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빌드하고 실행하기에서 java -jar로 실행후 실행종료 어떻게 하는건가요?
8080포트의 PID를 킬해서 종료를했는데 그냥 종료하려면 어떤 명령어를 써야하나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벌크 연산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수정, 삭제 벌크 연산> 강의에서 다음 코드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Test public void bulkUpdate() { long count = queryFactory .update(member) .set(member.username, "비회원") .where(member.age.lt(28)) .execute(); em.flush(); em.clear(); List<Member> result = queryFactory .selectFrom(member) .fetch(); for (Member member1 : result) { System.out.println("member1 = " + member1); } } em.flush();를 하는 순간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던 정보가 DB에 반영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update(member)에서 수정한 DB 정보와 충돌이 발생되지 않나요? 따라서 member.username이 "비회원"으로 수정되지 못 하는 것 아닌지요?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시큐리티
FactoryBean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강사님 안녕하세요. 매번 질문만 하게 되는데 답변 친절히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 강의를 보면서 궁금한 점이 있었는데 우선 첫번째로, FactoryBean으로 Map객체를 구현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만약 저에게 구현해보라고 한다면, UrlFilterInvocationSecurityMetadataSource에서 데이터들을 가져와서 한번에 했을 것 같은데.. 뭐 이런식으로.. FactoryBean으로 구현하신 이유는 DefaultFilterInvocationSecurityMetadataSource와 최대한 비슷하게 구현하기 위해서 그렇게 하신건가요? 두번째로, UrlResourceMapFactoryBean에서 if (resourceMap == null ) { init( ) }이라고 하셨는데, 이렇게 하신 이유가 무엇때문에 그런건가요? resourceMap은 호출때마다 DB에서 불러와야 하는 것 아닌가요? 항상 감사합니다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컨텍스트의 위치
영속성 컨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베이스 사이에서 가상의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게 될텐데 이는 결국 자바 애플리케이션 메모리의 힙 영역에 영속성 컨텍스트가 존재한다는 거겠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스트 케이스 작성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스프링부트환경에서 junit 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테스트를 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걸리는데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테스트 케이스에서 @Autowired 로 서비스를 가져다 쓰고 있는데 실행할때마다 프로젝트의 모든 스프링빈들이 다 올라가고 테스트가 실행되는 것 같습니다 보통 실무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어쩔 수 없는 부분인건지 아니면 실무에서는 테스트케이스에서 사용하는 서비스만 로딩해서 하는 방법으로 하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실무에서는 어떤 방법을 써서 테스트 수행시간을 줄이나요? 만약 해당 서비스만 로딩해서 한다면 그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springboot 로그 설정 질문 있습니다.
springboot 에서 http log 보는 설정이 뭐였죠? 어디선가 언급해줬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어디인지 모르겠네요. 검색해도 안나오고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m.close();
안녕하세요. 예제를 돌려보던중 궁금한 점이 생겨 문의 드립니다. public class Jp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try { Member member1 = em.find(Member.class, 150L); member1.setName("AAA"); //em.detach(member1); //em.clear(); em.close(); System.out.println("====================="); tx.commit(); } catch (Exception e) { tx.rollback(); } finally { em.close(); } emf.close(); }} 위와 같이 테스트 하였는데요. em.detach(member1); em.clear(); 과는 달리 em.close(); 의 경우는 업데이트 문이 찍히고 DB도 업데이트 되는데 나머지 둘과는 다르게 동작하는걸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도메인 주도 설계 강의도 만들어주세요~~
안녕하세요.cascade는 동일한 aggregate 에 포함되는 경우에 넣는거겠죠? 저희 예제에서 delivery는 order에서 cascade로 포함했는데 만약 다른 테이블에서 delivery를 참조하고 있으면 order_delivery 라고해서 별도의 테이블을 만들어도 되겠죠? 데이터 중복이지만 ddd에서 바운더리 컨텍스트 그런 개념에서 보면 문제가 없는걸까요?
-
해결됨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3-2 공통원소구하기 관련 질문입니다.
시간복잡도 n 으로 풀라고 되있어서 한참 고민했는데, 강의 영상에는 Array.sort로 두 배열을 먼저 정렬 하셨다라구요. 그러면 이미 복잡도 n^2 아닌가 해서 질문 여쭙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windows h2 콘솔 실행이 안됩니다.
저는 현재 윈도우인데 h2 console이 설치는 했으나 실행이 안됩니다... chmod 775? 755이것도 해보았으나 안되는거같습니다 boot로 h2넣어서는 되는데 왜 이건 안되는걸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to 반환 질문입니다
그 예전에 영한님께서 JSON으로 반환 할 때 쿼리를 통해서 얻은 값을 그대로 반환하지 말고 클래스로 묶어서 반환하라고 하셨던게 기억이 납니다. 쿼리를 통해서 얻은 결과가 예를들어 List<PersonDto> name : ~~~ age : ~~~ address: ~~ 이런식으로 되어 있을때 이 리스트를 그대로 반환하면 JSON 형식이 배열로 시작해서 그 후에 값을 수정 할 수 없다고 들었던거 같은데요!! 질문이 있습니다 저 List<PersonDto>를 감싸는 하나의 클래스를 만들때 예를 들어서 class PersonExmpleDto{ private ArrayList<PersonDto> persondto; ] 이런식으로 반환 할 때 클래스 이름을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쿼리를 통해서 얻은 List로 묶은 PersonDto를 하나의 클래스에서 반환하고자 할 때 클래스의 네이밍은 어떤식으로 하나요?class PersonListDto{ private ArrayList<PersonDto> persondto;} 이런식으로 하나요...??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조금 더 안전한 방법과 조금 더 개선한 방법의 차이
안녕하십니까 강사님 ! 질문있습니다 :) 조금 더 개선한 방법의 원리는 만약 인증이 들어왔을 때, Username 과 시리즈는 일치하지만 토큰이 일치하지 않으면 토큰이 해커에 의해 탈취되었다고 간주해서 모든 토큰을 삭제하는 원리인데, 조금 더 안전한 방법도 Username 은 일치하지만 토큰이 다르면 똑같이 탈취되었다고 간주하고 모든 토큰을 삭제하면 동일하게 동작하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전자랑 후자 방법 둘다 해싱에 패스워드는 사용되지 않아서 복호화 된다고해도 계정이 탈취당하는 일이 없는데 굳이 시리즈를 이용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영한님 강의 아래 사용한 단축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자막? 같은건 어떻게 할 수 있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영한님 강의 아래 사용한 단축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자막? 같은건 어떻게 할 수 있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JPQL 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영한님. 영한님의 강의를 한번씩 보고 개인적으로 공부를 하면서 연습을 해오고 있는데. 수업 예제는 아니지만 궁금한 점이 생겨서 검색을 해도 잘 나오지 않아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 상품을 대여하는 기능을 작성해 보기위해 만든 클래스 입니다. 연관관계는 단방향 매핑이 좋다 말씀하셔서 단방향으로 구성을 해봤습니다. 이 클래스에 있는 user는 빌리는 사람의 클래스입니다. product 클래스 안에 상품의 주인인 User클래스를 매핑해 주었습니다. User클래스에는 매핑된 테이블이 없습니다. 이렇게 작성이 되어있고 만약 자신이 대여를 신청한 상품을 조회하고 싶은 쿼리문을 작성하고 싶은데 이렇게 작성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5876 이 질문의 글에 fetch 조인에 대상이 되는 곳에는 where절을 사용하면 안된다 말씀을 해주신 것을 보고 다른 방법이 떠오르지가 않아서요 .. 혹시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해결해 나가면 좋을까요? 수업예제와 다른 주제로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 개발 관련 질문입니다
19:00 시간에 보고 궁금한게 있습니다. JPA 실행해서 나온 sql 스크립트를 보고 수정할 부분이 있으면 수정해서 ddl 을 직접 작성하신다고 하셨는데, 수정된 ddl 에 맞게 JPA 에서도 코드를 수정해야하는걸까요?아래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하네요 JPA 코드작성 -> DDL 스크립트 확인 및 수정 -> DDL 직접 작성하여 DB에 반영 -> 수정된 ddl에 맞게 다시 JPA 코드 수정 -> 애플리케이션 실행 (뭔가 질문이 이상한 것 같기도한데; 이해가 어려운 부분은 편하게 말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Transactional(readOnly=true) 설정에 대한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최근 부하테스트를 진행하며 성능개선을 해보려하고 있습니다. 그 중 단순 DB 조회 API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스레드 덤프를 확인한 결과 SessionImpl.doFlush()가 호출되는 것을 보고 트랜잭션이 끝나는 시점에 자동으로 flush가 호출되는 것을 발견했고, 때문에 readOnly 설정이란 것을 찾아서 설정하고 다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반복해서 테스트를 진행해 봤는데, readOnly를 설정하지 않았을때가 TPS가 높게 측정이 됩니다. 왜 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 그림은 순서대로 readOnly를 설정하지 않았을 때와 설정했을 때 입니다. 테스트 대상 API의 코드는 아래 링크의 getMovieList() 입니다. https://github.com/hapHollys/booook/blob/main/src/main/kotlin/com/haphollys/booook/presentation/controller/MovieController.kt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이미 db가 있어서 jpashop db를 추가하고자 하시는분들 편의를 위해 링크 공유합니다.
h2 데이터베이스 추가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jpa 여러개 repository findById
안녕하세요... 토이프로젝트를 하다가 궁금한것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제가 원하는건 결론적으로 이렇습니다. if(){ Test1Repository.findById(Long Id); }else if(){ Test2Repository.findById(Long Id); } else { Test3Repository.findById(Long Id); } 이런식으로 계속 분기처리하기보단 레포지토리를 하나의 값으로 findById를 할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딩으로 학습하는 GoF의 디자인 패턴
인스턴스 홀더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물론 강의에서 사용하신만큼 로딩과 동시에 올라가지 않는다는 건 알겠는데 홀더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인스턴스는 어째서 바깥메서드에서 호출을 할 때 생성이 되는건가요? 제가 추측한 바로는 SettingsHolder라는 클래스가 innerClass인 동시에 private 이기 때문에 홀더 안의 인스턴스가 생성이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
해결됨코딩테스트 전 꼭 알아야 할 개념과 문제(with 자바)
PriorityQueue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를 보다가 문제가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PriorityQueue 문제 내용이 양의 정수 길이의 두 막대기 연결할 수 있다. x와 y의 비용을 지불한다 스틱 x + y => 이런식으로 연결하여 스틱이 하나만 남을 때까지 모든 스틱을 최소 연결 비용을 반환합니다. 인데요... 그 다음에 나오는 예시가 스틱 = [1, 8, 3, 5] 일때 1하고 3을 갑자기 더하고 그 더해진 값인 4하고 5를 더하고 이런식으로 작은 값부터 더해가시는데요... 위의 문제 내용중에 작은값부터 x 와 y를 정하여 라는 말도없는데 갑자기 이런식으로 더해가니까 이해가 되지를 않습니다..ㅠ 전반적으로 문제들이 앞뒤가 잘려있는 느낌이 듭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