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애플리케이션 안에서 Sequence 관리 질문
안녕하세요! 수강생입니다. 항상 감사하며 공부하고 있습니다.DB Sequence 관리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Sequence 를 확보하고 사용하는 것의 관리 범위는 영속성 컨텍스트가 아닌, 애플리케이션 범위인가요?예를 들어 한 애플리케이션 안에서 두 개의 트랜잭션 A, B가 병렬적으로 엔티티를 영속화 한다고 치면 A.Entity.id = 1B.Entity.id = 2A.Entity.id = 3...이런식으로 애플리케이션 단위로 공유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대일 optional 여부에 따른 UNIQUE 제약
안녕하세요! 강의를 너무나 잘 듣고 있습니다. 일대일 강의를 들으면서 이것저것 만져보다가 @OneToOne(optional=true) 인 경우에는 UNIQUE 제약이 걸리지 않고 반대로 false인 경우에는 UNIQUE 제약이 걸리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혹시 이렇게 구현된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스프링 신버전 : 유저 생성 코드 공유합니다
@Bean public UserDetailsManager users() { UserDetails user = User.builder() .username("user") .password("{noop}1111") .roles("USER") .build(); UserDetails sys = User.builder() .username("sys") .password("{noop}1111") .roles("SYS") .build(); UserDetails admin = User.builder() .username("admin") .password("{noop}1111") .roles("ADMIN", "SYS", "USER") .build(); return new InMemoryUserDetailsManager( user, sys, admin ); }
-
해결됨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멀티 모듈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 자바 개발자가 되기 위해 학습하다가 코틀린을 새로 배우는 과정에서 이 강의를 듣게 된 학생입니다!!먼저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멀티 모듈에서 Repository를 각각 api 모듈에 맞게 구현하고, Spring Data JPA Repository를 코어 모듈에 둔다고 하셨는데. 이런 경우에는 api 모듈에서 core와 관련된 그래들 설정(Querydsl or db 등)이 들어가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멀티 모듈의 장점 중 하나가 모듈의 역할에 맞게 의존성을 관리하는 것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경우 이 장점을 잃지는 않을까 우려됩니다.그래서 저는 멀티모듈을 사용할 때, core 모듈에 Repository와 관련한 코드를 놓고, 사용하는 모듈에서 인터페이스, 혹은 Repository를 참조하는 구현체를 만들어 해당 클래스만 사용하게끔 유지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하는 편인데요. 혹시 강사님의 의견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적고 보니 강의 내용과는 조금 다른 질문인 것 같아 조금 죄송스럽네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결과창에 test results라고 안뜨는 이유..?
테스트 결과를 보기 위해 run을 하면 강의 화면에서는 Test Result라고 뜨고, 그 아래에 어떤 메소드를 실행했는지 뜨는데 저는 좀 다르게 떠서요,, 이게 제가 뭘 잘못한건지 아니면 별로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문제인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 문제가 없더라도 강의 화면과 다르게 떠서 은근히 거슬리는데 혹시 Test Result가 뜨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assertThat, assertXXXX
영한님 영상을 보면 어떤 때는 assertThat을 사용하시고 어떤 때는 assertTrue를 사용하시더라구요.궁금해서 인터넷에 검색을 해봤는데 "asserThat으로 사용하는 게 좋지않을까?" 라는 글이 몇개 있더라구요.질문 : 테스트작성을 앞으로 해야할때 Junit4와 junit5중 어느 것으로 작성을 연습하는게 좋을까요?assertXXXX와 assertThat 어느 것을 선호하시나요?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마지막에 open 키워드에 대해서 추상 멤버가 아니면 기본적으로 오버라이드가 불가능하다. open 키워드를 사용해주어야 한다. 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추상 멤버는 open 키워드 사용 없이 오버라이드가 가능하다는 말씀인 것 같은데요. 추상 멤버라고 한다면, 구체적으로 어디까지가 추상 멤버일까요?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Swimable의 val swimAblity는 추상 멤버이기 때문에 open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았고,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Penguin 클래스에서 override 할 수 있게 된건가요? 그런데 추상 클래스 Animal에서는 legCount에 open을 붙여주었는데 추상 클래스의 프로퍼티니까 추상 멤버인 줄 알았는데 아닌건가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lse 사용
강의하는 영상보며 항상 배우고 있습니다.요즘 알고리즘 문제도 공부하면서 항상 고민인 부분인데요.if-else문에서 else를 써야하는가 입니다.강의7:16초에서 영한님은 else를 사용하지 않으시더라구요.그래서 궁금해서 웹에 검색을 하니 camelcase급으로 표준화된 방식이다. 아니다 케이스 바이 케이스다. eslint라는 곳에서는 if 다음에 return이 있으면 else쓰지마라 라고도 하더라구요.질문 : 현업에서는 else를 지양하는 편인가요?
-
미해결더 자바, 코드를 조작하는 다양한 방법
JIT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안녕하세요, 백기선님.기존에 저는 JVM 내에서 JIT이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고 이해하고 있었는데요.자료(p.4)에서는 [실행엔진 : 인터프리터, JIT Compiler, GC ] 로 구성되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인터프리터와 JIT 컴파일러는 서로 분리되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맞고,바이트 코드를 실행할 때, JIT 컴파일러가 전체를 싹 훑고, 반복되는 코드에 대해 메모리에 캐싱을 진행한 후, 인터프리터가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읽어 나가다가, 반복되는 해당 지점에서 JIT Compiler가 다시 개입하여 캐싱된 코드를 꺼내오는 형태일까요? 이 부분이 조금 헷갈리기도 하고, 궁금하기도 합니다.혹은 어떤 문서를 보면 공부해볼 수 있을까요?(한국어 블로그에는 대부분 인터프리터와 JIT이 같다고 적어둔 경향이 많은 것 같고, 기선님께서 참고에 올려주신 글이나 해외 블로그에서는 둘을 분리해서 말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서 더 헷갈리는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아래 질문과 비슷한 내용이지만, 답변 달아주신 링크에 접속이 안되서 부득이하게 다시 질문 드립니다ㅠhttps://www.inflearn.com/questions/99765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테스트 컨텍스트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던중 테스트와 관련해서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일단 저는 현업에서 @SpringBootTest 를 사용하지 않고 서비스 계층은 목킹을 해서 별도의 스프링 컨텍스트를 사용하지 않고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컨트롤러 계층을 테스트 할 때인데요. @WebMvcTest 로 테스트를 할 때 하나의 컨트롤러를 테스트 할때는 상관이 없지만 통합테스트 형태로 모든 테스트를 실행시에는 @WebMvcTest 가 각각 달린 컨트롤러 테스트마다 별도의 스프링 컨텍스트가 뜨기 때문에 테스트가 느려지는데요. (모든 컨트롤러 테스트가 같은 빈 조합을 사용한다면 같은 컨텍스트를 사용하겠지만 그런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각각의 테스트 클래스마다 대부분 스프링 컨텍스트가 새로 뜨는거 같습니다.)그래서 하나의 추상 컨트롤러 테스트에만 @WebMvcTest 를 달고 여기에 모든 테스트 대상 컨트롤러를 다 추가하고 이 추상 클래스를 상속받아 각각의 테스트 클래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체 테스트 시에는 테스트 속도가 빠라졌지만, 이렇게 하다보니 하나의 컨트롤러 테스트를 할 때도 상속받은 추상클래스에 있는 모든 테스트 컨트롤러가 다 임포트 되어 하나의 컨트롤러 테스트가 너무 느려졌고, 단위 테스트의 의미가 사라지는거 같습니다. 혹시 이와 관련해서 좋은 방법이 없을까 해서 질문을 남깁니다. 그리고 @SpringBootTest 시에는 각각의 테스트 말고 전체를 테스트 할 때 @WebMvcTest 를 할 때처럼 스프링 컨텍스트가 여러개 떠서 테스트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없을까요? 항상 @SpringBootTest 는 무겁다는 생각 때문에 잘 사용을 안해서 궁금하네요. 그리고 현업에서 @SpringBootTest 를 자주 사용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저는 주로 @WebMvcTest, @DataJpaTest 이정도를 사용하고 도메인 계층은 일반 클래스 처럼, 서비스 계층은 모킹만 해서 스프링 도움없이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Form을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GetMapping("/members/new") public String createForm(Model model){ model.addAttribute("memberForm", new MemberForm()); return "members/createMemberForm"; }model.addAttribute를 사용하지 않고 일단 createMemberForm.html로 간 뒤에 form post로 데이터를 넘기면@PostMapping("/members/new") 컨트롤러가 비즈니스로직을 수행하면 되는 것 아닌가요? createMemberForm이라는 html에 new MemberForm()으로 객체를 넘길 수 있는 내부적인 원리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눈으로 확인
강의를 들으면서 h2 인메모리 기능을 보고 매우 좋은 기능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한편 "인메모리 h2 데이터베이스도 @Test를 이용해 삽입한 데이터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까?"에 대한 궁금증이 남더라구요.궁금해서 테스트해보았는데 데이터가 남지 않더라구요. 1. main의 application.yml에서 h2를 인 메모리로 바꾸고 서버를 실행하였습니다. (서버를 메모리상에서 계속 실행시켜두고 싶었습니다.)2. http://localhost:8080/h2-console에 들어가보니 테이블이 정상적으로 생성된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3.test의 application.yml애서 h2를 인메모리로 바꾸었습니다.->test의 application.yml의 ddl-auto를 none으로 하니 main에서 스프링을 실행시켜 서버를 구동하고 테이블을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Test는 서버를 찾지 못한다. 즉 main의 인메모리 서버와 Test의 인메모리 서버는 application.yml에서 이름을 동일하게 했음에도 작동을 안하는것을 보면 Test의 h2(인메모리)와 main의 h2(인메모리)는 독자적으로 작동한다.4.Test의 회원가입을 ROLLBACK을 false로 바꾸고 실행해 보았습니다. (이때 서버가 인메모리가 아닌 경우,즉 일반 TCP h2 서버에는 데이터가 테스트이후에도 남아있었습니다.)(Test의 ddl-auto는 create)->main(실제어플리케이션)와 @Test의 h2인메모리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ddl-auto값이 none이였으면 실패했을것이고 create이기때문에 테이블을 만들 수 있어 테스트가 실패하지않고 진행되었다.5.확인해보니 h2 인메모리 서버에는 데이터가 남아있지 않았습니다.->h2인메모리는 @Test와 main(실제어플리케이션)에서 각자 독자적으로 실행되기때문에 남지않는다.->h2를 인메모리로 할 경우 Test가 끝나면 삽입했던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삭제해버리기때문에 ROLLBACK을 false로 해도 인메모리 h2 서버에는 데이터가 남지 않는다.즉 tcp h2서버를 사용할때 @Test에서 rollback을 false로 해두면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가 삽입된걸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지만 @Test에서는 애초에 main과 다른 h2인메모리를 사용하고 테스트가끝나면 @Test의 인메모리h2를 삭제해버리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라고 이해를 했는데 옳바른 이해일까요?한편으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삽입 삭제하는걸 눈으로 확인 하고 싶을 것 같은데 h2데이터 베이스를 인메모리로 두면 확인이 안될것 같아서 불안할 것 같더라구요. 만약 현업에서 테스트를 한다면 인메모리보다는 아예 개발DB를 두고 테스트를 하기때문에 이러한 고민은 안해도 되는게 맞는거겠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가입 테스트 오류 발생 문의
안녕하세요,테스트 진행 중 오류가 발생하여 문의드립니다.회원가입을 테스트할 때 @Transactional을 주석처리하면 정상 작동되지만, 활성화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java.sql.SQLException: Connection is closed이것은 JdbcMemberRepository의 sava() 작성 내용입니다.@Transactional을 활성화하면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과 해결 방법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setter에 대해서 궁금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잘 듣고 있는 신입 개발자입니다 ㅎㅎㅎ..setter 사용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우선, 저는 setter 사용이 왜 안좋은지에 대해서 명확한 답을 얻지 못했습니다. 심지어 Java로 개발된 여러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 등에서 많은 setAttribute와 같은 메서드가 사용되는 것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Spring 역시도요.여러 블로그에 해당 주제에 대해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이유가 나옵니다.변경된 의도를 파악하기 어렵다.객체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어떤 class의 프로퍼티를 변경하려면 결국은 해당 클래스의 특정 메서드를 통해 변경을 해야합니다. 일반적으로 class의 변수는 private하게 선언되기 때문에요,즉 setAttribute를 쓰지않는다면,updateAttribute와 같은 별도의 메서드를 생성해서 변경해야 합니다.1. 변경된 의도를 파악하기 어렵다 의 이유라면, updateAttribute와 같은 메서드와 setAttribute와 같은 메서드의 readability의 차이가 있다는 말로 귀결되는데, 사실 저희가 setter에 대한 거부반응을 모두 지우고 두 메서드를 바라본다면 저는 차이를 느끼기 어렵습니다. 혹시 아닌가요...?2. 객체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의 이유라면, 객체를 Immutable하게 유지하기 위함인데, 때에 따라서는 이러한 전략이 필요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객체 값(프로퍼티)의 변경이 발생할 때 마다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한다는 말이 됩니다. 이거는... 많이 변경되어야 하는 객체라면 메모리 문제가 너무 커지지 않을까요?개인적으로 Builder와 생성자에 관한 것은 해당 문제와 연관성이 별로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위 두가지 이유가 결국 근거라고 생각해요. 강사님 역시 setter에 대해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한다고 말씀하셔서, 혹시 어떤 명확한 이유인지 궁금해서 여쭤보고 싶습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EntityGraph 이용시 컬렉션 페치조인의 경우 질문
안녕하세요!JPQL로 엔티티 페치조인이 아닌 , 일대다 입장에서 컬렉션 페치조인을 할 경우 -> 데이터 뻥튀기 문제가 발생하여 distinct 키워드로 뻥튀기된 데이터를 없애주어야 했느데요 , EntityGraph를 이러한 컬렉션 페치조인에 사용하여도 distinct를 쓴것 처럼 데이터 뻥튀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Propagation.REQUIRES_NEW 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선생님.다른 락에서는 트랜잭션에 Propagation.REQUIRES_NEW 를 사용하지 않았는데 namedLock 에서는 왜 사용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아래 질문 글 Yong.K 님의 질문의 답변에 관한 질문글 입니다 - flush관련
아래 질문글 Yong.K 님의 글에 대한 답변으로 ,JPQL이 실행되기 전 flush가 되지만이때 flush는 em.flush() 처럼 영속성 컨텍스트를 완전히 flush 시키는 것이 아니라 ,실행될 JPQL과 관련된 엔티티만 부분적으로 fluish 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하지만 이렇게 부분적으로만 flush 시킨다면 ,벌크연산 후 clearAutomatically에 의해 영속성 컨텍스트가 비워져 버리면 문제가 생길 수 있어,벌크연산의 옵션으로 flushAutomatically가 있고 - 이 옵션을 활성화 시키면 em.flush()를 호출한 것 처럼 완전히 flush 되는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벌크연산 사용시 flushAutomatically 옵션을 비활성화 시키고 - clearAutomatically 옵션만을 활성화 시킨다면 여전히 문제가 발생할 여지는 남아있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즉 그렇다면 결과적으로 clearAutomatically 옵션만 활성화 시키는게 아니라 , flushAutomatically 옵션도 함께 활성화시켜야 하는것은 아닌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리턴 값 생략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자바에서 코틀린으로 넘어가고 싶어 강의를 들으며 차근차근 공부중입니다.인텔리제이에서 option + command + v 단축키를 사용하면 바로 리턴 타입을 알 수 있어서 자바 개발을 할 때 자주 사용 했습니다. 하지만 코틀린은 기본적으로 타입의 명시가 생략되어 있어서 그런지 같은 단축키로 리턴타입이 나오지 않더라구요기존 자바의 경우"ABC".startsWith("A"); 에 option + command + v 를 사용하면boolean a = "ABC".startsWith("A"); 이렇게 startsWith()의 리턴 값이 boolean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코틀린의 경우val startsWith = "ABC".startsWith("A") 이렇게 나옵니다.제 생각에는val startsWith: Boolean = "ABC".startsWith("A")이런식으로 나와야 할 것 같은데 말이죠물론 메서드에 마우스를 올리면 리턴 타입을 알 수 있지만자바 개발하면서 익숙해진 단축키라 코틀린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그리고 실무에서 개발 할 때에도 리턴타입이 없다면 많이 불편할 것 같은데 아직 자바에서 벗어나지 못해하는 걱정인걸까요...?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MySQL과 Redis의 성능에 관하여 문의드립니다.
MySQL의 특징으로 어느 정도의 트레픽까지는 문제없이 활용 가능하다라고 설명해주셨는데 어느 정도를 수치로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그리고 Redis가 MySQL보다 절대적으로 성능이 뛰어난지, 아니면 특정 트래픽 이상부터 성능이 뛰어난게 체감이 되는건지도 궁금합니다.그리고 성능이라고 표현하신게 비용 대비 퍼포먼스인지, 속도만 놓고봤을 때 더 빠르다인지 모호한 감이 있어서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좋은 강의 촬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강의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TO를 이용해서 변경감지를 이런 식으로 하는지 검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강의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변경감지를 병합보다 추천하셔서 DTO를 사용해서 한 번 짜보았는데 봐주실 수 있나요? ```java package jpabook.jpashop.service;import lombok.Getter;import lombok.Setter;@Getter @Setterpublic class UpdateItemDto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price; private int stockQuantity; private String author; private String isbn;}```일단 UpdateItemDto는 간단히 Getter, Setter만으로 구성했습니다. @PostMapping("items/{itemId}/edit")public String updateItem(@PathVariable("itemId") Long itemId, @ModelAttribute("form") BookForm form) { UpdateItemDto updateItemDto = new UpdateItemDto(); updateItemDto.setId(form.getId()); updateItemDto.setName(form.getName()); updateItemDto.setPrice(form.getPrice()); updateItemDto.setStockQuantity(form.getStockQuantity()); updateItemDto.setAuthor(form.getAuthor()); updateItemDto.setIsbn(form.getIsbn()); itemService.updateItem(itemId, updateItemDto); return "redirect:/items";}위 코드는 ItemController 안의 updateItem 메소드입니다.@Transactionalpublic void updateItem(Long itemId, UpdateItemDto updateItemDto) { Item findItem = itemRepository.findOne(itemId); //findItem으로 찾아온 값은 영속상태 findItem.change(updateItemDto);}위 코드는 ItemService 클래스의 updateItem 메소드입니다. public void change(UpdateItemDto updateItemDto) {// if (updateItemDto.getId() != null) {// this.id = updateItemDto.getId();// } if (updateItemDto.getName().length() != 0) { this.name = updateItemDto.getName(); }// if (updateItemDto.getPrice() != null) {// this.price = updateItemDto.getPrice();// }// if (updateItemDto.getStockQuantity() != null) {// this.stockQuantity = updateItemDto.getStockQuantity();// } this.price = updateItemDto.getPrice(); this.stockQuantity = updateItemDto.getStockQuantity();// if (updateItemDto.getAuthor() != null) {// this.author = updateItemDto.getAuthor();// }// if (updateItemDto.getIsbn() != null) {// this.isbn = updateItemDto.getIsbn();// } }마지막으로 Item 클래스의 change 메소드입니다.Book의 상위 클래스이기 때문에 author과 isbn 필드가 없어서 이 change 메소드를 Book 클래스 내로 옮겨야 하는지 고민을 했습니다.그러나 그렇게 진행하면 부수적인 문제가 너무 많이 생겨 그냥 Item 클래스 내에 남기고 author와 isbn을 수정하는 기능은 없앴습니다.id는 바꿀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여 기능을 뺐습니다. Form에도 id를 수정하는 란은 없는데기존에 영한 님이 강의하실 때 ItemController 내에서 book.setId(form.getId)); 하셨는데 잘못된 부분인 것 같습니다.name같은 경우 String이라 웹 상에서 수정을 할 때 빈 칸으로 두면 null보다 empty string으로 받는 것 같아서updateItemDto.getName() != null 조건에 안 걸리는 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빈 칸을 empty string을 찾는 식으로짰습니다. 마지막으로 price와 stockQuantity는 int라서 != null 조건을 걸수가없는데웹 상에서 빈 칸일 때 이전 price와 stockQuantity를 유지하는 방법을 여쭤보고 싶습니다.결론적으로 제 질문은:1. UpdateItemDto의 경우 controller 패키지의 BookForm과 이름 외에 똑같은데 그래도 DTO 클래스를 따로 만드는데 의의가 있는건가요?2. ItemController 내에서 어설프게 Entity를 생성하지 말라고 하셨는데 DTO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괜찮은가요?3. 전반적으로 이런 방식으로 변경감지를 하는건지가 궁금합니다.4. change 메소드를 Item 밑에 두는게 맞는지 Book 밑에 두는게 맞는지?답변 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