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JSP (renew ver.) - 신입 프로그래머를 위한 강좌
(String)getServletContext().getAttribute 여기에 담고 바로 Servlet.Get 서버 실행에서 null값 나오는분들 ServletEx 서버 들렸다가 다시 오면 값 나와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String)getServletContext().getAttribute 여기에 담고 바로 Servlet.Get 서버 실행에서 null값 나오는분들 ServletEx 서버 들렸다가 다시 오면 값 나와요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TimeTraceAop를 SpringConfig에 Bean으로 등록시 에러
[SpringConfig] [TimeTraceAop] [ERROR] 어떤문제인지 잘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커맨드와 쿼리 분리
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후반부에 커맨드와 쿼리 분리 라고 말씀하셨는데 여기서 뜻하는 커맨드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gradle build 관련 오류 질문 드립니다(TestSuiteExecutionException)
질문용 파일 링크: https://drive.google.com/file/d/1H7Jk68AinSPuCjEWiavLgFMpQtEuHdhT/view?usp=sharing gradle build를 실행할 때 계속 오류가 납니다. 우측의 Gradle Tab > (프로젝트명) > Tasks > build > build 실행jar 파일만 생성시킬 땐 무사히 만들어지는데 build 명령을 내릴 때는 test code 단계에서 계속 오류가 납니다. test code가 분명 있는데도 찾지를 못하네요. ClassNotFoundException 자주 하는 질문에 적어주신 방법은 다 시도해봤습니다. 1. IntelliJ IDEA로 test code 실행주체 바꾸기, 2. 설정이 java 11로 제대로 되어있는지 확인하고 바꾸기(자주 하는 질문 매뉴얼(https://docs.google.com/document/d/1j0jcJ9EoXMGzwAA2H0b9TOvRtpwlxI5Dtn3sRtuXQas/edit#heading=h.f9xqb7l8nuph)에 적으신 대로 선택했습니다). 3. project close 한 다음에 build.gradle 파일을 open as project로 열어서 재실행하기 4. 혹시나 버전 호환성 문제일까 싶어서 원래는 2.6.4 버전이었는데 강의에서 나온 2.3.1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해서 재실험해봤거든요. 그런데도 똑같은 오류가 계속 뜨네요. 위의 파일 링크 안에도 포함되어있긴 하지만, 더 빨리 찾으시라고 아래에 error log 따로 적어봅니다.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TestSuiteExecutionException: Could not execute test class 'KYH.Elementary.ElementaryApplicationTests'.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SuiteTestClassProcessor.processTestClass(SuiteTestClassProcessor.java:53) at java.base@11.0.14/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java.base@11.0.14/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62) at java.base@11.0.14/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java.base@11.0.14/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6) at org.gradle.internal.dispatch.ReflectionDispatch.dispatch(ReflectionDispatch.java:36) at org.gradle.internal.dispatch.ReflectionDispatch.dispatch(ReflectionDispatch.java:24) at org.gradle.internal.dispatch.ContextClassLoaderDispatch.dispatch(ContextClassLoaderDispatch.java:33) at org.gradle.internal.dispatch.ProxyDispatchAdapter$DispatchingInvocationHandler.invoke(ProxyDispatchAdapter.java:94) at com.sun.proxy.$Proxy2.processTestClass(Unknown Source)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2.run(TestWorker.java:176)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executeAndMaintainThreadName(TestWorker.java:129)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execute(TestWorker.java:100)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execute(TestWorker.java:60) at 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child.ActionExecutionWorker.execute(ActionExecutionWorker.java:56) at 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child.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call(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java:133) at 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child.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call(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java:71) at app//worker.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GradleWorkerMain.run(GradleWorkerMain.java:69) at app//worker.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GradleWorkerMain.main(GradleWorkerMain.java:74) Caused by: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KYH.Elementary.ElementaryApplicationTests at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throwAsUncheckedException(UncheckedException.java:68) at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throwAsUncheckedException(UncheckedException.java:41)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loadClass(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112)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access$100(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54)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CollectAllTestClassesExecutor.execute(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89)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CollectAllTestClassesExecutor.execute(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79)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AbstractJUnitTestClassProcessor.processTestClass(AbstractJUnitTestClassProcessor.java:62)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SuiteTestClassProcessor.processTestClass(SuiteTestClassProcessor.java:51) ... 18 more Caused by: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KYH.Elementary.ElementaryApplicationTests at java.base/jdk.internal.loader.BuiltinClassLoader.loadClass(BuiltinClassLoader.java:581) at java.base/jdk.internal.loader.ClassLoaders$App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s.java:178) at java.base/java.lang.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java:521) at java.base/java.lang.Class.forName0(Native Method) at java.base/java.lang.Class.forName(Class.java:398)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loadClass(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110)
-
미해결스프링 기반 REST API 개발
EventValidator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EventValidator 에서 implement Validator 를 쓰는것과 안쓰는것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감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설계와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의 강의을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영한님의 이번 강의에서 설계 단계가 다음과 같이 진행됐습니다. 1. 요구사항을 분석하기. 요구사항을 분석해, 도메인을 나누고 도메인간의 관계를 설정함 그리고 도메인 설계도를 작성. 2. 도메인 설계도를 기반으로 엔티티 설계도 만들기 3. 테이블 설계도 만들기. 여기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도메인 설계도를 이용해 테이블 설계도를 먼저 만들고, 엔티티 설계도를 만들어도 되는건가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도메인 설계도를 이용해 테이블 설계도를 만들고, 그 후 테이블에 매핑되는 엔티티들을 만든 뒤 연관관계가 필요하면 연관관계를 만들어주는 식으로 테이블 설계도와 엔티티 설계도를 매핑을 하는게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했습니다. 혹시 엔티티 설계도를 먼저 만든 이유가 있을까요? ---------------------------------------------------------- 제가 생각해본 이유로는 아무래도 엔티티 설계를 먼저하는게 더 객체지향적인 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인 것 같은데, 혹시 제가 생각한 이유가 맞는건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DDD와 JPA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기존에 nosql위주로 개발을 하다가 mysql 및 JPA를 도입하려고하는 영한님 강의 듣고 있는 개발자입니다. ddd와 연관지어서 jpa의 엔티티 정책에 궁금한 점이 2가지 있는데 (유사한 카테고리) 1. Team 에그리거트와 Member 에그리거트는 간의 경계가 허물어 지는 문제 예를들어서 @Entity class MemberEntity { ... @ManyToOne Team team; ... } 이런식으로 엔티티가 구성 하시던데요 에릭에반스인지 반버논 책인지 기억은 안나는데 Team을 직접 가지기보다는 String team_id;값을 가지는 것이 권장된다고 알고 있고 저는 실무에서 그렇게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제가 업무에서 mysql를 사용하지 않아서 실제 mysql jpa 사용하시는 분들도 실전에서 위처럼 그대로 사용하는지 궁금하네요. JPA식으로 사용하게되면, MemberRepository에서 member 를 조회하면 , TeamRepository를 조회하지 않고도 팀 정보를 가져오게 되는 것인데, 이러면 바운디드 컨텍스가 무너지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나 싶습니다. 이부분에 대해서 영한님 의견은 어떠신가요? 2. Entity의 오염 JPA를 쓰다보면 @ManyToOne, Load 정책 등 같은 비즈니스 로직과 무관한 DB종속적인 값들이 Entity에 들어가게되더라고요 DDD에서 말하는 순수 핵심 비즈니스 로직의 Entity만 넣고 쓰고 싶은데, JPA를 활용하게 되면 이게 힘든 부분이죠? JPA Entity를 흔히말하는 DAO처럼 쓰고 별도의 Domain Entity를 만들고 싶은데 이렇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대충 JPA내용을 봤을때 이렇게 분리하는게 불가능한 것 같기는한데 실제로 Entity를 어떻게 사용중이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기본키와 관련하여 질문드릴게요!.
@Entity@Getter@Setter@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public class Bbs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SEQUENCE) @Column(name = "BBS_NO") private Long bbsNo; //bbs기본키 private String bbsTitle; private String bbsContent; private String bbsDate; @ColumnDefault("0") private Integer bbsHit; private String bbsNotice; private String bbsSecret;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OneToMany(mappedBy = "bbs") List<Comment> comments = new ArrayList<>(); public void addMember(Member member){ this.member=member; member.getBbs().add(this); } public Bbs(String bbsTitle, String bbsContent, String bbsDate, Integer bbsHit, String bbsNotice, String bbsSecret, Member member) { this.bbsTitle = bbsTitle; this.bbsContent = bbsContent; this.bbsDate = bbsDate; this.bbsHit = bbsHit; this.bbsNotice = bbsNotice; this.bbsSecret = bbsSecret; this.member = member; } public void updateBbs(Long bbsNo,String bbsTitle, String bbsContent, String bbsDate, Integer bbsHit, String bbsNotice, String bbsSecret) { this.bbsTitle = bbsTitle; this.bbsContent = bbsContent; this.bbsDate = bbsDate; this.bbsNotice = bbsNotice; this.bbsSecret = bbsSecret; }} 위에 코드가 bbs기본키 전략이고. @Entity@Getterpublic class Comment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SEQUENCE) @Column(name = "COMMENT_NO") private Long commentId; //comment 기본키 private String content; @ColumnDefault("0") private int commentCnt; //대댓글시 정렬을 위해 사용 @ColumnDefault("0") private int commentGroup; private String Date; @ColumnDefault("0") private int commentSequence; @ColumnDefault("0") private int level;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BBS_NO") private Bbs bbs;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public Comment() { } public Comment(String content, int commentCnt, int commentGroup, String date) { this.content = content; this.commentCnt = commentCnt; this.commentGroup = commentGroup; this.Date = date; } public void addMember(Member member){ this.member=member; member.getComments().add(this); } public void addBbs(Bbs bbs){ this.bbs=bbs; bbs.getComments().add(this); }} 이게 코맨트(댓글) 기본키 전략입니다. 위에 사진을 보면 bbs_no이랑 commemt_no이랑 기본키가 같이 올라갑니다..... 제가 원하는건 bbs_no 도 1부터 증가하고 comment_no도 1부터 증가하게 하고싶은데 따로 기본키 설정을 해주었는데 왜 같이 올라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강의나,JPA 기본키 전략을 다시 보아도 해결책을 찾이 못해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9.격자판 최대합문제 질문있습니다.
answer = Math.max(answer,sum1); answer = Math.max(answer,sum1); //두 부분중 위쪽 코드에서 answer = Math.max(,sum1,sum2); 이렇게 한번에 사용하면 왜 에러가 뜨나요?? ㅁanswer에 sum1,sum2중 최대가 들어간다고 생각했는데 intellij에서는 실행이되는데 채점사이트에서는 안됩니다. 단순 채점사이트에서만 에러인지 이렇게 사용하면 안돼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책 추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영한강사님 로드맵을 따라가려고 합니다. jpa로드맵 말고, '스프링 완전정복' 로드맵을 따라가려고 합니다. 혹시 강의와 같이 볼만한 책을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
미해결윤재성의 만들면서 배우는 Spring MVC 5
질문입니다.
혼자 해결해보려다 답이 안나와서 질문드립니다.<c:forEach /> 사용하여 top_menu 의 게시판 링크를 작성하는 부분에서 ${topMenuList} 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게시판 이름별로 링크가 생성되지 않고 ,${obj.board_info_name} 만 화면에 출력됩니다.어느 부분에서 놓치고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api 명세는 어떤 도구를 사용하시나요 ?
api를 작성하게되면, api를 쓰는 쪽을 위한 명세가 필요한데, 이 부분은 실무에서 주로 어떤 도구를 사용하시나요 ? 제가 알아본 것은 swagger인데, 함수에서 작성을 하면 어노테이션이 너무 길어져서 실제로도 사용하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 table inset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MEMBERS 에 insert 하려고하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실행하고자 하는 코드 : insert into member(name) values("spring") 오류 코드 Column "spring" not found; SQL statement:insert into member(name) values("spring") [42122-200] 42S22/42122 (도움말)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Column "spring" not found; SQL statement:insert into member(name) values("spring") [42122-200]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453)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429)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DbException.java:205)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DbException.java:181) at org.h2.expression.ExpressionColumn.getColumnException(ExpressionColumn.java:163) at org.h2.expression.ExpressionColumn.optimize(ExpressionColumn.java:145) at org.h2.command.dml.Insert.prepare(Insert.java:327) at org.h2.command.Parser.prepareCommand(Parser.java:744) at org.h2.engine.Session.prepareLocal(Session.java:657) at org.h2.engine.Session.prepareCommand(Session.java:595) at org.h2.jdbc.JdbcConnection.prepareCommand(JdbcConnection.java:1235) at org.h2.jdbc.JdbcStatement.executeInternal(JdbcStatement.java:212) at org.h2.jdbc.JdbcStatement.execute(JdbcStatement.java:201) at org.h2.server.web.WebApp.getResult(WebApp.java:1459) at org.h2.server.web.WebApp.query(WebApp.java:1116) at org.h2.server.web.WebApp$1.next(WebApp.java:1078) at org.h2.server.web.WebApp$1.next(WebApp.java:1065) at org.h2.server.web.WebThread.process(WebThread.java:178) at org.h2.server.web.WebThread.run(WebThread.java:94)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34) test.mv도 읽기전용이 아닌것을 확인했습니다. 왜 이런 오류가 발생하고.. insert가 안될까요?
-
미해결자바 스프링 프레임워크(renew ver.) - 신입 프로그래머를 위한 강좌
해결법 - The type org.springframework.context.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cannot be resolved.
The type org.springframework.context.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cannot be resolved. 이 에러를 많이들 맞이하시는것 같은데,, https://gocoder.tistory.com/721 이곳을 보니 .m2 > repository 를 지우고 maven 업데이트를 다시 하라고 합니다. 이렇게 하니 전 해결되었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Result 클래스 관련 질문입니다.
Result 클래스를 만들어서 response 데이터를 보냈습니다. 이때 제너릭으로 설정하신 이유가 있나요? 현재 아래 코드가 이런식입니다. static class Result<T> { private T data; } 그런데 제너릭을 쓰지 않는 반환용 DTO를 만들어서 static class ResultDto{ private List<OrderDto> orderDtos } 이렇게 하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보통 실무에서는 어떤 방식을 주로 사용하시나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코딩으로 학습하는 리팩토링
openjdk-17 다운로드 후 Sources에서 Language level
안녕하세요. 프로젝트 설정 문의드려요~ 제목에 적은거 처럼 openjdk-17다운로드 후 Apply 누른 다음 Language level에 17버전이 보이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되나요??...
-
미해결코딩으로 학습하는 GoF의 디자인 패턴
싱글톤 생성 방법 중 enum 단점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우선 이런 좋은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싱글톤 생성 방법 중 enum으로 생성했을 시에 단점 중에 lazy initialization이 안된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이 부분에서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예제에서 보여주신 enum 내의 INSTANCE 또한 클래스로딩 시점에 JVM의 static 영역에 변수가 등록되고, SettingsHolder와 마찬가지로 호출시점에 힙영역이 할당되면서 그때, static 영역내 변수에 해당 힙주소가 참조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부분도 lazy initialization이라고 볼 수 있는것 아닌가요?혹시 제가 잘못알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자바에서 변수 초기화에 대한 의견입니다.
solution() {} 에서 중괄호 안에(메소드영역) 있는 변수(answer)를 지역변수라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자바는 이 지역변수를 반드시 초기화를 해주어야 합니다. 안그러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죠. 하지만 Main {} 처럼 클래스영역에 있는 변수를 전역변수 또는 멤버 변수(멤버 변수 = 클래스 변수 + 인스턴스 변수)라고 하는데 전역변수는 초기화를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기본값을 넣어줍니다. 영상에서 보여지는 코드는 solution 메소드 안에 있는 변수이므로 지역변수를 사용하고 int answer; 로만 선언을 했습니다. 이렇게만 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지만 밑에 줄에 answer = sum; 으로 초기화를 했기 때문에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멘토링 문제에서도 for {} 문 안에 변수 pi, pj 역시 지역 변수이므로 반드시 초기화를 해주어야 합니다.
-
미해결누구나 따라하면서 배우는 JSP 커뮤니티 게시판 만들기
return -2 문제
로그인 버튼 눌렀을 시 데이터베이스 에러가 계속 나는 문제가 있어서 찾아봤습니다. String dbURL = "jdbc --- BBS?allowPublicKeyRetrieval=true"; 로 수정후 mysql에서접근설정을 해주니 해결되었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데이터베이스column "min_value" not found에러 관련 팁? 남깁니다.
프로그램 실행시 콘솔에 column "min_value" not found라고 데이터베이스 관련 에러가 나왔었는데 pom.xml에서 hibernate-entitymanager의 버전을 5.6.1Final까지 올려서 해결했습니다. 정확한 해결책인지는 모르겠지만 20년도에 올라왔던 질문에 5.4.14로 답변이 나와있지만 22년에 해결이 안되서 찾아보고 해결해서 남깁니다! 그리고 h2는 2.1.210쓰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