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타입 변환 생성자에 대해
다른 분들 질문을 봐도 확실히 이해가 가지 않는 듯하여, 제가 이해한 것을 주석으로 작성했는데 맞는지 확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항상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test_data로 평가할 때 pred 행 개수와 test 행개수 틀림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동영상: 26:30안녕하세요 trainset에서 tr, val 분류한 후 모델 설정 후 testset으로 roc_auc_score 평가를 하려고 함수를 적용했는데요pred의 행의 수와 test_set 행의 수가 다르다는 오류가 떠서요.선생님께서는 roc 평가를 할때 X_test[cols] 데이터와 X_val을 사용한 예측결과인 pred[:1]을 사용하셨는데 저는 그럼 행의 수가 다르다는 오류가 뜨네요ㅠㅠㅠ# XGBoost from xgboost import XGBClassifier xgb = XGBClassifier() xgb_fit = xgb.fit(X_tr[cols],y_tr) xgb_pred = xgb.predict_proba(X_val[cols]) from sklearn.metrics import roc_auc_score roc_auc_score(y_val,xgb_pred[:,1])# 평가 데이터로 예측 및 csv파일 생성 summit = pd.DataFrame({ "id" : X_test['id'], "income" : xgb_pred[:,1] }) summit.to_csv("1111.csv",index=False) ##############위 코드 작성으로 생긱 오류부분################ ValueError: array length 2931 does not match index length 3257
-
해결됨비전공자를 위한 진짜 입문 올인원 개발 부트캠프
jsx 문법이 적용이 안되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그랩님저번 강의부터 jsx문법으로 상품상세 페이지 아이디 반영하는 부분 부터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당시에는 그냥 + index 형식으로 진행해서 문제가 없었는데 계속 Link to부분 이문제가 발생하고있습니다.아래 코드 올려드립니다. 다른 수강생분들에게도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좋은 질문을 남겨봅시다 :) 1. 질문은 문제 상황을 최대한 표현해주세요.2. 구체적이고 최대한 맥락을 알려줄 수 있도록 질문을 남겨 주실수록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답변을 얻는데 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습니다 ㅠㅠex) A라는 상황에서 B라는 문제가 있었고 이에 C라는 시도를 해봤는데 되지 않았다!3.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꼭 검색해주세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order-service orderId문제
"not-null property references a null or transient value : com.example.orderservice.jpa.OrderEntity.orderId; nested exception is org.hibernate.PropertyValueException: not-null property references a null or transient value : com.example.orderservice.jpa.OrderEntity.orderId"이 오류는 com.example.orderservice.jpa.OrderEntity 클래스의 orderId 속성이 null 또는 임시 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발생합니다. 즉, orderId 속성에는 null이 허용되지 않는데, null이나 임시 값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합니다.application.ymlserver: port: 0 spring: application: name: order-service h2: console: enabled: true settings: web-allow-others: true path: /h2-console sql: init: mode: always jpa: database-platform: org.hibernate.dialect.H2Dialect hibernate: ddl-auto: updat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show_sql: true defer-datasource-initialization: true datasource: driver-class-name: org.h2.Driver url: jdbc:h2:mem:testdb main: allow-bean-definition-overriding: true eureka: instance: instance-id: ${spring.application.name}:${spring.application.instance_id:${random.value}} client: register-with-eureka: true fetch-registry: true service-url: defaultZone: http://127.0.0.1:8761/eureka logging: level: com.example.orderservice: DEBUG OrderEntity@Data @Entity @Table(name = "orders") public class OrderEntity implements Serializable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Column(nullable = false, length = 120, unique = true) private String productId;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Integer qty;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Integer unitPric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Integer totalPric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userId; @Column(nullable = false, unique = true) private String orderId; @Column(nullable = false, updatable = false, insertable = false) @ColumnDefault(value = "CURRENT_TIMESTAMP") private Date createAt; } OrderDto@Data public class OrderDto implements Serializable { private String productId; private Integer qty; private Integer unitPrice; private Integer totalPrice; private String orderId; private String userId; } ResponseOrder@Data @JsonInclude(JsonInclude.Include.NON_NULL) public class ResponseOrder { private String productId; private Integer qty; private Integer unitPrice; private Integer totalPrice; private Date createAt; private String orderId; } OrderServicepublic interface OrderService { OrderDto createOrder(OrderDto orderDetails); OrderDto getOrderByOrderId(String orderId); Iterable<OrderEntity> getOrdersByUserId(String userId); } OrderServiceImpl@Service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this.orderRepository = orderRepository; } @Override public OrderDto createOrder(OrderDto orderDto){ orderDto.setUserId(UUID.randomUUID().toString()); orderDto.setTotalPrice(orderDto.getQty() * orderDto.getUnitPrice()); ModelMapper mapper = new ModelMapper(); mapper.getConfiguration().setMatchingStrategy(MatchingStrategies.STRICT); OrderEntity orderEntity = mapper.map(orderDto, OrderEntity.class); orderRepository.save(orderEntity); OrderDto returnValue = mapper.map(orderEntity, OrderDto.class); return returnValue; } @Override public OrderDto getOrderByOrderId(String orderId) { OrderEntity orderEntity = orderRepository.findByOrderId(orderId); OrderDto orderDto = new ModelMapper().map(orderEntity, OrderDto.class); return orderDto; } @Override public Iterable<OrderEntity> getOrdersByUserId(String userId) { return orderRepository.findByUserId(userId); } }OrderController@RestController @RequestMapping("/order-service") public class OrderController { Environment env; OrderService orderService; @Autowired public OrderController(Environment env, OrderService orderService) { this.env = env; this.orderService = orderService; } @GetMapping("/health_check") public String status(){ return String.format("It's Working in Order Service on PORT %s", env.getProperty("local.server.port")); } // http://127.0.0.1:0/order-service/{user_id}/orders/ @PostMapping("/{userId}/orders") public ResponseEntity<ResponseOrder> createOrder(@PathVariable("userId") String userId, @RequestBody RequestOrder orderDetails){ ModelMapper mapper = new ModelMapper(); mapper.getConfiguration().setMatchingStrategy(MatchingStrategies.STRICT); OrderDto orderDto = mapper.map(orderDetails, OrderDto.class); orderDto.setUserId(userId); OrderDto createOrder = orderService.createOrder(orderDto); ResponseOrder responseOrder = mapper.map(createOrder, ResponseOrder.class);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CREATED).body(responseOrder); } @GetMapping("/{userId}/orders") public ResponseEntity<List<ResponseOrder>> getOrder(@PathVariable("userId") String userId){ Iterable<OrderEntity> orderList = orderService.getOrdersByUserId(userId); List<ResponseOrder> result = new ArrayList<>(); orderList.forEach(v -> { result.add(new ModelMapper().map(v, ResponseOrder.class)); });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OK).body(result); } } 다 똑같이 쳤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인텔리제이 오류
이렇게 에러는 안나는데 화면에는 나오지않습니다. 그리고 실행버튼이 활성화 안되있어서 제가 인터넷보고 설정하긴했는데 실행 등록하는 부분에 문제가 있을까요>빠른답변부탁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insert문이 실행이 안돼요
html 화면에서 회원가입 submit 후 메인 화면으로 돌아오는 것은 같은데 콘솔에도 insert 문은 안뜨네요ㅠㅠ이렇게 DB에서 조회시 select문만 콘솔에 뜨고이런식으로 이름 값은 제대로 뜨지만 나머지값은 보이지 않습니다. 막상 DB에는 없습니다 코드는 제가 입력 후 위의 문제로 강의자료 코드 복붙해서 변경했습니다.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안녕하세요. 퀴즈 7번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제가 코딩을 시작한지 일주일 조금 넘어서..기본 개념이 헷갈리는게 많아서 질문이 많습니다 ㅠㅠ 퀴즈 7번에서 class HamBurger 만들고 생성자 만들때public HamBurger(){ this("햄버거");}//매개변수가 없는 생성자와 public HamBurger(String name){ this.name = name;}//매개변수 넣은 생성자 이렇게 두 개 만드셨는데 그 이유가 잘 이해가 안 가서요,, this와 this()의 개념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이해를 한 것 같은데 실제 코드를 짤 때 생성자를 하나가 아닌 두개 만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생성자 하나로는 안되는걸까요? 나도 코딩 선생님 강의를 유튜브에서 처음 듣고 인프런으로 넘어왔는데 늘 좋은 강의 감사한 마음으로 듣고 있습니다. 질문이 많아도 이해해주세요ㅠㅠ미리 감사합니다!
-
해결됨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IPC에서 말하는 동기화 과정
꼬꼬무 문답에서 공유 메모리와 메시지 전달 모델의 장단점을 설명해달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공유 메모리는 '별도의 동기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단점 그리고 메시지 전달 모델은 kernel이 '동기화를 제공'해준다고 하셨는데요!여기에서 말씀하시는 동기화를 이해를 정확히 못해서 질문 남깁니다. 이전에 multi thread를 사용할 때 동기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하시면서 동기화 문제란 '서로 다른 thread가 메모리 영역을 공유하기 때문에 여러 thread가 동일한 자원에 동시에 접근하여 엉뚱한 값을 읽거나 수정하는 문제' 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여기에서 동일한 자원에 동시에 접근하게 되면 왜 엉뚱한 값을 읽을 수도 있는지가 헷갈렸는데요...ㅜㅜ'동기화'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 작동 원리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내부 트랜잭션의 경우,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서 con이 있으면, 생성하지 않고 그걸 가져다가 사용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림에는 단순하게 보여주기 위해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con이 하나만 있는 경우 인데, 실제로는 여러개가 있을텐데 그중에 아무거나 가져다 쓰나요?? 아니면 내부 트랜잭션을 호출한 외부 트랜잭션의 con을 찾아서 쓰려나요??
-
미해결JPA & Spring Data JPA 기초
상속 관계 엔티티 로직을 분기처리 하는 법?
안녕하세요 상속관계 엔티티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궁금한 점 있어 질문 드립니다상속관계의 엔티티가 존재하고, 자식 엔티티마다 서비스 로직이 다를 수 있을 때 어떻게 분기처리하는지 알고 싶어 질문 드립니다 @Entity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Getter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SINGLE_TABLE) @DiscriminatorColumn(name = "base_type") public abstract clas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description; @Column(name = "base_type", updatable = false, insertable = false, length = 30) private String baseType; protected BaseEntity(Long id, String title, String description) { this.id = id; this.title = title; this.description = description; } } @Entity @DiscriminatorValue(value = "FIRST")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Getter public class FirstEntity extends BaseEntity{ private int like; @Builder public FirstEntity(Long id, String title, String description, int like) { super(id, title, description); this.like = like; } } @Entity @DiscriminatorValue(value = "SECOND")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Getter public class SecondEntity extends BaseEntity { private String redirectUrl; @Builder public SecondEntity(Long id, String title, String description, String redirectUrl) { super(id, title, description); this.redirectUrl = redirectUrl; } }이러한 상속구조 엔티티가 있고, 두 자식의 서비스 로직이 다를 수 있을 때컨트롤러에서 분기처리를 어떻게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RequestMapping("/v1/test")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private final TestService testService; @GetMapping public void findEntity(@RequestParam String type) { if(type.equalsIgnoreCase("first")) { } else if(type.equalsIgnoreCase("second")) { } //... //... //... } }만약 이러한 구조로 간다면, 자식클래스가 늘어났을 때 또 if문을 추가해야해서 효율적이지 못할 것 같아서요!지금 생각한 것은 상태 패턴을 이용하면 어떨까 하는데, 이게 좋은지 잘 모르겠습니다..public interface BaseContext { boolean support(String type); void executeFind(); }이렇게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주고@Component public class FirstContext implements BaseContext{ private static final String TYPE = "FIRST"; private final FirstService firstService; public FirstContext(FirstService firstService) { this.firstService = firstService;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tring type) { return TYPE.equalsIgnoreCase(type); } @Override public void executeFind() { firstService.find(); } }자식클래스의 상태를 구현하는 클래스를 만들어주고@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RequestMapping("/v1/test")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private final List<BaseContext> contexts; @GetMapping public void findEntity(@RequestParam String type) { BaseContext findContext = contexts.stream() .filter(context -> context.support(type)) .findAny() .orElseThrow(() -> new IllegalStateException("Error")); findContext.executeFind(); } } 컨트롤러에서는 이렇게 받아주면자식 엔티티가 늘어나도 if-else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습니다다만, 자식 엔티티가 추가될 때 마다 Context를 추가해야 한다는 점과Context가 Service를 바라보고있어 Service가 수정되면 Context와 Service 2가지 모두 수정해야한다는 점이 마음에 걸립니다보통 상속관계의 엔티티를 다룰 때 어떤식으로 분기처리를 하나요??강사님이 아니시더라도 다른 수강생분들의 의견도 달아주시면 좋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상속 관계 엔티티 로직을 분기처리 하는 법?
안녕하세요 상속관계 엔티티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궁금한 점 있어 질문 드립니다상속관계의 엔티티가 존재하고, 자식 엔티티마다 서비스 로직이 다를 수 있을 때 어떻게 분기처리하는지 알고 싶어 질문 드립니다 @Entity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Getter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SINGLE_TABLE) @DiscriminatorColumn(name = "base_type") public abstract clas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description; @Column(name = "base_type", updatable = false, insertable = false, length = 30) private String baseType; protected BaseEntity(Long id, String title, String description) { this.id = id; this.title = title; this.description = description; } } @Entity @DiscriminatorValue(value = "FIRST")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Getter public class FirstEntity extends BaseEntity{ private int like; @Builder public FirstEntity(Long id, String title, String description, int like) { super(id, title, description); this.like = like; } } @Entity @DiscriminatorValue(value = "SECOND")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Getter public class SecondEntity extends BaseEntity { private String redirectUrl; @Builder public SecondEntity(Long id, String title, String description, String redirectUrl) { super(id, title, description); this.redirectUrl = redirectUrl; } }이러한 상속구조 엔티티가 있고, 두 자식의 서비스 로직이 다를 수 있을 때컨트롤러에서 분기처리를 어떻게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RequestMapping("/v1/test")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private final TestService testService; @GetMapping public void findEntity(@RequestParam String type) { if(type.equalsIgnoreCase("first")) { } else if(type.equalsIgnoreCase("second")) { } //... //... //... } }만약 이러한 구조로 간다면, 자식클래스가 늘어났을 때 또 if문을 추가해야해서 효율적이지 못할 것 같아서요!지금 생각한 것은 상태 패턴을 이용하면 어떨까 하는데, 이게 좋은지 잘 모르겠습니다..public interface BaseContext { boolean support(String type); void executeFind(); }이렇게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주고@Component public class FirstContext implements BaseContext{ private static final String TYPE = "FIRST"; private final FirstService firstService; public FirstContext(FirstService firstService) { this.firstService = firstService;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tring type) { return TYPE.equalsIgnoreCase(type); } @Override public void executeFind() { firstService.find(); } }자식클래스의 상태를 구현하는 클래스를 만들어주고@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RequestMapping("/v1/test")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private final List<BaseContext> contexts; @GetMapping public void findEntity(@RequestParam String type) { BaseContext findContext = contexts.stream() .filter(context -> context.support(type)) .findAny() .orElseThrow(() -> new IllegalStateException("Error")); findContext.executeFind(); } } 컨트롤러에서는 이렇게 받아주면자식 엔티티가 늘어나도 if-else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습니다다만, 자식 엔티티가 추가될 때 마다 Context를 추가해야 한다는 점과Context가 Service를 바라보고있어 Service가 수정되면 Context와 Service 2가지 모두 수정해야한다는 점이 마음에 걸립니다보통 상속관계의 엔티티를 다룰 때 어떤식으로 분기처리를 하나요??강사님이 아니시더라도 다른 수강생분들의 의견도 달아주시면 좋겠습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실무에선 c++을 먼저 만들고 블플르 파생시키나요 아니면
언리얼 엔진에선 블프로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c++로 구체화 한다고 하던데c++클래스를 먼저 만들고 블프로 자식 클래스를 만드는게 흔한가요, 아니면 블프를 먼저 만들고 c++을 자식으로 만드나요?c++을 먼저 만들고 블프를 자식으로 만들면 프로토타입 단계를 c++로 만들게 된다는말 아닌가요?
-
미해결윤재성의 자바 기반 안드로이드 앱개발 Part 2 - 메뉴와 4대 구성요소
12강 Activity Data 관련 질문
강의 내용 상 SecondActivityCallback 클래스의 기능은 SecondActivity에서 callback 될 때 data를 받아서 (강의 자료 상) 105-108line에 있는 출력 값을 출력해야 한다고 이해를 했는데, 확인해보면 onActivityResult 가 그 역할을 대신 하고 있는거로 확인됩니다. 제가 잘못된건지 아니면 강의 자료가 잘못된건지, 강의 내용이 틀린건지 확인 바랍니다.소스코드는 강의 자료에서 준 것 그대로 차용했습니다.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엑셀자동화다 - 기본편
크롬드라이브 실행 오류
AttributeError: 'str' object has no attribute 'capabilities'주요 에러는 이렇게 뜨는데.. 구글링을 해보긴 했는데 어떻게 해결을 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ㅠ혹시 도움을 구할 수 있을까요?
-
해결됨자바 기초부터 마스터하기 with 은종쌤 (Do it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 Part 2(마스터편)
멀티 쓰레드 동기화 관련 질문입니다!
ArrayList, HashMap은 동기화가 지원이 안되지만 최적화되어 성능에 유리하고,Vector,.HashTable은 동기화는 지원이 되지만 그만큼 느리다는 점이라는 내용이 제가 이해한 부분이 맞을까요??그리고 추가적인 질문으로는 동기화가 실행속도와 관련이 있다면,멀티 스레드 환경에서는 1. 쓰기 작업에서는 동기화를 적용하여 데이터 영역에 안전보장2. 읽기 작업은 동기화를 적용하지 않아 성능 최적화이런 방식으로 적용하면 될까요?
-
미해결[핵집] 2025 빅데이터 분석기사(필기)_과목 1~2
통합 강의교안 요청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자입니다.1~2 통합교재를 아래 주소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가입 e-mail : young.park@hanwha.com받고 싶은 e-mail : zzan0ng@naver.com좋은 하루 보내십시오.감사합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인코딩 질문입니다
강의 중 한글 '와'를 포함한 소스코드를 utf-8 인코딩으로 변경해서 저장하고 컴파일하면 '와'로 잘 출력되었는데요...근데 Unreal 에서는 스트링 저장시 UTF-16 format을 쓴다고 되어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UTF-8로 인코딩된 영어랑 " <-요런 (기호)문자들이 잘 호환된 이유는 뭘까요?Character Encoding in Unreal Engine 문서에 When serializing to packages to/from disk or during networking, strings with all TCHAR characters less than 0xff are stored as a series of 8-bit bytes, and otherwise as 2-byte UTF-16 strings. The serialization code can deal with any endian conversion as necessary.이 내용 때문인가요? 시리얼라이징에만 해당하는 것 같아 보이는데요.. 인코딩 정말 헷갈리는군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테스트케이스에서 강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회원 리포지토리 테스트 케이스 작성에서 clear 가 없다면 기존 저장소에 저장한 객체들로 인해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알려주셨습니다. 그런데 저는 왜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걸까요? 다른 질문 글을 확인했을 때 테스트 순서가 랜덤이라 성공이 될 수 있지만, 여러번 실행해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혹시 저의 코드에 오타가 있을까요?package hello.hellospring.repository; import hello.hellospring.domain.Member;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class MemoryMemberRepositoryTest { MemoryMemberRepository 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 @AfterEach // public void afterEach(){ // repository.clearStore(); // } @Test public void save(){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spring"); repository.save(member); Member result = repository.findById(member.getId()).get(); assertThat(result).isEqualTo(member); } @Test public void findByName(){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Name("spring1"); repository.save(member1);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Name("spring2"); repository.save(member2); Member result = repository.findByName("spring1").get(); assertThat(result).isEqualTo(member1); } @Test public void findAll() {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Name("spring1"); repository.save(member1);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Name("spring2"); repository.save(member2); List<Member> result = repository.findAll(); assertThat(result.size()).isEqualTo(2 ); } }
-
해결됨Vue.js 중급 강좌 - 웹앱 제작으로 배워보는 Vue.js, ES6, Vuex
github 확인 부탁드려요.
인프런 아이디 : @lvmedh인프런 이메일 : lvmedh@naver.com깃헙 아이디 : lvmedh83@gmail.com깃헙 Username : lvmedh83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최대매출 한번 봐주세요
package TwoPointers_SlidingWindow;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_03_03_최대매출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m = sc.nextInt(); int[] costs = new int[n]; for (int i = 0; i < n; i++) { costs[i] = sc.nextInt(); } int maxC = 0; int sum = 0; for (int i = 0; i < n; i++) { if (i < m) { sum += costs[i]; continue; } else { sum -= costs[i-m]; sum += costs[i]; } maxC = Math.max(maxC, sum); } System.out.println(maxC); }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기 전에 미리 풀었는데요for문이 처음 시작될 때 윈도우의 길이만큼 채우고 시작하려고 if문을 써서 윈도우 값을 채워넣었습니다.윈도우 값이 덜 채워졌을 때는 continue를 써서 최대 비교를 하지 않으려고 했는데요윈도우의 길이를 충족할 때만 최대 비교가 되게하려고 짠 로직인데 오답이 납니다.그런데 continue를 빼면 정답이 되고요.어떤 부분에서 오류가 뜨는 건지 궁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