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elivery에 있는 Address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Delivery에 Address가 있는데 이 값은 Delivery에 있는 Order를 참조하고 그 안에 있는 Member를 참조하면 가져올 수 있지 않나요 ? 참조가 너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Address를 Delivery에 선언하는건가요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BatchSize 와 컬렉션 페치조인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영한 강사님. 김영한님 강의를 열심히 수강하는 학생입니다. . 다름이 아니라 제가 "페치조인 2 - 한계" 챕터의 13분 부터 19분까지 진행되는 강의 내용중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이렇게 질문을 하려합니다. . 분명 강의 내용에서는 컬렉션을 페치조인 한 후 페이징 API를 사용할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BatchSize를 이용하는 방법이 소개되는데, 이 방법이 어떤 면에서 해결에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 컬렉션을 페치조인 한 후 페이징 API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1대다 조인으로 뻥튀기된 데이터들을 페이징API로 DB에서 잘라올 경우 JPA가 잘려진 데이터만 받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잘못된 정보를 내보낼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 그리고 @BatchSize는 LazyLoading 된 데이터들을 사용할때마다 가져오지 않고 한꺼번에 가져오는 역할을 담당하여 Lazyloading의 성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이것만 놓고 보면 @BatchSize가 컬렉션 페치조인의 페이징과 어느 면에서 관련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한꺼번에 가져오는 기능은 데이터가 잘려들어오는 것과 관련이 없어 보이거든요. 혹시 제가 잘못알고 있는걸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강사님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에 내부에 set과 add , get이 각각 들어갈때가 다르길때 혹시 어떤 경우일때 set이고 get인지 알고 싶습니다. 제가 생각했을때는 1) member엔티티와 order 엔티티 간 setMember메소드에서 member는 다대일 중 '다'이므로 setMember 메서드를 만들어야 했던건가요? 2) 마찬가지로 그렇다면 order와 orderItem 사이에서 orderItem은 일대다 의 '일' 이므로 addOrderItem()메서드가 생성되었다 생각을 했는데 그렇게 따지니 setDelivery() 메서드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일대일의 관계로 '일'에 위치해 addDelivery()인가 싶기도 하였으나 그렇지 않더라고요 ㅠㅠ 3) setDelivery()메서드는 set으로 시작하는 setMember() 메서드와 같은 방식으로 작성하는 것인가 했는데 메서드 내부에서는 this.delivery = delivery; //배송지 설정delivery.setOrder(this); 이렇게 set메서드와 add메서드가 섞여있는 것 같은데 이해가 많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혹시 이에 관해서 답변해주실 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postgres 관련 공간 쿼리 가능 여부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주로 postgresql 을 사용하는데 공간 데이터 관련 postgis 공간 함수나 postgres의 with recursive 같은 구문을 사용해야 할 일들이 있는데 이런것들도 querydsl 을 사용하면 쓸 수 있을까요? 아니면 이런 것들은 네이티브 쿼리나 jdbc 템플릿, 마이바티스 등등.. 어떤걸 사용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localhost:8083/connectors 호출시 에러가 발생합니다.
wsl2 리눅스에서 서버를 startup 하였고 정상적으로 실행은 되었습니다. startup 후에 localhost:8083/connectors호출 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org.apache.kafka.connect.errors.ConnectException: Failed to find any class that implements Connector and which name matches io.confluent.connect.jdbc.JdbcSourceConnector, available connectors are: PluginDesc{klass=class org.apache.kafka.connect.file.FileStreamSinkConnector, name='org.apache.kafka.connect.file.FileStreamSinkConnector', version='6.1.0-ccs', encodedVersion=6.1.0-ccs, type=sink, typeName='sink', location='classpath'}, PluginDesc{klass=class org.apache.kafka.connect.file.FileStreamSourceConnector, name='org.apache.kafka.connect.file.FileStreamSourceConnector', version='6.1.0-ccs', encodedVersion=6.1.0-ccs, type=source, typeName='source', location='classpath'}, PluginDesc{klass=class org.apache.kafka.connect.mirror.MirrorCheckpointConnector, name='org.apache.kafka.connect.mirror.MirrorCheckpointConnector', version='1', encodedVersion=1, type=source, typeName='source', location='classpath'}, PluginDesc{klass=class org.apache.kafka.connect.mirror.MirrorHeartbeatConnector, name='org.apache.kafka.connect.mirror.MirrorHeartbeatConnector', version='1', encodedVersion=1, type=source, typeName='source', location='classpath'}, PluginDesc{klass=class org.apache.kafka.connect.mirror.MirrorSourceConnector, name='org.apache.kafka.connect.mirror.MirrorSourceConnector', version='1', encodedVersion=1, type=source, typeName='source', location='classpath'}, PluginDesc{klass=class org.apache.kafka.connect.tools.MockConnector, name='org.apache.kafka.connect.tools.MockConnector', version='6.1.0-ccs', encodedVersion=6.1.0-ccs, type=connector, typeName='connector', location='classpath'}, PluginDesc{klass=class org.apache.kafka.connect.tools.MockSinkConnector, name='org.apache.kafka.connect.tools.MockSinkConnector', version='6.1.0-ccs', encodedVersion=6.1.0-ccs, type=sink, typeName='sink', location='classpath'}, PluginDesc{klass=class org.apache.kafka.connect.tools.MockSourceConnector, name='org.apache.kafka.connect.tools.MockSourceConnector', version='6.1.0-ccs', encodedVersion=6.1.0-ccs, type=source, typeName='source', location='classpath'}, PluginDesc{klass=class org.apache.kafka.connect.tools.SchemaSourceConnector, name='org.apache.kafka.connect.tools.SchemaSourceConnector', version='6.1.0-ccs', encodedVersion=6.1.0-ccs, type=source, typeName='source', location='classpath'}, PluginDesc{klass=class org.apache.kafka.connect.tools.VerifiableSinkConnector, name='org.apache.kafka.connect.tools.VerifiableSinkConnector', version='6.1.0-ccs', encodedVersion=6.1.0-ccs, type=source, typeName='source', location='classpath'}, PluginDesc{klass=class org.apache.kafka.connect.tools.VerifiableSourceConnector, name='org.apache.kafka.connect.tools.VerifiableSourceConnector', version='6.1.0-ccs', encodedVersion=6.1.0-ccs, type=source, typeName='source', location='classpath'} at org.apache.kafka.connect.runtime.isolation.Plugins.connectorClass(Plugins.java:208) at org.apache.kafka.connect.runtime.isolation.Plugins.newConnector(Plugins.java:180) at org.apache.kafka.connect.runtime.AbstractHerder.getConnector(AbstractHerder.java:572) at org.apache.kafka.connect.runtime.AbstractHerder.validateConnectorConfig(AbstractHerder.java:342) at org.apache.kafka.connect.runtime.AbstractHerder.lambda$validateConnectorConfig$1(AbstractHerder.java:326) at java.util.concurrent.Executors$RunnableAdapter.call(Executors.java:511) at java.util.concurrent.FutureTask.run(FutureTask.java:266) at java.util.concurrent.ThreadPoolExecutor.runWorker(ThreadPoolExecutor.java:1149) at java.util.concurrent.ThreadPoolExecutor$Worker.run(ThreadPoolExecutor.java:624) at java.lang.Thread.run(Thread.java:748)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select 조회 성능 관련 질문
1. 일반 db에서 select * from 보다 select 칼럼명 from 보통 후자의 방법으로 원하는 칼럼들만 부르는 게 성능 면에서 더 뛰어난 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2. 복잡한 테이블에서 전체 칼럼의 갯수가 20~30개가 넘어가면 fetch join 방식보다 DTO로 직접 조회하시는 방법을 쓰시는지 궁금합니다. (fetch join으로 해도 성능이 원하는 만큼 안 나올때 DTO로 직접 조회 하시는건가요?) 3. JPA 관점에서 복잡한 테이블이나, 컬렉션 조회는 강좌에서처럼 최적화를 할 수 있지만. 일반 테이블 jpa에서는 보통 전체 엔티티를 불러올 수 밖에 없던데 1)전체 엔티티를 조회했을 때와 2)원하는 칼럼들만 조회했을 때의 성능차이가 미비한지 궁금합니다. 4. spring data jpa에서 Projections로 원하는 칼럼만 조회할 수 있던데 실무에서는 엔티티가 한 개이면서도 단순할 때 성능을 위해 많이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잘 와닿지가 않습니다ㅠㅠ
결국에는 Team엔티티의 Members 컬렉션을 수정했는데 쿼리는 Member에 관한 쿼리가 나가서 헷갈리기 때문에 연관관계를 정확하게 잡고 주인 쪽에서만 등록 및 수정이 가능하게 해주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질문입니다.
어떤 엔티티 클래스에 작성해야하나요? Order에 ManyToOne으로 묶여있는 member OneToMany로 묶여있는 OrderItems 둘다 작성이 돼 있어서 어떤 규칙으로 어떤 엔티티 클래스에 작성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 편의메서드 .
안녕하세요 JPA 활용 1편을보고 넘어왔습니다.. 1)질문 그렇나 현재 아직 이해못한점이 연관관계 편의메서드를 사용하면 어느면서에서 이점이 발생하는지 잘모르겠습니다.. 양방향관계시 연관관계메서드 에서 public void setTeam(Team team){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team.getMembers().add(this); 이부분이 team 엔티티에서도 Member의 값을 가질수있도록 하는것으로 보여집니다만 team.getMembers().add(this); 이부분이없어도 Team team = em.find(Team.class, teamA.getId()); System.out.println("연관관계"+team.getMembers()); team.getMembers() 를해도 값이 잘 보여집니다.. 어느면에서 편의가 발생하는지 감이잘 안잡힙니다 ㅠ.. 2)질문 일대 다 관계에서 페치조인 쿼리로 페이징을하면 데이터 뻥튀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직접 확인을해보고있는데욥 Team teamA = new Team(); teamA.setName("팀A"); em.persist(teamA);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Username("회원1"); member1.setAge(10); member1.setTeam(teamA); em.persist(member1); Member member7 = new Member(); member7.setUsername("회원7"); member7.setAge(10); member7.setTeam(teamA); em.persist(member7); String query = "select t from Team t join fetch t.members"; List<Team> result = em.createQuery(query,Team.class) .setFirstResult(0) .setMaxResults(1) .getResultList(); for (Team team : result) { System.out.println("팀이름 = " + team.getName()); for (Member member : team.getMembers()){ System.out.println("------------> member = " + member); } } 결과 딱이렇게 나왔는데 이것이 뻥튀기가 된결과인가요? 어느부분에서 위험한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제생각으로는 0번인덱스 페이지에 팀의값 1개가 잘 출력됫다고 생각되거든요 아니라면 팀에 맴버의 값을 1개만 출력해야하는데 두개가 출력이되어서 문제인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xception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매번 강의를 보고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다른분들의 질문을 보고 저도 모르는걸 새로 배워가고있는데요 질문글 중 ====================================== 실무에서 보면 throw new xxxxException을 했을 경우 이를 호출하는 메서드에 뻘겋게 throw하거나 try catch하라고해서 똑같이 throw해주거나 했던거같은데... MemberService는 왜 이런게 없을까요? ============================== 라는 내용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구글링으로 checked와 unchecked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만 checked는트랜잭션에서 롤백이 안되고 unchecked는 롤백이 된다고 하는걸 알았습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강의 18:17에 validateDuplicateMember 매소드 내에서 if(!findMember.isEmpty() 일 경우 uncheck 예외를 던지게 됩니다. 같은 Unchecked인 IndexOutOfBoundException의 경우 배열의 크기를 잘못 접근하면 try catch로 묶지 않았을 경우 프로그램이 종료가 되더라구요, 하지만 RunTimeException을 상속받는 IllegalStateException은 따로 try catch문으로 잡아주지 않아도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고 예외가 발생하면 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라는 로그를 볼 수있습니다. 스프링 내부 어디선가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을 받아주는것인가요? 받는다면 어디서 받아주는 것인가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fetchJoin() 에러 발생
안녕하세요 fetchJoin() 할 때 에러가 발생하는데 해결방법을 찾을 수 없어 조언을 구합니다 정상 동작 query.from(A) .leftjoin(A.B , B).fetchJoin() 에러 발생 query.from(A) .leftjoin(A.B , B).fetchJoin() .leftjoin(A.B.C , C).fetchJoin() fetchJoin할 때 엔티티 탐색(?)이 1단계 더 생기면 아래 에러가 발생합니다 도저히 해결이 안되네요 비슷한 질문이 있었는데 dto도 아닌 것 같네요 관계설정은 잘 한 것 같은데 전부 many to one > many to one으로 나아갑니다 org.hibernate.QueryException: query specified join fetching, but the owner of the fetched association was not present in the select list [FromElement{explicit,not a collection join,fetch join,fetch non-lazy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Form? Dto?
강의에서 구현한 MemberForm이 Dto와 같은 개념인가요? MemberForm을 사용하신 이유에 대해 설명하신것을 들어보면 Dto와 같은 것 같은데 만약 같은것이면 왜 Dto라 명명하지 않으신건지, 혹은 Dto와 다른 개념이면 어떤 점이 다른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선생님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제가 강의를 보고 공부하던도중 8:14분에 있는 정규식과 닉네임의 제출양식이 같아야하는부분에서 must match~라고 빨간 오류를 내주는 부분에서 저는 가입하기 버튼을 눌렀을때 오류를 내지않고 그냥 인덱스 페이지(/)로 그냥 정상적으로 보내버려서 오늘 하루동안 이 오류를 계속 잡고 있다가 디버깅, 코드 비교 5번, 인텔리제이 재설치 pom.xml 파일 똑같이 맞추기 별 방법을 해봐도 안됬는데 선생님께서 제공해주신 완성된 소스코드의 첫 커밋으로 체크아웃하여 스프링 버전을 선생님의 스프링 버전인 2.2.4에서 제가 강의를 들으며 직접 코드를 따라치던 스프링의 버전인 2.5.2로 변경을 하고나니 선생님꺼의 완성코드 프젝에서도 저런 must match오류 구문이 안나타나고 그냥 인덱스페이지로 이동을 시키는 현상이 똑같이 나타났습니다. 제가 이 현상을 보고 오류의 원인이 스프링 버전차이라고 확신을 하게되었는데요 제 인텔리버전은 21.2EAP버전입니다 근데 스프링 프젝을 처음만들때 2.2.4버전으로 만드는 탭이 아예없어서 앞으로 스프링 프젝을 2.5이상 버전으로 해야할거같은데 이런 버전차이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을 어떻게 해결할수 있을까요? 그리고 @Pattern 어노테이션 뿐만아니라 @Length어노테이션에도 min = 3, max = 5를 주고 5개를 훨씬넘게 입력을 했는데도 오류를 잡아주지않았습니다. P.S 제가 직접 보고 따라쳤던 타이핑버전의 소스코드를 그대로 선생님꺼 완성된프젝에 옮겨서 실행했는데 정상작동이 됬습니다. 이 말은 제가 타이핑친 소스코드에 정말 문제가 없다는 거여서 제가 버전차이의 문제라고 확신을 하게되었습니다. 아 그리고 EAP버전이여서도 아닌게 제가 재설치를 하기전까지는 EAP버전이 아니였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비즈니스 로직을 카프카로 동기화하는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 질문 : 주문을 함으로써 제품 수량이 감소한다는 것은 비즈니스 로직(요구사항)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도메인 주도 패턴에서는 주문 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 제품 재고 정보가 같이 업데이트 되는 것이 하나의 트랜잭션에 묶일 것 같습니다. 이번 카프카 데이터 동기화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트랜잭션에 묶지 않고 별도로 후속 동기화 처리를 하는 부분을 설명해주셨습니다. MSA에서는 제품(카탈로그) 서비스 조직과 주문 서비스 조직이 분리되어 있다는 전제 하에 주문을 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재고 관리는 제품 서비스 조직에게 일임하는 것인가요? 주문 서비스 팀은 주문을 했다는 사실을 메시지 큐 토픽에 전달함으로써 로직을 마치고, 이후 제품 서비스나 그 외 다른 서비스 팀이 해당 정보를 가지고 재고 관리 등 후처리를 하는 형태인 것인가요? 모노리틱 환경에서만 작업을 해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트랜잭션 부분에 대해서 ACID나 BASE라는 용어를 이해는 해도 이를 실무에 적용하는 부분에 대해 애매한 경계선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다시 질문: 1. 트랜잭션으로 묶는 기준이 있을까요? 2. REST로 제품 서비스를 업데이트 하는 로직을 직접 수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까요? 3. 데이터 동기화는 향후 제품 서비스 외 확장을 고려하는 것이 목적인가요? 질문이 길어졌는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메소드와 setter
엔티티에서 Setter 를 사용하지 않아야 변경점을 줄일 수 있어 유지보수 할 때 유리하다고 하셔서 최대한 사용을 자제하려고 하는데요, 연관관계 메소드를 만들 때, setter 를 사용해서 만드셨는데 없이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Order - Delivery 연관관계 메소드 public void setDelivery(Delivery delivery){ this.delivery = delivery; delivery.setOrder(this); // Delivery 의 setter 사용 }
-
미해결
JPA 1:1 연관관계 설정
안녕하세요 양방향 1:1 연관관계 관련되서 이해가 잘 되지않아 문의드립니다! 부모 entity, 자식 entity가 무조건 1:1 관계인 경우 자식은 없을 수 도 있지만 부모는 항상 존재해야함으로 부모 entity가 주최가 되는게 맞는걸로 알고있는데 자식이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등록 시 부모 테이블에만 등록이 되는데 엔티티 설정이 잘못된 부분이 어디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UBLIC) @Entity @Table(name = "TB_MANAGER") @DynamicInsert @DynamicUpdate @JsonInclude(JsonInclude.Include.NON_EMPTY) public class Manag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MANAGER_KEY") @ApiModelProperty(value = "관리자 시퀀스", hidden = true, name = "managerKey") private Long managerKey; @Column(name = "MANAGER_ID") @ApiModelProperty(value = "관리자 아이디", name = "managerId") private String managerId; @Column(name = "PASSWORD") @ApiModelProperty(value = "비밀번호", name = "password") @JsonProperty(access = JsonProperty.Access.WRITE_ONLY) private String password; @Column(name = "NAME") @ApiModelProperty(value = "이름", name = "name") private String name; @OneToOne(fetch = FetchType.EAGER) @JoinColumn(name = "MANAGER_KEY") private ManagerSub managerSub; } @G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UBLIC) @Entity @Table(name = "TB_MANAGER_SUB") @DynamicInsert @DynamicUpdate @JsonInclude(JsonInclude.Include.NON_EMPTY) public class ManagerSub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MANAGER_SUB_KEY") @ApiModelProperty(value = "zzz", hidden = true, name = "managerSubKey") private Long managerSubKey; @Column(name = "MANAGER_KEY") private Long managerKey; @Column(name = "COUNT") @ApiModelProperty(value = "수", name = "count") private Long count; @Column(name = "PHONE") @ApiModelProperty(value = " 전화번호", name = "phone") private String phone; @OneToOne(cascade = CascadeType.ALL, 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ANAGER_KEY", insertable = false, updatable = false) private Manager manager;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의 주인을 다시들어봐도 잘이해하지 못하는 지점 ㅠㅠ
안녕하세요 강의 잘듣고있는 1인입니다. 1 == Member N == Address 1:N 단방향 oneToMany 방향 관계에서요 객체에서는 1이 관계의 주인(외래키)이지만 DB에서는 N이 외래키를 들고있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객체상을 기준으로 1:N 에서 외래키를 쥐고있는 Member(1)쪽이 변경할수있는 권한이있고 Address(2)쪽에서는 조회만 가능한건가요? (디비에서는 다르게 동작하지만)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1.Exception 관련, 2. Item에 정의한 메서드
1.MemberService에 이 메서드도 Exception에 두어도 될까요?validateDuplicateMember2.Item에 정의한 재고수량/제거 메서드를 Member와 같이 ItemService를 만들어 여기에 둔다면 조금 어색한 느낌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GET에서 던져준 new Form과 POST에서 제출된 Form간의 연관관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훌륭한 강의.. 완강하고 공부하던중 문득 의문이 들었습니다. GET에서 던져준 Form과 POST의 Form은 같은 객체일까? 하고 보니 다른 주소값의 객체이더라구요. 혼자 고민을 조금 해보았습니다. 생각해보니 POST에서 넘어온 것은 JSON형태의 데이터를 객체화?? 시켰을 뿐인 것일테니 당연한 결과 이겠더라구요.. 이어서 궁금한것은 GET에서의 Form의 역할 입니다. 그저 어떤 필드가 정의되어 있는지 알려줄 뿐인걸까요?? 그 대상은 타임리프인?? 그렇다면 BookForm.class 나 다른 방법을 통해 알려 줄 수 있을텐데 이런 방법을 택한 이유가 뭘까요?? 메모리 낭비와 코드의 간결함(가독성과 개연성 있는 문맥)을 저울질 했을 때 후자가 훨씬 가치 있는 거라서 그런걸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순서가 이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1. EntityTransaction.commit 하면 flush() 가 먼저 일어난다. 2.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는 변경 내용을 DB에 동기화한다. (쓰기지연SQL에 있는 SQL을 전송한다. , 저장은 안됌!) 3. 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의 Commit을 하여 저장이된다. 이렇게 이해했는데 맞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