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to 사용시기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항상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 질문이 두가지 있습니다. 첫째, "어느 레이어에서 DTO로 반환하는가?" 입니다. 현재 강의에서는 controller 에서 repository 를 바로 di 해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서비스 레이어가 존재하지않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만약 서비스레이어가 존재한다면, 지금 컨트롤러에서 작업되고있는 dto 변환 로직이 서비스에 들어가는것인가요. 아니면 서비스까지는 entity 를 유지한채 controller 에서 dto 로 변환되는 로직이 들어가는걸까요? (물론 정답이 없는 아키텍쳐링에 대한 질문입니다만, 대체적으로 어떻게 사용하고있는지 그리고 영한님의 노하우에 대해 궁금합니다. 구글링과 여러 블로그들을 보면 보통 controller 가 아닌 service 에서 dto 를 변환하는것이 낫다고 하여 혼란이옵니다.) 둘째, "Create, Update같은 것에선 언제 DTO로 반환하는가?" 입니다. 흔히 서비스쪽에서 dto 를 변환한다고 하니, 이것을 가정하고 아래와같은 코드를 작성해봤습니다. [#1] Entity class XXEntity { String id, Sting name } class YYEntity { String id, Sting title, XXEntity xx } [#2] Repository SampleRepository 는 JPA 레포지토리 XXRepository, YYRepository [#3] Service XXService 는 XXRepository를 DI 해서 비지니스로직을 돌려 나온 Entity를 Dto를 반환한다. YYService 는 YYRepository를 DI 해서 비지니스로직을 돌려 나온 Entity를 Dto를 반환한다. [#4] Controller SampleController 의 createXY DI : XXService DI : YYService xId 를 이용하여 XXService에서 찾은 A를 YYService의 create 에 넣어 YY를 만들어 리턴한다. XXDto found = XXService.findById(id) XX foundToEntity = XXDto.toEntity() // <-- 서비스레이어에서 dto 를 반환할때, 이부분이 너무 불편합니다. YYDto saved = YYService.create(new YYY("a", "b", foundToEntity)) return saved 보통 ****** 에 XX의 entitiy가 들어가는데 만약 서비스로직에서 dto 로 변환해서 내려주고있다면, 현재 XX에서는 dto를 받고있으니 이걸 다시 entitiy방식으로 변환시켜서 넣어주어야 하는데, 이것이 매우 불편하고 왠지 이런 방식으로 하는게 아닌것같아서요. 이때도 마찬가지로 service쪽까지는 entity로 유지하다가, controller 에서 변환을 시켜야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추가> 저는 지금 혼란이 오는 것이 DTO 란 무엇인가입니다."외부에 entity를 노출시키면안되기 때문에 dto 로 변환해야한다" 라는 것도 있지만, 레이어간 데이터 이동을 위해서 만들어진것이 dto이기도 하니 어떤측면에서 바라보며 사용해야할지 혼란이 옵니다.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안녕하세요 트랜잭션 처리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팀장님! 트랜잭션을 엔티티 매니저를 직접 다루는 리포지토리에서 하는 것이랑 서비스 계층에서 하는 것이랑 어떤 차이가 있나요?@Transactional을 서비스 계층이 아니라 리포지토리에서도 걸 수 있는데 서비스 계층에서 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MVC 강의 출시는 언제쯤 예상하시나요?ㅎㅎ 감사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IDENTITY 전략 질문있습니다.
IDENTITY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PK값을 확인하려면 디비에 직접 들어가서 확인을 한다고 하셨고, JPA를 이용해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관리할 때, persist를 호출하는 시점에 실제 쿼리를 날려준다는 것까지는 이해를 했습니다. Q1. 이때 플러시 과정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Q2. persist를 호출해서 쿼리를 날린 이후에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관리하는 것처럼 쿼리들을 모아놓는 저장소에 저장이 되었다가 rollback을 하거나 commit이 되는 시점에서 이전에 persist로 인해서 생긴 변화는 더티 체크가 되는지, 된다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orphanRemoval과 cascade의 관계
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orphanRemoval과 cascade의 명확한 차이를 공부하던 도중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환경은 Spring Boot 2.4.2 입니다. cascade는 엔티티의 상태변화를 전파하는 것이며, orphanRemoval는 연관관계가 끊어진 Entity는 자동으로 삭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부모에서 orphanRemoval를 true로 설정 후, 컬렉션에서 자식 Entity를 삭제해도 Delete 쿼리가 아닌 update 쿼리가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테스트 해보니 CascadeType.ALL 아니면 CascadeType.PERSIST시 orphanRemoval 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였습니다. 아래 코드에서 Board Entity에서 cascade 옵션을 지우면 update 쿼리가 발생하여 테스트는 실패하며, cascade 옵션을 ALL 또는 PERSIST을 사용하면 delete 쿼리가 발생하여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통과합니다. 책의 p.311을 보면 orphanRemoval만 사용한 예제가 있는데 하이버네이트 버전이 올라가면서 변경된 것일까요? @Entity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Getter public class Board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OneToMany(mappedBy = "board", cascade = CascadeType.PERSIST,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Comment> comments = new ArrayList<>(); @Builder public Board(String title, String content) { this.title = title; this.content = content; } public Board addComment(Comment comment){ this.comments.add(comment); comment.setBoard(this); return this; } public Board removeComment(Comment comment){ this.comments.remove(comment); comment.setBoard(null); return this; } } @Entity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Getter public class Comment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comment; @ManyToOne @Setter private Board board; @Builder public Comment(String comment) { this.comment = comment; } } @DataJpaTest(properties = "classpath:application-test.yml") class BoardTest { @Autowired BoardRepository boardRepository; @Autowired CommentRepository commentRepository; @DisplayName("orphanRemoval 테스트") @Test @Rollback(false) public void orphanRemovalTest(){ Board board = Board.builder().title("1번글").content("1번글 컨텐츠").build(); boardRepository.save(board); Comment comment = Comment.builder().comment("1번글 댓글").build(); board.addComment(comment); commentRepository.save(comment); entityManager.flush(); entityManager.clear(); Board board1 = boardRepository.findById(board.getId()).get(); board1.removeComment(board1.getComments().get(0)); List<Comment> commentAll = commentRepository.findAll(); assertThat(commentAll.size(), is(0)); }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수강을 시작하기 전에 한 가지 질문을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이번 강의도 잘 듣겠습니다.이번 강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질문을 하나 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현재 강사님의 스프링 입문편, 기본편, HTTP 강의를 완강한 상태입니다. 이제부터는 강사님께서 추천해주신 야생형 코스로 JPA 로드맵을 수강하고자 하는데요.이번 강의를 어떤식으로 공부하는게 좋을지 고민입니다. 저는 아직 JPA 기본편을 듣지 않았기 때문에 JPA에 대한 사전지식이 전무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활용편 강의를 수강하게 되면 분명히 막히는 부분이 많이 나오겠지요. 그럴 때마다 그런 부분들에 대한 이해를 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들어야 할까요? 아니면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그냥 따라치기만 하면서 넘어가고 나중에 기본편 학습 후 다시 돌아왔을때 철저한 이해를 목표로 수강하는게 좋을까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추가적으로, JPA라는 기술에 대한 질문을 하나 더 드리고 싶습니다. 흔히들 말하는 국내 대표 IT 서비스 기업 "네카라쿠배" 같은 곳에서는 JPA 기술이 활발하게 사용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취업을 준비하는 취준생 입장에서 이러한 탑급 IT 기업만을 목표로 하여 JPA에만 집중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습니다. 갈 수만 있다면 자체 IT 서비스를 운영하는 저런 거대 기업들에 가는 것이 좋기야 하겠지만.. 국내 대형 SI 기업들, 그 외 대기업 계열사들, 다른 중견기업들 등 최대한 포괄적으로 준비하여 "취업 1승"에 대한 성공 확률을 최대한 높이고 싶은 것이 불안한 취준생의 마음입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최신 트렌드인 JPA만 공부하기 보다는 아직 그렇지 못한 기업들을 함께 고려하여 MyBatis 등의 기술도 준비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는게 맞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질문의 핵심은 이것입니다. "네카라쿠배 등의 IT 기업 외에 다른 곳들에서 JPA를 활발하게 사용하나요? 그렇지 않다면 다른 곳들에서 가장 활발히 사용되는 기술은 무엇인가요?" 물론 강사님께서 모든 기업에 근무하셨던 것은 아니니 전부 빠삭하게 꿰차고 답변을 주시기는 어렵겠지만.. 그래도 현직 베테랑 개발자의 입장에서 저같은 취준생에게 조언을 해주실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싶어서 질문을 남깁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부디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form, DTO 차이
안녕하세요 강사님. 공부를 하던중 form 과 DTO에 차이에 대해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form은 아래와 같이 컨트롤러에서 Model에 담아 뷰에 전달 할때 사용하셨고 DTO는 아래와 같이 데이터를 반환할때 엔티티를 DTO로 변환하여 사용하셨는데 이때, 위의 경우처럼 form과 DTO가 사용되는 영역이 완전히 다른것인가요?? 예를들어, memberForm이 memberDTO로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DTO로도 사용해도 되는것인가요? 제가 생각했을 땐 form은 validation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DTO로 사용하면 안될것 같기도하면서도 그냥 DTO로 사용해도 될 것 같기도 하고 의문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API Response Header
안녕하세요 영한님! API Response를 리턴할때 header를 포함하고싶을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제네릭으로 Header를 따로 만들어야하는지, HTTPSERVLETRESPONSE를 이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고맙습니다! 건강하세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조회 API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잘 듣고 있습니다. 조회 API 를 만들때, 제네릭으로 json 리스트 형태를 감싸서리턴을 하는데, 보통 조회API 는 단건 조회가 아닌 이상 리스트형태로 리턴을 할텐데, 이런 조회 API 에서는 제네릭으로 리스트를 한번 감싼 뒤 리턴을 해야한다. 로 이해해도 될까요? @GetMapping("/api/v2/members") public Result<List<MemberDto>> memberV2() { List<MemberDto> memberDtos = new ArrayList<MemberApiController.MemberDto>(); List<Member> findMembers = memberService.findMembers(); for(Member member : findMembers) { memberDtos.add(new MemberDto(member.getName())); } return new Result<List<MemberDto>>(memberDtos.size(), memberDtos); } @Data @AllArgsConstructor public static class Result<T>{ private int count; private T data; } @Data @AllArgsConstructor public static class MemberDto{ private String name;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annot resolve column 'Object'
이렇게 빨간줄이 떠서 신경쓰이시는 분들은 Settings -> Editor -> Inspections 에서 Unresolved database를 검색 -> Unresolved database references in annotaions 를 체크 해제 하시면 빨간줄이 없어집니다. IntelliJ가 너무 꼼꼼하게 검사를 해주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합니다. 출처: https://log-laboratory.tistory.com/285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즉시로딩 처리 시 findAll()일 경우 동작이 안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강의 중에는 실무에선 즉시로딩을 사용하지 말라고 하셨지만 테스트 차원에서 즉시로딩으로 findAll()을 조회하면 내부에서 left outer join이 걸리는 않는 현상을 확인했습니다. 동일한 조건에서 findById()로 처리하면 left outer join이 걸립니다. OneToMany, ManyToOne 모두 동일하게 동작을 하던데 혹시 이렇게 동작되는 이유가 있을까요???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Item을 DB에서 지우고자 할 때
안녕하세요. 주신 예제로 여러 가지 응용을 해보고 있는데, 한 가지 질문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OrderItem을 지우는 상황을 가정을 했을 때, 지우는 방법에 대해 여쭤보고 싶습니다. (parent에 의존하여 영속화 되어있는 객체를 지우는 상황) Order를 지우면 OrderItem은 CASCADE 옵션 덕분에 잘 지워지지만, 반대로 Order는 두고 OrderItem 하나만 지우기 위해 Order <-> OrderItem 관계를 끊어도 OrderItem은 지워지지 않습니다. 아래는 제가 시도했던 부분입니다. - Parent인 Order의 list에서 OrderItem 삭제 - Child인 OrderItem에서 this.order = null; this.item = null;로 모든 관계 삭제 - @OneToMany 옵션이 있는 Parent쪽에서 orphanRemoval = true 옵션 넣기 - 위 과정 모두 한 뒤, em.persist(Order); 호출 위 모두 해보아도 OrderItem에 null로 들어갈뿐 OrderItem이 삭제 되진 않습니다. 구글링을 해봤을 땐 orphanRemoval 옵션 추가하고 연관관계 삭제하라는 말뿐이네요.. 혹시 방법이 있을까요? 그리고 추가로, 여기선 OrderItem이라는 다:1 매핑된 객체는 CASCADE를 통해 따로 영속화하지 않았는데, 보통 다:1 매핑은 전부 그러한가요? 제가 느끼기엔 서로 독립적으로 저장해야할 때라고 판단하였는데, 다:1이면 독립적일 수가 없을 것 같더라구요. 어떤 경우에 따로따로 영속화하고, 어떤 경우는 이 예시와 같이 한꺼번에 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update 중복 회원 검출
안녕하세요 선생님! 매번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ㅎㅎ 강의에 매료되어 남은 강의 모두 구매해버렸어요!! 덕분에 너무 재미있게 학습하고 있습니다 ^^ 회원 수정 부분에 동일이름 회원 중복 검출이 안 되는 것 같아 다음 내용을 추가하면 되는 것인 지 궁금합니다. MemberService.java /** * 회원 수정 */ @Transactional public void update(Long id, String nam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One(id); validateDuplicateMember(member); // 추가한 부분 member.setName(name); } 좋은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개인 프로젝트 시작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스프링 부트와 JPA 실무 완전 정복 로드맵 강의를 완강한 학생입니다.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토이 프로젝트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개발 경험이 없어서 어떻게 시작해야 할 지 감이 안잡히네요 ㅠㅠ 조언을 구하고 싶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프로젝트 목적은 취업 포트폴리오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1. 클론 코딩 vs 직접 만들기 1) 클론코딩을 하면 어떻게 설계하고 어떤 것들을 구현해야 할 지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좋은 것 같은데, 한편으로는 이미 누군가가 구현한 것을 따라한 수준 밖에 안될 것 같아서 취업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을까 걱정이 되네요... 2) 반면에 직접 만들어보면 학습, 설계 ,구현 등 모든 것을 "스스로" 했다는 것을 어필할 수 있을 것 같지만, 퀄리티가 많이 떨어질 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2. 프론트 부분 처리 (API vs thymeleaf로 화면 출력) 1) API로 구현하면 아무래도 화면 처리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어서 백엔드 구현에 더 집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취업 포트폴리오 목적으로 하는 것이니 만큼 화면까지 엮어서 구현을 해야 좀 더 있어보일 것 같은데, API만 구현하면 좀 부족해보이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됩니다. 2) thymeleaf를 이용해서 html, css까지 엮어서 화면 출력을 하면 API와는 반대로 좀 더 있어보이는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겠지만, 백엔드 부분의 완성도가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됩니다. 아니면 html 무료 템플릿에 thymeleaf만 적용해서 만들어도 괜찮을까요? 물론 정해진 답은 없겠지만, 각각의 선택지에 대해서 어떠한 장단점이 있는지, 어떠한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개발 경험이 없어서 무엇을 여쭤봐야 할 지도 모르겠네요 ㅎㅎ.. 강의를 들으면서 정말 많은 것들을 배웠습니다! 항상 친절하고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안녕하십니까 강사님 주문하기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주문하기 service입니다. 여기보시면 itemId로 하나의 아이템을 조회해서 ---> OrderItem에 파라미터로 item을 등록하지 않습니까? 궁금한 점이 있는데 만약 하나의 아이템이 아니라, 여러가지 아이템을 한번에 주문하고 싶다면 위 코드를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Order의 createOrder은 파라미터를 (OrderItem... orderitem)으로 여러가지 아이템들이 올 수 있도록 만들어놨는데, 여러가지 아이템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OrderItem의 createOrderItem을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좋은강의감사합니다 ! 질문이있습니다.
querydsl의 벌크성쿼리는 스프링데이터에서의 @Modifying(clearAutomatically = true) 와 같은 기능은 없는것인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현업에서 PM, DM 을 나눠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나요?
영한님 안녕하세요!혹시 현업에서 PM(persistence model), DM(domain model)을 나눠서 개발하신 경우가 있을까요? 관련 article: https://www.mehdi-khalili.com/orm-anti-patterns-part-4-persistence-domain-model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테이블 설계에 대해서
항상 좋은 수업 감사합니다! JPA와는 관계가 먼 질문일 수도 있는데요..order_item 테이블의 역할이 무엇인지 이해가 잘안됩니다ㅜorder 테이블과 item 테이블 간 N:M 관계를 풀기위해 생성된 테이블인건 알겠는데요,order_item 테이블 안에 다른 속성들(orderPrice, count) 등을 추가해서 사용하는 이유나 이렇게 해야하는 기준을 알 수 있을까요?? order_item 테이블 내 orderPrice(주문가격), count(주문수량) 속성들을 order 테이블에 넣어줘도 되는거 아닌가요? 이 질문을 드린 이유가,개인 프로젝트를 위해 멘토님 수업을 바탕으로 삼아 테이블 설계를 하면서 장바구니 기능을 추가하려고 있습니다. (아직 개발 초기라 위의 설계도을 검증하지 못했지만,)추가할 속성을 '장바구니' 테이블 과 '장바구니_상품' 테이블 중 어디에 넣어줘야 괜찮은 설계가 될지 고민이 생기면서 경험많으신 멘토님의 의견을 감히 여쭤보게 되었습니다ㅜ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내부 조인, 외부 조인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선생님, 설명하기에 앞서 제가 생각하는 부분이 잘못 된 곳이 있다면, 정정 부탁드립니다... 제가 알기로는 테이블을 조인 할때 무슨 조건으로 조인할지를 정하는 on 절은 필수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sql 은 join 에 대한 on 절이 없기 때문에에러가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실제로도 테스트 해보니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그렇지만, 아래에 코드처럼 연관관계로 조인을 하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실제 데이터 베이스 쿼리를 확인해 보니, on 절 자동으로 추가가 되더군요. jpa 에서는 연관관계로 조인을 하면 자동으로 외래키와 매칭되는 테이블의 pk 를 찾아서 on 절을 설정해주는 것 같은데 제 생각이 맞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TO class 선언 및 update 시 id 조회 질문
안녕하세요. 두 가지 질문이 있어 이렇게 질문을 적어봅니다. 1. inner class를 왜 static으로 선언하나요? private으로 하면 물론 코드가 돌아가는 방식은 다르지만, 잘 돌아가더라구요. 혹시 실무에 적용한다면 어떤 문제점이 있나요? (다음 강의에서는 아무 것도 붙이지 않은 상태로 작성하신 것을 보니, 별로 임팩트 있는 부분은 아닌가보군요 ^^;) 2. 이건 간단한 질문인데, updateMemberV2 메서드에서 merberService.update 후, id로 update를 날렸음에도 id를 다시 찾아오시더라구요. id로 Member를 찾고 그로부터 getId를 다시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수강자료에서 updateMemberV2 메서드 부분에 fineOne이라고 오타 있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주문 목록 검색 시, 랜더링 과정에서 LAZY 로딩 발생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김영한 강사님! 기본편부터 이번 챕터까지 덕분에 잘 배우고 있습니다! 제가 배웠던 내용을 되짚어 보면 프록시 객체가 초기화 되는 시점이 영속성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중에 해당 프록시의 id를 제외한 다른 속성들을 호출하면 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데요. 아니면 초기화 메소드를 사용하던가. 여기서 의문이 orderService를 통해 조회해서 받아온 List<Order> orders는 프록시 객체를 담은채로 반환이 되는 걸로 추측이 되는데. model.addAttribute()로 orders를 담은 후 "orders/orderList" 페이지를 렌더링 하는 과정 중에 <table class="table table-striped"> <thead> <tr> <th>#</th> <th>회원명</th> <th>대표상품 이름</th> <th>대표상품 주문가격</th> <th>대표상품 주문수량</th> <th>상태</th> <th>일시</th> <th></th> </tr> </thead> <tbody> <tr th:each="item : ${orders}"> <td th:text="${item.id}"></td> <td th:text="${item.member.username}"></td> <td th:text="${item.orderItems[0].item.name}"></td> <td th:text="${item.orderItems[0].orderPrice}"></td> <td th:text="${item.orderItems[0].count}"></td> <td th:text="${item.status}"></td> <td th:text="${item.orderDate}"></td> <td><a th:if="${item.status.name() == 'ORDER'}" href="#" th:href="'javascript:cancel('+${item.id}+')'" class="btn btn-danger">CANCEL</a></td> </tr> </tbody> </table> item.member.username에서 member를 lazy 로딩하고 item.orderItems[0].item.name에서 orderItem과 item을 lazy 로딩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이번 과정을 통해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붙은 Service 로직 내에서만 영속성 컨텍스트가 엔티티를 관리해준다고 나름대로 이해를 했었는데, Service 영역을 벗어난 곳에서도 영속성 컨텍스트가 지연 로딩을 하는 것을 보니 조금 당혹스럽더라구요! 그래서 핵심 질문은 프록시 객체들이 @Transactional이 붙은 Service 로직 내를 벗어났는데 왜 lazy 로딩이 신기하게도 잘 발생하는지?가 궁금합니다 ㅎㅎ! 추가) 같은 member, 같은 item을 가진 order를 2개 조회해봤는데요! 1차 캐시에 의해 lazy 로딩이 첫번째 table 목록을 구성하는데만 발생하고 두번째 목록을 구성할 때는 member와 item 엔티티를 받는데에 select 쿼리를 새로 DB에 안 날리고 영속성 컨텍스트의 1차 캐시에 등록된 엔티티를 반환 받는 것도 확인이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