery()메서드는 set으로 시작하는 setMember() 메서드와 같은 방식으로 작성하는 것인가 했는데 메서드 내부에서는 this.delivery = delivery; //배송지 설정delivery.setOrder(this); 이렇게 set메서드와 add메서드가 섞여있는 것 같은데 이해가 많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혹시 이에 관해서 답변해주실 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postgres 관련 공간 쿼리 가능 여부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주로 postgresql 을 사용하는데 공간 데이터 관련 postgis 공간 함수나 postgres의 with recursive 같은 구문을 사용해야 할 일들이 있는데 이런것들도 querydsl 을 사용하면 쓸 수 있을까요? 아니면 이런 것들은 네이티브 쿼리나 jdbc 템플릿, 마이바티스 등등.. 어떤걸 사용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localhost 오류
안녕하세요 선생님 지금까지 실행은 잘 되다가 크롬에서 http://localhost:8080 이 안되서 어제 application.properties 에 server.port=8082 로 변경하여 잘나왔었는데 또 무언가를 잘 못건드렸는지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localhost에서 연결을 거부했습니다. 다음 방법을 시도해 보세요. 연결 확인 프록시 및 방화벽 확인 ERR_CONNECTION_REFUSED 이렇게 나옵니다. 포트 번호를 다른것으로 바꿔도 위와 같이 나오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select 조회 성능 관련 질문
1. 일반 db에서 select * from 보다 select 칼럼명 from 보통 후자의 방법으로 원하는 칼럼들만 부르는 게 성능 면에서 더 뛰어난 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2. 복잡한 테이블에서 전체 칼럼의 갯수가 20~30개가 넘어가면 fetch join 방식보다 DTO로 직접 조회하시는 방법을 쓰시는지 궁금합니다. (fetch join으로 해도 성능이 원하는 만큼 안 나올때 DTO로 직접 조회 하시는건가요?) 3. JPA 관점에서 복잡한 테이블이나, 컬렉션 조회는 강좌에서처럼 최적화를 할 수 있지만. 일반 테이블 jpa에서는 보통 전체 엔티티를 불러올 수 밖에 없던데 1)전체 엔티티를 조회했을 때와 2)원하는 칼럼들만 조회했을 때의 성능차이가 미비한지 궁금합니다. 4. spring data jpa에서 Projections로 원하는 칼럼만 조회할 수 있던데 실무에서는 엔티티가 한 개이면서도 단순할 때 성능을 위해 많이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아무리 해도 연결이 안되네요ㅠㅠ
Database "C:/Users/NOTE/test" not found, either pre-create it or allow remote database creation (not recommended in secure environments) [90149-200] 90149/90149 윈도우 쓰고 있습니다. 비슷한 문제 있으신 분들이 올려준 질문 글이랑 답변도 보고 따라해보는데 계속 이 오류가 떠서 연결이 안됩니다.. 이거 때문에 진도를 못나가고 있네요.. 어떻게 해야할까요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잘 와닿지가 않습니다ㅠㅠ
결국에는 Team엔티티의 Members 컬렉션을 수정했는데 쿼리는 Member에 관한 쿼리가 나가서 헷갈리기 때문에 연관관계를 정확하게 잡고 주인 쪽에서만 등록 및 수정이 가능하게 해주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질문입니다.
어떤 엔티티 클래스에 작성해야하나요? Order에 ManyToOne으로 묶여있는 member OneToMany로 묶여있는 OrderItems 둘다 작성이 돼 있어서 어떤 규칙으로 어떤 엔티티 클래스에 작성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 편의메서드 .
안녕하세요 JPA 활용 1편을보고 넘어왔습니다.. 1)질문 그렇나 현재 아직 이해못한점이 연관관계 편의메서드를 사용하면 어느면서에서 이점이 발생하는지 잘모르겠습니다.. 양방향관계시 연관관계메서드 에서 public void setTeam(Team team){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team.getMembers().add(this); 이부분이 team 엔티티에서도 Member의 값을 가질수있도록 하는것으로 보여집니다만 team.getMembers().add(this); 이부분이없어도 Team team = em.find(Team.class, teamA.getId()); System.out.println("연관관계"+team.getMembers()); team.getMembers() 를해도 값이 잘 보여집니다.. 어느면에서 편의가 발생하는지 감이잘 안잡힙니다 ㅠ.. 2)질문 일대 다 관계에서 페치조인 쿼리로 페이징을하면 데이터 뻥튀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직접 확인을해보고있는데욥 Team teamA = new Team(); teamA.setName("팀A"); em.persist(teamA);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Username("회원1"); member1.setAge(10); member1.setTeam(teamA); em.persist(member1); Member member7 = new Member(); member7.setUsername("회원7"); member7.setAge(10); member7.setTeam(teamA); em.persist(member7); String query = "select t from Team t join fetch t.members"; List<Team> result = em.createQuery(query,Team.class) .setFirstResult(0) .setMaxResults(1) .getResultList(); for (Team team : result) { System.out.println("팀이름 = " + team.getName()); for (Member member : team.getMembers()){ System.out.println("------------> member = " + member); } } 결과 딱이렇게 나왔는데 이것이 뻥튀기가 된결과인가요? 어느부분에서 위험한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제생각으로는 0번인덱스 페이지에 팀의값 1개가 잘 출력됫다고 생각되거든요 아니라면 팀에 맴버의 값을 1개만 출력해야하는데 두개가 출력이되어서 문제인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xception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매번 강의를 보고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다른분들의 질문을 보고 저도 모르는걸 새로 배워가고있는데요 질문글 중 ====================================== 실무에서 보면 throw new xxxxException을 했을 경우 이를 호출하는 메서드에 뻘겋게 throw하거나 try catch하라고해서 똑같이 throw해주거나 했던거같은데... MemberService는 왜 이런게 없을까요? ============================== 라는 내용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구글링으로 checked와 unchecked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만 checked는트랜잭션에서 롤백이 안되고 unchecked는 롤백이 된다고 하는걸 알았습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강의 18:17에 validateDuplicateMember 매소드 내에서 if(!findMember.isEmpty() 일 경우 uncheck 예외를 던지게 됩니다. 같은 Unchecked인 IndexOutOfBoundException의 경우 배열의 크기를 잘못 접근하면 try catch로 묶지 않았을 경우 프로그램이 종료가 되더라구요, 하지만 RunTimeException을 상속받는 IllegalStateException은 따로 try catch문으로 잡아주지 않아도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고 예외가 발생하면 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라는 로그를 볼 수있습니다. 스프링 내부 어디선가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을 받아주는것인가요? 받는다면 어디서 받아주는 것인가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Form? Dto?
강의에서 구현한 MemberForm이 Dto와 같은 개념인가요? MemberForm을 사용하신 이유에 대해 설명하신것을 들어보면 Dto와 같은 것 같은데 만약 같은것이면 왜 Dto라 명명하지 않으신건지, 혹은 Dto와 다른 개념이면 어떤 점이 다른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거리를 0
안녕하세요 선생님. 거리를 1000으로 두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거리 값을 1000으로 두어도 타겟 문자를 만나면 0으로 초기화 되는데 왜 0이 아닌 큰 값으로 설정을 하신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어쩐 이유에선지 8080포트가 사용중이라 실행이 안됩니다..ㅠ
계속 8080포트가 사용중이라 에러 메시지가 떠서 따로 cmd에서 포트 번호 확인해봤는데 8080포트는 나오지도 않습니다... 왜 이러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선생님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제가 강의를 보고 공부하던도중 8:14분에 있는 정규식과 닉네임의 제출양식이 같아야하는부분에서 must match~라고 빨간 오류를 내주는 부분에서 저는 가입하기 버튼을 눌렀을때 오류를 내지않고 그냥 인덱스 페이지(/)로 그냥 정상적으로 보내버려서 오늘 하루동안 이 오류를 계속 잡고 있다가 디버깅, 코드 비교 5번, 인텔리제이 재설치 pom.xml 파일 똑같이 맞추기 별 방법을 해봐도 안됬는데 선생님께서 제공해주신 완성된 소스코드의 첫 커밋으로 체크아웃하여 스프링 버전을 선생님의 스프링 버전인 2.2.4에서 제가 강의를 들으며 직접 코드를 따라치던 스프링의 버전인 2.5.2로 변경을 하고나니 선생님꺼의 완성코드 프젝에서도 저런 must match오류 구문이 안나타나고 그냥 인덱스페이지로 이동을 시키는 현상이 똑같이 나타났습니다. 제가 이 현상을 보고 오류의 원인이 스프링 버전차이라고 확신을 하게되었는데요 제 인텔리버전은 21.2EAP버전입니다 근데 스프링 프젝을 처음만들때 2.2.4버전으로 만드는 탭이 아예없어서 앞으로 스프링 프젝을 2.5이상 버전으로 해야할거같은데 이런 버전차이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을 어떻게 해결할수 있을까요? 그리고 @Pattern 어노테이션 뿐만아니라 @Length어노테이션에도 min = 3, max = 5를 주고 5개를 훨씬넘게 입력을 했는데도 오류를 잡아주지않았습니다. P.S 제가 직접 보고 따라쳤던 타이핑버전의 소스코드를 그대로 선생님꺼 완성된프젝에 옮겨서 실행했는데 정상작동이 됬습니다. 이 말은 제가 타이핑친 소스코드에 정말 문제가 없다는 거여서 제가 버전차이의 문제라고 확신을 하게되었습니다. 아 그리고 EAP버전이여서도 아닌게 제가 재설치를 하기전까지는 EAP버전이 아니였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메소드와 setter
엔티티에서 Setter 를 사용하지 않아야 변경점을 줄일 수 있어 유지보수 할 때 유리하다고 하셔서 최대한 사용을 자제하려고 하는데요, 연관관계 메소드를 만들 때, setter 를 사용해서 만드셨는데 없이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Order - Delivery 연관관계 메소드 public void setDelivery(Delivery delivery){ this.delivery = delivery; delivery.setOrder(this); // Delivery 의 setter 사용 }
-
미해결자바 스프링 프레임워크(renew ver.) - 신입 프로그래머를 위한 강좌
14강 STS3 설치시 마켓플레이스에서 찾을 수 없을 때 해결방법
2021-06-26 기준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강의와 같이 마켓플레이스에서 STS를 검색하면 STS4만 나오고 STS3는 나오지 않습니다.STS3가 중단되었기 때문입니다.이경우 다음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먼저 https://spring.io/tools 로 접속한뒤 "Spring Tool Suite 3 wiki" 링크를 찾아 접속합니다. 2. https://github.com/spring-projects/toolsuite-distribution/wiki/Spring-Tool-Suite-3 로 들어가면 STS3 버전별로 설치할 수 있는 링크가 있습니다. 이중 각 버전별로 하단 부분에 "p2 repositories" 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3. 본인의 이클립스 버전에 맞는 링크를 복사한뒤 이클립스에 들어가 Help탭 > Install New Software... 를 클릭한뒤 링크를 붙여넣습니다. 4. 모든 항목을 체크한뒤 설치를 진행합니다. 4-1) 만약 "version 1.8.0_291 of the jvm is not suitable for this product. version 11 or greater is required" 와 같은 오류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것은 자바 버전이 맞지 않아 생기는 문제입니다. 저는 자바8버전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기 설치된 자바8, 이클립스를 모두 지운뒤 자바11, 새 이클립스로 재설치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혹시 에러가 발생한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출처 : https://velog.io/@silverbi99/Spring-스프링-프레임워크-STS3-설치-및-환경설정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main에서는 for n+1로 배열을 할당하는데
왜 solution에서 for문은 n까지 돌리나여?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1.Exception 관련, 2. Item에 정의한 메서드
1.MemberService에 이 메서드도 Exception에 두어도 될까요?validateDuplicateMember2.Item에 정의한 재고수량/제거 메서드를 Member와 같이 ItemService를 만들어 여기에 둔다면 조금 어색한 느낌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GET에서 던져준 new Form과 POST에서 제출된 Form간의 연관관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훌륭한 강의.. 완강하고 공부하던중 문득 의문이 들었습니다. GET에서 던져준 Form과 POST의 Form은 같은 객체일까? 하고 보니 다른 주소값의 객체이더라구요. 혼자 고민을 조금 해보았습니다. 생각해보니 POST에서 넘어온 것은 JSON형태의 데이터를 객체화?? 시켰을 뿐인 것일테니 당연한 결과 이겠더라구요.. 이어서 궁금한것은 GET에서의 Form의 역할 입니다. 그저 어떤 필드가 정의되어 있는지 알려줄 뿐인걸까요?? 그 대상은 타임리프인?? 그렇다면 BookForm.class 나 다른 방법을 통해 알려 줄 수 있을텐데 이런 방법을 택한 이유가 뭘까요?? 메모리 낭비와 코드의 간결함(가독성과 개연성 있는 문맥)을 저울질 했을 때 후자가 훨씬 가치 있는 거라서 그런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