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는 생성 메서드를 만들지 않은 이유가 있나요?
member는 생성 메서드를 따로 만들지 않고 그냥 MemberRepository에서 저장, 조회를 했는데 Order와 OrderItem에만 생성 메서드를 만들어줬나요? 단지 단순한 로직(다른 엔티티에서 값을 가져와서 처리하는 비즈리스 로직이 없어서)이라서 Member 엔티티는 생성 메서드를 만들어 주지 않은 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ath variable로 Id를 받을 때 궁금증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게 생겼는데요 Id 같은 PK의 경우에 좀 중요한 정보라고 생각을 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동적으로 매겨진 pk인 id를 모르겠지만 이것을 사용자 측에서 저장하고 server와 주고 받는것이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공부를 하는 입장이라 실무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도록 하는지가 너무 궁금합니다. ID정도는 넘겨줘도 상관이 없는건가요? 아니면 이러한 정보를 절대 전송하면 안되고 매번 session에서 꺼내야 하는건가요? cookie 에서 이 값을 저장해도 무방한가요? 무엇이 나은가요? ㅠㅠ cooki Id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gradle 설정관련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맞습니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네 없는 네용입니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전부 확인했습니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선생님의 강의를 보면서 스프링을 배워가는 학생입니다. 처음 인텔리제이와 gradle 설치 이후 sdk관련된 gradle 싱크 문제로 큰고생 후 이제 설정이 완료되었다고 생각했는데 저는 선생님처럼 gradle 칸을 열어도 dependency 부분이 보이지 않습니다. 또한 hello-spring.build부분도 색깔로 처리되어서 메소드등이 인식되는것이 아니라 회색 밑줄로만 표시되는데요 이부분도 제대로된 세팅법을 알고 싶습니다. 기본적인 세팅부분인지라 질문에 등록되지 않았던 부분인것 같은데 해결책을 알 수가 없네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PathVariable의 대한 검증
안녕하세요 영한님. 수정 혹은 삭제 시 pathvariable을 사용해서 처리를 했었는데요. 이 강의를 보고 조작의 위험성에 대해서 고민이 되었습니다. 실제 사용자가 해당 리소스에 대한 권한이 있는지 체크해야 한다 라고 말씀하셨는데요. 예제의 내용으로 보안을 해야 한다면 itemId와 사용자 Id로 상품 조회 후 결과 값이 있으면 해당 리소스에 대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로 판단 고로 수정 혹은 삭제가 가능으로 처리 하면 되겠습니까?? 그리고..수정은 주로 PutMapping을 사용하는데 예제에서는 PostMapping을 사용하셨더라구요. 이건 영한님의 개인 취향 일까요?? 아니면 PutMapping을 안쓰시는 이유가 있으면 알려주십시아. 질문 다시 정리하자면. 1. pathvariable로 수정, 삭제 시 가장 좋은 검증 방법 2. PutMapping 혹은 DeleteMapping에 대한 영한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코로나 조심하세요. 영한님.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자바에서 valid하는 것과 JS로 valid하는 경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자바에서 valid하는 것과 JS로 valid하는 경우 커스터마이징이 JS가 좀더 쉬워보이는데 자바로 하는게 더 효율적인가요??
-
미해결윤재성의 만들면서 배우는 Spring MVC 5
JAVA에 ContentBean의 content_data가 int형이여도 되는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현재 강의에서 XML, JAVA 모두 kr.co.softcampus.beans 패키지 안에 ContentBean.java 클래스에서 content_data변수를 String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java프로젝트에서 String이 아니라 int로 설정하여도 작동되어서 문의드립니다. 왜 그런가요? XML의 경우는 안된다고 나옵니다.(당연히..)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getter setter 인텔리제이에서 만드는 법
안녕하세요. getter setter를 만들려고 했는데 alt+Insert를 해도 generate에 test와 copyright만 뜨고 다른게 뜨지를 않습니다. 이럴땐 getter setter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요 ㅠㅠ.. 구글링을 해봐도 모두 generate를 누르면 다 getter setter 탭이 뜨는데 인텔리제이 사용이 처음이라 어렵네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메모리 데이터 조회 예제를 해보고 있는데 폼 데이터를 하나 더 추가하니 조회가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회원 목록 Memory 에 저장하는거를 토대로 그냥 시간, 할 일 데이터를 받아와서 출력하는 예제를 해보고 있습니다. ( 수업 때 진행하셨던 부분을 토대로 한거라 구조는 같은데 Model에 date,work 가 저장되어 변수 하나 더 추가해서 해보는 중입니다. ) - 날짜, 할 일을 입력 받는 것까지 되는거는 확인 했습니다. - 1 을 보시면 아시다 싶이 id 값은 출력이 됩니다. 그런데 date 와 work 로 설정해놓은 데이터들이 출력이 안됩니다. 소스파일은 zip 파일로 묶어서 구글드라이브에 올려놨습니다. ( https://drive.google.com/file/d/1aTSxDKgxCr-do_l9oV0zNX3NTc7jDfRN/view?usp=sharing ) 한번 확인 가능하시면 어떤 부분을 놓치고 있는 것인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Repository 에서 cannot find symbol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동영상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강의 내용 대로 따라서 하고 있는데 MemberRepository 를 작성하고 나면 cannot find symbol 오류가 발생합니다. 자동으로 import 되는게 강의와 다르게 import java.lang.reflect.Member; 로 되고 있습니다. 동영상 강의에는 import hello.hellospring.domain.Memeber; 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오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어느 부분이 잘못 됐을까요.. package hello.hellospring.repository;import java.lang.reflect.Member;import java.util.List;import java.util.Optional;public interface MemberRepository { Member save(Member member); Optional<Member> findById(Long id); Optional<Member> findByName(String name); List<Member> findAll();}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csrf 토큰 과 jwt 토큰
제가 jwt를 사용하고 싶은데 그런 경우에는 jwt를 사용하면 csrf 기능을 사용하면 안되는 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Runwith, springboottest어노테이션이 없이 테스트 하면 어떻게 되나요?
이전에는 그 어노테이션 없이 test를 진행했던것같은데 이번에는 저 어노테이션이 추가가되어있네요 어떤 차이인거죠? runwith 어노테이션은 junit에 내장된 러너를 사용하는 대신 어노테이션에 정의된 러너 클래스(springrunner.class)를 사용한다는데.. junit에 내장된 러너랑 어노테이션에 정의된 러너클래스랑은 무슨차이인건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영속성 컨텍스트와 트랜잭션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에서는 Controller단에서 찾아서 넘기면 JPA와 관계가 없는 애가 넘어온다고 하셔서 아래 코드로 테스트 해보았는데, 값이 변경되길래 조금 찾아보았고,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건가 확인차 질문 올립니다. 1. Spring에서 Controller단의 경우 트랜잭션 범위 밖이기 때문에 읽기만 가능하며, 읽을때에도 영속성 컨텍스트에 등록은 된다.(기본적으로 open-in-view : true이기 때문에) 2. 하지만 말 그대로 "읽기"이기 때문에 persist / merge / flush 등을 호출시 에러를 터트려 트랜잭션 범위 밖에서는 값을 변경할 수 없다. 3. 그럼에도 아래의 코드로 item의 price와 name이 변경되는 것은 1번에 의해 item은 영속성 컨텍스트로 관리되고 있었기 때문이고 orderService의 order()가 종료될 때 플러시 발생 -> 더티체킹 동작시 DB에서 불러왔을때와 다르니 정상적으로 update 발생4. 만약 application.yml에서 open-in-view : false로 변경 시컨트롤러단에서 find 한 엔티티들은 영컨에 등록되지 않아 더티체킹도 안될 뿐더러 넘겨받은 member / item을 service단에서 그대로 사용하려 할 경우 에러 발생 (org.hibernate.LazyInitializationException: could not initialize proxy) ``` @PostMapping("/order") public String order(@RequestParam("memberId") Long memberId, @RequestParam("itemId") Long itemId, @RequestParam("count") int count) {// orderService.order(memberId, itemId, count);// 테스트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One(memberId); Item item = itemRepository.findOne(itemId); item.setPrice(88888); //더티체킹이 일어나는 시점은 트랜잭션 종료 지점이라 해당 지점에서는 변경이랑 관련이 없다. //그래서 트랜잭션이 있는 서비스 메소드 부분을 주석쳐버리면 변경은 일어나지 않는다.// 얘네는 다 에러// entityManager.flush();// memberRepository.save(member);// itemRepository.save(item); orderService.order(member, item, count); return "redirect:/orders"; } @Transactionalpublic Long order(Member member, Item item, int count) { item.setName("변경된 책 이름"); //배송정보 생성 Delivery delivery = new Delivery(); delivery.setAddress(member.getAddress()); delivery.setStatus(DeliveryStatus.READY); //주문상품 생성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createOrderItem(item, item.getPrice(), count); //주문 생성 Order order = Order.createOrder(member, delivery, orderItem); //주문 저장 orderRepository.save(order); return order.getId();} ``` 으로 이해했는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록시 초기화 시 만들어지는 실제 엔티티
프록시 객체가 초기화 할 때 영속성 컨텍스트를 통해서 실제 엔티티를 생성하고 생성된 실제 엔티티를 프록시 객체의 target 변수에 참조해준다고 하셨는데 이 때 만들어진 실제 엔티티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존재하고 있는 건가요? 그렇기 때문에 getReference() -> 초기화 -> find()의 과정을 했 을 때 find() 시점에 select 쿼리문이 안나오는 게 맞나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api 응답객체 네이밍 및 new에 대해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좋은 컨텐츠를 제공해주시는 인프런과 영한님, 서포터분들께 감사드립니다. api응답 객체 네이밍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등록,수정의 경우 응답객체 네이밍이 ~~Response 조회의 경우 MemberDTO 를 Result로 래핑해서 보내는데 DTO와 Response로 네이밍하는 기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 하나는, 좀 엉뚱한 질문일 수도 있는데 응답시마다 new를 통해 응답객체를 생성하는데 대규모 시스템에 성능에 크게 문제가 없는지와 응답 객체를 싱글톤으로 만드는 패턴같은것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Connection is closed 에러발생(해결)
안녕하세요 강사님! 덕분에 수업 잘 듣고있습니다. 스프링 통합 테스트 강의에서, 테스트 코드의 join함수를 실행시켰더니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java.sql.SQLException: Connection is closed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원인파악을 위해 join함수 처음부터 천천히 디버깅을 시도했는데, JdbcMemberRepository 클래스의 save함수에서 try 구문의 conn을 할당받는 첫번째 pstmt변수에서 IllegalStateException을 발생시켰습니다. 어떤 원인으로 에러가 발생했으며, 해결방법이 궁금합니다. 아래에 제가 작성한 오류와 연관된 코드들과 에러메시지 첨부합니다. *close함수에서 conn.close()를 close(conn)으로 수정했더니 해결됐습니다. [테스트코드] [JdbcMemberRepository 클래스] [MemberService 클래스] [에러메시지]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Repository와 Service의 이해
안녕하세요! 강의를 다시 보다보니 제대로 이해한건지 확실히 하고 넘어가고 싶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Repository에서 interface로 선언한 것은 각 기능별로 저장할 때 어떤 타입? 으로 저장할지(list 등) 이며 이를 가지고 class에서 implements를 하여 실제 구현체를 만드는데 각 기능별로 저장한 값을 어떻게 반환할지 단순히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기능 Service에서는 앞서 Repository와 Domain에서 정한 것을 가지고 실제로 동작하는 기능(조건이 있다면 조건 로직, 검증을 해야한다면 검증 로직 포함)을 작성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실제 구현 할 때 Service 부분을이 아무래도 비즈니스 로직이다보니 해당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한다면 전반적인 작동에도 문제가 생기겠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8080포트 사용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etterInjection 사용 지양에 대한 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늘 잘 듣고 있습니다.이번 강의를 듣던 중 Setter Injection 사용 지양에 대한 이유를 제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질문 올립니다.Repository의 경우 런타임에 한 번 주입시켜놓으면 수정할 일이 없는데 굳이 그것을 Setter 메소드로 열어놓아 유지보수시 추적을 힘들게 할 필요 없다...이런 느낌으로 이해했는데 맞는지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컨트롤러 단에서 프록시 객체 초기화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 궁금하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강의 중 for문을 돌려서 강제로 프록시를 초기화하는 부분이 있는데요. 제가 프록시 강의를 듣기로는 영속성 컨텍스트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준영속 상태일 때는 프록시를 초기화하면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트랜잭션이 걸려있는 서비스단에 트랜잭션이 끝나면 영속성 컨텍스트가 끝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현재 코드는 서비스가 아닌 Repository에서 바로 값을 가져오고 있고 해당 클래스는 트랜잭션이 걸려있지 않기 때문에 아직 영속성 컨텍스트가 끝나지 않아 컨트롤러에서 프록시 초기화가 가능한 것인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DTO 사용 범위에 대한 질문
강의에서 일반적으로 repository에서 만든 dto를 service와 controller에서 사용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이전 강의에서 tuple은 repository계층에서만 사용하고 service나 controller에서 사용하는건 비추한다고 하셨습니다. tuple의 경우엔 하부 구현기술에 class이니 앞단에서 알면 좋지 않다.(jpa를 바꾸게 되는 경우 수정할 로직이 많아진다) 라고 이해했는데요. dto도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repository에서 만든 dto를 바꾸게 될 경우 앞단에서 수정할 로직이 많으니까요. dto와 tuple(resultset 등)은 다르게 보아야 하는걸까요? repository에서 만든 dto는 repository나 service에서까지만 사용하고 controller에서는 새로운 dto로 매핑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repository는 뒷단(안쪽) 영역이니 앞쪽에서 의존성을 가져가도 된다고 생각하는게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