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Bootstrap을 직접 다운받지않고 CDN을 이용해 간편하게 적용하는 법입니당.
`resources/templates/fragments/header.html`의 코드를 아래와 같이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 Bootstrap CDN -->`아래 코드 4줄이 Bootstrap을 적용시켜주는 코드입니다. <!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head th:fragment="header"> <!-- Required meta tags -->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shrink- to-fit=no"> <!-- Custom styles for this template --> <link href="/css/jumbotron-narrow.css" rel="stylesheet"> <!-- Bootstrap CDN --> <link rel="stylesheet" href="https://stackpath.bootstrapcdn.com/bootstrap/4.3.1/css/bootstrap.min.css" integrity="sha384-ggOyR0iXCbMQv3Xipma34MD+dH/1fQ784/j6cY/iJTQUOhcWr7x9JvoRxT2MZw1T" crossorigin="anonymous"> <script src="https://code.jquery.com/jquery-3.3.1.slim.min.js" integrity="sha384-q8i/X+965DzO0rT7abK41JStQIAqVgRVzpbzo5smXKp4YfRvH+8abtTE1Pi6jizo" crossorigin="anonymous"></script> <script src="https://cdnjs.cloudflare.com/ajax/libs/popper.js/1.14.7/umd/popper.min.js" integrity="sha384-UO2eT0CpHqdSJQ6hJty5KVphtPhzWj9WO1clHTMGa3JDZwrnQq4sF86dIHNDz0W1" crossorigin="anonymous"></script> <script src="https://stackpath.bootstrapcdn.com/bootstrap/4.3.1/js/bootstrap.min.js" integrity="sha384-JjSmVgyd0p3pXB1rRibZUAYoIIy6OrQ6VrjIEaFf/nJGzIxFDsf4x0xIM+B07jRM" crossorigin="anonymous"></script> <title>Hello, world!</title> </head>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Builder 사용 시 NullPointerException 뜨는 경우 참고사항 (NPE)
@OneToMany(mappedBy = "order", cascade = CascadeType.ALL)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이런 식으로 코드를 작성 후 Lombok의 @Builder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빌더 패턴을 통해서는 필드에 아무리 기본값을 명시해뒀더라도 기본값이 null아니면 0이 튀어나오므로 @Builder.Default 를 따로 선언해주셔야 null이 아닌 ArrayList가 생성됩니다. @Builder.Default@OneToMany(mappedBy = "order", cascade = CascadeType.ALL)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batch insert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주니어입니다! 이 강의랑은 동떨어진 질문이긴한데요 ㅎㅎ; 강의보면서 계속 이거저거 생각하다보니 영한님은 혹시 batch insert하실때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회사에서는 JPA를 쓸때 기본키 전략이 IDENTITY이면 JPA로 batch insert하기가 어려워서 jdbcTemplate으로 한다고 하거든요. 수량은 대략 5,000~10,000건 단위이고요. JPA초고수께서는 어떤방식으로 batch insert를 하시는지 갑자기 너무너무너무 궁금해져서 동떨어진 질문을 달게됐습니다.. 아 그리고 강의보면서 항상 감사드리고있어요. 제 마음속의 스승님이십니다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orderId 가 1000개가 넘어가는 경우에 대해 궁금합니다.
영한님 안녕하세요!orderId 가 1000개가 넘어가는 경우에 대해 궁금합니다.Mysql 기준 where in절에 올 수 있는 최대 개수가 1000개로 알고 있어서요.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1000개를 파티션하고 나눠서 호출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ember Id 관련
10분 20초 관련 질문입니다.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user1"); 에서 어떻게 findMember.getId()를 DB에서 가지고오지 않아도 알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id값을 지정하지 않았는데 바로 getId()로 Id값을 가지고 온다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DB에서 꺼내와야 알 수 있는게 아닌가라고 생각되는데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지연로딩과 영속성전이
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를 듣다가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가정하는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모(Team) <----> 자식(Member) 양방향 연관관계를 갖고, 부모에서 @OneToMany(fetch=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All) 입니다. Team은 이미 생성되있고, 새로운 멤버를 추가하는 경우, Team team = em.find(Team.Class, teamid);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team); team.getMemberList().add(member); //질문1. 이때 team에 변경감지가 일어나 em.flush(team) 이 실행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2. 새로운 member만 add되고 변경감지->영속성전이 가 되는건지, 혹은 기존 member들도 select해오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 통합적으로.. Cart와 CartItem 같은 엔티티의 경우, 저의 입장은 Cart가 CartItem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갖는 객체로 수정,삭제 등을 관리하고 싶은데, 이때 Cart가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니므로 영속성 전이와 고아객체 옵션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게 옳은 방향인지 잘 모르곘습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 질문있습니다!
항상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문득 보다가 궁금한 것이 생겼는데요 쿼리에서 select m from Member m join Team t on m.username = t.name이랑 select m from Member m join m.team t on m.username =t.name이랑 완전히 같나요? join Team t 는 inner join Team team1_ on ( member0_.username=team1_.name ) 이렇게 나오는데 join m.team t는 inner join Team team1_ on member0_.TEAM_ID=team1_.TEAM_ID and ( member0_.username=team1_.name ) 이렇게 나오는거 같아서요. 뭔가 m.team t가 조건이 하나 더 걸린 느낌이랄까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WARN: HHH10001002: Using Hibernate built-in connection pool (not for production use!) Exception in thread "main" org.hibernate.service.spi.ServiceException: Unable to create requested service [org.hibernate.engine.jdbc.env.spi.JdbcEnvironment]
JpaMain 실행 시 마지막에 exit code 1과 함께 이 메시지들이 계속해서 출력되서 도움 요청드립니다. 오류 메시지가 너무 많이 떠서 어떤 것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네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비즈니스 로직을 엔티티에 위임하는 기준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주문 취소와 주문 가격 조회 비즈니스 메서드를 엔티티 내부에서 선언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오더와 달리 멤버의 경우 엔티티에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하지 않은 건 리포지토리에서 사용한 save, find 외에 별다른 로직이 없기 때문인가요? 서비스가 아닌 엔티티에 비즈니스 로직을 위임하는 기준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벌크성 쿼리 질문입니다
밑에 질문을 보면 findByusername으로 member을 찾아올 때 1차캐시에서 가져오는 것이 아닌 DB를 통해 가져온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em.clear를 해주지 않아도 member5는 db에서 조회해서 가져오기 때문에 age가 41로 되야하는 것 아닌가요??? 이 부분이 잘이해가 안됩니다 ㅠㅠ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Bear(베어) 강의 자료
안녕하세요. 영한님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Bear(베어)에서 강의 자료를 보고 싶은데 pdf 파일은 볼 수 없는 거 같습니다. 혹시 베어에서 볼 수 있게 .md파일로도 강의자료 부탁드려도 되겠습니까?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젝트 세팅 중 maven compile시 에러발생합니다
프로젝트 실행하기 강의중에 maven compile시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Failed to execute goal com.github.eirslett:frontend-maven-plugin:1.8.0:npm (npm install) on project studyolle: Failed to run task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 관련 질문 드립니다!
14분 쯤에 SELECT m, t FROM MEMBER m LEFT JOIN TEAM t on m.username=t.name 은 SELECT m, t FROM MEMBER m LEFT JOIN TEAM t where m.username=t.name 과 다른 건가요?? 다르다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이블 아이디 설계 및 hidden 태그 관련 질문 드립니다.
항상 명강의 감사합니다. 강의를 들을때마다, 강사님에 노고가느껴지니, 매번 소름이 돋네요. ㅎㅎ 오늘도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2가지 질문을 드립니다. 1. 테이블 아이디 설계 저는 회원 테이블을 설계할때, 기본키를 '아이디' 로 설정했었습니다. 아이디가 유니크 하기 때문에 기본키로 잡았었는데, 강의에서는 엔티티에서 기본키를 따로 잡으시고(기본키는 자동으로 값을 셋팅) 진행을 하시던데 실무에서도 회원 테이블을 설계하신다면 '회원 아이디' 와는 별개로 기본키 필드를 설계하고 @GereratedValue 로 자동으로 값을 할당하도록 진행하시나요.? 2. hidden 태그(다소 부족한 질문일수도 있습니다.)강의 내 코드를 보면, 회원에 대한 아이디를 hidden 태그에 노출하는데, 이게 보안상에 문제가 될 여지는 없을 까요.? 물론 서버단에서 회원에 권한을 체크한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는 생각하지만, 노출된다는게 꺼림칙해서요.....(단순히 제생각입니다.) 아니면 hidden 태그를 사용하지 않고, 구현하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에서 @GeneratedValue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에 항상 감사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JPA를 통해서 디비를 생성하지 않고 이미 따로 MySQL로 만든 디비를 객체에 매핑만 하여 사용하려고 하는데요! 1. 보통 이렇게 하는게 일반적인가요? 2. 이미 pk로 순서대로 1, 2, 3 ... 을 맥인 상황에서 엔티티와 매핑하고 그 다음 jpa 를 통해 insert를 하게 되면 가장 마지막 id값을 읽고 그다음 자동으로 이어서 +1 을 하게 되주나요? 질문이 너무 두서가 없네요 ㅠㅠ 예를 들어 이미 기존 member라는 테이블에 (pk로 id 컬럼) 1 memberA 20 서울 2 memberB 19 울산 이런 상황에 엔티티로 매핑하고 증가시키면 자동으로 id는 3부터 이어서 시작이 되는걸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운영 db 와 테스트 db
운영중인 db 가 중요하기 때문에,로컬에서 테스트 db 를 h2 로 설정해서 엔터티 정의후 테이블 생성하고, 생성한 테스트 db 에 대해 dao 를 작성하고, 엔터티 코드 및 dao 코드의 올바른 작성 확인 후 운영 반영을 하고 싶습니다.실제 h2 를 테스트 db 로 해서 상기방식으로 개발하시나요?개발서버 환경이어도 임의로 테이블은 만드는건 안되기 때문에 로컬 개발환경에서 개발하는 방식에 대해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값 타입을 DTO에 넣는 방법?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MemberDTO에 Address를 넣어주려고하는데, MemberDTO에 값 타입인 Address를 넣어주는 것보다 city, street, zipcode를 각각 따로 넣어주는게 나을까요? ( 코드로 작성해놓았습니다.) #1 코드 #2 코드 그리고 값 타입인 Address를 DTO에 명시하게 되면, 이것도 결국 엔티티를 직접 외부에 노출하는 것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회원 조회 로직의 응답 형식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아래처럼 회원 조회 로직이 있을때 멤버 엔티티 정보를 스트림화 한뒤 멤버 디티오 형식으로 다시 설정하고 그걸 리스트화하는것까지는 의미상으로 이해가 가는데여 응답 클래스 Result<T> 객체를 만들어서 응답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여? @GetMapping("/api/v2/members")public Result memberV2() { List<Member> findMembers = memberService.findMembers(); List<MemberDto> collect = findMembers.stream() .map(m-> new MemberDto(m.getName()))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new Result(collect);}@Data@AllArgsConstructorstatic class Result<T> { private T data;}@Data@AllArgsConstructorstatic class MemberDto { private String name;}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ValidateDuplicateMember 메소드와 트랜젝션 관련해서 질문입니다.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을 붙인 메서드는 오버라이딩 할 수 있어야 하기때문에 ValidateDuplicateMember 메서드를 private 접근지정자를 설정하면 명시적으로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을 해당 메서드에 붙일 수가 없는데,강사님께서 하신것처럼 클래스 레벨로 @Transactional(readOnly = true) 애노테이션을 붙이면 ValidateDuplicateMember 메서드는 트랜젝션이 적용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만약 적용이 안된다면 접근 지정자를 protected 로 변경해서 사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전체 소스코드 입니다. ------------------------------- @Service@Transactionalpublic class MemberService { @Autowired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 회원가입 * @param member member entity * @return memberId */ public Long join(Member member) { ValidateDuplicateMember(member); memberRepository.save(member); /* * member를 영속화 할때 key를 member의 id로 설정 (generateValue) * member 객체의 id 필드에는 값이 채워져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음 */ return member.getId();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rotected void ValidateDuplicateMember(Member member) { List<Member> findMembers = memberRepository.findByName(member.getName()); if (!findMembers.isEmpty())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 } /** * 회원 전체 조회 * @return memberList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 성능 최적화 public List<Member> findMembers() { return memberRepository.findAll(); } /** * 회원 단건 조회 * @param memberId memberId * @return findMember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Member findOne(Long memberId) { return memberRepository.findOne(memberId); }}
-
미해결실전! Querydsl
동적쿼리 BooleanBuilder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해당 강의 다른영상에서의 질문에서 BooleanBuilder와 자바 8을 이용해서 체이닝이 가능한 코드를 봣었습니다. 영상강의처럼 BooleanExpression을 사용한 ageBetween은 null이 반환될 수 있어서 테스트시 age를 안 넣으면 NPE가 뜨더라구요. 그래서 아래처럼 BooleanBuilder 사용한 코드로 바꾸면 null에 무조건 안전하게 되는게 맞는건가요? public List<MemberTeamDto> search(MemberSearchCondition condition) { return queryFactory .select(new QMemberTeamDto( member.id.as("memberId"), member.username, member.age, team.id.as("teamId"), team.name.as("teamName"))) .from(member) .leftJoin(member.team, team) .where( usernameEq(condition.getUsername()), teamNameEq(condition.getTeamName()), ageBetween(condition.getAgeLoe(), condition.getAgeGoe())) .fetch();}private BooleanBuilder usernameEq(String username) { return nullSafeBuilder(() -> member.username.eq(username));}private BooleanBuilder teamNameEq(String teamName) { return nullSafeBuilder(() -> team.name.eq(teamName));}private BooleanBuilder ageGoe(Integer ageGoe) { return nullSafeBuilder(() -> member.age.goe(ageGoe));}private BooleanBuilder ageLoe(Integer ageLoe) { return nullSafeBuilder(() -> member.age.loe(ageLoe));}private BooleanBuilder nullSafeBuilder(Supplier<BooleanExpression> f) { try { return new BooleanBuilder(f.get()); } catch (Exception e) { return new BooleanBuilder(); }}private BooleanBuilder ageBetween(Integer ageLoe, Integer ageGoe) { return ageLoe(ageLoe).and(ageGoe(ageGoe));} 익셉션마다 BooleanBuilder 객체를 새로 만드는데, 객체를 생성할 때 드는 비용은 null을 위해서는 크게 상관이 없는거죠? 그리고, ageBetween 부분에서 강의는 파라미터를 int 타입으로 받는데, 테스트시 NPE가 나와서 Integer로 바꾸니 되더라구요. 이유가 원래 Integer타입을 int로 자동 언박싱하는 중에 null을 int에 넣지 못해서 NPE가 뜨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