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with JAVA
union 코드에 질문 있습니다.
union 메소드 구현할 때 저는 find(a)와 find(b) 중 더 작은 수로 통일하기 위해 static void union(int a, int b) { int a_rep = find(a); // a의 대표값 int b_rep = find(b); // b의 대표값 int min = a_rep<b_rep ? a_rep:b_rep; parent[a] = min; parent[b] = min; } 이렇게 코드를 짰는데요.이렇게 하니 에러가 나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ㅠㅠ 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메소드 오버로딩 강의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파이썬 기본 문법 강의부터 잘 들었던 학생입니다 ㅎㅎ메소드 오버로딩 강의를 듣다가 메소드 오버로딩의 목적이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 구글링을 해보았는데요,TCP 스쿨 문서에 '이러한 메소드 오버로딩을 사용함으로써 메소드에 사용되는 이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또한, 메소드를 호출할 때 전달해야 할 매개변수의 타입이나 개수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쓰지 않고 호출할 수 있게 됩니다.메소드 오버로딩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중 하나인 다형성(polymorphism)을 구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라고 답변이 나와있어 몇가지 질문드립니다.메소드 오버로딩은 메소드에 사용되는 이름을 절약하는 것이 있고 다른 목적이 또 있을까요?여기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중 하나인 '다형성'이라고 나오는데 다형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메소드 오버로딩의 대표적인 예로는 println() 메소드를 들 수 있다고하는데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를 창시할때 println()을 만들었을시, 해당 함수를 의미하는 것일까요?항상 너무 감사하게 잘 듣고있습니다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선생님 태풍 조심하시고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안녕하세요. 강사님 듣다가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ref.watch를 작성하게 되면 ref 값이 변하게 되면 빌드를 다시하는거고ref.listen은 값이 변할때 빌드는 다시하지 않지만 값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벤트를 실행해주는 것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알 수 없는 컴파일러 옵션 moduleDetection,,,,,에러 발생합니다.
typescript 최신 버전입니다.구글링하는데 다른 해결 방법이 없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10.4 토큰테스트에는 표시되지만 api 서버에는 유효하지 않다고 나와요.
질문1)4000/test에서는 토큰이 표시되지만, 8002/v1/test 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토큰으로 뜨는 이유가 무엇일까요?로그에서는 401코드가 뜨다가 4000/test 접속 후 새로고침을 하면 200 코드가 로그에 다시 뜹니다. api 코딩 내용 첨부합니다.app.jscontrollers/v1middleware/v1routes/v1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강의 듣는 순서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CI / CD 는 github action 써 본 경험 밖에 없는데요 Jenkins가 궁금해서 강의를 구매했습니다. 강의 목차를 보니 Ansible, k8s 등등 다양한 기술과 접목 지어서 배포 하는 과정을 학습하는 것 같네요.현재 저는 하고 있는 간단한 개인 플젝과 관련하여 배포 관련 학습을 하는게 주목적입니다. 도커, CI / CD (AWS 상에 배포한다고 가정)만 공부하고자 한다면 Ansible, k8s 부분 등은 건너뛰고 Advanced Jenkins 그리고 그 뒤에 있는 챕터들을 학습하는 식으로 해도 괜찮을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docker mysql or mariadb 실행 에러 참고하세요
mariadb 최신버전 사용시 Dockerfile 그대로 작성시 실행 에러가 발생합니다.저는 sql 을 백업해서 스키마랑 테이블 새로 만들도록 수정해서 해결했습니다.추가로 실행후 mysql 접속도 mysql 명령어가 아닌 mariadb 로 작성하셔야 됩니다.mariadb -h127.0.0.1 -uroot -pmysqldump -u root -p mydb > mydb.sqlFROM mariadb ENV MYSQL_ROOT_PASSWORD test1357 ENV MYSQL_DATABASE mydb COPY ./mydb.sql /docker-entrypoint-initdb.d/ EXPOSE 3306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nestjs autoSchemaFile에러
import { ApolloDriver, ApolloDriverAsyncConfig as ad } from '@nestjs/apollo';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GraphQLModule } from '@nestjs/graphql'; import { AppController } from './app.controller';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Module({ imports: [ GraphQLModule.forRoot<ad>({ // forRoot의 데이터타입지정 <> -> 제네릭 부분 driver: ApolloDriver, autoSchemaFile: 'src/commons/graphql/schema.gql', }), ], controllers: [AppController], providers: [AppService], }) export class AppModule {} import { Field, Int, ObjectType } from '@nestjs/graphql'; @ObjectType() // graphql에서 type을 의미함 예)type Board export class Board { @Field(() => Int) // Int를 import를 해서 사용해야한다 number: number; // ;을 기준으로 구분함 @Field(() => String) // graphql을 위한 용도 writer: string; @Field(() => String) title: string; @Field(() => String) contents: string; } 단순히 graphql shema를 자동생성 해주는 거만 테스트할려고했는데 경로를 잡아주니 에러가나와서 true도 해보고 playground : true도 추가해보고했는데 계속 해서 오류가 나고 계속해서 오류는 type이 존재하지않는다고해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Argument of type '{ driver: typeof ApolloDriver; autoSchemaFile: string; }'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ApolloDriverAsyncConfig'.Object literal may only specify known properties, and 'autoSchemaFile' does not exist in type 'GqlModuleAsyncOptions<ApolloDriverConfig, GqlOptionsFactory<ApolloDriverConfig>>'.ts(2345)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갑자기 이해가 안돼서 질문합니다.
if(nx>=0 && nx<n && ny>=0 && ny<n && arr[nx][ny]>=arr[i][j]) 여기서 nx >= 0, ny >= 0은 이해가 되는데, nx < n 과 ny<n 은 왜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예전에 한참 알고리즘 공부할때는 이해가 됐었는데,, 오랜만에 하니까 이해가 안되네요...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Firebase 이메일로그인 회원가입 실패할때
이메일 형식이 아닌 아이디만 입력했을경우회원가입이 되지 않습니다. 혹시라도 저같이 대충 이메일 안적고 아이디 적으면서 실패로 뜨시는분들을 위해 올려드립니다~ 회원가입이 되지 않는다면 이메일형식으로 시도해보세요!
 - 
      
        
    해결됨[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영상통화 강의에서 실기기 2개 사용 문의
안녕하세요.영상통화 강의를 끝마치고, 실제 기기 2개(안드로이드, 아이폰)에 같은 코드를 설치해서 실행하면서로 영상통화가 될 줄 알았는데, 각자 상대방 없음으로 뜨면서, 서로 같은 채널에 입장이 안 되었습니다.Agora SDK 설명서에는 채널이름만 같으면 될 것처럼 써 있었는데 제가 잘못 이해한 것인지...선생님 설명대로 서버에서 각 기기마다 토큰을 부여 받아야 하므로기기마다 같은 APP ID에 임시 토큰을 서로 달리 받아야 하는 것인지...실기기 2개로 영상통화 성공하는 것까지 마무리하고 싶습니다. 선생님께서 힌트를 살짝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a 질문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JPA가 인터페이스이고하이버네이트나 OpenJpa같은 구현체들이 있고javax.persistence.* 패키지에서 제공 하는 JPA인터페이스 어노테이션들 ( ex @Id, @JoinColumn , @ManyToOne등등 )이것들은 JPA가 제공하는것들이고, 구현체가 제공하는 어노테이션들 ( ex 하이버네이트의 import org.hibernate.annotations. 패키지 @JoinFormula()등 )이것들은 하이버네이트가 제공하는 어노테이션이라는걸 인지 했습니다여기서 궁금한게제 상식으로는 인터페이스는 독단적으로 사용 할 수 없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지금 영한님이 설명해주시는 예제들은 하이버네이트가 제공하는 패키지들에 있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jpa가 제공하는 패키지의 어노테이션들 ( javax.persistence.* 의 @ManyToOne 등등)만 사용해서 예제를 만들고 계신데 이렇게 되면 구현체 없이 jpa라는 인터페이스만으로 개발을 한거라고 이해가 되는데 이게 맞는 걸까요? 맞다면 어떻게 가능한거고 , 여기서 하이버네이트 의존성을 지워버려도 개발이 가능한지도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스프링mcv2 - 로그인처리2 - 스프링 인터셉터 요청 로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스프링mvc2 강의에서 로그인처리2 - 스프링 인터셉터 요청 로그 강의에서 LogInterceptor 가 싱글톤처럼 사용된다고 했는데 왜 그런건가요??빈으로 등록이 안됐는데 어떻게 싱글톤으로 관리되는건가요??
 - 
      
        
    미해결카카오 퇴사자가 누설하는 [웹개발자 취업 비밀노트]
노션 초대가 안됐어요
노션 신청폼도 작성했는데 아직 초대가 안된 것 같아요. 12시간도 지났구ㅠㅠ 강의 세개 모두 신청했는데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뉴욕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알려주는, 입문자를 위한 UX디자인 개론
안 좋은 UX 사례 과제 제출합니다.
배경: 국가에서 운영하는 HRD-Net 사이트 (직업기술을 배울 수 있는 목록 및 정보를 제공하는 곳 - 접속 URL: https://www.hrd.go.kr/hrdp/ti/ptiao/PTIAO0300L.do?pageId=2&bgrlInstYn=undefined&kDgtlYn=undefined&_csrf=b7996afd-d091-4265-9b99-c9720b70652d ) 를 낮은 의도를 가진 사용자의 입장에서 탐색하여 보았습니다. (예를 들면 OO분야에서 흥미가 있을만한 직업 훈련이 어떤 것이 있을까?로 접근해봤습니다.) 지역 및 대분류만 설정해 검색해보았는데요. 전체적으로 어떤 교육이 제공되는지 보고 싶었는데, 목록이 예상보다 많아 탐색하기가 어려웠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나쁜 점 1: NCS 직종 및 훈련유형이라는 낯선 단어NCS 직종은 국가에서 선정한 직업종류를, 훈련 유형은 기업에서 주도하는 것인지 혹은 일반인이 들을 수 있는 등의 훈련 유형을 의미하는 것 같다고 추측했습니다. 사실 직업교육을 처음 들으려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두 단어가 상당히 낯설었습니다. 훈련 유형에는 알아볼 수 없는 유형도 많아서 어떤 걸 보아야 하는거지? 무엇은 들을 수 있고 안되는거지? 잘 모르겠었어요. 내부적으로 정보 설계는 잘 되어 있겠지만 이것이 사용자에게는 도달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기준에 따라 사용자가 행동을 결정할테니, 행동 유도와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를 꼭 다 보여주어야 하는건가? 사용자별로 유형을 다르게 보여줄 수는 없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굳이 다 보여주어야 한다면 작게 툴팁을 두어 설명을 붙여놓았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나쁜 점 2: 직종 선택시의 불편함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나누어져 있어 직업군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있구나 싶었습니다. 하지만 높은 의도를 가지거나, 낮은 의도를 가진 사용자 입장에서 팝업 상태에서 (이미 한 뎁스 들어가서) 일일히 소분류까지 필터로 설정하는 사용자가 있을까 의문이 들었어요. 해당 팝업에서 대분류에 비해 중, 소분류에 대한 클릭수가 낮다면 대분류의 내용을 아이콘으로 설정해 상위로 (퍼스트 뎁스로) 두는 방향도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나쁜 점 3: default 개강일자가 1년으로 설정된 것1개월, 3개월, 1년단위로 볼 수 있는데 1년이 기본 설정되어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이유는 있었겠지만, 기간에 따라 검색 목록의 양이 더 늘어나지 않았나 싶습니다. 3개월만 해도 충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나쁜 점 4: 결과 목록에 대한 정보 설계결과 목록을 보면 매우 많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훈련기관, 훈련명, 훈련기간, 시간, 취업률, 가격 등등)각 훈련에 높은 의도를 가진 사용자는 세부 내용을 클릭해서 볼테니, 정말 필요한 정보만 뽑은 후 재배치하면 어떨까 싶었습니다. 또한 훈련 기간이 크게 강조되어 있는 것 보다, 훈련명이 더 중요한 정보가 아닐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보제공에 대한 우선순위도 다시 세워야 할 필요가 있어보였어요.논외로검색시 게시판 목록의 숫자가 몇백 ~ 몇십개 정도 나오는 것을 보았는데요. 해당 류의 정보 제공 서비스 같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을 때 까지 목록을 알맞게 잘 탐색할 수 있게 필터링하는 것이 핵심 UX 설계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느낀점: 해당 과제는 제 나름의 기준을 잡아 문제점 제기하였고, 대안 의견까지 녹이긴 했지만 실무에서 정말 하라면(?) 까마득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문제점을 위한 근거를 찾는 것부터 가설(대안)에 대한 근거를 찾고 설득하는 것도 같이 생각해보려 했는데, 머리가 아파오더라구요 @@ 많은 공부와 연습이 필요하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질문: 해당 과제를 하면서 사용자의 정보 탐색 프로세스 관련하여 흥미가 생겼는데 혹시 관련해서 볼만한 논문이나 아티클이 있을까요? 혹은 해당 분야 외로도, 선생님이 평소에 보시는 UX관련 아티클 혹은 논문 사이트가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riverpod 2.0 Notifer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riverpod 2.0에서는 StateNotifier대신 Notifier이나 AsyncNotifier를 사용하라고 되어있던데그러면 현재 강의에서 StateNotifer를 Notifier로 바꿀려고하니 의존성주입을 할때,StateNotifierProvider에서 생성자로 ref.watch로 authRepository,userMeRepository,storage를 넣어주는데궁금한것이 1.이를 Notifier에서는 어떻게 넣어주는게 가장 좋은 선택인가요??(생성시에 ref.watch로 한번만 만들기 vs 필요한곳마다 ref.watch사용하기 )초기 생성할때 UserModelLoading()을 한뒤에 state업데이트를 getMe함수에서 하는데 이를 try-finally로 하는것이 맞는 방법인가요?late final AuthRepository, late final UserMeRepository, ... 과 같이 final을 붙일시에 다시 build되는 상황이 생기던데 에러가 뜨던데 final을 안해도 괜찮은건가요?아래는 저가 바꿔본 코드입니다.final userMeProvider = StateNotifierProvider<UserMeStateNotifier,UserModelBase?>((ref) { final authRepository = ref.watch(authRepositoryProvider); final userMeRepository = ref.watch(userMeRepositoryProvider); final storage = ref.watch(secureStorageProvider); return UserMeStateNotifier( authRepository: authRepository, repository: userMeRepository, storage: storage, ); }); class UserMeStateNotifier extends StateNotifier<UserModelBase?> { final AuthRepository authRepository; final UserMeRepository repository; final FlutterSecureStorage storage; UserMeStateNotifier({ required this.authRepository, required this.repository, required this.storage, }) : super(UserModelLoading()) { //내 정보 가져오기기 getMe(); } Future<void> getMe() async { final refreshToken = await storage.read(key: REFRESH_TOKEN_KEY); final accessToken = await storage.read(key: ACCESS_TOKEN_KEY); if (refreshToken == null || accessToken == null) { state = null; return; } final resp = await repository.getMe(); state = resp; } /* *login, logout생략 */ } final userMeProvider = NotifierProvider<UserMeNotifier,UserModelBase?>(UserMeNotifier.new); class UserMeNotifier extends Notifier<UserModelBase?>{ late AuthRepository authRepository; late UserMeRepository repository; late FlutterSecureStorage storage; @override UserModelBase? build() { try{ authRepository = ref.watch(authRepositoryProvider); repository = ref.watch(userMeRepositoryProvider); storage = ref.watch(secureStorageProvider); return UserModelLoading(); }finally{ getMe(); } } Future<void> getMe() async { final refreshToken = await storage.read(key: REFRESH_TOKEN_KEY); final accessToken = await storage.read(key: ACCESS_TOKEN_KEY); if (refreshToken == null || accessToken == null) { state = null; return; } final resp = await repository.getMe(); state = resp; } }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File, Resource 차이점이 궁금해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업로드 할땐 new File() 을다운로드와 조회할땐 new URLResouce()를 사용하셨는데둘의 차이점이 뭔지 설명은 없어서요.검색해봐도 명확한 답변이 안 나와 올려봅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2 (AMBA AXI4 완전정복)
[HDL 38장-2부] AxLock, clog2
AXI4 에서는 Lock 비트수가 '1' 인데, 설계에서 2 비트수를 유지하는 것은 VIP 와의 연결을 위해서인가요?clog2 자체가 해당 인자에 대한 필요 비트수를 출력하니 '+1' 보정은 없어도 될 것 같습니다.
 - 
      
        
    미해결SQL 개발자 (SQLD) 자격증 따기 Part.2
CASCADE CONTRAINT가 아니고 CASCADE CONTRAINTS입니다
구문 오류가 떴던 이유는 CASCADE CONTRAINT가 아니고 CASCADE CONTRAINTS이기 때문입니다.
 - 
      
        
    미해결쉽고 빠르게 익히는 Power BI (기본편)
다양한 시각화를 활용한 보고서 작성 2 에서 질문합니다
power bi desktop 현재 버전에서는올리신 강의대로 하면 맵 시각적 개체가 정상적으로 안 나옵니다.버전이 올라가면서 설정 방법이 달라졌나요?power bi desktop 최신 버전으로 강의 다시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3년 전에 제작하신 강의가 아직도 업그레이드 없이 올려져있습니다.난감하네요.....