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sh 실행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윈도우 파워셀로 실행하려는데 chmod 755 명령어가 안 됩니다. 'chomod' 용어가 cmdlet, 함수, 스크립트 파일 또는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이름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라고 뜨는데 어떡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 데이터베이스 경로 설정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렇게 설정하고 연결을 눌러도 연결이 되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이런 오류가 뜨네요. ㅠ윈도우 사용자입니다!그리고 실행 자체를 cmd에서 명령어 입력 말고 설치하니 생긴이 파일로 실행을 해도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외부, 내부, 논리, 물리 개념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앞서 전파기본 강의와 전파예제 강의를 듣고나서 이해가 되지않는 부분이 몇가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강의 자료중에, 트랜잭션매니저에 커밋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라면, 실제커넥션에 커밋하는것을 물리 커밋이라고 할수있다= 내부트랜잭션인 txManager.commit(inner)을 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고, 외부트랜잭션인 txManager.commit(outer)을 하는것이 물리커밋이다.=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txManager.commit(inner)를 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고,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txManager.commit(outer)를 하는것이 물리커밋이다.이렇게 생각하는게 맞을까요??2. 1번 질문에 더해서,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서 txManager.commit()을 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라면, 물리적인 커밋은 코드상 어떤것인가요? 외부트랜잭션도 txManager.commit()을 통해 커밋하는거같은데, 이렇게 외부트랜잭션을 커밋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임과 동시에 물리커밋인것인가요??3. 외부트랜잭션도 논리트랜잭션이고 내부트랜잭션도 논리트랜잭션인가요? 그래서 이 두가지를 묶어서 물리트랜잭션이라고 하는것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전체 로드맵 알려주세여
안녕하세요. 김영한님 로드맵 3개(자바, 스프링, JPA) 가 있는거로 아는데 이거 통합해서 전체 강의 로드맵 짜서 순서 좀 알려주세요. 김영한님한테 직접 질문좀 해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개인 프로젝트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개인 프로젝트 진행중 해당 부분과 같이 프론트측에 Dto를 전송하려 합니다. 아래에서는 log를 확인하여 json 객체가 잘 만들어졌는지 값이 제대로 들어갔는지 확인하였습니다.이후 objectMapper.writeValue(response.getWriter(), loginResponse); 로 프론트에 값을 보냈는데해당 페이지처럼 값들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습니다. 저희가 원래 생각한 로직은 next step의 값에 따라 프론트가 알맞게 처리하는것인데 이건 프론트측의 로직 문제인가요 아니면 백엔드측이 잘못보내준건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EQUIRES_NEW를 호출한 트랜잭션의 롤백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영한님 !REQUIRES_NEW는 완전히 물리적으로 트랜잭션이 분리되어REQUIRED(A 메서드)에서 REQUIRES_NEW(B 메서드)를호출 했을 때 B 메서드에 발생한 예외가 A 메서드에 전파되지 않는다고 이해했습니다.실제 확인을 위해 아래 코드를 구성해@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etingService { private final MeetingRepository meetingRepository;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Transactional public void save() { meetingRepository.save(new Meeting("스터디 모임", LocalDate.now(), LocalTime.now(), "AB3AS2EG")); memberService.save();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List<Meeting> findAll() { return meetingRepository.findAll(); } }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ransactional(propagation = Propagation.REQUIRES_NEW) public void save() {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김철수"));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List<Member> findAll() { return memberRepository.findAll(); } }아래 테스트 코드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Test void test() { assertThatThrownBy(() -> meetingService.save()) .isInstanceOf(IllegalArgumentException.class); // 롤백 여부 확인 List<Meeting> meetings = meetingService.findAll(); List<Member> members = memberService2.findAll(); assertThat(meetings).isEmpty(); assertThat(members).isEmpty(); }결과를 로그로 분석해보니 MemberService의 트랜잭션은 독립적으로 롤백 발생한 예외가 MeetingService로 전파 전파된 예외로 인해 MeetingService의 트랜잭션도 롤백이런식으로 흐름이 진행됐습니다. 제가 추측하기로는 물리적으로 분리는 되어 있지만 하나의 스레드에서 생긴 커넥션이고 자바의 예외 전파 메커니즘에 따라A 메서드에서 호출한 B 메서드의 예외가 A 메서드에 전파된 것이 아닌가 생각을 했는데요REQUIRES_NEW 사용 시 예외가 전파 되지 않는다. 라고 이해를 했어서 제가 실험한 결과가 맞는지 간과한 부분이 있었던 것인지 궁금합니다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elloSpringApplication 실행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어느 순간 갑자기 hello-spring 프로젝트를 켰을때 실행버튼이 안눌리고 HelloSpringApplication에서도 메서드에 재생 버튼이 안뜹니다. 왜그러죠? edit configuartion 해야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OP @Component로 Bean 등록 처리할 경우에 관한 질문입니다.
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48156/aop-timetraceaop-%EB%A5%BC-component-%EB%A1%9C-%EC%84%A0%EC%96%B8-vs-springconfig%EC%97%90-bean%EC%9C%BC%EB%A1%9C-%EB%93%B1%EB%A1%9D@Configuration 파일 내에서 @Bean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TimeTraceAop.java 파일을 빈으로 등록하는 경우, 참조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해 위 다른 분이 작성해주신 글을 통해 이해가 잘 갔는데요, 그럼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활용하여 등록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Around 구문을 통해 명시된 @Around("execution(* hello.hellospring..*(..))")를 사용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Tomcat
[질문 내용]안녕하세요,강의 중에 궁금한점이 있어 글 남깁니다. 스프링 부트 스타터에 톰캣이 인베디드 되어서 저절로 가져오기 때문에 서버에 따로 톰캣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고 하셨는데,그렇다면 각 프로젝트를 서버에 띄우게 되면 모두 톰캣이 멀티 인스턴스로 띄우고 각 프로젝트는 모두 다른 포트를 사용해야하는걸까요? 만약 그렇다면 각 프로젝트에 톰캣 포트 세팅을 따로 해주어야하는데 해당 부분은 서버에서 하는게 아닌 프로젝트를 배포할때 세팅 파일에 따라 세팅이 되는 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2024년 11월 기준 설치 방법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오랜만에 다시 복습하러 들어와서 처음부터 보는데 역시 설정이 반이네요 ㅎㅎh2 측에서 DB 자동 create를 막아두면서 시작부터 막히신 분들이 많은것같습니다.h2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직접 생성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링크강의와 동일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URL 입력부분만 잘 입력해주시고나머지 모두 엔터로 넘어가신 후에 quit로 탈출하시면 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HashMap에서 stream과 filter를 거처 List가 될 때 정렬순서
강의 4:33 의 코드입니다. @Test void findItems() { //given Item item1 = new Item("itemA-1", 10000, 10); Item item2 = new Item("itemA-2", 20000, 20); Item item3 = new Item("itemB-1", 30000, 30); log.info("repository={}", itemRepository.getClass()); itemRepository.save(item1); itemRepository.save(item2); itemRepository.save(item3); //둘 다 없음 검증 test(null, null, item1, item2, item3); test("", null, item1, item2, item3); //itemName 검증 test("itemA", null, item1, item2); test("temA", null, item1, item2); test("itemB", null, item3); //maxPrice 검증 test(null, 10000, item1); //둘 다 있음 검증 test("itemA", 10000, item1); } void test(String itemName, Integer maxPrice, Item... items) { List<Item> result = itemRepository.findAll(new ItemSearchCond(itemName, maxPrice)); assertThat(result).containsExactly(items); } MemoryRepository의 HashMap은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데, 강의에서 실습을 할 때는itemRepository.save(itemOO) 순으로 넣은대로 List로 변환되는것 같습니다. test(null, null, item1, item2, item3);이 테스트는 매번 일관되게 나와야하는데 항상 item1, item2, item3 순으로 잘 통과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스프1탄]
404 HTTP 상태 코드
선생님 안녕하세요 MVC01에서 코드를 이상 없이 작성한 거 같은데 계속해서 404 에러 코드가 발생해서 한 번만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https://github.com/normaldeve/SpringMVC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리포지토리 테스트케이스 작성 첫 테스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회원 리포지토리 테스트 케이스 작성중 4:43 test 결과저만 -1 나오는게 비정상인가요?package hello.hello_spring.repository; import hello.hello_spring.domain.Member;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class MemoryMemberRepositoryTest { MemberRepository 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Test public void save()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spring"); repository.save(member); //repository.findById(member.getId()); Member result = repository.findById(member.getId()).get(); System.out.println("result = " + (result == member)); } }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save() 호출시 키 중복예외로 복구를 시도하는 경우의 대안책
안녕하세요.스프링과 문제해결 - 예외처리, 반복에서 ExTranslatorV1Test.java 소스를 보면repository.save호출시 MyDuplicateKeyException예외가 발생하면random숫자를 더해서 복구를 합니다. 예외를 잘 다루줄 몰랐던 시절, 저는 save전에 findById를 통해 DB에 동일한 값이 있는지 확인하는 코드를 짜왔는데요. 위 두 방법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혹시 전자의 방식이 더 올바르다고 말할 수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예외 분류와 문서화의 의미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내용을 좀 더 눈에 들어오게 만들고 싶어 아래와 같이 표로 정리했습니다. 두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질문1) 표로 분류한 것처럼 한 체크예외에 복구가능/복구불가 , 한 언체크예외에 복구가능/복구불가 분류가 가능한가요?체크예외복구 가능한 예외복구 불가능한 예외언체크예외복구 가능한 예외복구 불가능한 예외 질문2) 언체크예외 특징을 위 표로 정리를 했음에도 강의에서 문서화를 강조하신 이유를 파악하지 못했습니다.개발자가 개발당시 미래에 실행중에 어떤 런타임예외가 발생할 지 모르기 때문에 즉, 런타임예외 모든 경우의수를 예측하기 어렵기 떄문에 '처리'를 하지 못한다고 이해해도 될까요? 따라서 운영중에 마주하게 되는 런타임예외들을 매 순간마다 문서에 기록해두라는 말씀이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내추럴 템플릿이 정확히 뭔 개념인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내추럴 템플릿 기능이라는 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느낌은 파일을 직접 열기 할 때, html css 자바스크립트의 순수한 구조가 그대로 남겨진 것? 이라는 것 같은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타입 컨버터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앞선 강의에서 @RequestParam, @ModelAttribute, @RequestBody, HttpEntity 같이 컨트롤러에서 다양한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는 이유가 ArgumentResolver 때문이라고 배웠습니다.이 중에 @RequestBody와 HttpEntity를 처리하는 ArgumentResolver에서 Http 메시지 컨버터를 사용한다고 했는데 이 Http 메시지 컨버터가 타입 컨버터인건가요?또 @ModelAttibute, @RequestParam을 처리한는 ArgumentResovler는 DataBinder을 사용하는 것 같던데 이번 강의에서는 타입 컨버터를 사용하는 것 처럼 이야기를 하셔서 헷갈리네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강의중에 하신 말씀이 궁금합니다. "우리가 직접 의존관계를 주입..."
안녕하세요. 강사님트랜잭션 문제해결 - 트랜잭션AOP적용 강의에서 하신 말씀에 질문이 있습니다. 07:20 이후에 나옵니다."물론 우리가 직접 의존관계를 주입해서 써도 되고요" 라는 말씀이 궁금합니다. 기본편에서 열심히 공부했던 개념이 나오는데요.스프링빈 구성방식직접호출(@Configuration, @Bean)자동호출(@ComponentScan, @Component)강의에서DataSource와 TxManager를 빈등록하는 방법으로 위 1번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Proxy는 DataSource와 TxManager빈을 2번방식으로 주입받아서 진행된다고 설명하셨습니다.@Component public class TransactionProxy { private MemberService target; public void logic() {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 try { //실제 대상 호출 target.logic(); transactionManager.commit(status); //성공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 transactionManager.rollback(status);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 } 이후에 아래코드와 같이 1번 방식으로 직접 등록을 하려고 할 때, 의존관계를 직접주입해도 좋다라 말씀주신것 같습니다. (강의중 말씀: "물론 우리가 직접 의존관계를 주입해서 써도 되고요")//@Component 자동빈등록하지 않을거고 설정클래스에서 직접 수동등록할 예정 public class TransactionProxy { private MemberService target; public void logic() {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 try { //실제 대상 호출 target.logic(); transactionManager.commit(status); //성공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 transactionManager.rollback(status);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TestConfig { @Bean DataSource dataSource() { return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 @Bean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 return new DataSourceTransactionManager(dataSource()); } @Bean TransactionProxy txProxy() { return new TransactionProxy(transactionManager()); } }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th:value의 유무
안녕하세요 <!-- single checkbox --> <div>판매 여부</div> <div> <div class="form-check"> <input type="checkbox" id="open" th:field="${item.open}" class="form-check-input" disabled> <label for="open" class="form-check-label">판매 오픈</label> </div> </div> <!-- multi checkbox --> <div> <div>등록 지역</div> <div th:each="region : ${regions}" class="form-check form-check-inline"> <input type="checkbox" th:field="${item.regions}" th:value="${region.key}" class="form-check-input" disabled> <label th:for="${#ids.prev('regions')}" th:text="${region.value}" class="form-check-label">서울</label> </div> </div> single checkbox에서는 th:value를 넣지 않아도 오류가 나지 않았는데 multi checkbox에서는 오류가 발생하더라구요. 저는 single checkbox에서 th:value를 넣지 않았을 때 오류가 나지 않으면 multi checkbox는 single checkbox가 모여서 생긴 것으로 각각의 박스들은 독립적이라서 똑같이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거라고 예상했는데 아니더라구요. 왜그런 것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html에서 action의 의미
선생님 안녕하세요 action의 의미는 입력값을 해당 서버(item.html)로 보내는 것인데 이것의 필요성을 모르겠어서 질문드려봅니다.두 번째 코드의 return 값을 기존 "redirect:/form/items/{itemId}"에서 "/form/items"으로 바꿔도 문제 없이 동작해서 질문 드려 봅니다. <form action="item.html" th:action th:object="${item}" method="post">@PostMapping("/add") public String addItem(@ModelAttribute Item item, RedirectAttributes redirectAttributes, Model model) { log.info("item.open={}", item.getOpen()); log.info("item.regions={}", item.getRegions()); log.info("item.itemType={}", item.getItemType()); Item savedItem = itemRepository.save(item); redirectAttributes.addAttribute("itemId", savedItem.getId()); redirectAttributes.addAttribute("status", true); //return "redirect:/form/items/{itemId}"; model.addAttribute("items", itemRepository.findAll()); return "/form/item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