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직접 활용할 수 있는 Git과 Github - 기초부터 협업까지
VSCode에서 git remote를 올릴때
안녕하세요. 방금 강의에서 말씀하신대로 SourceTree에 Github와 연계되서 URL을 저장하고 기타 등등 잘 따라오고 있는데 VSCode에서 git remote까진 되었습니다. 근데 문제는 'origin'이라는 단어만 뜨고 그 외 복사된 해당 URL은 뜨지 않습니다. 무슨 이상일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jwtstrategy error
안녕하세요 원두멘토님ㅎㅎ 이런 에러가 계속 떠서 docs와 스텍오버플로우에 검색을 해보니 Passport-jwt를 import하는 것이 아닌 passport-local을 import하는 것이라해서 했더니 다행히 실행이 됩니다.수업내용에서는 passport-jwt로만 해도 작동이 잘되는 것 같은데 왜 이런 문제가 생기는 것일까요?그리고 passport-local로 하면 실제 배포에서는 사용 못하는 것이 아닌지 질문을 남깁니다.p.s 재작년에 코캠2기 수료하고 백엔드를 많이 기다렸는데 이렇게 인프런에서 다시 인강으로 뵙게 되서 너무 반갑습니다
-
해결됨타입스크립트 입문 - 기초부터 실전까지
타입을 전역으로 분리
타입을 파일을 따로 분리해서 import 해서 사용해도 되는걸까요?
-
미해결
코랩에서 파이토치 모델 재학습 시
코랩에서 파이토치로 신경망 모델 구현했을 때 학습을 마치고 파라미터 수정 시 다시 학습을 진행한다면 런타임 다시 시작 후 처음부터 코드 전체를 다시 돌려야하나요?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POST 전송 방식에서 서버가 생성된 리소스 식별자를 다시 전송하는 이유
[질문 내용]POST 전송 방식에서 회원 등록의 URI가 /members 인 경우, 서버는 /members/100 과 같이 생성된 회원 정보를 다시 응답 데이터로 전송하는데 이렇게 하는 이유가 뭔가요?클라이언트 측에서 회원 등록 요청을 보낸 후 생성된 리소스 식별자를 이용해서 또 다른 작업을 하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세팅 질문입니다.
도커를 사용해서 mysql에 붙혀서 하고있는데 아래와같이 에러가 나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order서비스파일에서 에러납니다. db가 안붙어서 그런건가요? 같은 컴퓨터인데 lombok이 동작이 안되길래 lombok되는곳으로 옮겨서 했습니다. 파일 주소는 아래 첨부합니다.error: incompatible types: javax.persistence.criteria.Order cannot be converted to shopapi.jpashop.domain.OrderOrder order = orderRepository.findOne(orderId);error: incompatible types: shopapi.jpashop.domain.Order cannot be converted to javax.persistence.criteria.OrderorderRepository.save(order);^error: incompatible types: List<javax.persistence.criteria.Order> cannot be converted to List<shopapi.jpashop.domain.Order>return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orderSearch);^ ^
-
해결됨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호돌센세 안녕하세요 auth.http에서 로그인시 자꾸 500 에러가 뜹니다..
https://github.com/incheol789/hodolog.git깃허브에 파일 올려두었습니다..날이 많이 덥습니다.. 더위 조심하세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순환참조 재질문 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https://www.inflearn.com/questions/964547첫번째 방법은 이해했는데두번째 방법 조금 더 상세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Member 엔티티에 쿠폰발급 서비스 로직을 추가 하라는 말씀이실까요 ?
-
해결됨독하게 되새기는 C 프로그래밍
ShellCodeSample03.c 질문 드립니다.
강사님 항상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질문이 있습니다.예제에서 기계어를 배열에 담고 그 배열의 주소로 점프하게끔 되어있는데 강의에서 말씀하셨지만 배열은 데이터 영역에 있는데 어떻게 실행이 되는건가요?무슨 기능을 끄면 가능하다고 하셨는데 이 예제엔 그 기능이 꺼져있는건가요?
-
미해결비전공 기획자 및 관리자를 위한 IT 필수 지식
강의 자료 요청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찾고 있던 내용을 너무나 잘 설명해 주셔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아래 메일 주소로 강의 교안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e-mail : ci.son830@gmail.com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ava 17에서 Hibernate 사용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제가 Java 17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데,Hello JPA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나오는 코드 작성시Hibernate 에 대해서 properties 오류가 생기는 것으로 보여서 db안에 member의 정보가 들어가지 않습니다.오류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03:54:44.367 [main] INFO org.hibernate.Version -- HHH000412: Hibernate Core {5.3.10.Final} 03:54:44.368 [main] INFO org.hibernate.cfg.Environment -- HHH000206: hibernate.properties not found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xml/bind/JAXBException해결을 위해서 검색해보면서application.properties에# Hibernate 설정 spring.jpa.properties.hibernate.ejb.metamodel.population=disabled spring.jpa.properties.hibernate.transaction.coordinator_class=jdbc spring.jpa.properties.hibernate.javax.persistence.validation.mode=none spring.jpa.properties.hibernate.javax.xml.bind.JAXBContextFactory=org.eclipse.persistence.jaxb.JAXBContextFactory위와 같은 코드를 추가하고pom.xml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추가해보았습니다. <!-- Jakarta XML Binding (JAXB) 의존성 --> <dependency> <groupId>jakarta.xml.bind</groupId> <artifactId>jakarta.xml.bind-api</artifactId> <version>3.0.1</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glassfish.jaxb</groupId> <artifactId>jaxb-runtime</artifactId> <version>3.0.1</version> </dependency> 그러나 해결되지 않아서 질문 남깁니다.자바 버전을 내리는 것 말고는 해결 방법이 없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시큐리티
스프링부트 버전 2.7이상 authenticationManagerBean 등록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일단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선생님 강의를 들으면서 2.7버전으로 진행하고 있는데매니저 를 등록할때부터 막혔습니다. 제 나름대로 소스도 좀 제가 평소에 하던 방식으로 하고있었는데 강의 버전이랑 맞지 않으니 힘드네요 ㅠ 이 부분은 스프링부트 2.7이상에서는 어떻게 하면될까요? 깃허브 주소 : https://github.com/PeachCoolPiece/corespringsecurity 입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init 메서드에 @Transactional
init() 메서드에 @Transactional 을 넣어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One-to-Many Self Referencing 문제
안녕하세요 One-to-Many 관계 정의 시에 해결이 잘 안되서 문의 드립니다. Typeorm 사이트에서 정보를 참조도 해보고 구글링도 해봐서 시도해봤지만 명확하게 원하던 결과가 나오지 않아서 문의드립니다.@Entity("Parts", { schema: "workplaces" }) export class Parts { @PrimaryColumn('varchar', { name: "partsNumber", unique: true, nullable: false }) partsNumber: string; @Column('varchar', { name: 'partsName', length: 500, nullable: true }) name: string; @Column('bool', { name: 'isMain', nullable: false, default: false }) isMain: boolean; @CreateDateColumn() createDate: Date; @UpdateDateColumn() updateDate: Date; @DeleteDateColumn() deleteDate: Date | null; // 여기부터가 문의 드리는 One to Many 관계설정 코드입니다. @ManyToOne(() => Parts, (parts) => parts.alternative, { onDelete: "SET NULL", onUpdate: "CASCADE" }) parts: Parts; @OneToMany(() => Parts, (alternative) => alternative.parts) @JoinColumn([{ name: "alternative", referencedColumnName: "partsNumber" }]) alternative: Parts[]; }보시면 아시겠지만, Parts 테이블에 alternative란 항목의 다수의 Parts 타입을 데이터로 받도록 구성한 것인데요, 부품의 경우, 대체 부품이 여럿이 존재해서 isMain 항목을 통해서 부품이 main부품일 경우에만 데이터를 저장하고 호출해주며, main 부품이 아닌경우, 연결된 main parts 의 정보를 호출해주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실제로 이렇게 구성할 경우,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시{ "partsNumber": "341241", "name": "341241 Dryer Drum Belt", "isMain": true, "alternative": [ { "partsNumber": "14210003" }, { "partsNumber": "20065315" }, ] }이상없이 저장이 완료됩니다.Main part(parent) 검색시에 보통 사용하던 One to Many에서처럼 alternative에 제대로 2개의 배열객체가 출력이 됩니다만, 문제는 alternative 데이터를 검색하여 main이 되는 part를 출력하지 못하는 점인데요. Self Referencing 으로 One to Many관계를 설정시에 children측에서 parent 쪽의 정보를 호출하려면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요?항상 답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역할과 구현의 분리" 이 한마디에 OOP 설계의 우주가 열린 기분이네요.
겨우 섹션1만 봤을 뿐인데 뭔가 설계에 있어서 북극성을 본 느낌. 왜 코드 몇줄보다 철학을 먼저 다루었는지 알것같다.controller,클래스 등(사용자) - 서비스 (자동차회사) - 인터페이스 들(자동차표준협회) - 구현체(자동차 부품업체 들)인터페이스1 (악셀,브레이크, 변속기, 오디오 등) - 업체 A -> 업체 B인터페이스 2( 자율주행, 카엔터테인먼트) - ...인터페이스 3(썬파노라마, 자동잠금장치 등등 ) - ...단일상속, 다중상속 서비스(자동차회사)
-
해결됨실전! Querydsl
valid 체크 메서드
안녕하세요인증할 때 != null 이라던가 StringUtils.hasText() 를 사용하시던데ObjectUtils.isEmpty() 함수를 사용하면 한번에 다 처리가 가능한데 사용안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다른 강의에서도 못 본 것 같아서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프레임 질문 입니다.
프레임상에 그리드를 두고 디자인을하면반응형 웹디자인으로서핀터레스트 웹사이트 예시 처럼 웹사이트의 크기를 줄여나가면 컨텐츠들이그 웹사이트 조정한 크기에 맞게 변하는것 처럼.그리드 상에 디자인을 하면 화면 픽셀 단위 에 맞게 컨텐츠들이 조정된다고 이해를 하였습니다.모바일 반응형 디자인을 한다고 가정했을때모바일용 프레임 비율 한가지에다가 그리드 위에 디자인을 하면모바일 모든 디바이스에 디자인이 각 디바이스 해상도에 맞게 조정 되는것으로 이해를 했습니다.그렇다면피그마 상에서 위 사진처럼 모바일 디바이스별 프레임을 분류를 해놓는데제가 사진 위에 설명처럼 이해를 한다면,아이폰8 디바이스 프레임을 선택해서 그리드위에 디자인을 한다고 가정했을때그 디자인한 앱을아이폰11, 또는 아이폰12 등등 을 사용해도똑같은 디자인으로 결과값이 도출되는지가 궁금합니다.또한 아이폰 8 디바이스 프레임을 선택해서 그리드 위에 디자인한 앱과아이폰 11 디바이스 프레임을 선택해서 그리드 위에 디자인한 앱과똑같은 결과값이 나오는건가요?즉 그리드 를 사용해서 디자인을 한다면모바일 프레임이라면 어떤 프레임을 사용해도 상관이 없는건가요?또한그리드상 위에 디자인을하면 반응형으로서 각 디바이스 해상도에 맞게 조정이 되는것이라면왜 모바일용 해상도 프레임 or PC용 해상도 프레임 이런식으로 통일하지않고위 사진처럼 각 디바이스별로 프레임 해상도를 분류해놓는것인가요?모바일 프레임이라면 어떤 프레임을 선택해도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상에 결과값이 동일한가요?질문이 많아서 불편드려 죄송합니다!위의 모든 질문은 디자인을 할시에어떤 프레임 상에 디자인을 해야되는지 궁금증에서 나왔으며어떤 프레임상에 디자인을 해도 결과값이 모두 동일한지 궁금증이 해결되지않습니다!저 많은 디바이스별 프레임중에 어떤 프레임에다가 디자인을 해야되는건가요?PC용 디자인을 하더라도 디자이너 분마다 디자인을 하게되는 프레임의 해상도 비율값이전부 다르시고 추천하시는 프레임 해상도 비율값도 전부 다르신데이 프레임의 해상도 비율값이 달라도 그리드 상에 디자인을 하면모두 동일한 디자인값이 나오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웹 또는 앱 디자인 따라할때 질문.
실제 웹 따라할때 실제 픽셀 과 오브젝트 사이의 픽셀크기들 , 글꼴의 크기 어떻게 아는건가요??따라하려는 사이트 화면 확대축소 비율 100%로 캡처한후에피그마로 사진 가져온후 피그마 상의 확대비율 100%로 맞추면동일한 픽셀인것인가요? 추가로 만약 따라해서 제작한후에 피그마상에서 실제 사이트처럼 구현되는것을 확인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디자인 시스템 버튼 상태 질문입니다.
디자인 시스템 contenent 설명해주시는도중에버튼의 상태인normal / hover / press / focus / disabled 상태로 나타내셨고 text Field 상태를blank / filled / activated / error 로 표현하셨는데요 normal , press, disabled 등 몇가지는 어느정도 알겠는데hover focus activated 등등 무슨 상태를 표현하는 단어인건지 사전을 찾아봐도 정확히 감이오질않습니다. normal / hover / press / focus / disabled blank / filled / activated / error이상태들이 정확히 무슨상태인지 여쭈어 봐도될까요?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아이콘 제작 질문드립니다.
오브젝트의 라운딩값을 전체에 주는게 아닌일부만 라운딩 안줄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