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프런트쪽을 vue를 사용하지 않고도 구현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ㅎㅎ 채팅 시스템이 있는 프로젝트를 구현하고 싶어서 강의 수강중에 있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 구조는 msa 구조로 프런트-게이트웨이-유레카-백엔드 이런식으로 있고 프런트쪽은 html+js+spring feignClient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른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html과 js로만 구현이 가능케 해야하는데 vue를 사용하지 않고도 강의에서 다루고 있는 채팅 시스템을 문제없이 구현이 가능한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DLQ 재시도 로직 처리후 DLQ에 unacked 1건이 남는거에 대해서
안녕하세요.예시 학습 중에 DeadLetterQueue 수동 재시도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http 호출 이후에 추가적으로 DLQConsumer가 호출되지는 않는데, 처리 후 RabbitMQ 콘솔 확인해보니 DLQ에 unacked 한 건이 남아 있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DLQConsumer에서 정상적으로 메시지 소비했으면 마찬가지로 ack 처리 해줘야 하는게 아닌가 싶은데, DLQ에 unacked 상태로 남기는게 의도된 경우가 있을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order_completed_queue에서는 모두 처리되서 메시지가 보이지 않습니다. 예시 코드@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DLQConsumer { private final RabbitTemplate rabbitTemplate; @RabbitListener(queues = RabbitMQConfig.DLQ) public void process(String message) { System.out.println("DLQ Message Received: " + message); try { String fixMessage = "success"; rabbitTemplate.convertAndSend( RabbitMQConfig.ORDER_EXCHANGE, "order.completed.shipping", fixMessage ); System.out.println("DLQ Message Sent: " + fixMessage); } catch (Exception e) { System.err.println("### [DLQ Consumer Error] " + e.getMessage()); } } }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NotificationMessage가 필요한 이유 질문
학습중 궁금한 것은 언제든 문의 하세요.질문을 최대한 자세히 남겨주시면 반드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도 요청해주시면 강의 자료를 업데이트 해서 제공할 예정입니다.Pub-Sub 모델을 이용한 실시간 알림 part2에 질문이 있습니다 ! package com.example.messagequeue.step2.step2; public class NotificationMessage { private final String message; public NotificationMessage() { message = ""; } public NotificationMessage(String message) { this.message = message; } public String getMessage(){ return message; } }짊여기에서 NotificationMessage DTO를 만들어주셧는데, 뭐 때문에 만드신걸까요 ? 직렬화, 역직렬화와 관련이 있는거 같은데, 잘 이해가 안되네요 ㅎㅎ 답변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
해결됨실전! FastAPI 활용(비동기)
Event Loop 관련 질문드립니다.
Event Loop에서 질문이 있습니다.저는 await task()을 하면 작업 큐에 등록된 후 차례가 되면 실행이 되는 것으로 이해를 하였는데그러면 다음과 같은 코드에서,import asyncio async def inner_task(): print(f"inner_task 시작") await asyncio.sleep(1) print(f"inner_task 완료") return "inner 결과" async def outer_task(n): print(f"outer_task {n} 시작") results = await inner_task() print(f"outer_task {n} 완료") return results async def main(): await asyncio.gather(outer_task(1), outer_task(2), outer_task(3)) asyncio.run(main()) 먼저 큐에 등록된 outer_task들이 먼저 동작을 하는 것으로 예상을 하였지만 먼저 들어간 outer_task보다 내부의 inner_task가 먼저 동작을 하였습니다.하지만 outer_task에 gather을 사용하여 여러 task를 await하면, 모든 outer_task 이후에 작동을 하는 데 혹시 작동원리가 다를까요?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서비스 구동하며 테스트와 디버깅하기 - 1 에서 기동하는 방법
서비스 구동하며 테스트와 디버깅하기 - 1에서 기동하는 방법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강의에서 갑자기 포트번호가 왜 3000으로 설정되어 나오는지도 모르겠고, start.sh로 실행시켜서 localhost:7002로 하면이렇게 나옵니다... /register 이건 어디서 설정하는 건가요?? 대체 뭐가 문제인걸까요..ㅠㅠ
-
해결됨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강의 듣기 전 질문
프로젝트에서 IOT와 결합한 게임을 만들 예정인데, 실시간 통신인 Websocket이 필요하다고 해서 강의를 급하게 결제하였습니다. 여기에서는 실시간 채팅을 구현하는 걸로 보이는데 혹시 여기 내용을 공부하면 프로젝트에 실시간 통신 방식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까요? 실시간 방 생성이나 IOT 현물과의 통신에서 WebSocket을 이용할거 같습니다.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jwt 인증, 검증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jwt 11 버전 설명해주시면서 생성과 검증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는데요.생성을 위해서는 base64로 인코딩 된 값을 디코더 하신 뒤 SecretKeySpec을 이용한 뒤 HS512로 암호화 하셨는데요. 검증 부분에서는 base64로 인코딩 된 값(디코더와 SecretKeySpec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으로 토큰 검증 및 claims를 추출하는데 이 부분에서 문제가 없는 걸까요?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소켓 메모리낭비
안녕하세요. 강의를 보고 소켓이 연결될 때 로그를 남겨봤는데, 살펴보니 이유 없이 소켓 연결이 많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이런 경우 선생님께서는 어떻게 해결하셨나요?소켓 메모리 낭비를 해결하셨다고 들었던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MySQLConfig 관련 질문있습니다.
선생님께서 말씀을 조금 두루뭉술하게 해주셔서인지 ㅠㅠ 다들 궁금해 하시는거같은데 저또한 궁금한 부분들이 있습니다. JPA에서 처음부터 트랜잭션 매니저 구현체로 JpaTransactionManager를 사용하지 않고 auth쪽은 DataSourceTransactionManager를 사용한건 왜 그런건가요?AuthService#createUser()부분에서는 일반 JDBC 기반의 DataSourceTransactionManager를 사용하셨더라구요.이러한 경우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Entity들의 생명주기까지는 관리가 안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Lazy Loading이나 Dirty Check 등..채팅관련 트랜잭션 설정할때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명확히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제가 몇 번 돌려서 듣긴 했는데 느낌이 STOMP 통신 특성상 발생되는 이슈라고 이해는 한 것 같은데 그게 구체적으로 어떠 어떠한 이유로 오류가 발생한다?혹은 할수도 있다? 는것인지 이해를 못했습니다. 확실히 무조건 오류가 발생을 한다는걸까요? 그리고 그 원인은 무엇일까요?단순히 JPA를 이용한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할때는 JpaTransactionManager가 관리하는 트랜잭션 내에서 작성하자.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 createChatTransacationMansger를 사용하자. 라고 이해해도 될까요?JpaRepository 구현체인 SimpleJpaRepository에는 기본적으로 save()에는 트랜잭션이 걸려 있지만 저장 이후에 Entity 조작하는 로직이 있다면 동작하지 않게 되니까요.. 혹시 일반적인 JPA 환경과 별개로 STOMP를 통한 웹소켓 통신 환경에서의 JPA 트랜잭션 처리에 대해 특이사항이 있었던거라면 자세히 설명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예를 들어 일반 MVC 프레임웍의 http 통신 환경일때는 스레드 또한 톰캣의 스레드를 사용하지만 STOMP는 환경이 달라서 뭔가 신경써야 할게 있다든지..? 감사합니다.
-
해결됨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subscribe와 publish시 인증
현재 코드에 if (StompCommand.CONNECT==accessor.getCommand()){ System.out.println("connect 요청 시 토큰 유효성 검증"); String bearerToken = accessor.getFirstNativeHeader("Authorization"); String token= bearerToken.substring(7); Connect 시에만 인증을 요구하는데Stomp 연결 이후 publish와 subscribe 시에는 STOMP에서 인증이 자동으로 되는건가요? 아니면 현재 코드에서 작성하지 않은 것인가요?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안녕하세요 리프레시 토큰을 사용하면 대략적으로 어떤 점이 바뀌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혹시 Refresh Token 을 사용하면 프론트엔드 코드에서 대략적으로 어떤 점이 바뀌게 되는건가요?
-
미해결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스탭4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스탭4 news 스크립트 코드가 궁금해 질문드립니다.우선 영상처럼 curl -X POST "http://localhost:8080/news/api/publish?newsType=ja"curl -X POST "http://localhost:8080/news/api/publish?newsType=sp"curl -X POST "http://localhost:8080/news/api/publish?newsType=vu"컬로 3번 찌르면 아래 사진과 같이 응답값이 찍히는데요스크립트 부분에서 connect 함수 실행시 현재 선택한 const newsType = document.getElementById("newsType").value; (java선택)값이 java이라subscribeToNews(newsType);이부분에 subscription = stompClient.subscribe(/topic/java, function (message) { alert(message.body); addMessageToDiv(message.body); }); 이렇게 /topic/java만 subscribe 할텐데 어떻게 spring , vue가 나왔는지 궁금합니다.curl 요청 -> restController -> publisher 에서 publishMessage 메서드를 통해 fanout으로 bindingBuilder가 설정된 큐에 send -> 클라이언트(html)에서 stomp를 이용해 구독 로직인것같은데클라이언트(html)에서 /topic/java만 구독한상태에서 다른 vue, spring을 받은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실시간 메시지 읽지 않음 표시 SSE 질문 드립니다.
읽지 않은 메시지 표시를 SSE로 한번 구현 해보라고 하셨는데, 웹소켓이나 stomp를 써도 상관 없나요?토큰 정보는 상황에 따라 저장 위치(쿠키 or 로컬스토리지)를 다르게 개발 하나요?그렇다면 통상 실무에서는 토큰 정보를 어디에 저장 하는지 그리고 몇 가지 예시 좀 부탁 드립니다.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ChatListResponse에 @Valid을 붙인 이유
안녕하세요!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ChatControllerV1에@GetMapping("/chat-list") public ChatListResponse chatList( @RequestParam("name") @Valid String to, @RequestParam("from") @Valid String from ) { return chatServiceV1.chatList(from, to); }@Valid를 붙이셨는데 제가 알기론 @Valid 가 붙는 쪽은 컨트롤러단에서 DTO또는 Entity 매개변수 앞에 붙어서 유효성 검사를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제 지식이 맞다면 왜 String 에 앞단에 넣은 이유가 궁금합니다..!아니면 이것도 추후 DTO 또는 request, response 객체들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들어가나요?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생성자 질문드립니다
NotificationMessage모델에 생성자를 추가하는 이유가 Jackson 역직렬화때문에 추가하셨다 했는데 setter만 있으면 필드명과 알아서 바인딩되어서 생성자가 없어도 되는거 아닌가요? 실제로 생성자 삭제하고 message key값으로 /app/send 요청 찌르면 객체에 바인딩이 잘된상태인데 궁금합니다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세션이 종료되는데 이유를 찾지 못하겠습니다..
채팅방 목록 메뉴에서 참여하기를 눌렀을때 connect sessiond IDnubkqe0atotal session1subscribe 검증sub 토큰 검증 완료Destination: /topic/1roomId: 1Hibernate: select cr1_0.id,cr1_0.created_time,cr1_0.is_group_chat,cr1_0.name,cr1_0.updated_time from chat_room cr1_0 where cr1_0.id=?disconnect sessiond IDnubkqe0atotal session0서버에서 세션 종료 감지: nubkqe0a세션이 자동으로 종료됩니다..당연히 채팅 메세지도 화면에 안나오는데토큰 검증은 StompWebSocketConfig 에서 다 되는 것 같은데... 잘모르겠습니다의심가는 로직이 있으신가요 ?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Pub/Sub & WebSocket 활용한 실시간 알림
SSE & Redis와 Pub/Sub & WebSocket을 비교하고 있는데요.실시간성과 정확성을 위해서라면 Pub/Sub & WebSocket을 더 많이 쓰나요? 알림의 특성상 채팅과 같은 양방향은 아니기 때문에 WebSocket이 적합한 선택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checkTokenForRefresh에 대해 궁금한점
안녕하세요! 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그런데 강의를 듣다가 checkTokenForRefresh을 해주는 메서드를 만드셨는데 제가 이해한것이 맞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이 메서드에서 만료가 되면 TokenExpiredException이 일어나면 토큰이 만료되서 decode 을 하시는데 위에 메서드들 처럼 createToken을 안하는 이유가 만료된 토큰의 정보 바탕으로 바로 똑같이 바로 만들어지는 건가요?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로컬 스토리지에 토큰 저장하는 방식 질문입니다!
보통 토큰을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하나요?그러면 명시적으로 로그아웃을 누르지 않는이상은클라이언트가 로컬스토리지 비우는 방식을 사용해서 토큰을 초기화 하지는 않을 것 같은데혹시 강의에서 로컬 스토리지 말고 쿠키 같은 것에 저장하는 내용이 뒤에서 나오나요?안나온다면 어떤식으로 처리해야하나요?서버에서 토큰을 내려보내줄때 쿠키에 담아서 내려보내주어야 하는건가요 ?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강사님 질문있습니다~
http,websocket의 비교라는 챕터에서는(12:07)처음에 http 요청으로 연결을 맺는다라고 하셨는데순수웹소켓-백엔드 강의에서는 (6:20)http 요청이 아니기 때문에 컨트롤러에서 안받고 핸들러에서 받는다고 하셨는데중요한 개념인 것 같아서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요?검색해보니까 처음에 연결은 http 요청에 get이 맞고 헤더에 웹소켓 요청이라는 정보가 있으므로 http 요청과는 구분된다라는 정보가 있는데 잘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