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시스템 디자인 첫걸음: 면접에서 돋보이는 백엔드 아키텍처 설계하기
로드밸런싱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로드 밸런서를 두는 시점(예: 트래픽 기준이나 서버 수 기준)을 어떻게 판단하시는지 궁금합니다.단순히 서버 부하율이 높아졌을 때 적용하는 건지, 아니면 아키텍처 설계 초기에 미리 구성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인지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Rookiss University] UE5 Lyra 클론 코딩 (Haker)
Pawn 교체, Possess 후 위젯이 이전 값(상태)을 잘못 보여줄 때 처리법이 궁금합니다.
만약 캐릭터와 PlayerState, PlayerController 간 참조가 꼬이거나 값을 못 받아오는 상황(예: Pawn이 교체되거나 Possess가 여러 번 된 경우 등)에 위젯이 이전 값이나 잘못된 값을 보여주는 사례가 종종 나올 수 있는데, 이런 경우를 실전에서 어떻게 처리하는 게 안전할지 실무 팁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
미해결
PeopleCert CASM 시험에서 Agile 원칙이 서비스 관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그PeopleCert Certified Agile Service Manager CASM 시험귀하의 지원 능력을 검증하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되는 자격입니다.애자일 원칙 이내에 IT 서비스 관리 ITSM환경. 협업 유연성 및 지속적인 개선과 같은 Agile 가치를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을 더욱 빠르고 적응적이며 고객 중심으로 만드는 방법을 전문가들이 이해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인증 Agile 서비스 관리자 시험 문제이론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변경 관리, 사고 대응, 서비스 개선 등의 영역을 포함하여 실제 ITSM 시나리오에서 Agile 및 Scrum 사례를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PeopleCert 프레임워크이 자격증은 최신 애자일 방법론과 기존 ITIL 기반 서비스 관리를 연결하여 전문가들이 통제력과 적응력 사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많은 응시자들이 Certified Agile Service Manager 시험 문제에 답할 때 애자일 개념을 실제 서비스 프로세스에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데, 이는 실제 서비스 프로세스에서 애자일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방법을 이해하기보다는 암기에 더 집중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응시자들은 시나리오 기반 학습, 반복적인 프로세스 설계 연습, 그리고 실제 시험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모의고사에 집중해야 합니다. PeopleCert CASM 시험 준비는 기술 및 전략적 지식을 쌓을 뿐만 아니라 조직 내에서 애자일 혁신을 추진하는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더욱 효과적인 준비를 위해 공식 애자일 및 ITSM 가이드를 검토하여 과거를 검토하십시오.Certified Agile Service Manager 시험 문제그리고 다음과 같은 신뢰할 수 있는 학습 플랫폼을 사용하세요.패스포석세스업데이트된 자료와 현실적인 연습 문제와 시나리오 기반 학습 자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도구를 활용하여 꾸준히 준비하면 깊이 있는 실무적 통찰력을 얻고,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실제 서비스 관리 과제에 애자일 원칙을 자신 있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내도메인.한국에서 CNAME name, value 입력 방법
CNAME 레코드의 별칭 도메인 형식이 알맞지 않습니다라고 나옵니다!
-
해결됨수익형 AI Agent n8n 전문가 강의, 블로그·쇼츠 자동화
Perplexity API 외 다른 인공지능 추천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에서 설명해주시는대로 Perplexity API를 활용하고 있습니다.학습하던 중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Perplexity가 다른 AI 에 비해 자료 수집을 하기에 가장 적합한 도구인가요? 강의에서 소개하기에는 비용이 과도하거나 다루기 어려우나, 강사님께서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AI 툴이 따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 입문자를 위한 따라하기
Spring Legacy Project 생성 불가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3.10 버전으로 강사님의 강의를 따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Spring Legacy Project가 뜨지 않아 찾아보니,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3.8 버전 이상에서는 따로 설정을 해줘야 하더라구요. 블로그를 찾아보며 설정을 해줬는데도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 그냥 Maven 프로젝트로 생성해서 구성을 맞춰가고 있습니다ㅠ 혹시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버전을 낮춰서 3.7이나 3.8로 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union 식별자는 실무에서 보통 어디에서 사용하나요?
union 식별자는 실무에서 보통 어디에서 사용하나요?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getter 사용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객체지향 설계에서, 객체의 상태를 getter로 직접 꺼내서 사용하기보다 객체에 메시지를 보내 처리하라는 원칙을 따르려고 합니다.그런데 만약 특정 로직이 코드 전체에서 단 한 번만 사용되는 경우에도, 이 원칙을 지키기 위해 객체 내부에 새로운 메서드를 구현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일까요? 아니면 이런 예외적인 경우에는 실용성을 고려해 getter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을까요?
-
미해결얄코의 가장 쉬운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강의 계획
여러 강의들었는데 강의들이 이해가 잘 되고 좋아서요 혹시 golang 강의는 계획에 없으신지요?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개발자로서 차별화
AI 도구가 발전한 지금, 개발자로서 차별화되는 실력은 어떤 부분에서 나타나나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무한 뎁스 댓글 테스트 데이터 삽입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2뎁스 댓글 목록의 테스트 데이터 삽입 시에는 계층 구조까지 파악할 수 있게끔 작성이 되었는데무한 뎁스 댓글의 테스트 데이터 삽입은 계층 구조로 생성하지 않으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Querydsl 도입
querydsl이 쿼리를 코드로 작성하여 컴파일 시점에 오류를 감지할 수 있는게 가장 큰 장점인데 Spring JPA와 혼합하여 사용할떄 그 외에 장점이 또 있을까요 레거시 쿼리는 이미 사용되고 있어 이를 전환하기 위해 먼가 더 장점이 필요할 것 같아서요 아니면 레거시는 두고 신규 추가되는 부분만 Querydsl를 도입하는 식으로 가면 될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속성 값 설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th:checked="false"로 설정하면 렌더링 후에 checked 속성이 완전히 없어지던데,이건 타임리프가 내부적으로 속성을 아예 제거해주는 건가요? 아니면 단순히 비워두는 건가요?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Request Scope에 대한 내용
Request Scope (요청단위 스코프) 에 대해서 언제, 왜 써야하는지 궁금했는데, 강의 어느 부분에서 다루는지 보지못해서요 혹시 제가 못찾는 걸까요
-
미해결CAN 통신 - 자동차 신입이 알아야 할 모든 것
Bus Off(버스 오프) 상태가 흔히 발생되는 상태인가요?
흔히라는 표현이 이상하긴 한데요. 물론 Bus Off 상태는 겪지 않는 게 이상적인 것 같긴 하나이 상태에 대한 처리(리액션)을 언급하신 걸로 보아 엄격하게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상태인 것처럼 묘사하시지는 않은 것 같아서요.예를 들어 없는 게 좋지만 간혹 발생되도 그거에 대한 처리만 잘하면 어느정도 용인되는 상태인가 해서요. 그리고 자세히 몰라도 상관 없다고 하시기는 하셨으나 "CAN 에러 처리" 섹션을 수강하면서 몇 가지 궁금한 게 있어서 추가로 질의합니다.동일 CAN Bus 에 묶여 있는 시스템에서 일부 제어기들만 Error를 감지하는 게 일반적인가요?그런 상황을 묘사해주셔서 궁금합니다.Error의 종류 설명해주신 게 Bit Error, Stuff Error, CRC, Acknowledge Error, Form Error 인데요.이 중에서 Bit Error, Acknowledge Error 정도를 제외하고(송신자가 확인하니까? 그리고 Form Error도 감지 시점이 잘 모르겠으나 일부에서만 감지될 수 있어보이긴 합니다)broadcast 되는 CAN 특성상 Error를 묶여 있는 제어기들이 다 같이 감지할 것 같은데 그렇지는 않나요?Acknowledge Error 를 설명해주실 때, 송신 측에서 반드시 Acknowledge Slot Bit 를 1로 세팅하고 수신측에서 잘 받았다면 Ack에 0을 출력한다고 하셨고 Bus 상에 Ack Bit가 0이 된다고 묘사하셨는데요.a. Bus 상에 CAN Message 가 유지되다는 건 이해되지 않고 수신측에서 수신한 메세지를 그대로 Ack Bit만 0으로 변경해서 응답한다는 걸까요? CAN Protocol이 항상 그런 식인 건가요?b. 그리고 송신 측이 보낸 메세지에서 Ack Bit를 0으로 업데이트를 할만한 제어기가 없는 상황즉, 개발/테스트 환경 같이 제어기가 하나만 있는 상황이라면 송신하는 족족 Error Count가 올라가게 될까요? 최종적으로는 Bus Off?제어기가 에러를 감지하면 Stuff Error를 유도하는 Error Frame 를 전파한다고 하셨는데요.그러면 이 Error Frame을 수신한 제어기도 이 Error Frame에 의해서 Error를 감지하고 또 Error Frame을 전파하는 상태가 순환되는 거 아닌가요? 당연히 이렇게 에러가 순환되는 상태가 되도록 CAN이 설계되어 있을 것 같진 않지만 설명을 듣는 순간 떠올라서 질문 추가합니다.
-
미해결시스템엔지니어가 알려주는 리눅스 실전편 Bash Shell Script
텔레그램 봇 메세지 전송기능을 여러 서버에 이용하려면
안녕하세요 강사님 먼저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강의에서 설명해주신 텔레그램 봇 메시지 전송 기능을 활용해 디스크 관리를 하는 부분이 인상 깊었습니다.혹시, 여러 대의 서버를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경우, 이런 알림 구조는 어떻게 설계하는 게 좋을까요?예를 들어 서버별로 봇 토큰을 따로 두는 방식과, 중앙 서버에서 정보를 취합해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 등..어떤 것이 효율적으로 좋은 것일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기초부터 실전 체험까지, 출근 걱정 없애는 실전 디지털 마케팅
최근 마케터가 가장 알아야할 티지털 채널은 무엇일까요?
틱톡이 유튜브보다 중요한 채널로 성장할거라 보사나요? 한국에서 가장 유효한 마케팅 채널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
미해결딥러닝 CNN 완벽 가이드 - TFKeras 버전
Loss와 매트릭 관계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강의 내용을 질문할 경우 몇분 몇초의 내용에 대한 것인지 반드시 기재 부탁드립니다.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교수님 우선 훌륭한 강의로 지식이 부족한 저에게 값을 매길 수 없는 정보를 제공해주셔서 감사의 말씀 먼저 드립니다.강의를 듣다 보니 질문이 생겼습니다. 강의 부제목 "손실(Loss)함수의 이해와 크로스 엔트로피(Cross Entropy) 상세 -02" 3분 30초 쯤에 "Loss가 좋아진다해서 반드시 매트릭이 좋아지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셨는데 이론적으론 Loss가 좋아지면 매트릭이 좋아져야한다 생각하는데 어떤 부분이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다시 한 번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MSA 입문/실전 (feat. Spring Boot)
카프카에서 발행한 이벤트를 처리중에 실패한 경우 보통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카프카에서 컨슈머가 메시지를 읽은 후 처리 과정에서 실패했을 때 재처리 전략을 어떻게 잡으면 좋은지 궁금합니다.consume 이후 비즈니스 로직 실행중에 예외가 발생하여 실패한 경우OOM 등의 이유로 서버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 실패한 경우위의 두가지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제대로 파는 Git & GitHub - by 얄코(Yalco)
강의를 찍은 시점과 대비 git 정책이 어떤게 바뀌었을지 궁금합니다!
🛑 이곳에 질문하지 마세요!!!질문은 강의페이지에 안내드린 방식으로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강의질문은 꼭 이렇게 보내주세요! | 얄코 (yalco.kr) ('향로'와 함꼐하는 추석 완강 챌린지 때문에 피치 못하게 여기에 질문 남기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강의를 찍은 시점과 대비 git 정책이 어떤게 바뀌었을지 궁금합니다! 얄코님이 강의를 찍으신 시점이 3년 전쯤으로 유추되는데 그때도 gitops라는게 있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요즘 트렌드에 대해서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