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Dockerfile질문입니다
devcontainer를 통해 vscode에서 개발환경용으로 컨테이너를 만들 수 있다고 이해를 했는데요, 예제의 leafy-frontend 패키지를 보면 leafy-frontend root에 Dockerfile이 있고, .devcontainer 안에도 Dockerfile이 있는데요, .devcontainer 내부의 Dockerfile은 dev container 전용 세팅 Dockerfile인가요 ??
-
미해결세 시간만에 끝내는 쿠버네티스부터 마이크로서비스, CI/CD, 서비스 메시까지
강의 자료와 데모에서 사용한 스크립트와 yml 파일을 제공하지 않나요?
인프런 강의들은 강의에서 사용한 강의 자료(PPT, PDF)를 제공하는데요. 강의 자료를 다운 받는 곳이 없는데요. 강의 자료는 제공하지 않나요? 데모에서 사용한 스크립트와 yml 파일은 제공하지 않나요?
-
해결됨입문자를 위한 Spring Boot with Kotlin -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PostCunstructer 를 사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DataIntialize 클래스에서 메서드에 포스트 컨스트럭터를 사용하셨는데 어떤 기능인지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해당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하면서 같이 초기화가 이루어 지게 하는건 안되는건가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어떻게 Primary-Standby Replication으로 구성되는지
안녕하세요, 강의에서 구현해주신 Primary-Standby Replication 구조가 어떤 명령어를 통해 구성되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실습시에 복붙만 해서 정확히 어떤 명령어가 데이터를 복제해주고 동기화할 수 있는지, standby 쪽에서는 어떻게 읽기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REPMGR_PRIMARY_HOST 는 Primary로 세팅되고,REPMGR_PARTNER_NODES 는 primary를 제외한 나머지 name:port는 standby로 세팅이 되는게 맞을까요? 추가로, primary-standby 방식에서 primary는 "반드시" 한개여야만 하나요 ? 여러개 일수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캐싱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COPY . . 와 같은 copy 레이어에서, 기존의 내용과 다른 경우 새로운 레이어를 생성한다고 했는데요, 기존의 내용과 다른지 같은지를 판별하려면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여 결과를 가져와서 비교를 해봐야 같은지 다른지 알 수 있지 않나요?? 혹은 실행전에 특정 해시값이 존재하고, 그 해시값은 비교하는 형식으로 캐싱이 동작하나요 ? 궁금합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3030 포트 질문
11분 50초에 3030을 사용하는 포트가 없기 때문에 정상적인 응답이 오지 않는다고 말씀하셨는데요, envnodecolorapp 내부적으로 3000 포트를 사용한다고 명시했기 때문에 응답이 오지 않는게 맞나요? 3030은 왜 사용이 불가한지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nginx port 질문입니다
4분 58초 쯤에 nginx는 80 포트를 사용한다고 말씀하셨는데, 기본적으로 nginx는 80 포트를 사용하는건가요?docker container inspect 시에 portBindings 앞의 80/tcp 중 80이 포트를 의미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쥬쥬와 함께 하루만에 끝내는 스프링 테스트
강의를 수강하면서 2가지 질문이 생겼습니다
안녕하세요 쥬쥬님의 강의를 보면서 테스트 코드 작성에 도움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어서 글을 올려드립니다. 질문1.application.yml 에서 mysql, redis, kafka 의 호스트를 컨테이너 이름으로 지정해주면 굳이 IntegrationTestInitializer 정적 클래스의 initialize() 메서드를 구현해 동적으로 호스트와 아이피를 지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왜 application.yml 에서 각 모듈의 호스트를 localhost 로 지정해주셨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질문2.redis, kafka 에 특화된 테스트 컨테이너 모듈을 사용하셨는데, 이러한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그냥 testImplementation "org.testcontainers:testcontainers:1.19.0" 만을 사용해서 테스트 컨테이너를 구동시켜 테스트해도 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이런 식으로 입니다.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Github Actions로 ECR 에 이미지 push 후, EC2 에 ssh 로 접속해 pull 받을 때 발생하는 문제
======CMD====== sudo docker stop github-action-prod || true sudo docker rm github-action-prod || true sudo docker pull [ECR URL]/github-action-prod:latest sudo docker run -d --name github-action-prod -p 8080:8080 [ECR URL]/github-action-prod:latest ======END====== err: Error response from daemon: No such container: github-action-prod err: Error response from daemon: No such container: github-action-prod err: Error response from daemon: Head "https://[ECR URL]/v2/github-action-prod/manifests/latest": no basic auth credentials 2024/10/03 02:07:08 Process exited with status 1위와 같이 컨테이너를 찾을 수 없다 그러고 'no basic auth credentials' 이런 문구가 출력됩니다로그인도 잘됐고, ECR에 push도 잘 됐는데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걸까요ㅜㅜ실행한 스크립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steps: - name: Github Repository 파일 불러오기 # uses 키워드로 Github Actions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uses: actions/checkout@v4 - name: JDK 17 설치 uses: actions/setup-java@v4 with: distribution: corretto java-version: 17 - name: application.yml 파일 만들기 run: echo "${{ secrets.APPLICATION_PROPERTIES }}" > ./src/main/resources/application.yml - name: 테스트 & 빌드 run: ./gradlew clean build - name: AWS Resource에 접근할 수 있게 AWS credentials 설정 uses: aws-actions/configure-aws-credentials@v4 with: aws-region: ap-northeast-2 aws-access-key-id: ${{ secrets.AWS_ACCESS_KEY_ID }} aws-secret-access-key: ${{ secrets.AWS_SECRET_ACCESS_KEY }} # ECR 에 업로드 하기 위한 과정 - name: ECR에 로그인하기 id: login-ecr uses: aws-actions/amazon-ecr-login@v2 - name: Docker 이미지 생성 run: docker build -t github-action-prod . - name: Docker 이미지에 Tag 붙이기 run: docker tag github-action-prod ${{ steps.login-ecr.outputs.registry }}/github-action-prod:latest - name: ECR에 Docker 이미지 Push하기 run: docker push ${{ steps.login-ecr.outputs.registry }}/github-action-prod:latest # ECR 에 업로드한 Docker Image 를 EC2 로 가져와 실행시키기 - name: SSH로 EC2에 접속하기 uses: appleboy/ssh-action@v1.0.3 with: host: ${{ secrets.EC2_HOST }} username: ${{ secrets.EC2_USERNAME }} key: ${{ secrets.EC2_PRIVATE_KEY }} script_stop: true script: | sudo docker stop github-action-prod || true sudo docker rm github-action-prod || true sudo docker pull ${{ steps.login-ecr.outputs.registry }}/github-action-prod:latest sudo docker run -d --name github-action-prod -p 8080:8080 ${{ steps.login-ecr.outputs.registry }}/github-action-prod:latest
-
해결됨Do It! 장고+부트스트랩: 파이썬 웹개발의 정석
url pattern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urlpatterns += static(settings.MEDIA_URL, document_root=settings.MEDIA_ROOT) 이런식으로 url패턴을 만들어주면 이렇게 (^media/(?P<path>.*)$)패턴이 생기는거 같고 그 다음 views.py에서 해당 url을 처리할 로직을 만들어야하는걸로 아는데.. 이 경우는 어째서 예외인가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이미지빌드 실습 질문
데이터베이스, 백엔드, 프론트 실습에서 컨테이너 실행 실습과 도커파일 이미지 빌드 실습 두개를 하는데 컨테이너 실행 실습은 커밋 방식을 통해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인건가요? 두 실습의 연관이 무엇인지 모르겠어요 ㅠㅠ
-
해결됨입문자를 위한 Spring Boot with Kotlin -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환경변수 설정을 yml 아니라 properties로 해도 상관 없나요?
yml과 properties의 차이가 계층구조 표현의 차이만 있는거 같은데 properties로 적용해서 강의를 진행하여도 상관이 없나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Authentication - 실습 > 5분 3초 > Cluster B가 어딨나요?
5분 3초에 보면 2-2 cluster B(192.168.0.50)이 어디에 있을까요? 여지껏 계속 192.168.0.30만 실습 진행해 왔는데 갑자기 *.50을 cluster B로 지정을 해서요...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AWS 배포
2.6 Auto Scaling Group 실습
안녕하세요.2.6 Auto Scaling Group 실습에서 구성한 launch template는 특정한 Web 서비스가 없는 그냥 EC2만 만들고 Scaling 되는 것만 확인한것인가요?직전 실습에서 사용한 Nginx가 설치된 EC2를 Auto Scaling Group으로 구성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확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AWS 배포
2.6 Auto Scaling 실습 질문
안녕하세요~2.6강 Auto Scaling 실습에서 만든 launch template는 직전 실습에 사용했던 Nginx 웹서비스가 동작하던 EC2랑은 별개의 인스턴스로 동작하는 건가요?launch template에 웹서비스 없이 그냥 시간에 맞춰서 Scaling-Out 되는 확인만 하는것이 맞는지요?만약 처음 Nginx 웹서버를 설치한 EC2인스턴스에 Auto Scaling을 적용한다면 어떻게 해야하는 건가요?확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도커: 도커로 나만의 딥러닝 클라우드 컴퓨터 만들기
7-3 python을 위한 도커 강의에서 질문드립니다.
vscode에 select kernel을 누르면 아무 kernel도 뜨지 않습니다. 강의에는 Python Environments... 이 뜹니다.
-
해결됨실전도커: 도커로 나만의 딥러닝 클라우드 컴퓨터 만들기
kaggle gpu images 설치시 Error가 발생합니다.
kaggle gpu images 설치시 Error가 발생합니다. docker login -u username으로 login 후에도 동일하게 안됩니다.Error response from daemon: pull access denied for kaggle-gpu-images, repository does not exist or may require 'docker login': denied: requested access to the resource is denied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docker push 중 경고
안녕하세요, 강의를 열심히 수강 중인 학생입니다. (실습을 진행 중인 환경은 맥입니다.)docker push 중에 선생님과 다른 결과창이 떠서 궁금한게 생겨 질문남깁니다. 메세지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어 챗지피티한테 먼저 물어봤습니다. 지피티한테 답변을 받은 이후에 생긴 궁금증들 입니다. 레이어가 마운트되고 있다는게 정확하게 무슨 의민가요? 우선 레이어도 무엇을 지칭하는지 모르겠습니다만ㅠ 현재 실습상황에서는 docker images 명령어를 통해 image를 확인해보면, 이렇게 나와있습니다. 원본 이미지(devwikirepo/simple-web)가 이미 존재하고 그에 대한 사본(sjin980530/simple-web)이 존재하기에 이런 경우가 발생하는건가요? 그럼 지금 진행하고 있는 실습은 push를 docker hub에 하고있는건데, 로컬의 상황과는 관계없는게 아닌가요?ㅠㅠ현재 푸시된 이미지가 단일 플랫폼 이미지라는 말은 그럼 제 실습환경(mac)이 아닌 다른 환경(윈도우 등)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이미지라는 뜻인가요?1과 이어지는 질문입니다 원래 레이어와 푸시된 레이어의 다이제스트가 매핑되고있다라고 하는데, 이건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요? 레이어에 대한 지식이 없어 어떤 상황인지 감이 잘 안잡힙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A.0003 파일 vagrant file 수정 (자문자답)
A.0003 파일 vagrant file 을 올리는 중에 Centos7 이 EOS로 인한 에러가 출력 됬습니다...기존 repo에서 신규 repo 파일로 수정 및 쿠버네티스 repo 또한 변경을 위해 k8s_env_build 파일을 하기와 같이 수정하였습니다.========================추가 구문=======================#기존 레포 Backup 및 신규 repo 등록 후 updatecp -arp /etc/yum.repos.d/CentOs-Base.repo /tmp/Repo_Backupecho "[base]name=CentOS-$releasever - Base#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os&infra=$infrabaseurl=https://vault.centos.org/7.9.2009/os/x86_64/gpgcheck=1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released updates[updates]name=CentOS-$releasever - Updates#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updates&infra=$infrabaseurl=https://vault.centos.org/7.9.2009/updates/x86_64/gpgcheck=1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additional packages that may be useful[extras]name=CentOS-$releasever - Extras#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extras&infra=$infrabaseurl=https://vault.centos.org/7.9.2009/extras/x86_64/gpgcheck=1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additional packages that extend functionality of existing packages[centosplus]name=CentOS-$releasever - Plus#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centosplus&infra=$infrabaseurl=https://vault.centos.org/7.9.2009/centosplus/x86_64/gpgcheck=1enabled=0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contrib - packages by Centos Users[contrib]name=CentOS-$releasever - Contrib#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contrib&infra=$infrabaseurl=https://vault.centos.org/7.9.2009/contrib/x86_64/gpgcheck=1enabled=0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 /etc/yum.repos.d/CentOS-Base.repoyum clean allyum makecacheyum -y update======================================================== ===========================수정 구문 =======================# kubernetes repogg_pkg="packages.cloud.google.com/yum/doc" # Due to shorten addr for keycat <<EOF > /etc/yum.repos.d/kubernetes.repo[kubernetes]name=Kubernetesbaseurl=https://mirrors.aliyun.com/kubernetes/yum/repos/kubernetes-el7-x86_64/enabled=1gpgcheck=1repo_gpgcheck=1gpgkey=https://mirrors.aliyun.com/kubernetes/yum/doc/yum-key.gpg https://mirrors.aliyun.com/kubernetes/yum/doc/rpm-package-key.gpgEOF=========================================================로 수정하면 해결 되는거 같습니다! 저 처럼 문제를 겪는 분들은 해당 파일로 수정 후 진행하면 될거 같습니다! 혹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AWS 배포 완벽가이드 (feat. Lightsail, Docker, ECS)
실습시 비용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이번 강의를 통해서 매우 많은 도움을 받고 있어서 먼저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비용 관련해서 제가 관리를 잘 못하는 부분이 있어보여서요 이전 다른 분들의 답글에 남겨주셨듯이 이번 기회에 배워보려고 합니다. 먼저 비용이 아래와 같이 나왔습니다. ECS 관련 비용 질문먼저 ECS는 Serverless 개념으로 사용한만큼 비용을 지불한다고 알고 있는데요AWS Fargate 비용의 사용시간이 각각 288.405hours, 144.203 hours입니다. 아래에서 확인해보니 이미지를 다운로드한 시점부터 ecs task가 종료될 때까지 사용된 vCpu, 메모리 등등을 고려하여 산출된다고 하는데요... https://aws.amazon.com/ko/fargate/pricing/ 그렇다면 aws fargate로 청구된 저 요금은 실제 사용과 상관 없이 deploy된 상태라면 발생하는 일정의 고정비라고 보면 되는 것인가요? 그러면 실제로 사용한만큼 지불하는 비용은 어떤 카테고리에 포함될까요? VPC 관련 질문0.005 per idle public IPv4 address per hour--> 이건 탄력적 ip 비용으로 보는 것이 맞을까요? 삭제를 안해두고 있었네요 ㅠㅠ 이번 기회를 통해서 ECS 관련 비용 관리하는 방법을 배워가고 싶습니다. 도움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