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Spool Dir 로 여러 종류csv 파일 읽을때
안녕하세요.Spool Dir 로 csv 파일 읽어서 처리하는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제가 아직 뒤쪽을 안봐서 이런 문의를 드릴수도 있겠는데요, CSV 파일안의 구조가 다른예를들어,A.csv는 칼럼이 [A,B,C] 이고B.csv는 칼럼이 [D,E,F, G] 라고 하면topic을 새로 만들어야 하는지요?새로 만들어야 한다면, 포맷이 다른 CSV 마다 하나씩 topic을 만드는 것 맞는지요?spooldir_source.json 역시 CSV 종류마다 각각 만들어야 하는 것 맞는지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Exception evaluating SpringEL expression: "#fields.hasGlobalErrors()"
먼저 html은 다음과 같이 작성되어있습니다.<form th:action method="post" th:object="${form}" enctype="multipart/form-data"> <input class="form-control" accept=".txt" type="file"> <div th:if="${#fields.hasGlobalErrors()}"> <p class="field-error" th:each="err: ${#fields.globalErrors()}" th:text="${err}">전체 오류 메시지</p> <button class="btn btn-primary">Submit</button> </form>그리고 controller에서는 다음과 같이 작성했습니다.@PostMapping public String getFile(@Validated @ModelAttribute("form") ConvertInputForm inputForm, Model model, BindingResult bindingResult) { if (inputForm.getAttachFile() == null || inputForm.getAttachFile().isEmpty()) { bindingResult.reject("FileSelected", "파일을 다시 선택하세요."); } if (bindingResult.hasErrors()) { return "[위에 작성된 html]"; } ... }ConvertInputForm은 다음과 같이 작성했습니다.@Data public class ConvertInputForm { private MultipartFile attachFile; @NotEmpty private String version;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고 돌린 다음 파일을 선택하지 않고 버튼을 눌렀습니다.버튼을 눌렀을때 제가 기대한 결과는 bindingResult에 reject("FileSelected", "파일을 다시 선택하세요.") 가 들어가고 html에서 ${#fields.globalErrors() 를 통해서 메시지를 받는 것입니다.그런데 실제 결과는 버튼을 눌렀을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org.thymeleaf.exceptions.TemplateProcessingException: Exception evaluating SpringEL expression: "#fields.hasGlobalErrors()"구글링해보면서 해결해보려고 해도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평생 써먹는 데이터 기반 투자법 with 파이썬 퀀트 투자
리밸런싱 포트폴리오 구현 원리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리밸런싱 포트폴리오 구현 원리에서 리밸런싱 일자(노란색) 비중을 리밸런싱 기간이 아닌 모든 행에 곱해주면 곱하는 날 모두 리밸런싱이 적용되는 것이 아닌가요? 리밸런싱 일자에만 비중을 곱해주고 나머지는 그대로 누적수익률을 구해야하는 것이 아닌지 이해가 잘 가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lesson5-5 Order Entity의 registeredDateTime 컬럼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Order Entity가 상속 받는 BaseEntity에 createdDateTime 컬럼이 있음에도 registerdDateTime 컬럼을 추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외부결제API에서 제공하는 결제일시를 저장하기 위함인가요?
-
미해결하울의 안드로이드 인스타그램 클론 만들기
안드로이드 11 이상부터 startActivityForResult 지원 안하므로 다른 방법 이용
https://blog.naver.com/tmvmffpsej/223135588600해결방법 정리한 블로그
-
미해결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배포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해당 강의로 배포를 배우고 있습니다. 현재 별개로 진행하는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서 레디스를 도커를 이용해 (docker-compose up) 실행하고, 스프링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형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배포를 어떻게 해야할지를 모르겠습니다.원격 ec2 서버에도 마찬가지로 docker desktop 및 redis를 설치하여 실행한 뒤,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실행해야 할까요?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강의자료 요청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자료 요청드립니다.감사합니다.leejeha0428@enders.co.kr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버전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java 11버전을 사용하고 있고 pom.xml 파일과 persistence.xml은 강의내용을 복붙했습니다.버전 문제인 것 같은데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Fixed Duration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State Machine #1 강의 말미에 Fixed Duration의 체크 여부에 따라 Exit Time과 Transition Duration 내에 기입된 수치가 비율에서 초로 변환된다고 말씀하습니다.제가 이것저것 만져본 결과 Exit Time은 Fixed Duration 체크 여부에 상관 없이 무조건 비율인 것 같습니다.반면에 Transition Duration은 Fixed Duration이 체크되었을 때는 초, 그렇지 않을 때는 비율로 적용되는 듯합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https://docs.unity3d.com/kr/2018.4/Manual/class-Transition.html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가 가르치는 파이썬 장고 웹프로그래밍
CharField 테이블 안넘어오는 문제
class Car(models.Model): brand = models.CharField('brand', max_length=200), model = models.CharField('model', max_length=200, default=''), color = models.CharField('color', max_length=200), year = models.IntegerField('year', default=1900) 이렇게 모델을 적었는데 integerField의 테이블만 db에 생성되고 CharField table은 넘어오지 않습니다 뭐가 문제인걸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모의문제3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작업형2 모의문제3(에어비엔비 가격)을 직접 풀었을 아래와 같이 입력했습니다.저는 minmax_scale을 사용했고, 선생님께서 입력하신 결과와 비교를 하는데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결과값도 다르게 나왔습니다.작업형 2유형 문제를 풀때마다 스케일링을 적용하고 있는데, minmax스케일을 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따로 있나요? 있다면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위 문제에서 적용 안하신 자세한 이유도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import pandas as pd train = pd.read_csv('train.csv') test = pd.read_csv('test.csv') # print(train.head()) # print(test.head()) # print(train.info()) # print(test.info()) train = train.drop(columns = 'id') test_id = test.pop('id') train = train.drop(columns = 'name') test = test.drop(columns = 'name') train = train.drop(columns = 'host_id') test = test.drop(columns = 'host_id') train = train.drop(columns = 'host_name') test = test.drop(columns = 'host_name') train = train.drop(columns = 'neighbourhood') test = test.drop(columns = 'neighbourhood') train = train.drop(columns = 'neighbourhood_group') test = test.drop(columns = 'neighbourhood_group') train = train.drop(columns = 'last_review') test = test.drop(columns = 'last_review') # print(train.info()) # print(test.info()) # print(train.isnull().sum()) # print(test.isnull().sum()) #last_review, reviews_per_month train['reviews_per_month'] = train['reviews_per_month'].fillna(0) test['reviews_per_month'] = test['reviews_per_month'].fillna(0) # print(train.isnull().sum()) # print(test.isnull().sum()) # print(train.info()) room_type,last_review # print(test.info())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 cols = train.select_dtypes(include = 'object').columns for col in cols: encoder = LabelEncoder() train[col] = encoder.fit_transform(train[col]) test[col] = encoder.transform(test[col]) # print(train.describe()) # print(test.describe())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minmax_scale cols2 = train.select_dtypes(exclude = 'object').columns for col in cols2: train[col] = minmax_scale(train[col]) cols3 = test.select_dtypes(exclude = 'object').columns for col in cols3: test[col] = minmax_scale(test[col]) # print(train.describe()) # print(test.describe()) # print(train.info()) # print(test.info())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ain, X_val, y_train, y_val = train_test_split(train.drop('price', axis = 1), train['price'], test_size=0.2, random_state = 20)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Regressor rf = RandomForestRegressor() rf.fit(X_train, y_train) pred_val = rf.predict(X_val) from sklearn.metrics import mean_squared_error, mean_absolute_error, r2_score # print(mean_squared_error(y_val, pred_val)) # print(mean_absolute_error(y_val, pred_val)) # print(r2_score(y_val, pred_val)) pred = rf.predict(test) pd.DataFrame({'id': test_id, 'price': pred}).to_csv('5959.csv', index=False)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Outer 조인 1:n 관계 방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의 강의에 큰 도움을 받고 있는 초보 SQL 유저입니다 문제를 풀다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해당 문제의 경우 왼쪽이 customers (부모) 오른쪽 orders(자식) 관계인데 요구 조건 마다 다르겠지만 outer 조인 할 때, Null 쪽이 M 쪽을 넣는 것이 더 자주 사용될거 같은데 혹시 저의 생각이 맞을까요?과거에 조인절이 많아져 행과 열이 늘어나면 쿼리 처리속도가 늘어난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그래서 서브쿼리로만 풀 수 있는 쿼리는 조인문을 안 쓰는 것이 더 낫지 않나라 생각 드는데 혹시 맞을까요? -- 주문이 단 한번도 없는 고객 정보 구하기.select *from customers cleft join orders o on (o.customer_id = c.customer_id)where o.customer_id is null select *from customers cwhere customer_id not in (select customer_idfrom orders)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7: MMO 컨텐츠 구현 (Unity + C# 서버 연동 기초)
강의 관련 질문!(화살 파트)
안녕하세요 루키스님.MMORPG 시리즈 Part7 화살 #1 ~ 화살 #2 를 수강하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을 올립니다.궁금한 부분은 화살을 생성하는 부분인데요. 제가 이해하기로는 화살 스킬을 사용하는 과정이 클라에서 스킬 사용 패킷을 보냄(C_Skill) -> 서버 C_SkillHandler를 거쳐 GameRoom.HandleSkill 에서 처리 -> 이 때 GameRoom.EnterGame(Arrow)로 화살 입장 -> 본인 클라이언트와 다른 플레이어의 클라이언트에 스폰패킷(S_Spawn)을 보냄 ->각 클라이언트에서 ObjectManager.Add로 화살을 스폰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강의 코드에서, Gameroom에서 EnterGame(Arrow)를 실행하면 Arrow는 Projectile 타입이므로 if 문에 걸려 본인 클라에 Spawn패킷을 뿌리지 않고 다른 클라에만 뿌리는 것으로 작성이 된것 같은데... Player 타입이 GameRoom의 인자로 들어왔을 때만 본인 클라에 패킷을 전송하는 것 같거든요. 그런데 실행하면 화살이 잘 날아갑니다. 어느 단계에서 화살이 생성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느 부분을 잘못 이해했을까요? 강의 코드 그대로 입니다.public void EnterGame(GameObject gameObject) { if (gameObject == null) return; GameObjectType type = ObjectManager.GetObjectTypeById(gameObject.Id); lock (_lock) { if (type == GameObjectType.Player) { Player player = gameObject as Player; _players.Add(gameObject.Id, player); player.Room = this; Map.ApplyMove(player, new Vector2Int(player.CellPos.x, player.CellPos.y)); // 본인한테 정보 전송 { S_EnterGame enterPacket = new S_EnterGame(); enterPacket.Player = player.Info; player.Session.Send(enterPacket); S_Spawn spawnPacket = new S_Spawn(); foreach (Player p in _players.Values) { if (player != p) spawnPacket.Objects.Add(p.Info); } foreach (Monster m in _monsters.Values) spawnPacket.Objects.Add(m.Info); foreach (Projectile p in _projectiles.Values) spawnPacket.Objects.Add(p.Info); player.Session.Send(spawnPacket); } } else if (type == GameObjectType.Monster) { Monster monster = gameObject as Monster; _monsters.Add(gameObject.Id, monster); monster.Room = this; Map.ApplyMove(monster, new Vector2Int(monster.CellPos.x, monster.CellPos.y)); } else if (type == GameObjectType.Projectile) { Projectile projectile = gameObject as Projectile; _projectiles.Add(gameObject.Id, projectile); projectile.Room = this; } // 타인한테 정보 전송 { S_Spawn spawnPacket = new S_Spawn(); spawnPacket.Objects.Add(gameObject.Info); foreach (Player p in _players.Values) { if (p.Id != gameObject.Id) p.Session.Send(spawnPacket); } } } }
-
해결됨Windows 소켓 프로그래밍 입문에서 고성능 서버까지!
Callback 기반 비동기 파일 입/출력 질문
안녕하세요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Callback 기반 비동기 파일 입/출력 부분에 질문이 있습니다. 만약 IoThreadFunction 함수에서 다수의 WriteFileEx 를 호출하고 콜백을 모두 같은 FileIoComplete 함수로 받는상황이 있을경우 테스트 해보니 하나의 파일 IO만 완료되도 SleepEx 가 통과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이경우 만약 모든 콜백을 받길 원하면 구조적으로 스래드 하나당 하나의 WriteFileEx를 호출하도록 하거나 별도로 이벤트를 이용해서 처리하거나 하는 방법이 떠오르긴 한데 이방법이외에 다른 방법도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본강의와 JPA서적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수업을 시작하기 이전에 선생님께서 제작하신 책도 나와있던데, 강좌 소개를 보면 본 강의를 메인으로 하고 책은 참고로 하면 좋다, 깊게 들어가지 않는다면 필요는 없다라고 들었었습니다. 사실 신입인 터라 jpa를 들어서 바로sql을 쓸지 잘 모르고, 그저 어떻게보면 제 목적은 jpa를 배우면서 좀 더 sql을 잘하고 싶다는 마음으로 등록한건데 이해력도 조금 부족해서 뭔가 보조하는 게 없으면 쉽지않습니다 ㅎㅎ;;; 그래서 강의를 들으면서 이책과 함께 또 공부를 하면 이해하기 더 편한지 그 부분이 궁금합니다. 물론 제가 연차가 쌓이고 나면 늦든 빠르든 구매는 해볼 생각입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수치형 변수 스케일링 하기
안녕하세요.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작업형 2 문제에서 피처엔지니어링 할 때범주형 변수는 모두 원핫 / 라벨인코딩을 하면 되는데수치형 변수는 어떤 칼럼을 스케일링하면 되는지....표준편차가 튀는 칼럼만 민맥/스태다드 스캘링을 하면 되는지...강사님만의 구분법이 있나요?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작성완료 시 onCreate 함수 호출 못함
App.js에서 onCreate함수를 가지고 오지 못하고 있는데 어디서 오류가 났는지 찾지못하고있어요ㅠㅠ! 도와주세요!코드보여드릴게여 ㅠㅠ오류상황Cannot destructure property 'onCreate' of '(0 , react__WEBPACK_IMPORTED_MODULE_0__.useContext)(...)' as it is undefined. TypeError: Cannot destructure property 'onCreate' of '(0 , react__WEBPACK_IMPORTED_MODULE_0__.useContext)(...)' as it is undefined. at DiaryEdit (http://localhost:3000/static/js/bundle.js:344:5) at renderWithHooks (http://localhost:3000/static/js/bundle.js:26416:22) at mountIndeterminateComponent (http://localhost:3000/static/js/bundle.js:29702:17) at beginWork (http://localhost:3000/static/js/bundle.js:30998:20) at HTMLUnknownElement.callCallback (http://localhost:3000/static/js/bundle.js:16008:18) at Object.invokeGuardedCallbackDev (http://localhost:3000/static/js/bundle.js:16052:20) at invokeGuardedCallback (http://localhost:3000/static/js/bundle.js:16109:35) at beginWork$1 (http://localhost:3000/static/js/bundle.js:35983:11) at performUnitOfWork (http://localhost:3000/static/js/bundle.js:35230:16) at workLoopSync (http://localhost:3000/static/js/bundle.js:35153:9)App.jsimport React, { useReducer, useRef } from "react"; import "./App.css"; import { BrowserRouter, Routes, Route } from "react-router-dom"; import Home from "./pages/Home"; import New from "./pages/New"; import Edit from "./pages/Edit"; import Diary from "./pages/Diary"; const reducer = (state, action) => { // return state; let newState = []; switch (action.type) { case "INIT": { return action.data; } case "CREATE": { newState = [...action.data, ...state]; break; } case "REMOVE": { newState = state.filter((it) => it.id !== action.targetId); break; } // 모든 부분을 수정해야해서 다 받아옴 case "EDIT": { newState = state.map((it) => it.id === action.targetId ? { ...action.data } : it ); break; } default: return state; } return newState; }; export const DiaryStateContext = React.createContext(); export const DiaryDispatchContext = React.createContext(); const dummyData = [ { id: 1, emotion: 1, content: "일기 1번", date: 1687326683094, }, { id: 2, emotion: 2, content: "일기 2번", date: 1687326683096, }, { id: 3, emotion: 3, content: "일기 3번", date: 1687326683097, }, { id: 4, emotion: 4, content: "일기 4번", date: 1687326683098, }, { id: 5, emotion: 5, content: "일기 5번", date: 1687326683099, }, { id: 6, emotion: 3, content: "일기 6번", date: 1787321680269, }, ]; function App() { const [data, dispatch] = useReducer(reducer, dummyData); // console.log(new Date().getTime()); const dataId = useRef(0); const onCreate = (date, content, emotion) => { dispatch({ type: "CREATE", data: { id: dataId.current, date: new Date(date).getTime(), content, emotion, }, }); dataId.current += 1; }; const onRemove = (targetId) => { dispatch({ type: "REMOVE", targetId }); }; const onEdit = (targetId, date, content, emotion) => { dispatch({ type: "EDIT", data: { id: targetId, date: new Date(date).getTime(), content, emotion, }, }); }; return ( <DiaryStateContext.Provider value={data}> <DiaryDispatchContext.Provider value={{ onCreate, onEdit, onRemove }}> <BrowserRouter> <div className="App"> <Routes> <Route path="/" element={<Home />} /> <Route path="/new" element={<New />} /> <Route path="/edit" element={<Edit />} /> <Route path="/diary/:id" element={<Diary />} /> {/* <Route path="/diary" element={<Diary />} /> */} </Routes> </div> </BrowserRouter> </DiaryDispatchContext.Provider> </DiaryStateContext.Provider> ); } export default App; DiaryEdit.jsimport { useNavigate } from "react-router-dom"; import React, { useState, useRef, useContext } from "react"; import MyHeader from "./MyHeader"; import MyButton from "./MyButton"; import EmotionItem from "./EmotionItem"; import DiaryDispatchContext from "./../App"; // 감정에 대한 데이터 const emotionList = [ { emotion_id: 1, emotion_img: process.env.PUBLIC_URL + `assets/emotion1.png`, emotion_descript: "완전 좋음", }, { emotion_id: 2, emotion_img: process.env.PUBLIC_URL + `assets/emotion2.png`, emotion_descript: "좋음", }, { emotion_id: 3, emotion_img: process.env.PUBLIC_URL + `assets/emotion3.png`, emotion_descript: "보통", }, { emotion_id: 4, emotion_img: process.env.PUBLIC_URL + `assets/emotion4.png`, emotion_descript: "나쁨", }, { emotion_id: 5, emotion_img: process.env.PUBLIC_URL + `assets/emotion5.png`, emotion_descript: "완전 나쁨", }, ]; // 달력에 오늘의 날짜를 기본 날짜로 구현하기 export const getStringDate = (date) => { let year = date.getFullYear(); let month = date.getMonth() + 1; let day = date.getDate(); if (month < 10) { month = `0${month}`; } if (day < 10) { day = `0${day}`; } return `${year}-${month}-${day}`; }; const DiaryEdit = () => { const contentRef = useRef(); const navigator = useNavigate(); const [date, setDate] = useState(getStringDate(new Date())); // 어떤 감정을 선택했는지 state에 저장 const [emotion, setEmotion] = useState(3); const [content, setContent] = useState(""); const { onCreate } = useContext(DiaryDispatchContext); const handleClickEmotion = (emotion) => { setEmotion(emotion); }; const handleSubmit = () => { if (content.length < 1) { contentRef.current.focus(); return; } onCreate(date, content, emotion); }; return ( <div className="DiaryEdit"> <MyHeader headText={"새로운 일기 쓰기"} leftChild={ <MyButton text={"< 뒤로가기"} onClick={() => navigator(-1)} /> } /> <div> <section> <h4>오늘은 언제인가요?</h4> <div className="input_box"> <input className="input_date" value={date} onChange={(e) => setDate(e.target.value)} type="date" /> </div> </section> <section> <h4>오늘의 감정</h4> <div className="input_box emotion_list_wrapper"> {emotionList.map((it) => ( <EmotionItem key={it.emotion_id} {...it} onClick={handleClickEmotion} isSelected={it.emotion_id === emotion} /> ))} </div> </section> <section> <h4>오늘의 일기</h4> <div className="input_box text_wrapper"> <textarea placeholder="오늘은 어땠나요?" ref={contentRef} vlaue={content} onChange={(e) => setContent(e.target.value)} /> </div> </section> <section> <div className="control-box"> <MyButton text={"취소하기"} onClick={() => navigator(-1)} /> <MyButton text={"작성완료"} type={"positive"} onClick={handleSubmit} /> </div> </section> </div> </div> ); }; export default DiaryEdit;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TCP/IP 궁금한 점! 있습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덕분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TCP/IP 궁금한 점 있어 질문 남깁니다.1.HDD에 있는 파일을 Process의 Buffer로 가져올 때 즉 Copy 할 때 Buffer의 크기만큼 Copy해오는건가요?2.TCP/IP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 Loss를 설명해주셨는데 이는 100% 네트워크 상 문제라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결을 해야하는건가요?3.Out of order 발생 시 TCP 스택에서 순서 보정 후 Socket Buffer로 가는건가요?그리고 문득 강의 듣고 복습하면서 든 생각인데 선생님 네트워크 강의나 다른 네트워크 책들보면 3,4 계층에서 TCP/IP만 집중해서 설명을 하던데 그 이유가 우리가 사용하는 서비스들이 인터넷 환경에서 작동하는 서비스라고 TCP/IP에만 집중하는건가요?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Assertions 의 core 와 jupiter
[질문 내용]스프링 로드맵에서는 core의 Assertions를 사용했는데 여기에서는 jupiter의 Assertions를 사용해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둘은 어떤 차이이며, 현재는 어떤것을 더 선호하는지 궁금합니다.현재 저는 스프링 로드맵에서 했던것 처럼 core의 Assertions를 사용해 하고 있는데 정상테스트와 오류테스트를 모두 core로 할 수 있다면 core로 하는게 더 좋을까요?
-
해결됨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학습계획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학원 포폴을 제외하고 서버를 붙인 상용엔진 포폴을 하나 만들고 싶은데중소기업과 스타트업으로의 취업도 고려중인 상황입니다1) 언리얼로2) 유니티로3) 상용엔진 포폴 만들지 말고 학원 포폴, 그래픽스, 알고리즘 공부에 집중이 중에 어떤 것이 최선의 방향인지 감을 잡지 못해서 이렇게 긴 장문의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항상 감사합니다 루키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