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ageable 파라미터
안녕하세요 @GetMapping("/members") public Page<Member> list(Pageable pageable){ return memberRepository.findAll(pageable); } 저 Pageable pageable 를 구현체인 PageRequest 라는 객체를 생성 해주신다고 했습니다. 이런 과정은 argumentResolver 랑은 관계가 없는건가요 ?? (궁금해서 앞에 @ModelAttribute 를 붙여보았는데 오류발생)
-
미해결실전! Querydsl
현재 2:30 부분에 ...
현재 강의의 2:30부분에 fetchResults를 사용하려고 보니 decprecated 되어있는데 fetchResult대신에 쓸수있는 것이 혹시 있나요?? 설명에는 fetch()를 대신 사용하라는데 그런건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Entity Manager 의존관계 주입
안녕하세요! 강의 마지막 부분에 나온 EntityManager, JPaQueryFactory 생성자 주입 관련하여 궁금한 게 생겨서 질의드립니다. Lombok 의 @RequiredArgsConstructor 를 사용해서 EntityManager 와 JPAQueryFactory 를 생성자 주입하면 좋다. 라고 이야기하셨던 부분과 관련된 질의입니다. 이떄 JPAQueryFactory 객체를 빈으로 등록해놓은 뒤에 @RequiredArgsConstructor 를 사용하셨고 이는, EntityManager 는 빈으로 등록되어 있단 뜻인데 애플리케이션 로딩 시점에 EntityManager 도 자동 등록되나요?그렇다면 자동 등록되게 해둔 이유는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PA 사용시 Invalid bean definition 에러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스프링DB접근기술 - JPA 강의 부분에서 스프링부트 JPA 연동해서 실행하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서 질문드립니다.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BeanDefinitionOverrideException: Invalid bean definition with name 'memberService'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com/example/hellospring/SpringConfig.class]: Cannot register bean definition [Root bean: class [null]; 제가 이해한 바로는 memberService에서 bean이 잘못 정의 되어 있고, SpringConfig 클래스에서 bean을 등록할수 없다고하는데 루트 bean 클래스가 null 이라는데 (이건 어디가 루트고 어디가 null 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래 코드들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대체 어디가 bean이 잘못 정의 되어 있고 null 인지를 모르겠네요.. 아래는 memberService 코드입니다. import문은 전부 제거했습니다. package com.example.hellospring.service; @Transactional @Service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 * 회원가입 */ public Long join(Member member){ validateDuplicateMember(member); // 중복회원 검증 memberRepository.save(member); return member.getId(); } private void validateDuplicateMember(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Name(member.getName()) .ifPresent(m ->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 } /** * 전체 회원 조회 */ public List<Member> findMembers(){ return memberRepository.findAll(); } public Optional<Member> findOne(Long memberId){ return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 } 다음은 SpringConfig.java 코드입니다. 역시나 import문은 제거했습니다. package com.example.hellospring; @Configuration public class SpringConfig { private EntityManager em; @Autowired public SpringConfig(EntityManager em) { this.em = em;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JpaMemberRepository(em); } } 참고로 회원가입에서 Run으로 실행하기 전까지는 db도 잘 연결되고 아주 잘 따라하고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시 테이블 자동생성 및 마이바티스와의 혼용
JPA에서 엔티티를 설정해주면 자동으로 디비에 테이블을 생성해줍니다. 강의내용중에 생성되는 테이블 ddl을 그대로 안쓰고 정제해서 쓰신다고 하셨는데,그말은 jpa로 Auto로 생성되는걸 막아놓고, 디비에서 직접 create를 하신다는 말씀이신가요?? 그리고 혹시 jpa와 mybatis를 같이 사용 할 수 있나요? 서칭해보면 가능하다고 하는데, jpa사용법은 나름 숙지된 상태인데팀플젝으로 마이바티스를 사용하고 싶은 상황입니다.같이사용하기 어려울까요? spring: jpa: hibernate: ddl-auto: update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TO 와 Form_2
안녕하세요! 영한님! 영한님께서 올려주신 여러가지 강의를 보고 코드를 작성하다가,제가 예전에 질문하고 피드백 주셨던 부분이 생각나서 질문드리려고 합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25911 예전 질문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이때는 의문이 들었던점이 정확히 정리가 안되어 더 질문드리지 못하고 넘어갔었습니다.이제 좀 정리가 되어서 재질문 드리려고합니다. Book 과 같은 Entity는 하나의 도메인에서 사용되는게 아니라 광범위하게 사용되고,현재 패키지를 어떻게 나눌지 감이 잘 안잡힙니다. 따라서 현재(Book) Entity => example.xxx.model에 두었고 dto => example.xxx.model.dto 이렇게 두었습니다. 이런경우 위에서 말씀하신 Entity가 dto를 참조하는데 다른 패키지에 있는 상황입니다. 이럴 때는 BookService에서 메소드로 Dto를 받고, Entity를 조작하는 형태로 변경해야 할까요?아니면 설계가 잘못된것인지, 패키지를 어떻게든 같이 놓는 방법이 맞을지 궁금합니다.개념에 구멍이 뚫려있는 느낌입니다 ㅜㅜ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JoinColumn 질문
안녕하세요 영한님. 좋은 강의 덕분에 이해가 정말 잘 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JoinColumn에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예를들어 아래의 두개의 코드를 비교 해보면 위에는 @JoinColumn 을 사용하였고 밑에는 그냥 @Column을 사용하였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물론 어플리케이션 딴에서 그럴일은 거의 없겠지만 제가 무조건 order를 사용하는 케이스가 orderId를 조회하는거 밖에 없다면 위의 코드보다 아래의 코드가 더 좋은 것일까요? 왜냐하면 orderId를 찾기위해선 위에 코드는 user.getOrder().getId() 와 같이 코드를 짜고 이때 DB에 Order에 대한 쿼리가 또 나가기 때문에 하지만 밑에 코드는 그냥 user.getOrderId만 하고 따로 쿼리가 안나가기 때문에 밑에 코드가 더 이 경우엔 효율 적일까요? 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OneToOne private Order order; 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Column(name = "orderId") private Long orderId;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TO 의 Entity 변경에 대한 위치에 대해서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 김영한 강사님 , 강좌 초반을 학습하다가 궁굼한 부분이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강의에서 생성 메소드를 만들때 전달받은 DTO 를 Entity 로 변환하는 로직을 Controller에서 수행하였는데 , DTO -> Entity , Entity -> DTO 에 대한 책임을 Controller에 위임 하시는 편인가요 ? (저의 경우는 그 책임을 Service layer 에 두고 modelmapper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ostMapping("/api/v2/members")public CreateMemberResponse saveMemberV2(@RequestBody @Valid CreateMemberRequest request)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request.getName()); Long id = memberService.join(member); return new CreateMemberResponse(id);}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update 실무
안녕하세요 ㅎㅎ 실무적으로 궁금한게 하나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update 쿼리는 실무에서도 100% 더티체캉으로 해결하나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ntity vs form vs dto
entity vs form vs dto 1. 이들은 각각 어떤 특징이 있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2. 이셋을 큰 틀로 보자면 모델로 봐도 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jpaRepository 의존성 주입 중복문제????
안녕하세요 김영환 강사님강의를 들으면서 다른 작업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해서 진행이 안됩니다.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adminBoardController' defined in file [C:\Users\web\projects\xxx-api\build\classes\java\main\com\xxx\xxxapi\controller\admin\AdminBoardController.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articleService' defined in file [C:\Users\web\projects\xxx-api\build\classes\java\main\com\xxx\xxxapi\service\ArticleService.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articleRepository' defined in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 defined in @EnableJpaRepositories declared on JpaRepositoriesRegistrar.EnableJpaRepositoriesConfiguration: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QueryCreationException: Could not create query for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Reason: Failed to create query for method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Unable to locate Attribute with the the given name [AIdx] on this ManagedType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Failed to create query for method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Unable to locate Attribute with the the given name [AIdx] on this ManagedType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articleService' defined in file [C:\Users\web\projects\xxx-api\build\classes\java\main\com\xxx\xxxapi\service\ArticleService.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articleRepository' defined in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 defined in @EnableJpaRepositories declared on JpaRepositoriesRegistrar.EnableJpaRepositoriesConfiguration: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QueryCreationException: Could not create query for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Reason: Failed to create query for method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Unable to locate Attribute with the the given name [AIdx] on this ManagedType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Failed to create query for method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Unable to locate Attribute with the the given name [AIdx] on this ManagedType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articleRepository' defined in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 defined in @EnableJpaRepositories declared on JpaRepositoriesRegistrar.EnableJpaRepositoriesConfiguration: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QueryCreationException: Could not create query for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Reason: Failed to create query for method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Unable to locate Attribute with the the given name [AIdx] on this ManagedType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Failed to create query for method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Unable to locate Attribute with the the given name [AIdx] on this ManagedType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aused by: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QueryCreationException Could not create query for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Reason: Failed to create query for method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Unable to locate Attribute with the the given name [AIdx] on this ManagedType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Failed to create query for method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Unable to locate Attribute with the the given name [AIdx] on this ManagedType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aused by: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Failed to create query for method public abstract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om.xxx.xxxapi.repository.board.ArticleRepository.findByHeadIdxAndAIdxNot(int,int)! Unable to locate Attribute with the the given name [AIdx] on this ManagedType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Caused by: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Unable to locate Attribute with the the given name [AIdx] on this ManagedType [com.xxx.xxxapi.model.board.Article] 어떤 문제인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 VS 폼객체
강의내용 8:30 내용질문입니다. < API를 만들때는 엔티티를 외부에 반환하면 안된다 > 1. 필드가 그대로 노출됨 (ex.userpassword) 2. API 스펙이 변한다. (엔티티에 로직을 추가했는데 api스펙이 변한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전부 이해가 안됩니다..ㅠ 이전 강의에서 FORM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Member 엔티티를 쓰는게 아니라 따로 만들어준 MemberForm을 쓰는이유는 이해했습니다. (Member객체 코드가 지저분해질수 있고, Valid 기능같은것을 사용하지못해서) 그것과 유사한 이유인것 같은데... 정확히 이해가 안되네요 사실 api라는 개념도 정확하게 잡히지 않습니다. 정리해서 질문 하겠습니다. 1. 저희가 강의에서 만들어준 api가 있나요??? (혹시 MemberController의 메서드들이 모두 api에 속하는건가요?) 2. 필드가 노출된다는게 무슨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예를들어 폼에 password입력칸이 있는데, 이게 어떻게 노출이 가능하다는 것인가요? 3. api의 스펙이 바뀐다는 부분이 이해가안됩니다. api스펙이 무엇을 뜻하며, 그게 바뀌면 무슨 문제가 생기나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여러 인덱스 중 하나를 타게 할 수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열심히 공부 중입니다. jpa + querydsl 공부 도중에 궁금한 것이 하나 생겼습니다. querydsl 에서 여러 인덱스 중에 하나를 강제로 타도록 할 수는 없나요? native query로는 mysql 같은 경우 use index를 쓰면 되는데 querydsl 에는 어떻게 할 수 없을까 무식하게 갑자기 고민하고 고민하다가 혹시 방법이 있나 없나 궁금해서 질문 들여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예외테스트 중 저번강의에서 햇던 것과 차이
Exception을 테스트하는 부분에서 궁금한 점입니다. 해당 강의에서는 @Test(expected = IllegalStateException.class) 어노테이션과fail()함수를 이용해서 테스트하셨는데, 이 강의보다 최신강의로 알고있는 spring 기본편에서 테스트하실때는 아래코드와 같이 하셨습니다.두 테스트 차이가 있을까요? @Test public void 회원가입_중복() throws Exception { // given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Name("인프런");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Name("인프런"); // when memberService.join(member1); // then IllegalStateException e = assertThrows(IllegalStateException.class, () -> { memberService.join(member2); }); assertThat(e.getMessage()).isEqualTo("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사용자 등록함
안녕하세요 사용자 등록함수중에 언급해주신 group_concat (이미 등록되어있는함수라고 말씀해주셨는데 찾을수가 없어서.. 여쭈어봅니다) 보시다시피 그냥 concat은 있는데 group_concat 이건 어디에 등록이 되어 있는건가요 ? 그리고 JPQL 스스로 함수를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라고 다른글에서 말씀해주셨는데 그러면 이렇게 따로 정의해서 만들 필요가 있나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compileQuerydsl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를 처음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강의 영상에서와 같이 프로젝트를 만든후 compileQueryDsl을 실행하니 Unable to load class 'com.mysema.codegen.model.Type'. 이 에러가 나오면서 컴파일이 되지 않습니다 도저히 답을 찾을 수가 없어서 질문남겨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ervice와 controller의 역할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ervice와 controller의 역할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를 듣고 활용해던 도중 의문점이 생겼습니다. 한참 찾아봤는데 아직도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저의 기존 코드에서는 어떤 컨트롤러의 post 요청에서 A,B,C 엔티티가 반드시 순서대로 생성된후 저장되어야 합니다. (참조관계 떄문에 그렇습니다) 기존에 저는 컨트롤러에서 A 엔티티 생성 -> AService.createA() 한 후 B, C도 동일한 과정을 거칩니다. 이러니까 컨트롤러가 서비스의 역할을 해버린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컨트롤러는 그냥 dto를 넘겨주고 서비스에서 위의 작업을 하려했습니다. 그랬더니 몇가지 문제가 생겼습니다. 1. service에서 repository만을 사용하면 코드 중복이 심함(create 할때 복잡한 중복검증 로직이 있는대, 그것까지 전부 다시 해야함) 2. service에서 service를 주입받아서 하자니 순환참조, 나말고 코드 이해도 낮은 다른사람이 손대면 실수할 가능성 높음 등등의 문제가 생김 그래서 그냥 원래대로 냅두려니 controller가 너무 크고 service가 하는게 그냥 repository로 요청 보내기인 경우가 대부분임 그래서 질문은 1. 적절한 방법이 뭘까요? 2. 복잡하고 큰 규모의 서버 코드를 보고싶은데 좋은 예시를 어디서 찾을수 있을까요? 3. 제가 해결방법으로 여러 service를 주입받아서 사용만하는 service를 만들어서 컨트롤러에 있던 코드를 거기로 옮겨서 컨트롤러에 비즈니스 로직이 생기는걸 없에고 순환참조, 코드 중복 등을 제거 해봤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4. MSA와 상관있는 문제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안녕하세요 XToOne관계 질문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수업 듣고 조금 더 변형해서 공부하고 있는데요, 하다가 궁금한 것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만약 현재 조회하려는 엔티티와 그 엔티티의 연관관계가 toOne관계라면 어떻게 조회해야 최적화가 될 수 있을까요? 그러니까 예로 Product라는 엔티티와 Seller라는 엔티티가 ManyToOne관계를 가지고 있는 경우(한명의 Seller가 여러 개의 Product를 쇼핑몰에 등록할 수 있다는 비즈니스 로직인 경우) 에도 패치 조인을 사용해야 하나요? 물론 김영한 님의 강의에도 이러한 연관관계를 조회하는 로직이 있었지만 그때는 ( 현재 제가 변형한 예시에서는) 모든 Product들을 조회하는 경우였고, 저는 하나의 findById()로 하나의 Product만을 조회하고 싶습니다. 하여 생각해 본 것이 아래와 같은 쿼리입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쿼리를 사용하면 DBMS 내에서 Join이 먼저 되서 하나의 Product 조회를 위해 너무 지나치게 많은 join이 실행되는 것으로 아는데.. 쿼리는 한번 나가겠지만 너무 비효율적인 것이 아닌가 싶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긴 질문 읽어 주셔어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계설정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를 들은 후 제가 직접 테이블을 만들어 테스트를 하던중 관계설정을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안오는 부분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 DB 테이블 (car,car_data) car 테이블: 차량 등록 시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 car_data 테이블: car_id를 foreign_key로 가지며, 일정 주기마다 차량의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테이블. 같은 car_id를 가지는 car_data테이블의 데이터 중 실제 사용하는 데이터는 가장 최신의 데이터 하나입니다. 즉 car_data가 3번 업데이트 된 후의 db 상태를 보면 * car * car_data 이런 식으로 저장이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조회하고 싶은 데이터는 car_id를 가지고 해당 car의 정보와 해당 id를 foreign_key로 가지는 car_data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인해서 가져오고 싶습니다. 즉 쿼리문으로 보자면 SELECT * FROM car c JOIN ( SELECT * FROM car_data cd WHERE cd.car_id = 1 LIMIT 1 ) last_cd on last_cd.car_id = c.car_id; 이런식으로 될 것 같습니다. (최신데이터 판별은 날짜를 기준으로 할 것 같지만 여기에서는 그냥 서브쿼리에 들어있는 데이터가 최신데이터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즉 car_data에서 같은 car_id를 foreign_key로 가지는 데이터들 중 제가 사용하는 데이터는 항상 하나입니다. 이 때 관계가 일대일인지 일대다인지.. 양방향인지.. 단방향인지를 고민해보는데 감이 오지 않아서 질문 드립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ascade 사용 이점
Order 엔티티의 orderItem과 delivery에 cascade를 사용했기 때문에 둘의 레포지토리를 만들지 않은 건지 궁금합니다. 만약, cascade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레포지토리를 만들어줘야 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