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객체지향에 대해 궁금한 점
안녕하십니까 강사님 객체지향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7:05에서 order라는 메서드 안에 createOrderItem, createOrder 메서드들이 있습니다. 이 두 메서드는 OrderService 입장에서 OrderItem과 Order한테 "니네가 무슨 일은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이 두 개를 받아서 주문을 생성한다"라는 말이잖아요? OrderService가 하는 일은 OrderItem과 Order에서 받은 것들을 이용하여 주문 생성 OrderItem이 하는 일은 주문 상품 생성 Order가 하는 일은 주문 생성 그렇다면 이게 객체지향성을 나타내는 것일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테이블 구조 질문
이 그림에서 동그라미가 무었을 의미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에서 일반적인 상황에 대해 여쭤보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사님의 강의 영상을 보고 Spring Data JPA 를 학습했던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에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어떤 방법이 일반적인지 실무의 관점에서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USER`, `COURSE`, `ASSIGNMENT`, `ASSIGNMENT_SUBMIT` 이렇게 4개의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할 때, USER : 사용자 테이블 COURSE : 강의 테이블 ASSIGNMENT : 과제 테이블 ASSIGNMENT_SUBMIT : 학생이 제출한 과제 테이블 ASSIGNMENT_SUBMIT 테이블의 PK가 어떤 형태로 되어야 하는지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1. id 라는 칼럼을 만들어서 Auto_Increment 로 pk 를 관리한다. - 장점 - findById 에서 숫자 인덱스를 이용한 조회를 하기 때문에 조회 속도가 빠르다. - 단점 - 칼럼 하나가 늘어난다. 2. user_id 와 assignment_id 라는 두 개의 칼럼을 이용해서 pk로 관리한다. - 장점 - id 칼럼이 사라진다. - 단점 - jpa 에서 제공하는 기본 findById 가 사라진다. - fk 를 결합하여 pk 를 만드는 레퍼런스를 찾지 못했다.. 정도 있습니다. 만약 강사님이시라면 어떤 선택을 하실지 또한 각각 어떤 장단점이 더 있을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_Id, item_id,order_id 가 공유되는거 같은데 따로 할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4:33에 order 하나 만들었는데 #3이 되어있어서 확인해보니까 멤버 하나 만들면member_id=1 아이템 하나 만들면 item_id=2 주문 하나 만들면 order_id=3 이런식으로 id가 공유되는거 같은데 @GeneratedValue 때문인가요? 각각 따로 id를 만들어줄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내부조인 on 사용
안녕하세요 영한님 저는 jpa 야생형 로드맵을 수강한 후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도중 여쭈어보고 싶은게 생겨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먼저 해당 강의를 통하여 내부조인을 사용하면, where 절에서 필터링 하는 것과 기능이 동일하기 때문에 where절의 의도와 맞게 내부조인에서는 on절이 아닌 where절을 사용하는게 좋다고 이해하였습니다. 아래 사진은 파라미터가 Item의 name에 포함된 경우 해당 Item의 관련된 여러 테이블을 join하여 Shop을 조회하고 싶어서 작성하게 된 코드와 실행했을 때 나타난 쿼리입니다. 처음에는 findByNameContainsV1 메소드를 작성하였지만 Item부터 Shop 사이에 있는 모든 테이블을 조인한 후 where절에서 Item의 name과 같은 Shop을 조회하기 때문에 조금 더 쿼리를 최적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findByNameContainsV2 메소드를 작성하게 되었는데요. sql 문법상 join이 where보다 먼저 실행된다고 알고 있었기 때문에 where 대신 on절을 넣어주었습니다. 하지만 테스트를 통하여 on절에도 동적쿼리를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았지만 불가능했습니다. 아직 개발에 대한 지식이 많이 부족해서 성능 최적화에 대해 잘 모르지만 저는 findByNameContainsV2 메소드가 findByNameContainsV1메소드보다 더 성능이 잘 나온다고 생각이 되지만 QueryDSL은 JPA에서 동적 쿼리를 사용하기 위해 실무에서 도입하게 된 것이므로 굳이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것인지, 아니면 실무에서 동적쿼리가 아닌 경우에 findByNameContainsV2 메소드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도 되는지 영한님의 의견을 여쭈어 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Auditing transaction
안녕하세요, auditing 강의를 듣고 적용해보았습니다. 게시글을 처음에 만들때 원하는 값들이 잘 들어가지만 게시글을 수정하여 다시 저장할 경우audit 부분에서 createdBy, modifiedBy 를 못가져오면서 transaction 에러를 냅니다..! 혹시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 추가로 적용해야 할 부분이 있을까요? 아마 AuditorAwareImpl에서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부분이 이상한 것 같은데...이유는 모르겠습니다 ㅠ_ㅠ public class AuditorAwareImpl implements AuditorAware<Long>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Override public Optional<Long> getCurrentAuditor() {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getAuthentication(); if (null == authentication || !authentication.isAuthenticated()) { return null; } DefaultOAuth2User principal = (DefaultOAuth2User) authentication.getPrincipal(); String email = (String) principal.getAttributes().get("email"); if(email == null ){ return null;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Email(email).orElse(null); if(member == null){ return null; } return Optional.of(member.getId()); } }
-
미해결실전! Querydsl
leftjoin을 사용한 이유
public List<MemberTeamDto> search(MemberSearchCondition condition) { return queryFactory .select(new QMemberTeamDto( member.id, member.username, member.age, team.id, team.name )) .from(member) .leftJoin(member.team, team) .where( usernameEq(condition.getUsername()), teamNameEq(condition.getTeamName()), ageGoe(condition.getAgeGoe()), ageLoe(condition.getAgeLoe()) ) .fetch(); } 이때 leftJoin(member.team, team)을 사용하신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join을 사용하면 안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spring MVC와 REST API차이의 개념이 궁금합니다.
제가 이해한건 Spring MVC와 REST API 개발의 차이는 VIEW를 반환하는가 아니면 JSON의 데이터를 반환하는가의 차이인데 제가 이해한것이 맞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세션 2개 상황에서 동시성 문제
스승님 그간 평안하셨는지요,, 다름이 아니라 불초의 제자 질문이 있어 이 야심한 시간에 편지 올립니다. WAS를 한대만 운용한다는 가정하에 사용자의 접속 세션 허용범위를 2개로 주었어요, 웹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모바일에서도 접속이 가능하게 만들어 주었다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전에 아래와 같은 말씀을 해주셨는데 ---------------------------- 서버가 한대만 있고, 자바(JVM)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단 하나만 구동하는 상황이면 자바 만으로 동시성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실무에서는 보통 서버 두 대 이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시성 제어를 JVM안에서 해결하는게 어렵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이런 동시성 제어를 고려해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결국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동시성 제어를 위임해야 합니다. 그 중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제공하는 유니크 제약조건을 사용하면, 같은 이름을 절대로 동시에 저장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name에 유니크 제약조건을 실무에서는 걸어주어야 한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유니크 제약조건은 정말 최악의 경우(진짜 초 단위로 같은 데이터가 저장되었을 때)가 발생했을 때 동작하는 것이고, 대부분은 validation에서 막힙니다. ----------------------------- 위에서 제가 가정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웹이랑 모바일에서 동시에 요청을 보냈는데 그게 하필 동시성 문제를 일으킨다면 이런 상황에서도 데이터베이스 lock을 안걸고 자바만으로 동시성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혹은 세션이 2개가 아니더라도 1개의 세션에 1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요청을 보낼 경우에두요!,, 너무 여러개 번거로운 질문 죄송합니다 ,, ㅠ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안녕하세요 강사님 JPA join에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은 2가지 정도가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1. DTO를 반환하는 형태의 JPQL를 작성할 때 join문을 사용해서 쿼리를 작성해주셨습니다. 문득 로그를 보다가 든 생각이 DTO가 아니라 entity를 조회하기 위해 JPQL을 작성할 때, join을 사용하면 즉시로딩이나 지연로딩 관계없이 연관객체에 대해서 N+1문제가 발생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DTO를 반환하는 형태로 JPQL를 작성할 때는 join문을 사용해도 쿼리 한번에 연관객체들의 정보를 가져오더라구요 (강의에서 Order의 Member나 Delivery) 이러한 차이의 이유가 JPQL이 실행 될 때 JPA에서 관리를 하냐 안하냐의 차이로 볼 수 있을까요? 2. JPA는 트랙잭션 안에서만 동작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강의를 보다보면 Controller에서 Repository를 바로 의존성 주입받아서 사용하시더라구요. @Transaction은 서비스에만 붙어있고 Repository에는 선언되어 있지 않은데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은 조회는 트랙잭션 관계없이 JPA에서 사용이 가능한것인가요? 그 서비스 코드를 작성할 때 조회 메서드는 readOnly속성을 true로 주면서 작성했던 걸 보면 조회할 때도 @Transaction이 선언되어야 동작하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 남겨드립니다. 항상 명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MSA와 관련한 강의는 계획이 없으신가요? ㅎㅎ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Collection type으로 Set 대신 List를 사용하는 이유가 있는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관련 질문: https://www.inflearn.com/questions/216545 추가 내용이 있습니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Collection type으로 Set 대신 List를 사용하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지금까지 나온 Collection들이 모두 unique한 Entity(또는 값 타입)들의 collection이기 때문에, Set을 활용할 경우 중복 확인 관련 부분이 깔끔해지고, 다른 질문의 답변에서 답해주신대로 값 타입 컬렉션에도 row를 모두 날리고 다시 넣는 문제를 막을 수 있어 Set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예제가 List를 사용하여, Set을 사용하였을 때 제가 놓친 문제가 있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묵시적 조인 => 명시적 조인
"select m.team from Member m"; 위의 쿼리문을 명시적 조인으로 바꾸면 "select t from Member m join m.team t"; 이렇게 바꾸는 게 맞을까요?? 찍어보니까 쿼리는 같은 쿼리가 나옵니다! 영한님이 말씀하시건 결국 전부 풀어서 쓰라는 말이 맞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의 주인과 연관관계 매핑
제가 이해하기로는 연관관계의 주인은 외래키가 있는 쪽이고, 외래키는 "다" 인쪽에 있다고 설명 드렸는데 왜 일대다 에서는 연관관계의 주인이 "일"에 있나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Autowired vs @PersistenceContext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MemberTest 코드에서 EntityManager를 @PersistenceContext 를 통해 주입받으셨는데 @Autowired 로 주입을 받아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더라고요. 찾아보니 @PersistenceContext 를 통해 EntityManagerFactory에서 주입받기 위해서다, 여러 요청에 대하여 동일한 EntityManager를 반환하기 위해서이다. 라는 말을 들었는데 위의 이유들 때문인가요? @Autowired vs @PersistenceContext 의 차이를 알고싶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관련 Setter 사용
영한님께서 설명해주신 내용중 연관관계 편의메소드 등에서 Setter로 인한 문제점들은 알겠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중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에서 setXXX() 등을 사용하기 보단 별도의 메소드를 생성하여 changeMember()등으로 사용하는 것은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아래와 같이 작성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지...궁금합니다. public void changeOrder(Order order) { this.order = order;}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public void addOrderItem(OrderItem orderItem) { this.orderItems.add(orderItem); orderItem.changeOrder(thi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DTO안의 List가 있으면 어떻게 받아와야하나요..
만약 dto안에 list가 있으면 생성자는 어떤 식으로 만들어야 하고 jpql쿼리는 어떻게 찾아서 받아야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Transaction 전파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김영한 팀장님! 실습한 MemberRepository의 구현체로 SimpleJpaRepository가 생성되며, 내부의 findById 메서드가 @Transactional(readOnly)이 적용되어 있고 기본 설정이 "Propagation.REQUIRED"이기 때문에 부르는 쪽의 Transaction이 전파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Transactional@GetMapping("/tx/{id}")public void findMember3(@PathVariable("id") Long id) { Member member1 = memberRepository.findById(id).get(); Member member2 = capsule(id); System.out.println(member1); System.out.println(member2);}@Transactional(propagation = Propagation.REQUIRES_NEW)public Member capsule(Long id) { return memberRepository.findById(id).get();} 하지만 다음과 같이 컨트롤러 메서드 "findMember3"에 @Transactional을 걸고, memberRepository의 findById를 수정할 수 없으므로 capsule 메서드로 감싸서 member를 조회해봤는데요. propagation을 new로 설정했음에도 출력 결과가 같은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것으로 나왔습니다.select query도 하나만 발생했는데, 이 경우에도 같은 영속성 컨텍스트를 공유하게 되는 건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ybatis, JPA 혼용사용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기존 진행하던 프로젝트가 Spring, Mybatis를 사용하고 있어, JPA를 추가하여 혼용 사용하려고 합니다. 하나의 DB를 바라보게 하기 위해서 Datasource를 나눠서 생성하고, trancsaction을 Mybatis용 JPA용으로 나눠서 생성하였고, ChainedTransactionManager를 사용하여 트랜잭션을 묶어줬습니다. 하지만 계속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o.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Multiple Spring Data modules found, entering strict repository configuration mode!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때 어떻게 처리해야할까요 ㅜㅜㅜ 도움이 필요합니다. config.xml 파일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beans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aop="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aop" xmlns:tx="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tx" xmlns:jpa="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data/jpa"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spring-beans-3.0.xsd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aop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aop/spring-aop.xsd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tx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tx/spring-tx.xsd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aop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tx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data/jpa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data/jpa/spring-jpa.xsd"> <bean id="propertyPlaceholderConfigurer" class="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config.PropertyPlaceholderConfigurer"> <property name="locations"> <value>classpath:mybatis/jdbc.properties</value> </property> </bean> <bean id="dataSource" class="org.apache.commons.dbcp.BasicDataSource"> <property name="driverClassName" value="${jdbc.driverClassName}"/> <property name="url" value="${jdbc.url}" /> <property name="username" value="${jdbc.username}" /> <property name="password" value="${jdbc.password}" /> <property name="maxWait" value="3000" /> <property name="poolPreparedStatements" value="true" /> <property name="maxOpenPreparedStatements" value="50" /> <!-- connection - validation query --> <property name="validationQuery" value="select 1"/> <property name="testWhileIdle" value="true" /> <property name="timeBetweenEvictionRunsMillis" value="7200000" /> </bean> <bean id="jpadataSource" class="org.apache.commons.dbcp.BasicDataSource"> <property name="driverClassName" value="${jdbc.driverClassName}"/> <property name="url" value="${jdbc.url}" /> <property name="username" value="${jdbc.username}" /> <property name="password" value="${jdbc.password}" /> <property name="maxWait" value="3000" /> <property name="poolPreparedStatements" value="true" /> <property name="maxOpenPreparedStatements" value="50" /> <!-- connection - validation query --> <property name="validationQuery" value="select 1"/> <property name="testWhileIdle" value="true" /> <property name="timeBetweenEvictionRunsMillis" value="7200000" /> </bean> <bean id="sqlSessionFactory" class="org.mybatis.spring.SqlSessionFactoryBean"> <property name="dataSource" ref="dataSource" /> <property name="configLocation" value="classpath:mybatis/mybatis-config.xml" /> <property name="mapperLocations" value="classpath:mybatis/mapper/*.xml" /> </bean> <bean id="transactionManager" class="org.springframework.data.transaction.ChainedTransactionManager"> <constructor-arg> <list> <ref bean="mybatisTransactionManager"/> <ref bean="jpaTransactionManager"/> </list> </constructor-arg> </bean> <bean id="mybatisTransactionManager" class="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ataSourceTransactionManager"> <property name="dataSource" ref="dataSource"></property> </bean> <bean id="jpaTransactionManager" class="org.springframework.orm.jpa.JpaTransactionManager"> <property name="entityManagerFactory" ref="jpaEntityManagerFactory" /> </bean> <bean id="jpaEntityManagerFactory" class="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property name="dataSource" ref="jpadataSource"></property> </bean> <tx:annotation-driven /> <aop:config proxy-target-class="true"> <aop:pointcut id="serviceOperation" expression="execution(* com.xii..*Service.*(..))" /> <aop:advisor id="transactionAdvisor" pointcut-ref="serviceOperation" advice-ref="txAdvice"/> </aop:config> <tx:advice id="txAdvice" transaction-manager="transactionManager"> <tx:attributes> <tx:method name="insert*" rollback-for="Exception"/> <tx:method name="save*" rollback-for="Exception"/> <tx:method name="update*" rollback-for="Exception"/> <tx:method name="delete*" rollback-for="Exception"/> </tx:attributes> </tx:advice> <bean id="sqlSession" class="org.mybatis.spring.SqlSessionTemplate"> <constructor-arg index="0" ref="sqlSessionFactory" /> </bean> <bean class="org.mybatis.spring.mapper.MapperScannerConfigurer"> <property name="basePackage" value="com.xii" /> </bean> <jpa:repositories base-package="com.xii"/> </beans>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페이징 API를 이용해서 페이징 구현
안녕하세요, 영한님! jpa 페이징 api를 이용해서 간단한 페이징 화면을 구현해 봤는데 잘못된 부분이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memberList.html> <div class="pagination"> <span th:each="pageNum : ${pageList}" th:inline="text"> <a th:href="@{'/members?page=' + ${pageNum}}">[[${pageNum}]] </a> </span></div> 컨트롤러에서 받아온 pageList를 뿌려주고 특정 페이지를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게 만들었습니다. <MemberRepository.java> // 전체 회원 조회public List<Member> findAll(int page) { return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order by m.id desc", Member.class) .setFirstResult((page-1) * 10) .setMaxResults(10) .getResultList();}// 전체 게시물의 개수 (100개)public int boardCount() { return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Member.class).getResultList().size();} 페이지 별로 10개씩 끊어서 가져오는 메서드와 페이지 수를 구하기 위해 전체 게시물의 개수를 구하는 메서드 2개를 추가했습니다. <MemberService.java> // 페이지 별 회원 조회public List<Member> findMembers(int page) { return memberRepository.findAll(page);}// 페이지의 개수public int[] pageList() { int totalPage = memberRepository.boardCount() / 10; totalPage = ((memberRepository.boardCount() % 10) == 0) ? totalPage : totalPage + 1; int[] pages = new int[totalPage]; for(int i = 0; i < totalPage; i++) { pages[i] = i + 1; } return pages;} findMembers(page) : 페이지에 해당하는 멤버 리스트를 조회 pageList() : 전체 페이지의 개수 리턴 <MemberController.java> @GetMapping("/members")// 처음 리스트를 들어가면 Page 번호는 1번이 디폴트!public String list(Model model, @RequestParam(value = "page", defaultValue = "1") int pageNum) { List<Member> members = memberService.findMembers(pageNum); // 페이지 번호 별 게시물 int[] pages = memberService.pageList(); // 페이지 개수 model.addAttribute("members", members); model.addAttribute("pageList", pages); return "members/memberList";} @RequestParam을 이용해서 처음 /members를 실행한 경우 1번 페이지를 출력하게 만들었고, 페이지 별 멤버리스트와 전체 페이지의 개수를 model에 담아서 화면쪽으로 넘겨서 구현했습니다. 잘못 구현하거나 고칠 부분이 있는 지 궁금합니다..! 아래는 결과화면 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m.persist 관련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항상 수준 높은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몇 가지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하고자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test에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롤백을 하신다고 강의에서 말씀하셨는데, 궁금한 점은 em.persist를 한 시점에서는 영속화 한 객체에 대해서 id 값은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관리되면서 자동으로 부여되는건가요? db 에 isnert 하기 전부터 이미 id 값이 부여되서 관리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