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웹플럭스 처리 프로세스 문의
DB 조회조회된 내용으로 비즈니스 로직 처리(자바 코어 연산)연산된 결과 DB 등록 사용자 요청시에 위의 3가지 업무를 Webflux로 처리해야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처리해야하는지 감이 잘 안오는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Webflux에 적합하지 않은 업무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위의 3가지 업무는 순차적으로 처리가 되어야 하는 업무입니다. publisher가 위의 3개 내용을 각각을 별도의 subscriber에게 발생한다면 데이터 정합성이 깨질거 같은데...어떻게 처리해야하는지 설명부탁드립니다.
-
미해결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webflux 쓰레드 개수 문의
웹플럭스의 쓰레드 관련 문의가 있습니다. 강의 자료에 보면 위와 같은 그림이 있는데요, 웹플럭스에서 사용하는 쓰레드 = (요청 핸들러 쓰레드 + 이벤트 루프 쓰레드) X CPU 코어 수로 계산하는게 맞을까요? I/O 작업 등은 커널 쓰레드를 호출하여 작업이 진행된다는 블로그 글이 있던데, 쓰레드 계산할 때 이 부분도 포함해서 계산해야하는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Hot Sequence의 실무예제
실무에서는 Hot Sequence가 어떤 경우에 사용되나요?!
-
미해결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기본적인게 이해가 안되서 진행이 어렵네요..
doOnNext에서 로직을 실행하는것이랑 subscribe안에서 로직을 실행하는것이랑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순서는 doOnNext가 먼저 실행되는것으로 보이는데 재구독이 일어났을때 핫 퍼블리셔랑, 콜드 퍼블리셔의 차이로 데이터 소비 패턴이 달라진다 정도로 이해하면 되는걸까요?실무에서 사용되는 코드가 subscribe();로 별도에 람다식이 없고 전부 doOnNext안에서 처리하는 로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
미해결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backpressure example 코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backpressure 전략에 대해 공부하던 중,latest전략이라면, 1,2가 차있고 3이 들어오면 2가 버퍼에서 나가고 3이 들어가는 것으로 이해를 했습니다.DropLatest전략에 대해 설명을 해주시는데,1,2가 버퍼에 차있고 3이 들어오면, 오버플로우가 발생해서3이 드랍이 된다고 하셨는데 이게 드랍이랑 무슨 차이가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