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ftereach 적용하지 않아도 테스트가 정상작동됩니다.
현재 복습중입니다. 12분 34초에 나오는데, 분명 예전에는 @AfterEach 를 넣지 않으면 repository에서 기존 값들이 지워지지 않아 테스트에 오류가 생겼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AfterEach에서 clear 해주지 않아도 알아서 다른 테스트들에서 저장한 값들이 저장되지 않는데, 기본 구조가 바뀐 걸까요? 예를 들면 findAll에서 repository에 멤버1, 멤버2를 저장했습니다. 그러면 레포지토리의 사이즈는 2가 되어야 하는데, 다음 테스트 맨 처음에 repository.size를 출력해주면 0이 나옵니다.
-
해결됨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2-12 멘토링 문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 멘토링 문제에서 만약 A학생이 멘토이고, B학생이 멘티가 되는 짝이 되었다면, A학생은 "M번의" 수학테스트에서 "모두" B학생보다 등수가 앞서야 합니다. 라고 나옵니다. 주어진 테케에서 (문제에 주어진 테케) 4 3 3 4 1 2 4 3 2 1 3 1 4 2 (문제 해설) 출력설명 (3, 1), (3, 2), (4, 2)와 같이 3가지 경우의 (멘토, 멘티) 짝을 만들 수 있다. 라고 나옵니다. 근데 (3번학생,1번학생) , (3번학생,2번학생) , (4번학생,2번학생) 3 1 4 2 에서 3번학생은 1번학생 보다 등수가 높지 않아 "모든 m번의 경우"에서 앞선다라는 문제 조건에 위배 되지 않나요? (3,2) , (4,2)도 마찬가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p 값을 Integer.MAX_VALUE 할 경우
안녕하세요. int p = Integer.MAX_VALUE; 라고 두고 코드를 짰는데 결과값이 -2147483648 0 1 2 1 0 1 2 2 1 0 이렇게 나옵니다. 게다가 정수 최대값으로 설정했는데 결과는 음수값으로 나오네요. 왜 그러는 걸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jpql 페치조인
안녕하세요 영한님 감사합니다 첫번째 : new 명령어를 사용해서 JPQL의 결과를 DTO로 즉시 반환하면 SELECT 절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선택하므로 네트워크 용량을 최적화 할수 있다고 해주셨는데 뒤로 돌아가서 JPQL 페치조인도 마찬가지로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선택해 보고싶어서 이런식으로는 못하나요 ? 테스틀 해봤는데 에러가 나서 질문드립니다. ======================================== 두번쨰 : 18:40 설명은 xToOne 관계에선 페치조인이 필요 없다고 이해 하면 되는거죠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warning
스프링부트 gradle 2.6.2 버전인데 설치하고 나서 기본 세팅된 프로그램 돌려봤는데 다음과 같은 워닝이 떠요 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warning: Options -Xverify:none and -noverify were deprecated in JDK 13 and will likely be removed in a future release.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concat() stringValue 나이를 완전히 가져오지 못합니다.ㅠㅠ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concat을 사용해서 stringValue를 활용할 때 나이를 다 가져오지 못하고 맨 앞에 있는 숫자만 가져오는데 왜 그럴까요ㅠㅠ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상속 매핑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영한님 서포터즈님들 상속 매핑에 대해 예제를 작성하는 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제가 게시판을 생성해서 게임 게시판. 일정 게시판 등 종류 별로 만들 때,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게 효율적인가 생각해보았습니다. 현재 자식 게시판들은 모두 같은 필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부모 게시판에 있는 필드만을 사용합니다. 1. SINGLE TABLE 전략 해당 전략을 사용하게 된다면 부모 테이블에 자식 테이블의 필드들이 한 테이블에 있게 됩니다. 특정 게시판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모든 게시판 객체를 가져올텐데, 시스템의 규모가 크지 않고, join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현재는 해당 방법이 효율적이라 생각합니다. 2. JOIN TABLE 전략 추후에 게시판들이 늘어나게 되고, 다른 게시판 종류의 추가로 필드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고 가정해봤습니다.(확장성 고려) 그렇다면 1번 전략을 사용할 때, 특정 게시판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모든 게시판을 다 탐색해야하는데,조인 전략을 사용하게 되면 특정 게시판을 조회할 때 그 특정 게시판 테이블만 조회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게시판들이 늘어나게 되면 해당 방법이 효율적이라 생각합니다.결론 그래서 제가 예제를 만들 때 사용한 전략에 대해 저 자신을 위와 같은 이유로 납득시켰는데 이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렇다면 결국 대부분의 실무에서는 JOIN 전략을 사용할 수 밖에 없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OrderItems까지 같이 조회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답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OrderItems까지 같이 조회되는 이유가 궁금해서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GetMapping("/api/v1/simple-orders")public List<Order> ordersV1() { List<Order> orders = orderService.findOrders(new OrderSearch()); orders.forEach(order -> { order.getMember().getName(); order.getDelivery().getStatus(); }); return orders;} V1 컨트롤러는 다음과 같습니다. @Entity@Getter@Setter@NoArgsConstructor@AllArgsConstructor@Table(name = "orders")public class Ord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order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OneToMany(mappedBy = "order", 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ALL) // order가 만들어지면 orderItem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영속성 전이한다.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Delivery delivery;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OrderStatus status; ORDER는 다음과 같습니다. @Entity@Getter@Setterpublic class OrderIte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orderitem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item_id") private Item item; @JsonIgnor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order_id") private Order order; private int orderPrice; private int count; ORDER_ITEM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V1 컨트롤러를 통해서 쿼리를 날리면, 뒤늦게 Lazy Loading을 통해서 Order_Item들이 프록시 초기화가 되는 것처럼 나갑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프록시가 초기화도 되어있지 않습니다.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1. Order_Items는 Lazy Loading 설정이 되어있고, 프록시 객체를 강제 초기화 하는 과정도 없습니다. 그런데 왜 select 쿼리가 나가게 되는 것인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2. orderItem에 대한 select 쿼리가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응답에 있는 값은 null입니다. 이 경우는 어떻게 이해를 해야할까요? 항상 좋은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Transactional이 생략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에는 @Transactional이 생략되는 이유가 궁금해서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GetMapping("/api/v4/simple-orders")public List<SimplerOrderQueryDto> ordersV4() { return orderSimpleQueryRepository.findOrderDtos(); } @Repository@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OrderSimpleQuery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ublic List<SimplerOrderQueryDto> findOrderDtos()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new jpabook.jpashop.repository.order.simplequery.SimplerOrderQueryDto(o.id, m.name, o.orderDate, o.status, d.address) from Order o" + " join o.member m" + " join o.delivery d", SimplerOrderQueryDto.class ).getResultList(); }} V4 컨트롤러를 개발할 때 궁금한 내용입니다. em.createQuery를 만들어서 dto를 바로 조회해오는 내용입니다. 제가 궁금한 부분은 @Transactional이 없어도 정상동작하는 부분입니다. 위 코드 상에는 어디에도 tx.begin() / tx.commit()이 되어있는 부분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트랜잭션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JPA가 DB 커넥션을 얻지 못한 상황으로 보이는데, DB에서 값을 읽어오고 있습니다. 혹시 어떤 조화로 이렇게... 트랜잭션 없이 값을 불러오는것인지.. 그리고 영속화가 되고 있는것인지를..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실무에서 사용되는 Setter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Setter를 열어 둘 경우 엔티티에 변경으로 인한 유지보수가 힘들다고 말씀해주셨는데 혹시 Setter를 다 닫고 필요한 것만 연다거나, 비즈니스 메서드를 만드는 예제를 참고할 만한게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오답이 아닌데 오답인 이유 ..
import java.util.Scanner;public class Main { public int solution(String[] str, char word){ int count =0; for (String s : str) { if (s.toLowerCase().charAt(0)==word){ count++; } } return cou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ch = new Main();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tr = sc.nextLine().split(""); char word = sc.nextLine().charAt(0); System.out.println(ch.solution(str, word)); }} 위 풀이가 왜 오답이라고 나오는건가요? .. 풀이도 정해져있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batchSize 원리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BatchSize를 이용하여 최적화를 하다가 문득 깊은 내용을 알고싶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폴더 안의 폴더를 만드는 구조인데요 다음의 상하 관계를 가진 폴더가 총 13개 있습니다. 이 13개의 폴더 정보를 받아 위의 그림의 구조로 저장을 하고 싶었습니다 . @Getter@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Entitypublic class Fold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SEQUENCE) @Column(name = "FOLDER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부모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PARENT_ID") private Folder parent; // 자식 @BatchSize(size = 900) @OneToMany(mappedBy = "parent") private List<Folder> children; @Builder private Folder(String name, Folder parent) { this.name = name; this.parent = parent; } } 그래서 Folder라는 엔티티를 self reference하도록 구성을 했구요 @BeforeEachpublic void setUp() throws Exception { Folder aFolder = Folder.builder() .name("A") .build(); Folder bFolder = Folder.builder() .name("B") .parent(aFolder) .build(); Folder bChild1 = Folder.builder() .name("BChild1") .parent(bFolder) .build(); Folder bChild2 = Folder.builder() .name("BChild2") .parent(bFolder) .build(); Folder bChild3 = Folder.builder() .name("BChild3") .parent(bFolder) .build(); Folder cFolder = Folder.builder() .name("C") .parent(aFolder) .build(); Folder cChild1 = Folder.builder() .name("CChild1") .parent(cFolder) .build(); Folder cChild2 = Folder.builder() .name("CChild2") .parent(cFolder) .build(); Folder cChild3 = Folder.builder() .name("CChild3") .parent(cFolder) .build(); Folder dFolder = Folder.builder() .name("D") .parent(aFolder) .build(); Folder dChild1 = Folder.builder() .name("DChild1") .parent(dFolder) .build(); Folder dChild2 = Folder.builder() .name("DChild2") .parent(dFolder) .build(); Folder dChild3 = Folder.builder() .name("DChild3") .parent(dFolder) .build(); folderRepository.saveAll(Arrays.asList(aFolder, bFolder, cFolder, dFolder, bChild1, bChild2, bChild3, cChild1, cChild2, cChild3, dChild1, dChild2, dChild3)); em.flush(); em.clear();} 이렇게 저장을 한 후 @Test@DisplayName("bfs 알고리즘 적용 테스트")@Transactional@Commitpublic void bfsTest() throws Exception { // given Queue<Folder> queue = new LinkedList<>(); Folder deleteFolder = folderRepository.findById(1L).get(); queue.offer(deleteFolder); List<Folder> tempFolders = new ArrayList<>(); tempFolders.add(deleteFolder); int i = 0; // when while(!queue.isEmpty()) { System.out.println("i = " + i); Folder pollFolder = queue.poll(); List<Folder> folders = pollFolder.getChildren(); for (Folder folder : folders) { queue.offer(folder); } tempFolders.addAll(folders); i++; } // then Collections.reverse(tempFolders); folderRepository.deleteAll(tempFolders); em.flush();} 위의 코드처럼 테스트 코드를 짯습니다 그러니 select 쿼리가 많이 줄어든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22-01-13 23:25:04.471 DEBUG 21588 --- [ main] org.hibernate.SQL : select folder0_.folder_id as folder_i1_1_0_, folder0_.name as name2_1_0_, folder0_.parent_id as parent_i3_1_0_ from folder folder0_ where folder0_.folder_id=? 2022-01-13 23:25:04.492 DEBUG 21588 --- [ main] org.hibernate.SQL : select children0_.parent_id as parent_i3_1_1_, children0_.folder_id as folder_i1_1_1_, children0_.folder_id as folder_i1_1_0_, children0_.name as name2_1_0_, children0_.parent_id as parent_i3_1_0_ from folder children0_ where children0_.parent_id=? 2022-01-13 23:25:04.498 DEBUG 21588 --- [ main] org.hibernate.SQL : select children0_.parent_id as parent_i3_1_1_, children0_.folder_id as folder_i1_1_1_, children0_.folder_id as folder_i1_1_0_, children0_.name as name2_1_0_, children0_.parent_id as parent_i3_1_0_ from folder children0_ where children0_.parent_id in ( ?, ?, ? ) 2022-01-13 23:25:04.501 DEBUG 21588 --- [ main] org.hibernate.SQL : select children0_.parent_id as parent_i3_1_1_, children0_.folder_id as folder_i1_1_1_, children0_.folder_id as folder_i1_1_0_, children0_.name as name2_1_0_, children0_.parent_id as parent_i3_1_0_ from folder children0_ where children0_.parent_id in ( ?, ?, ?, ?, ?, ?, ?, ?, ? ) 총 이렇게 4개의 쿼리가 나갔는데요 서론이 길었습니다 선생님 제가 질문할 것은 이겁니다 @BatchSize를 설정하면 하이버네이트는 어떤 알고리즘으로 저 in절의 아이디 값들을 넣는 것일까요> 자료를 찾아봐도 나오는데가 없었고 저스스로 고민을 했을 때는 <1번> 첫번째 select 쿼리가 나갔을 때 A폴더(id = 1)가 영속화 된다. <2번> 2번째 select 쿼리가 나갔을 때 B,C,D 폴더 즉 id가 2,3,4인 폴더들이 영속화가 된다. -> 따라서 3번째 select 쿼리에서 in절의 id들은 이 2,3,4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의 의문점 그럼 앞서 영속화된 A폴더의 id = 1은 안 집어 넣는 알고리즘은 또 뭘까) 이렇게 생각했는데 과연 맞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DB url에서 막혀요ㅠㅠ
Database "mem:ea62e49b-fd2d-4217-8245-939ed574682c" not found, either pre-create it or allow remote database creation (not recommended in secure environments) [90149-200] 90149/90149 (도움말) 자꾸 이런 오류가 떠요ㅠㅠ
-
미해결실전! Querydsl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jpaQueryFactory .selectFrom(member) .fetch();jpaQueryFactory .selectFrom(member) .fetch();이런식으로 테스트 코드를 짠 후 실행시켰는데select문이 2번 나갔습니다.제가 이해한 바로는 select문이 한번 나가고 2번째 쿼리에 대해서는 영속성 컨텍스트 1차 캐시에서 가져와서select문이 안나가야 하는데2번 나간게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port in use 8080 에러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문제가 생겨서 연락드렸습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8080 포트를 이미 사용중이라는 에러를 보고 해결해보려고 cmd의 netstat -ano 명령어를 사용했습니다. 사진처럼, 8080포트를 사용중인 프로세스가 없는데 ide를 실행하면 8080이 이미 사용중이라고 뜨네요... stackoverflow에서 프로세스에 javaw가 동작하고 있을수도 있다고 해서 해당 프로세스를 찾아봤지만 없었습니다. 재부팅, ide 껏다 키기 등등으로도 해결이 안되는데 그냥 포트를 임의로 8090으로 변경해서 사용하는게 답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Dto를 다 다르게 만들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JPA와 관련된 질문은 아닌거 같은데 강의를 보다가 항상 궁금했던 점이 언급되어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엔티티를 그대로 클라이언트로 넘기면 엔티티가 변경되었을때 API 스팩이 변경되기 때문에 DTO로 변환해서 넘겨줘야 한다고 하셨는데 예를들어 만약에 10개의 API가 Member 정보를 필요로 할 경우(Member 엔티티의 필드가 약 20개 정도 된다고 가정) 각 API 마다 MemberDto 클래스를 모두 생성하고 각 MemberDto에 Member엔티티를 dto로 매핑하는 로직을 모두 작성해야 하나요..? 10개 모두 생성해서 사용하려 하니 클래스 네이밍도 어렵고 코드 중복이 너무 많아지는것 같고,10개 API 에서 필요로하는 Member 정보를 모두 담은 하나의 MemberDto를 만들어 사용하려 하니 엔티티를 사용할 때의 문제와 같이 MemberDto를 변경하면 10개 API 스팩이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제가 생각했을때 제일 최선의 방법은 API마다 리스폰VO 클래스를 만들고 해당 클래스에 static inner 클래스로 MemberDto를 선언하는것인데.. 혹시 실무에서 사용하는 best practice가 어떤거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mapper 문의
이번 강의로 자신감을 얻고 spring-data-jpa로 시스템 구축 해보려고 합니다. 하나하나 신중히 접근중입니다. ㅎㅎ DTO <--> Entity 변환시에 modelmapper, mapstruct 중에 어느걸 많이 사용하시나요? 혹시 강사님은 현업에서 어떤걸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QueryDsl compile이 EC2 인스턴스에서 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QueryDsl 실습 중 에러를 해결하지 못해서 질문 드립니다. QueryDsl 을 사용하던 SpringBoot 프로젝트를 배포하고자 AWS EC2 인스턴스에서 해당 프로젝트 git clone하고 실행을 하려고 하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납니다.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를 실행할 때에는 generated\querydsl 위치에 Qclass 파일들이 잘 컴파일 되었었는데 외부 인스턴스에서 실행시 해당 폴더를 찾을 수 없다고 뜨는데 이유를 모르겠네요 ㅠㅠ 아래는 제가 build.grade에서 작성한 queryDsl 관련 설정입니다. 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5.6'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 id 'java' } group = 'com.example'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8'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 "com.mysema.querydsl:querydsl-jpa:3.6.3" compile "com.mysema.querydsl:querydsl-apt:3.6.3:jpa" implementation 'junit:junit:4.13.1' implementation 'org.projectlombok:lombok:1.18.18'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1.4.199'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implementation('org.slf4j:jcl-over-slf4j') implementation('ch.qos.logback:logback-classic') } test { useJUnitPlatform() } //def querydslDir = 'src/main/generated' def querydslDir = "$buildDir/generated/querydsl" // (3) querydsl { // (4) library = "com.querydsl:querydsl-apt" jpa = true querydslSourcesDir = querydslDir } sourceSets { // (5) main.java.srcDirs querydslDir } configurations { // (6) querydsl.extendsFrom compileClasspath } compileQuerydsl { // (7)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querydsl } compileQuerydsl.doFirst { if(file(querydslDir).exists() ) delete(file(querydslDir))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반 조인과 fetch join 차이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섹션 11. 객체지향 쿼리 언어2- 중급 문법 내의 "페치 조인1 - 기본" 강의를 듣고 작성하는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64472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70331 Q1) 제가 헷갈리는 부분과 관련해서 질문들이 있길래 다 살펴봤지만, 제가 명확하게 이해한 것인지 확신을 할 수 없어서 이렇게 질문 남깁니다. 일반 조인 -> 두 객체를 돌려받음, 객체 그래프 채워짐 (객체 그래프가 채워질 꺼라 생각한 이유는,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70331 의 강사님 답변 "Object[]은 각각 따로 조회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을 처리할 때 작업 공수가 많이 들어갑니다." 이 내포하는 뜻이 두 조인의 내부적인 동작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결과는 똑같다고 생각해서입니다.) 페치 조인 -> 한 객체를 돌려받음, 객체 그래프 채워짐 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을까요? Q2) 일반 조인시에도 객체 그래프가 채워지는 지 확인하기 위해서, 코드를 직접 짜서 테스트를 돌려봤는데 이해하기 힘든 쿼리가 나가서 추가적으로 질문 남깁니다.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과 유사성이 있을까싶어, 한 질문란에 두개의 질문을 남깁니다. 아니라면 죄송합니다 ㅠㅠ) 해당 테스트 관련 코드와 결과화면을 첨부해두겠습니다. 일반 조인을 통해 작성한 쿼리를 em.createQuery()... 를 통해 결과리스트를 반환받고 하나씩 반복문을 통해 돌려보는데, select query가 추가로 나가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member 에서 team 을 조회할 때는 쿼리가 추가로 발생하지 않는데, team에서 member를 조회할 때에 쿼리가 추가로 발생합니다. 처음 작성한 query를 통해 member를 다 받아왔을텐데, 왜 team에서 member를 조회할 때 쿼리가 추가로 발생할까요..? 고민해봐도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수정자 주입이 아닌 생성자 주입을 해야하는 이유에 대하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수정자 주입이 아닌, 생성자 주입을 해야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 중 이해가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ppt에 "수정자 주입을 사용하면, setXxx 메서드를 public으로 열어두어야 한다. " 라는 근거가 있는데요. setter는 반드시 public으로 열어야하는 것 아닌가요? , public이 아닌 접근제어자로 setter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나요? 그래서 전 이 부분을 수정자 주입을 위해선 setter가 필요없는, 혹은 변경될 위험이 있어서 getter만 작성하고 setter를 작성하지 않는 클래스에도 setter를 포함해야한다. 라고 이해하였는데 이게 의도하신 의미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