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영상 하단 pandas 이용한 DB접근 예시 중 질문
위 스크린샷에서 마지막 말이 잘 와닿지가 않습니다.ㅠㅠ그러니깐 장고qs객체를 pandas df객체로 변환하면 매번 SQL쿼리를 작성하지 않아도되는것인거고??? 장고를 통해 매번 SQL 쿼리를 작성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는건가요??? 위 예시만 보면 어쨌든 qs객체(SQL요청 준비 코드) 정의 하였고 결국 qs.values 메서드 코드에서 SQL이 날라가지 않나요??? 새로운 사실을 알게되어 정확하게 이해해서 인사이트 얻고 넘어가고 싶어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0 long long, int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http://boj.kr/4cc380b86f234f8ebe20dedceedfdc4f안녕하세요 강사님 작은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1-O 이 문제에서 int, long long 둘 다 백준에서 정답 처리가 되는데 원래 long long을 써야하는데 큰 테스트케이스가 없어서 통과되는 건가요 아니면 int도 맞는 건가요??계산이 잘 안되어서 큰 값인거 같은데 헷갈리면 코테에서 int 대신 long long을 써도 아무 상관 없나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포트번호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IP주소에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가 있고 포트번호는 호스트 주소에 있는 프로세스더 정확히 말하면 소켓을 구분하는 번호로 사용된다고 이해하고 있는데요. www.naver.com 이나 www.google.com이나 뒤에 :80 포트 번호가 생략된다고 하던데(https 라면 443 이라고 알고 있습니다)포트 번호는 호스트 주소에서 프로세스를 구분 하는 용도라고 이해를 했는데http프로토콜이 80번 포트를 사용한다는게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http가 프로세스는 아니잖아요? 그런데 어떻게 포트 번호가 있는건지.. 네이버나 구글 url주소를 치면 dns서버에서 ip주소로 변환해서 회사 서버에 접속이 되고그중에서 http 프로토콜에? 웹서비스 접속을 하려고 하니 80번 포트로 접속을 하는 건지..그럼 이것은 강의에서 설명하신 포트 중에 서비스 번호를 의미하는건지.. 그리고 포트포워딩에서 포트는 위에 포트를 의미 한다기 보다강의에서 설명하셨던 2계층 포트를 의미하는건가요? 개념이 뒤죽박죽되어 이해가 가질 않아 답답한 마음에 질문드립니다.ㅠㅠ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subquery에서 table 이름 지정 문제
선생님 비상관 subquery에서 table 명을 지정해주어야 하는 이유가 꼭 있을까요?선생님 코드는 from hr.emp_dept_hist_01 x 라고 지정해주셨었는데,select * from hr.emp_dept_hist_01 where (empno, todate) in (select empno, max(todate) as todate from hr.emp_dept_hist_01 x group by empno) ;비상관이면 없어도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했습니다.select * from hr.emp_dept_hist_01 where (empno, todate) in (select empno, max(todate) as todate from hr.emp_dept_hist_01 group by empno) ;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응용
port restricted cone 방식에서 강의 3:35 질문
강의 3:35에 192.168.0.10 port 3001은 NAT table에 추가가 된게 아니라 갱신이 된 상태를 설명하는 것인가요?192.168.0.10:3000 / 8080 / 15.15.15.15:5555192.168.0.10:3001 / 8080 / 15.15.15.15:7777이게 아니라192.168.0.10:3001 / 8080 / 15.15.15.15:7777현재 테이블에 갱신이 되어서 이것만 남아 잇는 상태를 설명해주신게 맞을까요?근데 만약 이것을 설명한 것이라면 192.168.0.10:3000 / 8080 / 15.15.15.15:5555192.168.0.10:3001 / 8080 / 15.15.15.15:7777매핑된 port는 1개인데 15.15.15.15:7777이 3000으로 갈지 3001로 갈지 어떻게 판단을 하나요??
-
해결됨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쿼리셋 중 빈쿼리셋 용도/사례가 궁금합니다
강의중 별건 아니지만 빈 쿼리셋은 도대체 어떨때 이용되는지 궁금합니다.(용도/사례)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응용
9:30 랑데뷰 서버
중간에 랑데뷰 서버에 대한 내용이 나오는데 너무 생략되서 잘 모르겠습니다. 원활한 게임 통신 및 랑데뷰 서버, 홀펀칭 이야기는 후반 강의에 나오는 내용인가요?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ComponentScan과 @Import 질문있습니다.
@ComponentScan을 하게되면해당 패키지 이하로 컴포넌트가 어노테이션으로 있으면빈으로 등록해주고@Import를 하면 @Configuration class를 넣으면해당 구정 정보 클래스가 빈 등록이 되는데 제가 생각한 @ComponentScan과 @Import차이는컴포넌트 스캔은 패키지나 클래스를 기점으로 쭉 클래스를 찾아 돌아다녀야하지만자동 구성빈에서 사용되는 많은 빈들을 다 컴포넌트 스캔으로 사용하는거보다필요한 구성 정보 클래스만 스프링 부트가 @Conditional로 판단해서 빈으로 등록할수 있다보니컴포넌트 스캔보다 더 빠르고 구성 정보끼리 관계를 알수 있다고 생각이 되더라구요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아니면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추가로 설명해주실수 있으신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백엔드 개발자로서 프론트에 대해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리액트는 선택이고 타임리프는 알아야 한다고 하셨는데 제가 알기로는 요즘에는 REST 방식으로 JSON 형태로 주고 받고 요즘 자주 쓰는 React 같은 경우는 서버를 아예 따로 띄어주고 JSON으로 데이터만 주고 받고 하는데 타임리프를 꼭 자세히 알아야 하나요?여기서 말하는 자세히란 지금 현재 타임리프 문법은 대략적으로 알 고 있고 타임리프로 프론트가 작성되어 있는거 보면 알 수 있을 정도는 되는데 프론트를 혼자서 만들 정도는 안됩니다. (그게 맞지 않아서 백엔드를 선택했는데...)프로젝트 만드는데 타임리프로도 만들어야 할 정도로 알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계획으로는 리액트하고 백엔드하고 나눠서 따로 서버 배포하고 백엔드는 REST 방식으로만 진행해서 MVC에서 View를 빼서 나누려고 하는데 타임리프로 알아야 한다면 이것도 프로젝트로 만들어야할지 고민이되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it 취업을 위한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with C/C++) : 코딩테스트 대비
제가 푼 방식이 시간이 좀 오래 걸리는 것 같아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제가 queue와 구조체를 이용해 문제를 풀었는데 1초가 넘게 걸려서 무엇이 문제인지 질문합니다queue의 push, pop은 O(1)이라고 알고 있는데도 이렇게 오래 걸려서..제가 유추하기로는 구조체를 썼기 때문인 것 같은데...만약 그렇다면 왜 그런 것인가요...?코드 아래 첨부합니다.#include<cstdio> using namespace std; #include<vector> #include<algorithm> #include<string> #include<queue> int main(void) { //cin.tie(NULL); // 얘네 3줄은 iostream include했을 때 필요한 것. //cout.tie(NULL); //ios::sync_with_stdio(false); freopen("in4.txt", "rt", stdin); // 파일 입력받음 struct NumWork { int work; // 작업 번호 int t; // 작업 시간 }; int n, k; scanf("%d", &n); queue<NumWork> work; for (int i = 0; i < n; i++) { int tmp; scanf("%d", &tmp); work.push(NumWork{ i + 1, tmp }); } scanf("%d", &k); int time = 0; // 총 시간 while (work.empty() == false) { if (time == k) // 만약 k초면 break; break; NumWork now = work.front(); work.pop(); time++; // 시간은 언제나 흐르므로 ++ if (now.t - 1 == 0) // 작업시간이 0됐으면 다시 queue에 넣지 않음 continue; work.push(NumWork{ now.work, now.t - 1 }); } if (work.empty()) // work가 empty면 모든 작업이 k이전에 끝난 것 printf("-1"); else // empty가 아니면 k초 이후에 작업이 남아있었음 printf("%d", work.front().work); }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서브네팅의 목적 질문
서브네팅의 주목적이공인 ip 주소를 아껴쓰기 위함사설 ip에서 관리자 필요에 따라 호스트 id 범위 조절이렇게 생각하면 맞을까요?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에게 배우는 파이썬 아파치 스파크
word.txt 파일이 없습니다. 추가 부탁드립니다. ㅎ
질문은 많으시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가능한 빠른 답변 드리겠습니다.원활한 답변을 위해, 자세한 질문 사항 부탁드려요 :D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응용
공유기가 인터넷 ip 주소 부족 문제 (공인 ip를 받을 때 단위)
샘의 유튭에서 본 내용인데요https://www.youtube.com/watch?v=px0HDON5Wa4&list=PLXvgR_grOs1BFH-TuqFsfHqbh-gpMbFoy&index=37공인 ip를 받을 때 단위가 어떻게 되길래 100개 달라고하면 154개가 낭비가 되나요? c클래스 단위로 줄수밖에 없는 것인가요? (* 6:20 보면 클래스 단위로 준다고 말씀하신것 같은데 예시인가요 아니면 실제로 그렇게 부여되나요?) 177.232.111.220 ~ 177.232.111.255 까지 30개 가져가세요 이렇게 안되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index 처음부터 끝까지, 한칸 건너뛰기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너무 오랫 동안 안 들어서 다시 듣고 있습니다 ㅠ ㅠ.. 데이터 분석을 위한 파이썬 기초2listbox = [2, 4, 6, 8, 10]listbox[::2] 를 하면, 한 칸 건너뛰면서[2, 6, 10] 이렇게 출력이 되는데요.문득 궁금해져서(이게 중요한 게 아닌데!)listbox[:5:2] 이 경우에도[2, 6, 10] 이렇게 출력이 됩니다.그런데 listbox[:-1:2]를 하면[2, 6] 이렇게 나옵니다.이 차이를 알 수 있을까요? -1은 분명히 마지막 값을 가리키니까 2, 6, 10이 나와야할 거 같은데 이상하더라고요. 제가 뭔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걸까요? (이래서 독학이 위험하긴 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윈도우 빌드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인텔리제이 터미널에서 gradlew.bat build를 치니 오류가 뜹니다. 해결방법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Aborting
git 저장소를 불러오는중에 Aborting떠서git reset --hard를 해도 계속 최신 커밋이 안뜹니다 ㅠㅠHEAD is now at 95de5ce Update: back start script계속 이게 뜨면서 pull해도 Aborting이 계속 나오네요 ㅠㅠ
-
해결됨실전! Querydsl
querydsl을 사용한 프로젝트를 cafe24에 배포하는데 문제가 생겼습니다ㅠㅠㅠㅠ
cafe24에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ROOT.war파일을 생성해야했습니다.프로젝트를 만들 때 jar를 선택하고 생성해버려서 war로 변경해야했고, 이는 구글링을 통해 해결 하였습니다. 하지만 ROOT.war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보니 Q클래스들이 하나도 없었습니다. 아마 build > generated > querydsl 경로에 Q클래스들이 있어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ㅠㅠ build.gradle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2.2.RELEASE'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8.RELEASE' //querydsl 추가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 id 'java' id 'war' } group = 'study'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8'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developmentOnly runtimeClasspath { extendsFrom developmentOnly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nz.net.ultraq.thymeleaf:thymeleaf-layout-dialect'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war파일로 배포하기위한 설정 providedRuntime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omcat' //스프링부트에서 validation을 사용하기 위한 코드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 json 파싱 implementation 'com.googlecode.json-simple:json-simple:1.1.1' developmentOnly("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runtimeOnly 'org.mariadb.jdbc:mariadb-java-client:2.7.0' runtimeOnly("mysql:mysql-connector-java")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model mapper implementation 'org.modelmapper:modelmapper:2.4.2' // lombok을 테스트 환경에서도 사용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 이메일 전송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mail' //파라미터가 적용된 쿼리문 //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5.8'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exclude group: 'org.junit.vintage', module: 'junit-vintage-engine' } //테스트코드 작성시 entityManagerFActory에러 때문에추가 implementation group: 'org.javassist', name: 'javassist', version: '3.15.0-GA' } test { useJUnitPlatform() } //querydsl 추가 시작 def querydslDir = "$buildDir/generated/querydsl" querydsl { jpa = true querydslSourcesDir = querydslDir } sourceSets { main.java.srcDir querydslDir } configurations { querydsl.extendsFrom compileClasspath } compileQuerydsl {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querydsl } //querydsl 추가 끝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순열을 재귀함수로 구현했을 때의 장점
안녕하세요, 선생님 다름이 아니라 순열을 재귀 함수로 구현했을 때의 장점이 많을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선생님께서 영상 중간에 재귀 함수로 순열을 구현하는 것보다 next_permutation을 사용하여 순열을 구현하는 것이 더 좋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저 또한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부분을 충분히 동의하지만, 한 가지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습니다. next_permutation을 통해 순열을 구현하고자 할 때, 순열을 적용하고자 하는 컨테이너가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어떤 알고리듬 문제를 next_permutation으로 해결하고자 할 때, 평균적으로 O(nlogn)의 성능이 필요합니다. 반면, 재귀 함수로 순열을 구현하는 경우 순열을 적용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의 순서와 상관없이 순열을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재귀 함수를 통해 순열을 구현하는 방법을 선호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요? 물론, 재귀 함수를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이 정렬을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보다 높다면 next_permutation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미해결[초중급편] 안드로이드 데이팅 앱 만들기(Android Kotlin)
뱀장어 버전 사용중이고, 소스코드 열어보니 이렇게 뜹니다,,ㅠㅠㅠ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ㅠㅠ
-
해결됨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ClsModel.objects 인터페이스 질문
qs1: QuerySet = Post.objects.order_by('id').all()qs2: QuerySet = Post.objects.order_by('id') -> 수업에서 사용한 방식에서 qs1 처럼도 해보니아래 코드블록처럼 두개의 결과가 똑같습니다.<class 'django.db.models.query.QuerySet'> SELECT "instagram_post"."id", "instagram_post"."message", "instagram_post"."photo", "instagram_post"."is_public", "instagram_post"."created_at", "instagram_post"."updated_at" FROM "instagram_post" ORDER BY "instagram_post"."id" ASC <QuerySet [<Post: 첫번째 메세지>, <Post: 두번째 메세지>, <Post: 세번째 메세지>]><class 'django.db.models.query.QuerySet'> SELECT "instagram_post"."id", "instagram_post"."message", "instagram_post"."photo", "instagram_post"."is_public", "instagram_post"."created_at", "instagram_post"."updated_at" FROM "instagram_post" ORDER BY "instagram_post"."id" ASC <QuerySet [<Post: 첫번째 메세지>, <Post: 두번째 메세지>, <Post: 세번째 메세지>]> Q1.둘다 내부적인 매카니즘이 똑같아서 아무거나 사용해도 되나요?Q2.똑같다하더라도 보통 어떤걸 많이 쓰나요 혹은 어떤걸 주로 쓰시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