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이강의만 보고 구현은 가능할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혹시 이강의를 보고 게시판하나 만들까하는데 MyBatis대신JPA를 써볼까 합니다...너무 방대한 걸 알지만 혹시 이 한시간짜리 섹션강의를 보고 간단한 게시판정도는 해볼 수 있을까요?저는 취준을 시작한 비전공자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Configuration과 @Transactional
안녕하세요 항상 강의를 잘 보고 있습니다.@Configuration과 @Transactional 둘 다 상속을 이용한 proxy기법(CGLIB, AOP)을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만약 저가 MemberService라는 class에 @Service, @Transactional를 부여한 후 ComponentScan을 하면 MemberService의 프록시 객체가 빈으로써 생성되어 스프링 컨테이너에 반환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궁금한 것은 @Configuration과 @Transactional 이 둘이 각각 프록시를 생성하는 것인지 혹은 하나만 생성하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두 번째로 궁금한 것은 프록시는 싱글톤으로 관리가 될 텐데, 프록시가 아닌 target이 가르키는 실제 객체 MemberService는 매 request마다 객체가 새로 생성되어지는 것인지 혹은 최초로 서버가 로드할 때 한 번만 생성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는 @Configuration으로 인하여 후자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한탄스럽네여
분명 다 똑같이 따라왔는데 JdbcTemplate - 이름 지정 파라미터3 에서 코드를 돌렸더니 작동을 안하네요... 이전강좌까지 다 잘됐는데 아..............................................혹시나해서완성코드 받아서 복붙해도 작동 안하네요 Ai답변이 딴소리 해주겠지만오류때문에 미칠 노릇이네요 풀이자꾸 꺾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ollback-only 설정 위치
평소 열심히 강의를 듣고 있는 일반적인 대학생입니다.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대해 의문사항이 많아 직접 찾아보다가 강의와 다른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아직 부족한 학생인만큼 어느정도의 뇌피셜은 들어있습니다.. (물론 코드에 기반한) 질문은 가독성을 위해 음슴체를 사용한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결론트랜잭션 rollback-only 은 트랜잭션 status에 있으며 해당 사실 확인은 TransactionManager에 의해 밝혀진다. 따라서, rollback-only 표시가 동기화 매니저에 있다는 설명은 수정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관련이 없는 것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강의제공 내용내부 롤백이 일어나면 Rollback-only 표시가 됨외부 커밋은 해당 표시를 보고 true라면 롤백해당 표시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있음 (08:18 쯤) 고민하다가 의문이 든 내용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쓰레드(요청)마다 적절한 트랜잭션을 찾아 주는 역할이라고 생각함 -> 트랜잭션의 상태를 관리하도록 하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듦 (뇌피셜)트랜잭션 매니저를 보다보니 getTransaction을 호출하면 Status를 반환함 -> 가만 생각해보면 트랜잭션 commit rollback을 트랜잭션 매니저가 하는데 상태관리도 트랜잭션 매니저가 하는게 맞지 않을까? (rollback-only 표시도 트랜잭션 매니저가 하는게 맞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됨코드를 까보니 실제로 해당 메서드로 추정되는 메서드가 있음실제 코드JpaTransactionMangerprotected void doSetRollbackOnly(DefaultTransactionStatus status) { JpaTransactionObject txObject = (JpaTransactionObject)status.getTransaction(); if (status.isDebug()) { this.logger.debug("Setting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 + txObject.getEntityManagerHolder().getEntityManager() + "] rollback-only"); } txObject.setRollbackOnly(); }위의 코드는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코드인 것 같음 (뇌피셜, 이 코드가 동작하는 것이 아닌가)또한 아래와 같은 메서드도 존재함public void setRollbackOnly() { EntityTransaction tx = this.getEntityManagerHolder().getEntityManager().getTransaction(); if (tx.isActive()) { tx.setRollbackOnly(); } if (this.hasConnectionHolder()) { this.getConnectionHolder().setRollbackOnly(); } } public boolean isRollbackOnly() { EntityTransaction tx = this.getEntityManagerHolder().getEntityManager().getTransaction(); return tx.getRollbackOnly(); }아마 전자가 실제로 TransactionManager가 활용하는 코드인 것 같음 (protected라서), 후자는 외부에서 임의로 rollback-only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인 것 같음 (EntityTransaction은 더 들어가보니 hibernate에서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클래스인 것 같음) DataSourceTransactionManager해당 매니저에도 비슷한 메서드가 존재함public void setRollbackOnly() { getConnectionHolder().setRollbackOnly(); } @Override public boolean isRollbackOnly() { return getConnectionHolder().isRollbackOnly(); } 런타임디버깅을 돌려보며 정확히 어떤 메서드가 동작하는 지 확인해봄. 아마도 aop로 프록시 객체가 사용되는 것 같은데 aop 부분은 아직 학습하지 않아서 모르겠음..AbstractPlatformTransactionManager -> datasourceTransactionManger의 doSetRollbackOnly 호출 위와 같은 코드를 보았을 때, rollback-only와 같은 트랜잭션의 상태는 트랜잭션 매니저에 의해 관리 되는 것 같고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관련이 없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DB 테이블명들이 복수형일 때 자바 엔터티 클래스명을 단수로 써야 할지 복수로 써야 할지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의 @Table(name = "orders") 이 부분 때문에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Entity @Table(name = "orders") @Getter @Setter public class Order { . . .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생성되는 테이블명이 orders로 복수형이 되는데, DB를 설계할 땐 테이블명들을 전부 단수형을 쓰든, 전부 복수형을 쓰든 하나로 전부 통일하는 게 낫다고 들었습니다. 그럼 실무에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명을 전부 복수형으로 통일한다면, 자바 코드의 엔터티 클래스 이름은 단수로 하고, @Table을 통해 복수형으로 바꾸게 되나요? 아니면 이 경우 @Table을 일일이 적기 번거로우므로 자바 클래스 이름도 복수형으로 하나요? 즉 예를 들어@Table("items")public class Item {}이런 식으로 모든 엔터티 클래스에 @Table을 통해 복수형 이름을 지정하는지, 아니면 @Table 애노테이션을 안 쓰고public class Items {}이렇게 클래스 이름 자체를 복수형으로 쓰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QItem 생성 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QItem이 @Entity로 설정된 클래스 정보를 가져와서 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QItem이 생성되는 시점이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인 것 같은데,그렇다면 혹시, 새로운 엔티티를 만들었다면 해당 엔티티로 동적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선 필히 애플리케이션을 한번 실행해주고 해야하는건가요??QItem을 생성하기 위한 이유로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하는 그런 동작이 뭐랄까 좀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드는데 혹시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build.gradle 설정 문제 : querydsl,java21,lombok,mapstruct
해당 스펙의 gradle설정 해보신분 이 계신다면 답변달아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 가상스레드를 사용할예정이라 java 21,querydsl,lombok을 포함하여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mapstruct를 추가함) 처음설정은 어찌저찌 일일이 지정해가면서 빌드할때 compileQuerydls 태스크만 돌린다던지 querydsl관련 설정을 덕지덕지 붙여서 어떻게 생성시키고 돌아가게는 만들었던것 같습니다.하지만 기존 설정이 mapstruct를 붙이게 되면서 문제가 생겼고 (anotationprocessor문제로 추정)java21에서는 querydsl의 directory path 설정이라던지 기타 설정없이도 qclass가 생긴다하여 build.gradle 파일을 수정하며 삽질중인데 잘 해결되지 않아 질문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로는 lombok과querydsl,mapstruct의 anotationprocessor가 호환이 안되던지분리해주어야 하거나 추가 설정이 필요해서 되지 않는 것인가 추측해보았습니다. 일단 기존 querydsl, lombok만 설정했던 소스와 현재 수정중인 소스를 첨부합니다[기존파일] querydsl,lombok 설정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3.5'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6'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 } apply plugin: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group = 'kr.co.aaa'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21) }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 Validation 관련 추가 의존성 implementation 'jakarta.validation:jakarta.validation-api:3.0.2' implementation 'org.hibernate.validator:hibernate-validator:8.0.1.Final'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quartz'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runtimeOnly 'org.postgresql:postgresql'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 QueryDSL JPA 의존성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core'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collections'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5.0.0:jakarta' // QueryDSL의 JPAAnnotationProcessor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annotation.Generated) 대응 코드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annotation.Entity) 대응 코드 //netty implementation 'io.netty:netty-all:4.1.97.Final' // Netty 전체 라이브러리 } // Querydsl 설정부 def generated = file('src/main/generated') // src/main/generated 경로 지정 querydsl { library = 'com.querydsl:querydsl-apt' jpa = true querydslSourcesDir = generated } sourceSets { main { java { srcDirs += "src/main/generated" // generated 폴더를 소스 경로에 추가 } } } tasks.withType(JavaCompile).configureEach {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annotationProcessor options.generatedSourceOutputDirectory.set(generated) // Q 클래스가 src/main/generated에 생성되도록 설정 } // compileQuerydsl 태스크가 이미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없을 경우에만 등록 if (!tasks.names.contains("compileQuerydsl")) { tasks.register("compileQuerydsl", JavaCompile) { source = sourceSets.main.java.srcDirs classpath = sourceSets.main.compileClasspath // Main classpath 설정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annotationProcessor destinationDirectory.set(generated) // 생성 경로 설정 } } compileQuerydsl {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querydsl } configurations { querydsl.extendsFrom compileClasspath } // gradle clean 시에 QClass 디렉토리 삭제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수정중인 파일] querydsl,lombok,mapstruct이 되도록 빌드하고자 했었음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3.5'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6' } group = 'kr.co.artlab'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21'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quartz'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implementation 'jakarta.validation:jakarta.validation-api:3.0.2' implementation 'org.hibernate.validator:hibernate-validator:8.0.1.Final' implementation 'org.mapstruct:mapstruct:1.5.5.Final' implementation 'io.netty:netty-all:4.1.97.Final'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annotationProcessor 'org.mapstruct:mapstruct-processor:1.5.5.Final' runtimeOnly 'org.postgresql:postgresql'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 Querydsl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Config 관련해서 질문잇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Repository public class ItemQueryRepositoryV2 { private final JPAQueryFactory query; public ItemQueryRepositoryV2(EntityManager em) { this.query = new JPAQueryFactory(em); } ..... @Configuration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V2Config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rivate final ItemRepositoryV2 itemRepositoryV2; //SpringDataJPA @Bean public ItemService itemService() { return new ItemServiceV2(itemRepositoryV2, itemQueryRepository()); } @Bean public ItemQueryRepositoryV2 itemQueryRepository() { return new ItemQueryRepositoryV2(em); } @Bean public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 return new JpaItemRepositoryV3(em); } } 여기서 ItemQueryRepositoryV2가 에노테이션으로 빈 등록이되어있는데 config에서 새롭게 빈을 등록한 이유가 EntityManager를 새롭게 생성해서 주입받는 것을 위해서인가요?이 방식 말고 다른 방식 ItemQueryRepositoryV2 자체적으로@RequiredArgsConstructor를 쓰면 오류가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scanbasepackages 관련 질문입니다.
위 설명에 대한 의문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SpringBootApplication(scanBasePackages = "hello.itemservice.web")위와 같이 하지 않고@SpringBootApplication이렇게만 해도 실행되는데는 문제가 없는데굳이 넣는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혹시 성능과도 연관이 있나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공식 문서 링크 변경된 것 같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9. 스프링 트랜잭션 이해.pdf(v20240526) 32페이지에 나온 https://dev.mysql.com/doc/connector-j/8.0/en/connector-j-source-replica-replication-connection.html이 링크는 Page Not Found가 뜹니다.https://dev.mysql.com/doc/connector-j/en/connector-j-source-replica-replication-connection.html이 링크로 바뀐 것 같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hibernate.core 버전 변경
안녕하세요 hibernate.core의 버전 변경과 관련되서 질문드립니다.아래 코드와 같이 영한님이 말씀해주신 부분을 추가하고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6.5'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 id 'java' } group = 'com.example'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1' ext["hibernate.versioin"] = "5.6.5.Final"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Gradle을 다시 로드했는데요 여전히 5.6.7 버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버전이 바뀌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Update 쿼리문이 로깅을 해도 보이지 않는 이유
JPA 사용시 테스트 환경이 아닌, 일반 환경에서 update 쿼리문이 보이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제가 생각하는 update 쿼리문이 적용되는 과정은transaction이 커밋이 되고, 더티 체킹을 통해서 기존 스냅샷과 비교해 달라진 값을 기준으로 쿼리문을 작성하고 flush()를 통해서 쿼리문을 DB에 날린다음에 flush()한 쿼리문에 대한 commit()을 통해 db에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결국 DB에 쿼리를 날리기때문에 로그를 확인했을때,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거 아닌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insert와 select 쿼리문은 로그가 올바르게 찍히는데 그에 반해 update 쿼리는 로그가 보이지 않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JpaRepository에 대한 질문
[질문 내용]JpaRepository 코드를 타고 들어가보니, 코드는 다음과 같았습니다.@NoRepositoryBean public interface JpaRepository<T, ID> extends PagingAndSortingRepository<T, ID>, QueryByExampleExecutor<T> {분명 JpaRepository는 interface로 선언이 되어있는데, JpaRepository를 상속받은 제가 커스텀한 Repository는 구현을 따로 하지 않고 JpaRepository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메서드들을 사용할 수 있는 건가요? 추상 클래스면 이해를 하겠지만 인터페이스에서 어떻게 사용이 가능한지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커넥션을 사용한다는 것
안녕하세요.강의 자료중에, " MemberRepository는 JPA를 통해 회원을 저장하는데, 이때 JPA는 트랜잭션이 시작된 con1을 사용해서 회원을 저장한다 " 라고 되어있는데요.이 부분에 대해 영한님께서 "em.persist()를 호출할때 내부적으로 JPA는 트랜잭션이 시작된 con1을 사용한다" 고 하셨는데,em.persist()를 호출할때,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커밋은 아직 하지 않지만 con1을 사용해서 회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것인가요?"LogRepository도 트랜잭션C와 관련된 con2를 사용한다" 라고 강의자료에 나와있는 부분도, 위 내용과 동일한걸까요?con1과, con2를 사용한다는 개념이 어떤것을 의미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커넥션을 사용한다는 개념
안녕하세요. 강의 자료중에, " MemberRepository는 JPA를 통해 회원을 저장하는데, 이때 JPA는 트랜잭션이 시작된 con1을 사용해서 회원을 저장한다 " 라고 되어있는데요.이 부분에 대해 영한님께서 "em.persist()를 호출할때 내부적으로 JPA는 트랜잭션이 시작된 con1을 사용한다" 고 하셨는데, em.persist()를 호출할때,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커밋은 아직 하지 않지만 con1을 사용해서 회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것인가요? "LogRepository도 트랜잭션C와 관련된 con2를 사용한다" 라고 강의자료에 나와있는 부분도, 위 내용과 동일한걸까요?con1과, con2를 사용한다는 개념이 어떤것을 의미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epository를 통해 프록시가 생성되려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Repository가 붙은 클래스는 예외 변환 AOP의 적용 대상이 된다."는 내용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테스트 코드의 @Transactional를 주석 처리하고, @Import로 설정도 수정해서, JPA 대신 MyBatis나 JdbcTemplate을 적용해 봐도log.info("repository = {}", itemRepository.getClass());테스트의 이 코드를 실행하면 itemRepository가 프록시로 생성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JPA가 아니라 해도 @Repository가 적용되면 프록시 객체로 생성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전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 편 강의에서 사용했던 core 프로젝트에서도 한번 테스트해 봤는데//@Component @Repository public class Memory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 . . . } class OrderServiceImplTest { @Test void createOrder() {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System.out.println(memberRepository.getClass()); . . . } } 이 테스트를 실행해 보면 memoryMemberRepository는 @Repository가 적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록시 객체로 생성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 이유가 무엇인가요?@Repository를 통해 프록시 객체를 만드는 기능은 JPA 라이브러리가 있어야(JPA를 사용하지 않고 MyBatis를 사용하더라도) 적용되는 건가요? +) 그런데 스프링 DB 1편 강의에서 사용한 프로젝트에서도 테스트해 봤는데, 여기선 JPA 라이브러리를 받지 않았는데도 @Repository를 통해 프록시 객체가 생성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Transactional도 주석 처리했습니다.@Slf4j @Repository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V5 implements MemberRepository { private final JdbcTemplate template; . . . } @Test void AopCheck() { log.info("memberService class = {}", memberService.getClass()); log.info("memberRepository class = {}", memberRepository.getClass()); Assertions.assertThat(AopUtils.isAopProxy(memberService)).isTrue(); Assertions.assertThat(AopUtils.isAopProxy(memberRepository)).isFalse(); }@Transactional을 주석 처리했으므로 memberService는 프록시 객체가 아니고,@Repository가 적용된 memberRepository는 CGLIB 관련 내용이 출력됩니다. @Repository를 통해 프록시 객체가 생성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외부 내부 트랜잭션 질문
이전 내용은 내부 트랜잭션이 외부 트랜잭션에 종속된다는 내용이였는데, 지금까지 테스트를 트랜잭션 매니저로 직접 생성해서 해주셨습니다.그런데 실무에서는 트랜잭션 어노테이션을 많이 쓰는데 디폴트 트랜잭션은 기존 트랜잭션이 존재하면 그대로 이어 쓰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가 이어 쓰는 것임에도 논리적으로 외부 내부로 구분하는 건지, 아니면 다른 옵션의 예가 따로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정리하자면 기존 트랜잭션을 이어 쓰는 REQUIRED 옵션이 이제까지 설명해주신 내부가 외부에 종속되는 트랜잭션인지 아니면 다른 옵션이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트랜잭션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앞서 전파기본 강의와 전파예제 강의를 듣고나서 이해가 되지않는 부분이 몇가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강의 자료중에,트랜잭션매니저에 커밋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라면, 실제커넥션에 커밋하는것을 물리 커밋이라고 할수있다= 내부트랜잭션인 txManager.commit(inner)을 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고, 외부트랜잭션인 txManager.commit(outer)을 하는것이 물리커밋이다.=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txManager.commit(inner)를 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고,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txManager.commit(outer)를 하는것이 물리커밋이다.이렇게 생각하는게 맞을까요??2. 1번 질문에 더해서,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서 txManager.commit()을 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라면, 물리적인 커밋은 코드상 어떤것인가요? 외부트랜잭션도 txManager.commit()을 통해 커밋하는거같은데, 이렇게 외부트랜잭션을 커밋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임과 동시에 물리커밋인것인가요??3. 외부트랜잭션도 논리트랜잭션이고 내부트랜잭션도 논리트랜잭션인가요? 그래서 이 두가지를 묶어서 물리트랜잭션이라고 하는것인가요?? + 위 질문에 대해서 계속 찾아보면서 생각해봤는데,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1. 내부트랜잭션이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서 커밋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고, 외부트랜잭션이 트랜잭션매니저를 통해서 커밋하는것은 실제 DB커넥션에 커밋하는것이다. 외부트랜잭션의 커밋은 논리적커밋임과 동시에 물리커밋이다.2. 외부트랜잭션을 커밋하는것은 논리적 커밋임과 동시에 물리커밋이다.3. 외부트랜잭션과 내부트랜잭션 모두 논리트랜잭션이고, 논리트랜잭션을 묶어서 물리트랜잭션이라고한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트렌젝션 질문입니다
트렌젝션을 서비스 클래스에 걸면 이런 문제가 없을 거 같은데, 실무에서는 트렌젝션을 메서드 단위로 거나요??저 같은 경우 서비스 클래스에 트랜젝션 readonly를 걸고create, update, delete 등이 필요한 로직에 트렌젝션을 따로 거는 편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외부, 내부, 논리, 물리 개념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앞서 전파기본 강의와 전파예제 강의를 듣고나서 이해가 되지않는 부분이 몇가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강의 자료중에, 트랜잭션매니저에 커밋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라면, 실제커넥션에 커밋하는것을 물리 커밋이라고 할수있다= 내부트랜잭션인 txManager.commit(inner)을 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고, 외부트랜잭션인 txManager.commit(outer)을 하는것이 물리커밋이다.=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txManager.commit(inner)를 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고,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txManager.commit(outer)를 하는것이 물리커밋이다.이렇게 생각하는게 맞을까요??2. 1번 질문에 더해서,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서 txManager.commit()을 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라면, 물리적인 커밋은 코드상 어떤것인가요? 외부트랜잭션도 txManager.commit()을 통해 커밋하는거같은데, 이렇게 외부트랜잭션을 커밋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임과 동시에 물리커밋인것인가요??3. 외부트랜잭션도 논리트랜잭션이고 내부트랜잭션도 논리트랜잭션인가요? 그래서 이 두가지를 묶어서 물리트랜잭션이라고 하는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