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npx sequelize db:create시 에러 발생
안녕하세요.맥북프로 m1 사용중이며 홈브루를 통해 mysql을 설치했습니다.터미널 명령어로 mysql container도 정상적으로 만들어졌고mysql -u root -p 명령어도 정상적으로 잘 작동하고있습니다.패스워드도 정상적으로 입력되구요. 그런데 back폴더 터미널에서 npm i 를 해준 뒤npx sequelize db:create 명령어 입력 시 (base) jinjaehwan-ui-MacBookPro:back jinjaehwan$ npx sequelize db:createSequelize CLI [Node: 18.18.2, CLI: 6.6.0, ORM: 6.28.0]Loaded configuration file "config/config.js".Using environment "development".ERROR: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이런 에러가 발생합니다 ㅠㅠ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공유) react-toastify 사용 시 오류 및 해결법 (2024년 2월 기준)
ERROR in ./node_modules/react-toastify/dist/react-toastify.esm.mjs 2:4352-4353 export 'useSyncExternalStore' (imported as 'r') was not found in 'react' (possible exports: Children, Component, Fragment, Profiler, PureComponent, StrictMode, Suspense, __SECRET_INTERNALS_DO_NOT_USE_OR_YOU_WILL_BE_FIRED, cloneElement, createContext, createElement, createFactory, createRef, forwardRef, isValidElement, lazy, memo, useCallback, useContext, useDebugValue, useEffect, useImperativeHandle, useLayoutEffect, useMemo, useReducer, useRef, useState, version) @ ./layouts/Workspace/index.tsx 30:0-39 110:6-17 @ ./layouts/App/index.tsx 15:9-37 @ ./client.tsx 9:0-31 12:95-98 2024년 2월 기준, react-toastify를 최신 버전으로 install하게 되면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alecture의 package.json에 있는 react-toastify 버전으로 특정하여 설치하면 정상 실행 됩니다.npm i react-toastify@7.0.3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socket.io 관련 질문
frontend에서 socket.io-client를 이용하여 websocket을 구현하면, backend에서도 socket.io를 사용해야 하나요??frontend는 react로, backend는 spring+kotlin으로 구현하려는데, frontend에서만 socket.io를 사용해도 될까요?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중첩 라우팅 관련
안녕하세요. v6 업데이트 후 중첩 라우터 문제가 있어 질문 드립니다.로그인 성공 시, http://localhost:3090/workspace/channel 로 이동하게 하였는데 workspace 컴포넌트에서 channel 컴포넌트를 호출하도록 중첩 라우팅 처리한 부분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Workspace/index.tsximport fetcher from '@utils/fetcher'; import React, { FC, useCallback } from 'react'; import useSWR from 'swr'; import axios from 'axios'; import { Redirect, Switch } from 'react-router'; import { BrowserRouter, Routes, Route, useNavigate, Navigate, Outlet } from 'react-router-dom'; import { Header, RightMenu, ProfileImg, ProfileModal, LogOutButton, WorkspaceWrapper, Chats } from '@layouts/Workspace/styles'; import gravatar from 'gravatar'; import loadable from '@loadable/component'; const Channel = loadable(() => import('@pages/Channel')); const DirectMessage = loadable(() => import('@pages/DirectMessage')); const Workspace : FC = ({children}) => { const { data, error, mutate } = useSWR('http://localhost:3095/api/users', fetcher); // 전역 const onLogout = useCallback(() => { axios .post('http://localhost:3095/api/users/logout', null, { withCredentials: true, }) .then(() => { mutate(false); }); }, []); if (!data) { console.log('data', data); return <Navigate to="/login" replace />; } console.log("workspace page rendering"); return ( <Chats> <div>테스트</div> <Routes> <Route path="/channel/:channel" element={<Channel />} /> <Route path="/dm/:id" element={<DirectMessage />} /> </Routes> </Chats> ); } export default Workspace; pages/index.tsx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Container, Header } from './styles'; const Channel = () => { console.log("channel page rendering"); return ( <div>채널!</div> ); } export default Channel; App/index.tsx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loadable from '@loadable/component'; import { Redirect } from 'react-router'; import { Routes, Route, Navigate, BrowserRouter } from 'react-router-dom'; const LogIn = loadable(() => import('@pages/LogIn')); const SignUp = loadable(() => import('@pages/SignUp')); const Workspace = loadable(() => import('@layouts/Workspace')); const App = () => { return ( <Routes> <Route path="/" element={<Navigate replace to="/login" />} /> <Route path="/login" element={<LogIn />} /> <Route path="/signup" element={<SignUp />} /> <Route path="/workspace/:workspace/*" element={<Workspace />} /> </Routes> ); }; export default App; http://localhost:3090/workspace/channel로그인에 성공하여 위의 주소로 이동 시, 테스트 라는 글씨만 표시되고 채널! 이라는 글씨가 표시되지 않습니다.코드는 공지사항에 있는 링크와 동일하게 작성을 하였는데 잘못 처리한 부분이 있을까요? 바쁘실텐데 확인 한번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npx sequelize db:create시 오류발생
npx sequelize db:create 명령어 실행 시이러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npm i 와 mysql이 시작된 걸 확인한 후에npx sequelize db:create 명령어를 실행해도위의 오류가 발생합니다.구글링을 통해 찾아서 해결해보려했지만 , 해결이 잘 되지않아 질문을 드립니다.
-
미해결프론트엔드 개발환경의 이해와 실습 (webpack, babel, eslint..)
Error: Cannot find module 'node:crypto'
"devDependencies": { "eslint": "^8.56.0", "eslint-config-prettier": "^9.1.0", "eslint-plugin-prettier": "^5.1.2", "husky": "^8.0.3", "lint-staged": "^15.2.0", "prettier": "^3.1.1", "webpack": "^4.41.5", "webpack-cli": "^3.3.10" },일때module.exports = { env: { node: true, browser: true, }, extends: ["eslint:recommended", "plugin:prettier/recommended"], globals: { Atomics: "readonly", SharedArrayBuffer: "readonly", }, parserOptions: { ecmaVersion: "latest", sourceType: "module", }, plugins: ["prettier"], rules: { "prettier/prettier": "error", }, }; 노드 버전이 원인인가요 ?14 버전 입니다..
-
미해결프론트엔드 개발환경의 이해와 실습 (webpack, babel, eslint..)
DefinePlugin 관련; env와 관련하여, (21.06.22 16:15, aloha_jh) 답변포함
DefinePlugin 보고 이런생각이 들었습니다.React.js나 Next.js로 프론트엔드 개발을 할 때, 서버주소를 보통 env || env.develop 등으로 관리했습니다. 강의와 답변을 보기 전에는 이러한 라이브러리 및 프레임워크가 env 파일을 웹팩으로 설정하여 자동으로 불러오게 만들어 주는것이라고 여겼습니다. console.log(process.env.NODE_ENV);설정한 부분을 콘솔에 기록하는 부분의 코드가 동일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답변을 보니 DefinePlugin과 env 설정이 다른 것으로 보여서 개념상의 차이가 어떤 부분인지 싶어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초기세팅
안녕하세요! 초기 설정 시 제로초님 깃에서 back과 setting/ts(js는 지워도 되나요?) 만 남겨둔 후 각각 터미널에서 npm i 해서 package-lock.json 의존관계에 의해 모듈 설치한 뒤 시작하면되는건가요?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채팅을 인피니티 스크롤로 구현하려면 lastId 방식이 맞을까요?
인피니티 스크롤로 페이지 방식으로 구현했을때 새로운 채팅 입력시 게시글이 1~50개까지 있을 때 처음 1~10번을 가져왔는데 새로운 게시글이 추가되어서 11~20번을 가져오는 게 아니라 12~21번을 가져오는 문제가 발생해서 어찌어찌 페이지로 해결을 해보려고 해도 방법이 떠오르지 않네요..이걸해결하려면 채팅서비스의 경우 lastId 방식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정적파일을 불러오는 방법 부탁드려요
아이콘...등을 직접만든 이미지로 적용해보려 합니다.프로젝트 루트폴더에 resource폴더 생성 후 여기에 이미지파일을 넣고 상대경로로 지정하거나 public폴더 생성 후 process.env.PUBLIC_URL로 불러오는 등의 방식을 써봤는데 정적리소스를 불러오지 못하네요. webpack.config.ts의devServer에 static: { directory: path.resolve(__dirname) }는 추가 되어있습니다.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local:host3095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문제
안녕하세요. local:host3095 주소로 사이트가 열리지 않아 질문 남깁니다. (과정)db연결성공했고, 그 다음에 npx run dev 입력하고, 주소창에 local:host3095을 입력했더니 에러가 납니다. 포트번호가 잘못됐나 확인을 해봤는데 뭐가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ㅠ 포트번호 확인app.js에 3095라고 잘 적혀있는데 sql들어가서server > serverstatus>test connection을 실행해보면 3306이라고 적혀있습니다. sql 종료했다 다시 실행하기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NO) 에러
npx sequelize db:create을 설치하다가 오류가 나서1. 최신 업데이트: npm install -g npx2. npm install -g sequelize-cli이렇게 해보았는데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NO) 에러가 떴습니다. sql설치할때 패스워드 설정했고, 그 패스워드를 .env파일에 있는 MYSQL_PASSWORD에 적어뒀는데 에러가 고쳐지질 않습니다ㅠ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reactQuery로 짜고있는데...
useQuery 나 mutation같은걸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데이터 렌더링이랑 훅스랑겹치지않게 가장 함수끝부분에 배치해야된다해서 그렇게 배치했는데 data 의 null 값여부를 젤 밑에서 하니까 그위에 훅스들은 수동으로 null 값을 체크해야되는데 이런경우는 어떤식으로 하는게 좋을까요?interface Props { children?: React.ReactNode } const Comp: FC<Props> = () => { const {p1, p2} = useParams() if (!p1|| !p2) { return <>loading error</>; } const {data} = useQuery({ queryKey: mykey, queryFn: () => myfunc1(userId, codeId) }); const {mutate} = useMutation({ mutationFn: async (data: CodeRequestEntity) => { await myfunc2(data) return true } }) if(!data){ return <>loading</> } const onClickConfirm = useCallback(() => { mutate(data) onClose() }, []) return ( <> <Button variant={"outlined"} onClick={onClickConfirm}>예 </Button> </> ); }; export default Comp; 이런식으로 하게되면 분기문을통해 데이터 null 처리를 해서 분기문 밑어부터는 null 처리를 안해도되는데 null 처리를 가장 밑에 렌더링부분에 넣으면 그위에 훅스에선 데이터쓸때마다 null 처리해줘야되서 혹시 다른 방법 있을까요?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unread Count 같은 경우 실무에선는 DB에 마지막 일자를 기록하나요?
강의에서 localStorage 를 이용하여 접속시간 or 마지막 불러온 일자를 저장하고그 local 값을 unreads 에 after 파람으로 전송하여 읽지않은 메시지를 카운트 햇는데해당 방식은 다른 아이디로 로그인 시 같은 local 데이터를 활용하기도 하고 다른 기기에 접속시 해당값은 날라가게 될텐데 이는 에러사항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마지막 일자를 활용하게 된다면 이 값은 db에 저장되야 할걸로 생각이 되는데 맞을까요?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내부디비를 세부적으로 쓰고싶은데...
sleact 서비스에 내부스토리지 (web스토리지,indexedDB) 를 좀더 체계적으로 써야될것같은데zustand 같은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에 내부스토리지를 연결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swr 같은데다 연결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내부스토리 접근하는 코드 따로 빼놓고 데이터 가져와서 state 에 관리하는게 나을까요?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onScroll 스크롤 위치 유지가 안됩니다 ㅠ
import Chat from '@components/Chat'; import { ChatZone, Section, StickyHeader } from '@components/ChatList/style'; import { IChat, IDM } from '@typings/db'; import React, { FC, RefObject, VFC, forwardRef, useCallback, useRef } from 'react'; import { Scrollbars } from 'react-custom-scrollbars'; interface Props { scrollRef: RefObject<Scrollbars>; chatSections: { [key: string]: IDM[] }; setSize: (f: (index: number) => number) => Promise<IDM[][] | undefined>; isEmpty: boolean; isReachingEnd: boolean; } const ChatList: VFC<Props> = (({ chatSections, setSize, isEmpty, scrollRef, isReachingEnd}) => { const onScroll = useCallback((values) => { // 끝에 도달하면 불러오지 않기 if(values.scrollTop === 0 && !isReachingEnd){ console.log('가장 위'); setSize((prevSize) => prevSize + 1).then(()=>{ // 스크롤 위치 유지 if(scrollRef?.current){ scrollRef.current?.scrollTop(scrollRef.current?.getScrollHeight() - values.scrollHeight); } }); } }, []); return ( <ChatZone> <Scrollbars autoHide ref={scrollRef} onScrollFrame={onScroll}> {Object.entries(chatSections).map(([date, chats]) => { return ( <Section className={`section-${date}`} key={date}> <StickyHeader> <button>{date}</button> </StickyHeader> {chats.map((chat) => ( <Chat key={chat.id} data={chat} /> ))} </Section> ); })} </Scrollbars> </ChatZone> ); }); export default ChatList; 이쪽 코드는 문제가 없는것같은데 희한하게 위치가 유지가 되지않고 원래처럼 쭉 올라가버립니다.. ref쪽이 문제인가요..? 혹시몰라 DirectMessage 컴포넌트도 아래에 첨부하겠습니다.import React, { useCallback, useEffect, useRef } from 'react'; import gravator from 'gravatar'; import useSWR, { mutate } from 'swr'; // swr 인피니티스크롤링 전용 메서드 import useSWRInfinite from 'swr/infinite'; import { IDM, IUser } from '@typings/db'; import fetcher from '@utils/fetcher'; import { useParams } from 'react-router'; import ChatBox from '@components/ChatBox'; import { Container, Header } from '@pages/DirectMessage/style'; import ChatList from '@components/ChatList'; import useInput from '@hooks/useInput'; import axios from 'axios'; import makeSection from '@utils/makeSection'; import Scrollbars from 'react-custom-scrollbars'; const DirectMessage = () => { const { workspace, id } = useParams<{ workspace: string; id: string }>(); const { data: userData } = useSWR(`http://localhost:3095/api/workspaces/${workspace}/users/${id}`, fetcher); // 내정보 const { data: myData } = useSWR(`http://localhost:3095/api/users`, fetcher); const [chat, onChangeChat, setChat] = useInput(''); // 과거 채팅리스트에서 채팅을 치면 최신목록으로 바로 스크롤을 내려줄려면 ref를 // 이 컴포넌트에서 props로 내려줘야하기 때문에 forwardRef를 사용해서 props로 넘겨준다 // 💡 HTML 엘리먼트가 아닌 React 컴포넌트에서 ref prop을 사용하려면 React에서 제공하는 forwardRef()라는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const scrollbarRef = useRef<Scrollbars>(null); // 채팅 받아오는곳 (setSize : 페이지수를 바꿔줌) // useSWRInfinite를 쓰면 [{id:1},{id:2},{id:3},{id:4}] 1차원배열이 [[{id:1},{id:2}],[{id:3},{id:4}]] 2차원배열이 된다. const { data: chatData, mutate: mutateChat, setSize, } = useSWRInfinite<IDM[]>( (index) => `http://localhost:3095/api/workspaces/${workspace}/dms/${id}/chats?perPage=20&page=${index + 1}`, fetcher, ); // 데이터 40 개중에 20개씩 사져오면 첫번째페이지부터 20 + 20 + 0 세번째 페이지 0 이되면 isEmpty, isReachingEnd는 true가 됨 // 반대의 상황에서 데이터가 45개면 20 + 20 + 5 isEmpty는 0이 아니라서 false isReachingEnd는 여전히 데이터 가져옴 const isEmpty = chatData?.[0]?.length === 0; const isReachingEnd = isEmpty || (chatData && chatData[chatData.length - 1]?.length < 20) || false; const onSubmitForm = useCallback( (e) => { e.preventDefault(); if (chat?.trim() && chatData) { const savedChat = chat; // 💡 옵티미스틱 UI // 서버쪽에 다녀오지 않아도 성공해서 데이터가 있는거처럼 보이게 미리 만듦 mutateChat((prevChatData) => { // infinite 스크롤링은 2차원 배열이다. prevChatData?.[0].unshift({ // unshift : 앞쪽에 추가 id: (chatData[0][0]?.id || 0) + 1, content: savedChat, SenderId: myData.id, Sender: myData, ReceiverId: userData.id, Receiver: userData, createdAt : new Date(), }); return prevChatData; },false) // 옵티미스틱 UI 할땐 이부분이 항상 false .then(()=>{ setChat(''); // 버튼클릭 시 기존 채팅지우기 scrollbarRef.current?.scrollToBottom(); // 채팅 첬을때 맨 아래로 }) axios .post( `http://localhost:3095/api/workspaces/${workspace}/dms/${id}/chats`, { content: chat, }, { withCredentials: true, }, ) .then(() => { mutateChat(); // SWR에서 데이터를 다시 불러와서 캐시를 갱신하는 역할을 합니다. }) .catch(() => { console.error; }); } }, [chat, chatData, myData, userData, workspace, id], ); // (채팅이 최신것을 아래에 두기 위함) = 기존것 데이터를두고 새 데이터를 뒤집어서 출력 / flat() 배열을 1차원 배열로 만들어줌 const chatSections = makeSection(chatData ? [...chatData].flat().reverse() : []); // 로딩 시 스크롤바 제일 아래로 useEffect(()=>{ if(chatData?.length === 1){ // 채팅 데이터가 있어서 불러온 경우 scrollbarRef.current?.scrollToBottom(); // 가장 아래쪽으로 내려줌 } },[chatData]) // 로딩 if (!userData || !myData) { return null; } return ( <Container> <Header> <img src={gravator.url(userData.email, { s: '24px', d: 'retro' })} alt={userData.nickname}></img> <span>{userData.nickname}</span> </Header> {/* 컴포넌트 위치를 미리 지정해도 좋다. */} {/* 전역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도 컴포넌트상황에따라 props 로 넘겨줌*/} <ChatList scrollRef={scrollbarRef} chatSections={chatSections} setSize={setSize} isEmpty={isEmpty} isReachingEnd={isReachingEnd} /> <ChatBox chat={chat} onChangeChat={onChangeChat} onSubmitForm={onSubmitForm} /> </Container> ); }; export default DirectMessage;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useSwr 여러컴포넌트에 사용가능한가요
workSpace 에도 useSwr 로 유저데이터랑 채널데이터 요청하고모달안에서도 유저데이터랑 채널데이터 요청하는데 이러면 불필요한 요청이 모달하나 띄운다고 실행되는거 아닌가요? workSpace에서 revalidate 함수만 넘겨서 하면 어떤가요?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코드에 대한 질문이 잇습니다.
강의를 전부 진행한지 시간이 좀 된 상태에서 프로젝트 리팩토링중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아래 의문점에 대해 확인과 의견을 부탁드립니다.작성된 코드는 제로초님의 front / nest-typeorm 에서 가져온 코드입니다. 의문점 : 채팅 데이터 전송에 웹소켓이 역할을 하지 않는것 같다. 그렇게 생각한 근거 : 1-1 : useSocket을 이용해서 소켓에 연결하는데 ws-${workspace} 의 message에 onMessage 함수를 연결하고 있다const Channel = () => { const [socket] = useSocket(workspace); useEffect(() => { socket?.on('message', onMessage); return () => { socket?.off('message', onMessage); }; }, [socket, onMessage]); }const useSocket = (workspace?: string): [Socket | undefined, () => void] => { const disconnect = useCallback(() => { if (workspace && sockets[workspace]) { console.log('소켓 연결 끊음'); sockets[workspace].disconnect(); delete sockets[workspace]; } }, [workspace]); if (!workspace) { return [undefined, disconnect]; } if (!sockets[workspace]) { sockets[workspace] = io(`${backUrl}/ws-${workspace}`, { transports: ['websocket'], }); console.info('create socket', workspace, sockets[workspace]); sockets[workspace].on('connect_error', (err) => { console.error(err); console.log(`connect_error due to ${err.message}`); }); } return [sockets[workspace], disconnect]; };1-2 : 백엔드에서 채팅을 수신받는 createWorkspaceChannelChats는 ws-${url}-${chatWithUser.ChannelId} 의 message에 받아온 채팅을 보내고 있다. async createWorkspaceChannelChats( url: string, name: string, content: string, myId: number, ) { const channel = await this.channelsRepository .createQueryBuilder('channel') .innerJoin('channel.Workspace', 'workspace', 'workspace.url = :url', { url, }) .where('channel.name = :name', { name }) .getOne(); const chats = new ChannelChats(); chats.content = content; chats.UserId = myId; chats.ChannelId = channel.id; const savedChat = await this.channelChatsRepository.save(chats); const chatWithUser = await this.channelChatsRepository.findOne({ where: { id: savedChat.id }, relations: ['User', 'Channel'], }); this.eventsGateway.server // .of(`/ws-${url}`) .to(`/ws-${url}-${chatWithUser.ChannelId}`) .emit('message', chatWithUser); } 2 : 네트워크 탭의 웹소켓 메시지에 채팅내역 수신내역이 남지 않는다이미지가 보일지는 모르겟지만 빨간 박스가 새로 전송한 채팅이고 정상적으로 수신받으면 네트워크 탭에 messag에 내역이 남아야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남지 않는걸로 확인됩니다. 3 : 웹페이지에서 포커스를 유지한 상태로 모바일에서 입력시 채팅이 전송되지 않음 왜 채팅이 정상적으로 전송된거 처럼 보일까 생각해보니 swr이 브라우저를 포커스 아웃후 재 포커스하면 채팅데이터를 다시 가져오는걸로 추측하여 웹페이지 포커스 유지중 모바일로 테스트해보니 채팅이 전송되지 않습니다.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MentionsTextarea 와 autoSize 사이 버그가 하나 있습니다.
MentionsTextarea 에 ctrl+c ctrl+v 를 이용하여 값을 입력시 사이즈는 조절되나 글자 줄 수가 잘려서 보이는 버그가 있습니다.MentionsTextarea 을 사용시 실제보이는 textarea와 보이지 않는 span 영역이 생성되는데 이 중 autosize에 span ref만 넘어가서 span영역만 커지고 textarea의 영역은 유지되서 생기는 버그로 보입니다.이후 글자를 제거 하거나 추가로 입력시 정상적으로 보이게 됩니다.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WebSocket 연결 에러 질문
import { useCallback } from 'react'; import io from 'socket.io-client'; // 아무 key값이 들어올수 있으니 이런 형식으로 타입 지정 const sockets: {[key: string]: SocketIOClient.Socket} = {}; const backUrl = "http://localhost:3095"; const useSocket = (workspace?: string): [SocketIOClient.Socket | undefined, () => void] => { const disconnect = useCallback(() => { if(workspace) { sockets[workspace].disconnect(); // 연결 끊을때는 지우기 delete sockets[workspace]; } },[workspace]) if(!workspace) { // 한번 맺었던 연결을 끊는 함수 (끝맺음을 잘하자) return [undefined, disconnect]; } sockets[workspace] = io.connect(`${backUrl}/ws-${workspace}`,{ transports: ['websocket'], }); return [sockets[workspace], disconnect] } export default useSocket; const [socket, disconnect ] = useSocket(workspace); useEffect(()=>{ if(channelData && userData){ socket?.emit("login",{id : userData.id, channels: channelData.map((y)=> y.id)}); } },[userData, channelData, socket]); // socket연결을 끊어줄 때 useEffect(()=>{ return () => { disconnect(); } },[workspace, disconnect]) 버전이 달라서 이런 현상이 생기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