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FilterExampleEx2의 또 다른 답안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정보]질문 내용의 위치:3. 함수형 인터페이스.pdf _ 문제와 풀이 _ 문제1 - FilterExampleEx2제가 작성한 소스코드: https://inf.run/GQrVP질문 요약: 1) Predicate 말고도 추가적으로 filter() 메서드도 BiFunction 함수형 인터페이스로 대체했는데, 이 정도까지 (메서드까지) 대체하는 것은 너무 과한 행동인지 궁금합니다.2) BiFunction.apply()를 호출하여 필터링 하는 방식은 filter() 메서드로 필터링하는 방식보다 직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는지 또는 그냥 사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기존 FilterExampleEx2의 모든 부분을 자바가 제공하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로 대체하는 문제로 잘못 이해해서 filter(리스트, Predicate) 메서드까지 BiFunction<리스트, Predicate, 리스트> 함수형 인터페이스로 대체를 했습니다. 이때 제가 생각했을 때는 크게 두 가지 부분이 문제가 될 수도 있겠다고 생각을 했는데, 실제로도 문제가 될 위험이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필터링 결과는 동일합니다.) (제가 추측한) 문제 상황1. 너무 과한 대체메서드까지 함수형 인터페이스로 대체하는 것은 너무 과하다. (제가 추측한) 문제 상황2. 직관성의 저하(영한님 답안의 경우) filter()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식의 경우 메서드명이 filter로 직관적이다.(제 답안의 경우) BiFunction.apply()를 호출하는 방식의 경우 apply()라는 메서드명만 보고는 "필터링한다"라는 느낌을 받을 수 없어 직관적이지 못하다.제가 작성한 소스코드는 [질문 정보] 부분에 구글 드라이브 링크를 첨부했으나, 혹시 몰라 질문글에도 작성해봅니다.package lambda.ex3;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function.BiFunction; import java.util.function.Predicate; import java.util.List; // 내 풀이 public class Filter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Integer> numbers = List.of(-3, -2, -1, 1, 2, 3, 5); System.out.println("원본 리스트: " + numbers); // predicate까지 parameter로 받으면 더 유연하다. BiFunction<List<Integer>, Predicate<Integer>, List<Integer>> listFilter = (numberList, predicate) -> { ArrayList<Integer> filteredList = new ArrayList<>(); for (Integer number : numberList) { if (predicate.test(number)) filteredList.add(number); } return filteredList; }; // 조건 1. 음수(negative)만 골라내기 Predicate<Integer> isNegative = n -> n < 0; List<Integer> negatives = listFilter.apply(numbers, isNegative); System.out.println("음수만: " + negatives); // 조건 2. 짝수(even)만 골라내기 Predicate<Integer> isEven = n -> n % 2 == 0; List<Integer> evens = listFilter.apply(numbers, isEven); System.out.println("짝수만: " + evens); }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오타 제보] 3. 함수형 인터페이스.pdf - p.23
[오타 제보]대상 강의록: 3. 함수형 인터페이스.pdf대상 위치: #특화 함수형 인터페이스 - ##Operator를 제공하는 이유 - 1. 의도(목적)의 명시성 중 세 번째 글머리대상 페이지: p.23오타 내용수정 전: 만약 모두 Function<T, R>나 BiFunction<T, T, T>만으로 처리한다면, ...수정 후: 만약 모두 Function<T, T>나 BiFunction<T, T, T>만으로 처리한다면, ...입력과 리턴이 같은 XxxOperator와 비교하는 문장이기 때문에 BiFunction<T, U, R>을 BiFunction<T, T, T>으로 표현했으니 Function<T, R>도 Function<T, T>으로 표현해야 될 것 같아서 제보합니다!앞서 배웠던 제네릭이랑 연관된 부분을 배우니 특히 더 재밌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오타 제보] 2. 람다.pdf p.40
[오타 제보]대상 강의록: 2. 람다.pdf대상 페이지: p.40의 main() 코드 블록오타 내용 변경 전(1): // 1. 합 구하기 (초기값 0, 덧셈 로직)변경 후(1): // 1. 합 구하기 (초깃값 0, 덧셈 로직)변경 전(2): // 2. 곱 구하기 (초기값 0, 곱셈 로직)변경 후(2): // 2. 곱 구하기 (초깃값 0, 곱셈 로직) 코드 블록에서는 초기값이라고 되어 있고, 바로 밑에 용어 - reduce, fold 부분에서는 초깃값이라고 되어 있어서 저도 궁금해서 검색해봤는데 초깃값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런 맞춤법은 명확한 기준이 없이 국립국어원 마음대로 정하기는 하던데 혹시 강의록에서 단어를 통일하실 때 도움이 될까 해서 제보합니다. 출처1: IT 글쓰기와 번역 노트 - 5.1. 맞춤법 - 값 <- 여기서 페이지 조금 내리다 보면 d. 사전에 ‘-값’으로 등재된 단어 부분에 있습니다.출처2: 초기값 - TTA 정보통신 용어사전 - "초기값은 ... => 규범 표기는 '초깃값'이다."출처3: 국립국어원 답변 - "'최댓값', '최솟값', '초깃값'이 표준어입니다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오타 제보] 인프런 내에서 섹션 명이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질문 내용]아래 사진과 같이 섹션1의 제목이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사진: 자바 고급3편의 '커리큘럼' 목록에서 보이는 섹션들]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사소한 오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매개변수 전달관련 예제 출력할때 오타가 약간있는거 같습니다.System.out.println("person.introduceWithNumber = " + fun2.apply(person, 1)); // fun2로 변경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2.람다.pdf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2.람다.pdf 36p MyFunction 은 함수형 인터페이스이며, String apply(String s) => StringFunction 이거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대일 optional 여부에 따른 UNIQUE 제약
안녕하세요! 강의를 너무나 잘 듣고 있습니다. 일대일 강의를 들으면서 이것저것 만져보다가 @OneToOne(optional=true) 인 경우에는 UNIQUE 제약이 걸리지 않고 반대로 false인 경우에는 UNIQUE 제약이 걸리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혹시 이렇게 구현된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iOS 개발을 위한 swift5 완벽 가이드
if랑 옵셔널 사용했는데 뭐가 잘못된걸까요? 똑같이 인덱스 범위 벗어난다고하네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let m = Matrix() m[0,0] // m[0,10] struct Matrix2 { var data = [[1, 2, 3], [4, 5, 6], [7, 8, 9]] subscript(row: Int, col: Int) -> Int? { if row < data.count && col < data[0].count { // 행의개수, 열의개수 미만 3이면 0~2까지 return data[row][col] } else { return nil } } // 읽기전용 서브스크립트, get {}생략 됨 } let test = Matrix() m[0,4]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선생님 optional<>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선생님 강의 시청도중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남깁니다. 자바 8부터 객체 리턴시에 null이 리턴되어 참조되는걸 방지하고자 optional을 사용한다고 말씀하셨는데요 optional로 감싼 객체는 1회용으로 거기서 원래 객체를 꺼내면 메모리에 남은 optional객체는 gc가 수거해야할 쓰레기가 되는건가요? 그렇다면 무분별한 optional남용은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메소드명에 OrNull을 추가해서 명시적으로 해당 메서드에서는 null이 리턴될 가능성이 있다고 알리고 사용하는 쪽에서 null값을 리턴받은경우에 대한 예외처리를 분기문등으로 진행하는게 낫지 않나요? 정확히 optional을 사용할때의 어떤 장점때문에 오버헤드의 가능성을 감수하고 사용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