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경력 사항
안녕하세요! 회사 경력이 있을 경우에는 경력사항을 어떻게 적어야하나요? 강의에서 알려주신것처럼 똑같이 도입배경/사용이유/성과 -> 모두 포함해서 작성하면 되는걸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이력서에 적을 내용에 관하여
안녕하세요!강의 중에 단순 게시판 구현한 분도 합격하였다는 사례를 말씀주셨는데요,단순 기능만 구현하지말고 그 기술을 왜 선택했는데, 기술의 특징과 장단점 등을 학습하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이력서에 기술 선택 내용과, 기술의 특징 및 장단점을 이력서에 적어야하는건가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프로젝트 어필 순서 질문
안녕하세요 이력서 작성 잘 보고 있습니다.제가 예전에 인프런 멘토 3명하고 상담해봤는데 멘토들은 토이프로젝트나 개인 공부보다는 회사에서 한 프로젝트가 더 중요하다고 해서 제일 먼저 위에 배치해라고 했는데, 제가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이 회사에서 필요한 내용이고 그러면 강의에서 배운대로면 회사프로젝트 이런거 따지지 말고 그냥 우선순위대로 작성하는게 낫나요?그리고 어떤 회사 다녔고 거기서 뭘했고 쓰는거는 할 필요가 없죠? 강의에도 전혀 없고 그러네요단순히 프로젝트해서 뭘 깊이 있게 했는지만 쓰면 되나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이력서 제출 방식 관련 질문 (노션 링크 vs PDF)
안녕하세요, 강사님. 이력서 작성 강의 잘 들었고, 현재 말씀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이력서를 준비하며 취업을 준비 중입니다.이력서를 제출할 때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일지 고민이 되어 질문드립니다.노션에 깊게 고민하고 열심히 구현한 내용(+ 기술을 선택한 이유 등)을 작성한 후 트러블슈팅, 구현 상세 설명 등을 서브 페이지로 구성해 한 페이지 내에서 여러 페이지를 들어가 추가로 자세히 볼 수 있는 링크로 전달하는 방식과,구현 중 고민한 내용(+ 기술을 선택한 이유 등)과 구현 과정을 한 페이지에 정리해 PDF 파일로 제출하는 방식 중강사님께서 보시기에 어떤 방식을 더 선호하시고, 인사 담당자 입장에서 더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구체적인 어필, 과감한 삭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아주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한 회사에서 수행한 업무들 중 어필할만한 사항이 아니면 과감히 삭제하는 방법이 좋다라고 이해를 했는데요.궁금한 점은 한 회사에서 텀을 두지 않고 많이 빠르게 개발한 사항들도 어필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습니다.30초의 법칙에 의하면 걸러질 내용이라 저도 기존대로 일일이 적어두진 않아야겠다는 생각은 하게 됐는데, 가장 하단에 이런 자잘한 api 개발들을 모아서 명시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요"나 api 빠르게 많이 개발해왔어. 볼 사람들은 보구 안보려면 위에 핵심 내용만 봐" 정도의 의미로요!ex)1. 게시판 api 기능 개발 (20.01.01 ~ 20.01.03)2. ... api 개발 (20.01.03 ~ )3. ... api 개발 (... ~ ..)이런식으로 모아두는 방식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작성은 구어체로? 아니면 핵심만 딱딱?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합격 샘플의 예시를 보면서 저의 이력서와 같이 비교 분석하고 있는데 합격하신 분은 주로 구어체로 많이 작성하셨더라고요.저의 이력서도 기존에는 구어체를 많이 사용했으나 gpt에게 프롬프트로 "백엔드 개발자의 면접관의 입장에서 신입 개발자의 이력서 수정사항을 말하라"라고 입력하고 저의 이력서를 스캔하여 보여주니 구어체는 쓰지말고 핵심만 끊어서 작성하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강사님의 의견은 어떠하신가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기술 어필을 위한 프로젝트 선택
안녕하세요 재성님. 강의 정말 잘 보고 있고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기존에 작성한 이력서를 다시 되돌아보니, 어떻게든 디테일하게 쓰려고 노력은 했지만 결국 레벨 1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강의에서 알려주신대로 이력서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한 가지 고민이 생겨서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 저는 이미 회사에서 경력을 쌓아서 회사에서 진행한 프로젝트가 있는데, 이 프로젝트에서 사용했던 기술을 디테일하게 작성하려고 하니 프로젝트를 한 지 오래됐거나 혹은 그 때 당시의 기억이 희미해서 잘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혼자서 진행하고 있는 사이드 프로젝트가 있는데, 여기서 저의 고민이 생겼습니다. 제가 혼자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기술 선정 이유나 디테일 등을 제가 결정하고 사용한 것이어서 이해도가 높은 반면에 회사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들은 저의 선택으로 된 비중이 낮습니다. 이런 경우에 어필을 하기 위한 내용을 회사 프로젝트에서 가져오는게 좋을지 아니면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가져오는게 좋을지가 고민입니다. 물론, 선택은 저의 몫이지만 재성님이라면 이런 경우에 어떤 것을 고르는게 더 유리할지 도움을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기대하겠습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프로젝트 아키텍쳐 적용 이유
프로젝트 아키텍쳐 적용 이유를 사진과 같이 작성했는데 너무 기초적인 내용인 것 같아서 문의드립니다.사실 도입 배경도 따로 있어서예전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강의와 같이 모든 파일을 큰 덩어리로 구분하여 묶었더니 유지 보수 및 코드 리뷰에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어서 이번에는 3계층을 적용했던 것이였습니다.또 3계층 아키텍쳐여도 저는 DI를 주입하였기 때문에 GPT문의결과 클린 아키텍쳐와 비슷하게 되어가고 있다고 하더라고요.저기에 DI를 주입했다는 글과 그 이유도 같이 쓰는게 좋을까요?(사용이유에?)사용 이유, 성과 또한 마찬가지로 위 사진의 설계 효과에 넣었었습니다. 도입 배경을 넣고 싶었는데 이력서 칸을 넘겨서 뺐었는데 넣는게 좋을까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특정 프레임워크의 동작원리를 분석한 경험
안녕햐세요! 강의 잘듣고있습니다. 혹시 특정 프레임워크의 동작원리를 Beakpoint 을 걸고 디버깅하며 코드단에서 분석하고 파헤친경험이 많으면 이를 어떻게 녹여야할까요? 예를 들어, SpringApplication.run(args) 가 실행되면 배너가 호출되고, 어디서 이벤트객체들이 초기화되고, application.yml 설정들을 어떤 객체에서 Load 하는지 이러한 내용들을 매우 세세하게 분석해서 블로그에 기술한 글들이 많은데. 이러한 경험을 해본 취준생분들이 많지 않다고 생각해서 이 내용들은 꼭 쓰고싶습니다. 근데 이게 프로젝트 관련 내용이 아니라 진짜 순수 프레임워크에 대한 분석글이다보니 "프로젝트 기술" 란에 적어야할지 아니면 자기소개란에 적어야할지 고민입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이력서에 데모 동영상
이력서에 개발한 어플리케이션 시연 영상 링크를 첨부하면 좋을까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안녕하세요! 조언해주신대로 수정하고 있습니다
이때까지 3페이지 이내로 줄여야 한다는 생각으로 꾹꾹 눌러 담아놨는데..재성님이 조언해주신대로 구체화 시키면서 분량 limit을 풀어버리니, 진짜 내세우고 싶은 기술들만 썼는데도 구체적으로 풀어쓰니 이력서가 거의 7 8 페이지까지 되어버리네요 ㅎㅎ 분량은 최대 어디까지 작성하면 좋을까요!? 너무 많이 써도 5분 법칙을 어길 수 있을 거 같아서요 장시간 진행했고 성과가 있는 아래 세 개 프로젝트만 쓰고 있는데.. 한 개를 버려야 하는지도 고민입니다!https://github.com/ForPawTeam/ForPaw_BEhttps://github.com/LlmnTeam/LLMN-Docshttps://github.com/hoyaii/Tily_BE
-
미해결
백엔드 포트폴리오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백엔드 개발쪽으로 취업 희망하는데 기업에 포트폴링 ㅗ제출할 때, 한워드 파일로 제출해도 될까요? 보통 노션이나 다른 프로그램 사용해서 제출하나요?
-
미해결
중소기업 서류 합격도 쉽지 않은 요즘, 취준생분들의 고민을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저희는 우리나라의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인 취업 준비 과정의 고통을 줄이기 위한 서비스를 개발중인 팀 '복어'입니다. 실제 취준생 분들의 고민을 듣고 공감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려 합니다.응답해주신 답변 하나하나가 다른 취준생분들의 고민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 개발에 기여될 예정입니다. [설문지 링크]https://bit.ly/3Yi9vOk [설문 대상]신입으로 취업 준비를 하고 계신 분 (100명) [소요 시간]10문항, 5분 [설문 보상]스타벅스 기프티콘 (참여자 100명 중, 10명 선정) 많은 참여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
🔥IT 직군 취업과 커리어 성장을 위한 사이드 프로젝트 참여자 모집🔥[스위프 7기]
나만의 독보적인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싶다면?단기간에 프로젝트 A to Z를 경험하고 싶다면?타 직군과 소통하며 협업을 경험하고 싶다면?위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면 지금 당장 ‘스위프 7기’에 지원하세요!완벽하게 취.뽀. 하고 싶은 대학생&취준생&주니어 모두 환영! (비전공자도 환영🙌) 📢 [스위프란?]스위프는 PM, 디자이너, 개발자가 한 팀으로 웹개발 단기 프로젝트(6주)를 진행하며 아이디에이션부터 출시까지 경험하고 성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스위프를 통해 나와 맞는 팀원과 함께 프로젝트의 전 과정을 경험하고, 나만의 차별화 된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어요! ⭐ [참가 혜택]체계적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스위프 전용 협업 툴 지원!초보자도 쉽게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및 템플릿 제공!GitHub 연동만으로 쉽고 빠른 웹 호스팅 지원!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결과물 보존!현직자가 답변해주는 상시 QnA 창구 운영!기업 채용 연계 서비스 제공!팀 회의를 위한 오프라인 공간 제공!→ 자세히 알아보기 https://dub.sh/swyp/benefit 🙌🏻 [모집 대상]- 서비스 기획에 관심 있는 PMㆍ기획자, 디자인 툴 하나라도 사용해 본 디자이너, 프로그래밍 언어를 하나라도 공부해 본 개발자, 모두 환영해요!- 한 번도 사이드 프로젝트 해본 적 ‘없’는 사람? 오히려 좋아요!- 경험이 부족해도 포트폴리오가 없어도 괜찮아요. 당신의 의지와 열정이면 충분해요! 🔥 [참가비]- “단돈 99,000원!”참가비 249,000원수료 시 현금 리워드(15만원) 지급 📅 [일정]- 지원 마감 : 10/27(일)- 합격자 안내 : 10/28(월) 20:00- 팀 빌딩 : 10/29(화)~10/31(목)- 킥오프 미팅 : 11/2(토) 10:00- 프로젝트 발표 및 네트워킹 행사 : 12월 28일(토)※ 세부 일정은 합격자에 한해 일괄 안내 예정 🥳 [선배들의 후기]프로젝트 결과물 https://dub.sh/swyp/project후기 모음 https://dub.sh/swyp/review 📌 [지원 방법]신청서 작성 https://swyp.swyg.im/ 🙋 [문의]Contact : http://pf.kakao.com/_kiszn 👉 스위그(SWYG)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홈페이지 https://www.swygbro.com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wyg_official
-
미해결
웹개발 진로에 대해서 질문드리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웹개발 백엔드공부중인 컴공 졸업생입니다.인프런에서 스프링 강의를 수강하고 있습니다.제가 나이도 좀 있고 공백기도 있어서 고민이 있습니다.현재 제가 공부중인, 웹개발 스프링을 공부하면, 웹 개발 직종뿐만 아니라 다른 유사한 직종으로도 들어갈 수 있을까요?개발자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도 많이 들었고, 처음부터 웹 개발 회사 진입도 어렵다는 말을 많이 들었어서 고민이 됩니다.스프링 웹개발 분야를 공부했을 때, 개발직종말고 이와 유사한 직종 들어갈 수 있는 곳들도 있을까요?예를들면, 금융회사라든지 이런 부차적으로 개발을 하는 곳들로요.빨리 취업하는 것이 목표라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
컴퓨터공학과 진로에 대하여
컴퓨터 공학과 관련 분야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유튜브나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대부분 개발자가 많이 언급되는 것 같네요.웹 앱 개발자, ai 개발자,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빅데이터 분석가, PM, 공기업 전산직 등이 있는 것 같네요. 혹시 위의 직업들 포함해서 신입이 도전가능할 비개발분야 추천가능하실까요?데이터분석가는 수학을 잘해야한다고 들었고 PM은 신입 거의 안뽑는다고 들었는데... 컴공 졸업생이 지원할 수 있는 비개발 분야는 없을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취업준비 가이드 질문
36-취업가이드에서 나는 2~3년차라고 생각하고 경력쪽으로 지원하라고 해주시더라구요.2~3년차 경력자처럼 일할 수 있으면 타당한 지원인 것 같긴 한데, 면접관 입장에서 신입이 3년차로 지원하면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합니다.그만한 역량이 있으면 얼마든지 상관없다고 생각할까요?
-
미해결
[08.04 (금) 이벤트] 개발자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안녕하세요.인프랩의 CTO인 향로입니다.저는 개인 블로그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 제 생각 혹은 다른 개발자분들의 멘토링을 진행하곤 했는데요.최근에 원티드 CTO이신 황리건님의 글을 보고, 저도 인프런 커뮤니티를 활용해서 이런 고민상담에 답변해드리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공개적인 공간에서 여러 사람들과 고민을 나누는 것 자체가 질문한 본인에게도, 그 질문과 답변을 본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을 많이 주더라고요 ㅎㅎSI, 포털, O2O 스타트업, 에듀테크 스타트업 등 회사들을 거쳐오면서 엔지니어 생활을 해왔는데요.개발자로서의 취업에 대한 고민이나, 대기업 -> 스타트업 합류에 대한 고민, 어떻게 학습하고 성장해야하는지, 어떻게 커리어를 쌓아야하는지 등등 개인적인 고민들이 있으시면 이 글의 댓글로 남겨주시면 제가 댓글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안녕하세요 강사님. 이직 관련해서 여쭤볼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현재 웹개발 국비 수업을 들으며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그림을 그리는 일을 하다 ai때문에 미래에 위기를 느껴 빠르게 개발자 분야로 직무변경을 시도중인 것인데요. 취업이 급해서 제일빠른 웹개발 백엔드 수업을 들으며 포폴단계까지 와왔습니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개인사정상 당장 첫 취업은 웹 백엔드쪽으로 정해진 것 같은데요. 지방이라 변변찮은 학원도 없고 좀 급하게 취준을 시작한터라 급하게 웹쪽으로 온 것 같습니다.비전공 국비라 중소기업이 현실적일 것 같은데 제가 소위 오타쿠 캐릭터 게임일러를 그렸기도 하고 3d모델링에도 관심있었다 보니 게임개발에도 관심이 생겼습니다. 웹보단 그림이나 모델링 게임같이 뭔가 남들이 좋아해주는 결과물이 눈에 나오는 작업을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그리고 ai가 코딩도 고퀄리티로 해주는 시대에 제 생각은 국비로 들어가 웹개발로 들어가는 것은 정말 미래 전망이 좋지않은 것 같고(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지금 메타, 애플, 소니 등 3d모션과 vr에 투자하는 것을 보니 앞으로 붐이 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그래서 여쭤볼 것이 웹쪽 회사를 다니면서 루키스님의 강의로 유니티, 언리얼등을 독학해서 개인포폴을 두개 정도(타이쿤, vr 하나씩 생각하고 있습니다.) 열심히 만든다면 신입으로라도 이직이 가능한 부분일까요?나이가 현재 29라 취업하면 30살쯤이 될 것 같은데 솔직히 적지 않아 그냥 웹개발 커리어를 쌓아야할지 제 감으로 미래가 밝을 것 같은 게임 개발쪽을 노려봐야할지 고민입니다.(사실 독학으로 게임개발을 준비한다면 웹쪽 커리어와 실력 쌓기는 아얘 포기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2줄요약1. 30~31살에 루키스님 강의로 웹개발로 취업해서 1~2년만에 독학 포폴만드는걸로 현실적으로 이직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가능. 일하면서 독학으로 게임클라 이직 준비하기 vs 현실적으로 불가능. 그냥 웹으로 쭉 커리어 쌓기. 열심히 한다는 가정하에 추천을 받고 싶습니다.
-
해결됨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안녕하세요 루키스님 학교 졸업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개인 사정으로 학교를 오랫동안 쉬었다가 복학을 하게 되었고 현재 3학년입니다. 아래는 현재 고민중인 부분입니다.클라와 서버를 모두 깊이 있게 공부해서 실력을 겸비하여 졸업작품으로 클라+서버 모두 담당하여 퀄리티 있는 졸업작품을 만든다. - 졸업까지 3년클라를 집중적으로 공부해서 졸업작품으로 클라를 담당한다. 잘하는 팀원에게 버스를 타는 한이 있더라도 졸업을 우선시한다. - 졸업까지 2년학교는 한국산업기술대 게임공학과입니다. 졸업작품은 DX12를 이용해서 자체엔진을 제작하여 만들 것입니다. 1번을 목표로 하면 학과 커리큘럼상 졸업작품을 1년 늦게 시작해야 하므로 총 3년이 걸립니다. 졸업작품을 만드는 마지막 1년은 졸업 작품을 제외하면 수업에는 여유가 있어서 취업준비도 겸할 수 있습니다. 1번은 졸업하는 년도에 만으로 29세가 됩니다. 저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취업이 목적이 아닌 고급프로그래머가 되려면) 1번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루키스님의 생각은 어떠하신가요? 졸업을 늦게하면 저에게 무엇이 안좋게 작용될지도 궁금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양질의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